to 부정사 주어

To 부정사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의 주어"를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 문장에서는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등장합니다. 그리고 주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어서 길어집니다. 주어 자리에서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방식을 잘 알게되면 독해 실력이 크게 향상됩니다. 주어와 동사를 빨리 찾는 것이야 말로 독해력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내용이 약간 어렵더라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4. 내용 요약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먼저 영어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를 알아 봅시다. 영어에서는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들"이 주어 역할을 합니다. 이것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 → 명사

 

조건명제 형식을 빌려 표현하면 ‘주어이면 명사’라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말이 주어 자리에 있으면, 명사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같은 논리에 따라, 동사 앞에서 주어 자리에 오는 'to 부정사'는 명사 역할을 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는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

주어→명사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주어로 쓰이는 'to 부정사'는 단순하게 "to + 동사원형"의 형태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to 부정사의 다양한 용법(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등) 때문에 문장 내에서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편의상 "to 부정사의 확장"이라고 합시다.

 

다음은 주어 자리에 있는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경우들입니다.

2-1. To judge is easy.    

    → 판단하는 것은 쉽다.

    기본형


2-2. To judge a person is easy.    

    →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목적어 추가


2-3. To judge a person's capacity is easy.    

    → 사람의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명사구 확장


2-4.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형용사 추가


2-5.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사 추가


2-6. Not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부정형


2-7.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가주어 it 사용)

     가주어 진주어 구문

 

위 예문들은 to 부정사 주어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각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법적으로 주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어 자리에 있는 단순한 to 부정사는 수식어구들에 의해서 점점 의미가 확장됩니다. "to 부정사"는 동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목적어를 취할 수도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어가 수식어구로 한정되어 길어지더라도, 의미상 결합되어 있다면 하나의 주어로 보아야 합니다. 위 예제들에서 밑줄 친 부분은 전체가 결합된 주어라는 점에서 모두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정사의 확장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영어는 긴 주어를 싫어하는 언어입니다. 주어가 길어질 때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는 뒤로 보냅니다. 이러한 언어적 관행은 to 부정사에도 적용됩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게 됩니다.

 

to 부정사 주어

ex)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잘 썼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주어가 너무 길기 때문에 말하고 쓰기에 부담스럽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합니다.

 

가주어 진주어

ex)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그렇지만 to 부정사 주어가 짧다면 그대로 둬도 의미 전달은 명확합니다. 취향과 선택의 문제라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가주어 it을 쓸지 말지 판단할 수 있는 대략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3단어 이내면 그냥 쓴다.
  2. 3단어가 넘으면 소리 내어 읽어본다.
    읽어봐서 자연스럽지 않으면 가주어를 쓴다.

이 기준은 다소 자의적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소리내서 읽어 봅니다. 읽는 것이 어색하면, 듣는 것도 어색합니다.
이 원칙은 에세이 쓰기, 스피킹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문장을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4. 내용 요약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주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 주어가 길어질 경우, 가주어 i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가주어 진주어 구문은 문장의 명확성과 가독성을 높입니다.

5.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주어 연습문제.pdf
0.17MB
to 부정사 주어 연습문제 정답.pdf
0.19MB

 

 

이상으로 to 부정사 주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9 by Song SSam


 

다음은 제가 쓴 "to 부정사 직전 정리"입니다.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필수 사항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to 부정사 + 전치사

to 부정사 + 전치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이 아주 두려워하는 'to 부정사 뒤에 오는 전치사'에 대해 확실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와 필수 표현들을 예문과 함께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법은 한국인들이 특히나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는 당연한데 영어로 쓸 때만 문제가 되는 것이라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지나치게 어려워서인지 웬만한 영어 시험에서는 잘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들도 어렵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고급 영어 실력을 갖길 워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넘어야 할 벽이기도 합니다. 영어를 뛰어나게 잘하기 위해서는 "영어식 사고방식"에 익숙해야 하기 때문이죠. (중3 딸네미가 1학기 중간고사 준비 중에 하도 걱정스럽게 이 용법을 질문했습니다. 시험에 안 나온다고 그렇게 달래도 딸 자식 이기는 아빠가 어디 있나요. 결국 글을 정리하고 말았습니다. ㅠㅠ)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2. 자주 틀리는 명사 "to 부정사 + 전치사 " 10가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먼저 다음 예문을 살펴 봅시다. to 부정사와 그 다음에 오는 전치사 with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넘어야 할 "to 부정사 + 전치사"란 "to eat with"과 같은 형태를 말합니다.

 

(1)    I need a spoon to eat with.

(1-1)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1-2)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영어를 전공한 이후로 강산이 세 번도 넘게 바꼈습니다. 그런데 해석을 (1-1)번같이 하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 전문 번역가도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라고 번역을 하면 고개를 갸우뚱 거릴 것입니다.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는 해석이 우리 뇌에 착 감겨 들립니다. 적어도 한국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극히 정상적으로 들리는 "먹을 숟가락"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 어지럽겠지만 조금만 참고 봐 주시기 바랍니다.

 

(1) 번 문장 "I need a spoon to eat with."는 원래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나왔습니다.

 

(2) I eat with a spoon.

      나는 숟가락을 가지고 먹는다.

 

(2)번 문장에서 전치사를 빼면 다음과 같은 "불가사리"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3) I eat a spoon.  (X)

     나는 숟가락을 먹는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그렇지 숟가락을 씹어먹을 수야 없습니다. 고려시대 출몰했다는 민간괴담 속의 불가사리가 아닌 다음에야 말입니다.

 

이제 "I eat with a spoon." 문장을 need와 to 부정사를 이용해서 다시 써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4) I eat with a spoon.

→  I need a spoon to eat with.

 

어떻습니까? to 부정사 다음에 논리적으로 with가 와야하는 이유를 아시겠죠? 우리 보통 사람들은 "spoon"을 먹는 것이 아니라, "spoon"을 가지고 먹습니다.

 

이렇듯, to 부정사 뒤에 전치사를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문법학자들이 "to 부정사 + 전치사"라고 잽싸게 이름붙인 것입니다. (아마 일본쪽 영문학자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쪽으로는 도가튼 사람들이라서요.)

 

이렇게 친절한 설명을 들어도 여전히 골치가 아플 것입니다. 머리로는 알겠지만 뱃속이 불편한 찝찝한 느낌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어려워서 시험에 잘 나오지 않을 뿐더러, 나온다고 해도 몇 가지 뻔한 예들만 돌려쓰기로 출제됩니다. 그러니 다음에 정리하는 표현 정도만 알아도 "영어를 굉장히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알았지, 우리 딸?)

spoon to eat


다음 표현들은 어쩌다 시험에 나오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자주 쓰이는 "to 부정사 + 전치사" 표현들입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오는 전치사에 주의해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 a house to live in (살 집)
  •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 a tool to open with (열 도구)
  •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기왕 정리하는 김에 설명까지 하겠습니다. 괜히 어설프게 설명했다가 모 중 3 여학생에게 의구심만 잔뜩 불러일으킬 것 같아서요.

 

a house to live in (살 집)

→  집 "안에" 들어가 사는 것이므로 전치사 in 필요.

주의!
a place to live 표현에서는 in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장소(땅) 안에 들어가서 살지는 않습니다.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의자 "위에" 앉는 것이므로 전치사 on 필요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 친구"에게" 이야기 하거나 (to), 친구와 "함께" 이야기 하므로 전치사 with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 돈을 "가지고" 구입하므로 전시사 with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종이 "위에" 쓰므로 전치사 on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펜을 "가지고" 쓰므로 전치사 with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 주제에 "대하여" 쓰므로 전치사 about


a tool to mend with (수리할 도구)

→ 도구를 "가지고" 수리하므로 전치사 with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 종교"에" 의지하므로 전치사 to

 

 

이 정도로 정리하면 "to 부정사 + 전치사" 때문에 골치 아플 일을 없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전치사 연습문제.pdf
0.16MB

 

to 부정사 전치사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Gladiator"에서 나온 "러셀 크로"의 그 유명한 포효가 생각납니다.

"Are you satifsfied, my darling daughter?"

 

이상으로 'to 부정사 + 전치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7 12:33 by Song SSam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내신과 문법과 수능 독해에서 자주 등장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을 예문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형용사의 역할

2. 명사 + to 부정사

3. (-thing, -body, -one) + to 부정사

4. (It is time) + to 부정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형용사의 역할

to 부정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할 때는 기본적으로,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입니다.

 

명사수식

  • She is a kind person.
    (그녀는 친절한 사람이다.)
    → 명사(person)를 수식

보어 역할

  • She is kind.
    (그녀는 친절하다.)
    → 주어(she)를 설명하는 보어로 사용

이 글에서는 특히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명사수식, 보어

 


2. 명사 + to 부정사

to 부정사는 주로 명사 뒤에서 그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이때 의미는 주로 ‘~할’, ‘~하는’ 정도로 해석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 I need a friend to trust.
    (나는 필요하다/ 믿을 친구가)

  • We don't have money to buy a new house.
    ( 우리는 돈이 없다/ 집을 )

  두 문장에서 to trust와 to buy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2. [-thing, -body, -one + to 부정사] 형태

to 부정사는 -thing, -body, -one으로 끝나는 대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The boys need something to eat.

    (그 소년들은 필요하다/ 무언가 먹을 것이)

 

(2) You need somebody to turn to.

    (당신은 필요하다/ 누군가 의지할 사람이)

 

(3) Is there anyone to love me?

    (어떤 사람이 있을까/ 나를 사랑할?)

 

"-thing, -body, -on"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는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thing, body, one


3. [It is time + to 부정사] 형태 

‘It is time to 부정사’에서 to 부정사는 time을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It is high time은 우리말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이제 ~할 때이다."
  • "진작에 ~했어야 할 때이다."
  • "정말로 ~해야 할 때이다."

high가 들어감으로써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 '아주 급한 상황'이라는 뉘앙스가 강조됩니다.

 

다음은 It is high time to 부정사 예문입니다. 

 

(1) It is about time to stop smoking.

    (이제 담배 끊을 때다)

 

(2) It is good time to love.

    (사랑하기 좋은 시간이다)

 

위 문장들에서 to 부정사는 명사 time을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It is high time to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연습문제.pdf
0.26MB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연습문제 - 정답.pdf
0.30MB


 

지금까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쓴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간략하게 담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형용사 + to 부정사

형용사 + to부정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법인 "형용사+to부정사’"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겠습니다. 이 표현들은 "be + to 부정사"라고 알려진 것들입니다. 내신 영어에서 "예정, 가능, 의도, 의무, 운명"이라고 마구잡이로 외워야 했던 문법입니다. 사실 이 표현은 문법이라기 보다는 "관용어 내지 숙어"라고 접근하는 것이 편합니다. 거의 같은 형태로만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용을 따라 자주 쓰이는 "be + 형용사 + to 부정사"를 예문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함께 확인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형용사 + to부정사의 개념

2. 자주 쓰이는 ‘형용사+to부정사’ 표현 정리

3. 핵심 표현 예문 15개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형용사+to 부정사

형용사는 보통 be동사 뒤에 오면서 주어를 설명하는 주격보어로 쓰입니다. 하지만 일부 형용사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가 불완전해서 반드시 뒤에 to부정사가 와야 완전한 뜻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I am likely. (X)
    → '나는 ~일 것 같다'라는 뜻이지만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 I am likely to pass the exam. (O)
    → “나는 시험에 통과할 것 같다.”
    "to pass가" 와서 의미가 분명해 졌습니다. 시험에 통과할 것 같습니다.

 

예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 I am willing. (X)
    → “나는 기꺼이 ~하다”라는 표현인데,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 I am willing to meet her. (O)
    → “나는 기꺼이 그녀를 만날 것이다.”
    willing 뒤에 to meet이 붙어서 의미가 완전해졌습니다. 소녀를 만나려고 합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likely, willing"과 같은 형용사들은 항상 to부정사와 함께 사용해야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이러한 용법을 "be + to 부정사"라고 어렵게 부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be + 형용사 + to 부정사"로 쓰이기 때문에 "형용사 + to 부정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be likey to, be willing to


2. 자주 쓰이는 '형용사+to 부정사' 표현

다음에 to 부정사가 오는 형용사들:

able bound destined doomed due eager fit inclined liable likely obliged prepared unable unfit unwilling willing

 

위 단어들은 자주 to 부정사를 동반합니다.

개별적으로 공부하지 말고 "be able to, be bound to" 와 같이 숙어처럼 외워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로 외워 두세요.

 

be + 형용사 + to 부정사:

be able to be bound to be destined to be doomed to be due to be eager to be fit to be inclined to be liable to be likely to be obliged to be prepared to be unable to be unfit to be unwilling to be willing to

3. 핵심 표현 예문 15개

실제로 자주 쓰는 대표적인 예문을 통해 의미를 확실히 익혀 봅시다.

 

(1) be able to: ~할 수 있다

  • I am able to handle the job.
    (나는 그 일을 처리할 수 있다)

(2) be bound to: ~할 가능성이 크다, 반드시 ~할 것이다

  • She is bound to get the position.
    (그녀는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3) be destined to: ~할 운명이다

  • He was destined to leave his mother country.
    (그는 고국을 떠날 운명이었다)

(4) be doomed to: ~할 운명이다 (불길한 의미)

  • The plan was doomed to fail.
    (그 계획은 실패할 운명이었다)

(5) be due to: ~할 예정이다

  • She is due to arrive at six.
    (그녀는 6시에 도착할 예정이다)

(6) be eager to: ~을 갈망하다

  • He is eager to succeed.
    (그는 성공하기를 갈망한다)

(7) be fit to: ~하기에 적합하다

  • Her body is fit to do ballet.
    (그녀의 몸은 발레를 하기에 적합하다)

(8) be inclined to: ~하는 경향이 있다

  • She is inclined to skip breakfast.
    (그녀는 아침을 거르는 경향이 있다)

(9) be liable to: ~하기 쉽다, ~할 것 같다

  • The building is liable to collapse at any moment.
    (그 건물은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 같다)

(10) be obliged to: ~할 수밖에 없다, ~할 의무가 있다

  • We are obliged to comply with the rule.
    (우리는 그 규칙을 따를 수밖에 없다)

(11) be prepared to: ~할 준비가 되다

  • I'm prepared to go out.
    (나는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

(12) be unable to: ~할 수 없다

  • I'm unable to log into my account.
    (나는 내 계정에 로그인할 수 없다)

(13) be unfit to: ~하기에 부적합하다

  • He is unfit to return to work.
    (그는 업무에 복귀하기에는 부적합하다)

(14) be unwilling to: ~하지 않으려고 하다

  • Paul is unwilling to give in to others' view.
    (Paul은 다른 사람의 의견에 양보하려고 하지 않는다)

(15) be willing to: 기꺼이 ~하다

  • She is willing to donate her time and money.
    (그녀는 기꺼이 자신의 시간과 돈을 기부하려고 한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문의하신 분이 있어 예문 파일도 함께 첨부합니다.

형용사 to 부정사 예문.pdf
0.32MB
형용사 to 부정사 연습문제.pdf
0.21MB
형용사 to 부정사 연습문제 정답.pdf
0.26MB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to부정사‘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쓴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간략하게 담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