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관계대명사 강의 7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영어 말과 글에서 자주 쓰이는 관계대명사 what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선행사가 없어서 당혹스럽기도 하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가볍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2. 관계대명사 what 쉬운 예문

3. 관계대명사 what 주의할 점

4. 자주 받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관계대명사 wha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행사가 없다"는 것입니다. "사람, 사물, 동물" 등의 선행사가 필요한 여타 관계대명사와 달리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가 필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자체에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일 때 해석은 "~하는 것"이 됩니다.

 

선행사가 없지만 관계대명사 what은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 즉 주격이나 목적격으로 쓰입니다. 의문문에서 쓰인 what과 다른 점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

ex) I don’t know w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을 나는 모른다.
→  타동사(know)의 목적어 역할

 

의문사 what
ex) What does he want?
      그는 무엇을 원하나요?

 

위 두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at"~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의문사 what은 "무엇"이라는 의미로 의문문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관계대명사 what선행사가 필요 없다.
  • 관계대명사 what"~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선행사 포함


2. 관계대명사 what 과 선행사

관계대명사 what은 "the thing which"와 같은 말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의 해석인 "~하는 것"을 영어로 옮긴 것 뿐입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 what이 들어간 문장은 "the thing which"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1) What he said made me laugh.
     그가 말한 것이 나를 웃게 했다.
The thing which he said made me laugh.

 

(2) I can give you what you want.
     나는 네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있어.
→ I can give you the thing which you want.

 

그런데 영어 문장에서 "the thing which ~"과 같이 쓰는 것은 가뭄에 콩나듯한 일입니다. 한껏 멋부린 만연체 연설문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는 대부분(거의 대부분) 관계대명사 what을 씁니다. 

the thing which


3. 관계대명사 what 주의할 점

관계대명사 what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3-1. what 앞에는 선행사를 쓸 수 없다.

영작할 때 무의식적으로 저지르는 실수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hat 앞에 선행사를 쓰면 안 됩니다. 

 

잘못된 문장
ex) The waiter brought the thing what we ordered (X)

      웨이터가 가져왔다/ 그가 주문한 것을.

→   what은 order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 앞에 선행사 "the thing"을 쓰지 말아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써야 합니다.

 

올바른 문장
ex) The waiter brought what we ordered(O)

 

잘 기억해 둡시다.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를 쓸 수 없다. 

선행사 생략

 

3-1. 관계대명사 what은 계속적 용법에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일 때 what 앞에는 쉼표(,)를 쓸 수 없습니다. 즉, 관계대명사 what은 계속적 용법에는 쓸 수 없습니다.

 

잘못된 문장

ex) She is always late, what made me angry.

→  쉼표(,)가 있는 계속적 용법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She is always late, which made me angry.

     그녀는 항상 늦는다, 그것이 나를 열받게했다.

 

이때 which는 앞 문장 전체 "She is always late"를 선행사로 받습니다.

계속적 용법과 what


4. 자주 받는 질문 (FAQ)

Q. 관계대명사 what과 다른 관계대명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관계대명사 what은 다른 관계대명사(who, which, that)와 달리 앞에 별도의 선행사를 쓰지 않습니다.

 

Q. 관계대명사 what을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이미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별도의 선행사를 지칭하는 계속적 용법(콤마 뒤에 추가설명)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which를 사용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what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what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what에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7 17:56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왕초격인 that의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현대 영어에서 that은 모든 관계대명사를 대신하겠다는듯이 세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과유불급이라고나 할까요? 편하다고 마구잡이로 that을 남용하다보니 문맥이 분명치 않은 경우도 왕왕 보게 됩니다. 편한만큼 주의해서 사용해야 할 관계대명사가 that이기도 합니다.

 

관계대명사에서 특히 "that은 제한적 용법으로만 사용"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 who/which 대신 사용하는 that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3. that을 쓸 수 없는 경우

4. 자주 묻는 질문 ( FAQ)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제한적 용법의 that


1. 관계대명사 who/which 대신 사용하는 that

관계대명사 중 제한적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who나 which를 대신해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즉, 제한적 용법에서 주격이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제한적 용법에서는 선행사가 사람, 사물에 관계없이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1-1. 주격 관계대명사

(제한적 용법으로 쓰인) 주격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선행사가 사람
    They are the soldiers who/that fought the battle.
    그들은 군인들이다/ 그 전투에서 싸웠던.

    → 관계대명사는 fought의 주어 역할
  • 선행사가 사물
    This is the camera which/that takes high-quality photos.
    이것은 카메라다/ 고화질 사진을 찍는.
    관계대명사는 takes의 주어 역할

두 예문에서 that은 주격관계대명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who/which와 that은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


1-2. 목적격 관계대명사

(제한적 용법으로 쓰인) 목적격 관계대명사 역시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선행사가 사람
    The man whom/that I met yesterday is a famous writer.
    내가 어제 만났던 그 남자는 유명한 작가이다.
    관계대명사는 met의 목적어 역할
  • 선행사가 사물
    These are the books which/that you should read
    이것은 책들이다/ 당신이 읽어야 하는.
    관계대명사는 read의 목적어 역할

주의:

공식적인 자리나 글에서는 선행사에 맞는 관계대명사를 써 주는 것이 의미가 분명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인데 that을 쓰면 글이 맞는지 다시 한번 보게 읽게 됩니다. 지나치게 고리타분하지만 않다면 문법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선행사에 특정한 말이 있을 경우에는 that만 써야 합니다.

 

2-1 선행사가 사람+사물일 때

선행사에 "사람+사물" 혹은 "사물+사람"이 올 경우에는 that을 써야 합니다. 사람, 사물 두 선행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that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사람+사물 선행사
    The bomb blow up the people and buildings that stood there.
    폭탄은 사람과 건물을 날려버렸다/ 그곳에 있던.
    the people(사람) + buildings(사물)
  • 사물+사람 선행사
    I like the song and singer that won the competition.
    나는 노래와 가수를 좋아한다/ 대회에서 우승했던.
    the song(사물) + singer(사람)

2-2. 선행사가 특정 단어일 때

선행사에 "최상급, 서수, all, every, some"과 같은 단어가 있을 때는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이 경우 다른 관계대명사 (who/which)는 쓸 수 없습니다.

  • 최상급 선행사
    It was the worst explosion that struck the nation.
    그것은 최악의 폭발이었다/ 그 나라를 강타한.
    최상급 선행사(the worst) + that

  • 서수 선행사
    This is the first book that I read.
    이것이 첫 번째 책이다/ 내가 읽은.
    서수 선행사 (the first) + that
  • all 선행사
    All that I need is your support.
    내가 필요한 전부는 너의 지지이다.
    → all 선행사 + that

사람 + 사물


2-3 의문사가 선행사 앞에 올 때

의문사로 시작하는 문장에서는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 의문사가 앞에 올 때
    Who is the boy that won the prize?
    누구냐/ 상을 탄 소년은?
    의문사 who + 관계대명사 that

위 세가지 경우처럼 특정한 선행사가 앞에 있는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 써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 선행사가 사람+사물일 때
  • 선행사가 특정 단어일 때
    최상급, 서수, all, every, some
  • 의문사가 선행사 앞에 올 때

3. that을 쓸 수 없는 경우

관계대명사 that은 계속적 용법에서 쓸 수 없습니다. 즉, 쉼표(,)가 있는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대신할 수 없습니다. 

  •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My car, which/that is old, consumes much gasoline.
    내 차는 오래되어 기름을 많이 소비한다.
    계속적 용법 + 관계대명사 that

계속적용법 that


4.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관계대명사 that과 which는 아무 때나 바꿔 쓸 수 있나요?
아닙니다. that은 제한적 용법에서만 사용하며, 계속적 용법(콤마로 추가 설명하는 경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which를 써야 합니다.

 

Q2. that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선행사가 사람과 사물이 동시에 등장할 때, 또는 선행사 앞에 최상급, 서수(first, second...), all, every, some 등의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that을 사용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that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that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6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제한적,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제한적 용법은 한정적이라고도 합니다. 그다지 어려운 내용이 아닙니다. 단지 위압적인 한자 문법용어 때문에 실제보다 더 어려워 보이는 것 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시와 함께 두 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3. 제한적 용법 vs 계속적 용법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여기서 제한이나 한정은 "수식 or 설명"한다는 말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이 형식에서 관계대명사가 없으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됩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앞에는 쉼표(",")가 없습니다.

 

 (1) This is the boy who stole my bicycle.

      이 소년이다/ 내 자전거를 훔친 사람은.

 

위 예문에서 "who stole my bicycle"을 생략해 봅시다. 

 

(1-1) This is the boy.

       이 소년이다.

 

관계사절을 생략하고 보니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절이 생략되면 문장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게 됩니다. 즉,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는 의미상으로 관계사절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내용상 선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 특징

  •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음
  • 생략하면 의미가 불명확함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의미상 문장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한적, 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은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는 분명합니다.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절 앞뒤에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2-1.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특징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쉼표(,)와 함께 사용합니다.

 

1) My grandfather, who is 92, is energetic.

    할아버지는, 아흔 둘이신데, 정정하시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를 해치지 않습니다.

 

1-1) My grandfather is energetic.

      내 할아버지는 정정하시다.

 

물론 "who is 92"가 있는 것이 정정함을 강조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who is 92"를 생략해도 의미가 통합니다.

 

✅ 계속적 용법 특징 요약

  • 관계대명사절이 부가적인 정보
  • 관계대명사 앞뒤에 쉼표(,)를 반드시 씀
  • 생략해도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음

주의: 글로 쓸 때,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계속적 용법 정리


 

2-1. 계속적 용법의 "which"

계속적 용법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것은 ",which"입니다.

 

 (1)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인데,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를 이용해서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접속사 and를 이용하여 (1)번 문장을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1-1)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and it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이고,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which

 

주의:계속적 용법의 which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X) Seoul, that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제한적, 계속적 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Q1.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제한적 용법은 필수적인 정보로,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불명확해지며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반면 계속적 용법은 부가적인 정보로 생략 가능하며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할 수 있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관계대명사절을 빼고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면 계속적 용법이고,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달라지면 제한적 용법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pdf
0.26MB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 정답.pdf
0.17MB

 


이상으로 제한적(한정적),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5 13:40 by Song SSam
관계대명사의 격 강의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관계대명사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 분들을 놀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만 사실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제대로 알아야 길고 복잡한 문장을 해석하고 쓸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름처럼 그렇게 "격"하게 어렵지 않은 내용이니 잘 들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5. 자주 묻는 질문(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1-1 격이란?

질문: 격이란 무엇일까요?

대답: 문장에서 하는 역할입니다.

 

그렇습니다. 격이란 어떤 표현 -단어·구·절- 등이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라고 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 주격: 주어 역할
  • 목적격: 목적어 역할
  • 소유격: 소유의 의미

1-2.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도 마찬가지입니다.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하고 소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관계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목적격, 소유격


 

각 격별 쓰임과 의미를 간단한 예문과 함께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합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습니다.

 

ex) Socrates is the one who shows me the way.

      소크라테스다/ 나에게 길을 알려준 것은.

→  (who는 show의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주어 자리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쉽게 생각합시다. 동사 앞에 있는 관계대명사는 주어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주어 역할

주격 관계대명사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ex) This is my daughter whom I love.

      내 딸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  (관계대명사 whom은 타동사 love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m은 관계사절에서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whom I love"를 보면 타동사 love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whom이 목적어이므로 생략한 것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찾는 요령입니다. 관계대명사절에서 끝에 있는 동사를 봅시다. 그 동사의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

 

Note:

현대 영어에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대신에 who를 자주 씁니다. 그렇지만 문법을 지켜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whom을 쓰는 것이 딱딱해 보여도 정확한 표현입니다. 글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목적격을 쓰는 것도 좋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소유나 소속 관계를 나타냅니다. 소유격은 주격, 목적격에 비해 약간 까다롭습니다. 정확한 해석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에는 "of which, whose"가 있습니다.

 

 ex) I have a house of which / whose roof is blue.

       나는 집이 있다/ 집의 지붕은 파란색이다.

→  (집의 지붕이라는 뜻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해석은 "선행사의 ~"이라고 합니다.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house입니다. 그러므로 "집(house)의 지붕"이라고 해석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대개 "명사"가 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소유나 소속을 나타낸다.

 

Note:

선행사가 사물일 때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원칙적으로 "of which"를 씁니다. 그렇지만 whose도 허용됩니다. 사물 다음에 오는 whose가 거슬려 보이지만 제대로 된 표현입니다. 오히려 "of which"가 더 딱딱하고 경직된 표현입니다.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다는 느낌마저 줍니다.

 

단, 사람의 소유격은  다음과 같이 당연히 whose를 써야 합니다.

 

ex) I know the girl whose hair is red.

      나는 소녀를 안다/ 그녀의 머리카락이 붉은.

관계대명사 소유격


5. 자주 묻는 질문(FAQ)

Q. 관계대명사 whom을 꼭 써야 하나요?
A. 아닙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일상적 대화나 글에서 목적격 whom 대신 who를 흔히 씁니다.

 

Q. 사물에도 whose를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사물의 소유격 표현에서도 whose가 자연스럽고 널리 쓰입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선행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 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복잡한 문장에는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관계대명사가 들어갑니다. 다시 말하면, 초등학생 수준의 영어를 졸업하게 되면 관계대명사를 접하게 됩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2. 선행사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여느 책에서 하듯이 문법적으로 어렵게 관계대명사를 정의해 보겠습니다.

 

어려운 정의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의 역할과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역할을 한다."

 

이 "어려운 정의"를 읽고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는 것은 돌을 소화시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조금 더 친절하고 쉽게 정의해 보겠습니다.

 

쉬운 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해서, 관계대명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확실하게 정리해 봅시다.


(1) I know a boy.
     나는 한 소년을 안다.

→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문장만으로는 의미가 불분명하지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명확해집니다.

 

(2) I know a boy who runs fast.
     나는 빨리 달리는 소년을 안다.

소년을 설명하는 "who runs fast"가 의미를 분명하게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설명


2. 선행사란?

2-1. 선행사의 정의

앞서 "선행사"라는 용어가 나왔습니다. 웬지 어렵게 어렵게 보이지만 한자말이라서 그렇습니다. 선행사를 한자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선행사(先行詞)

한자를 아는 분들이라면 금새 짐작할 수 있는 쉬운 말입니다. 풀어 보면 "앞 선, 다닐행, 말 사"입니다. 앞에서 정의했던 "앞에 나온 말"을 한자로 옮긴 것 뿐입니다. 좀 더 간결하고 있어보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므로 선행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先行詞):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선행사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관계대명사를 좀 더 문법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2-2. 선행사의 종류

관계대명사가 설명하는 명사인 선행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관계대명사가 달라 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사람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람을 설명합니다.

ex) He is the man who helped me.
      그는 나를 도와준 사람이다.
→ 선행사: the man

→ 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who를 씁니다.

 

(2) 동물 선행사

      관계대명사 동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 the dog which won the competition.
       이 개가 대회에서 우승한 개다.
→ 선행사: the dog

→ 선행사가 동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that를 써도 됩니다. 

 

(3) 사물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 the camera which(that) I bought yesterday.
      이것이 내가 어제 산 카메라다.
→ 선행사: the camera

→ 선행사가 사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이지만 that도 가능합니다.

 

주의:

현대영어 -특히 구어- 에서는 관계대명사 which 대신에 that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선행사에 맞게 다른 관계대명사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마구잡이로 that을 쓰게 되면 의미가 뚜려하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공식적인 글을 쓸 때는 선행사에 알맞는 과계대명사를 쓰시기 바랍니다. 문법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외국인이 우리는 더욱 그렇습니다.

선행사 설명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연습문제 정답.pdf
0.2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선행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14:40 by Song SSam

 

 

자동사 타동사 차이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코웃음 칠 정도로 많이 들어본 말들이지만 그렇게 만만한 개념들이 아닙니다. 영어를 공부하면 할수록 자신이 없어지는 것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입니다. 그러니 이번 기회에 두 문법 개념들을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3.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4.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공부를 일부러 어렵게 하려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유독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만큼은 참으로 어렵게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만 그랬던 걸까요? 대부분의 문법책에 실린 자동사와 타동사의 정의를 보면, 어렵게 공부하게 되는 이유를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대부분) 문법책에서 자동사와 타동사를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불친절한 정의

  • 자동사(in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
  • 타동사(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이러한 설명을 들으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감탄하듯 고개를 끄덕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를 충분히 이해했다고 생각하며, 금세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하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들이 머리를 스칩니다. 목적어가 정확히 무엇일까? 문장에서 목적어를 어떻게 구별하지?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어떤 것이 있지?

 

이 정의는 깔끔하고 투명하게 명백해 보이지만, 결코 친절한 설명은 아닙니다. 단지 이 정의만으로는 막막한 영어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앞서 잠시 언급했듯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은 영어를 오래 공부한 사람에게조차 어렵습니다. 영어를 전공한 지 수십 년이 지난 저도 자신이 없어 사전을 찾아볼 정도니까요. 그만큼 자동사와 타동사를 정확히 구별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자동사 타동사?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자동사와 타동사를 친절하고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추상적인 정의보다는 실제 동사의 의미와 쓰임에 맞춘 실용적인 정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면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개념이니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요. (농담입니다. 마음껏 가져가서 활용하세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봅시다.

 

친절한 설명

  • 자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다.
  • 타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진다.

자동사부터 살펴 봅시다.

 

2-1. 자동사 쉽게 이해하기

  • I walk. 나는 걷는다.
  • I sleep. 나는 잔다.

내가 걸으면 되고, 내가 자면 됩니다.

동작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필요 없습니다.

 

달리 말하면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친절한 정의

자동사(intransitive): 동작이 전해지지 않는 동사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는 동사"입니다. 그 행위나 동작을 위한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동작의 대상을 목적어라고 합니다!  

 

결국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자동사: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였습니다.

단지 친절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자동사를 이해하면 타동사는 거저 먹기입니다.

자동사의 정의


2-2.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타동사 예문을 봅시다.

  • I love her.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 killed the tiger. (그는 호랑이를 죽였다.)

자동사들과는 달리 타동사는 혼자서 행위나 동작을 할  수 없습니다.

 

Love,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사랑할 대상이 필요합니다.

 

Kill, 역시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죽일(!) 대상이 필요합니다.

 

love kill에서 보앗들이 타동사에서는 주어의 행위가 대상에게 전달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타동사의 정의

 

행위가 전해지는 동사 => 행위의 대상이 필요한 동사.

행위의 대상을 문법 용어로 목적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입니다.

이제는 이해가 됩니다.

 

이와 같은 사고 과저을 거쳐서 우리가 잘 아는 자동사, 타동사의 정의가 나옵니다.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3. 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자동사 타동사
목적어 필요성 목적어 필요 없음 목적어 반드시 필요
행위 전달 여부 전달되지 않음 전달됨
예문 I walk.
I sleep.
I love you.
He killed the tiger.

4.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pdf
0.16MB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4월 19일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생략

 

관계대명사의 생략

 

관계대명사 생략은 영어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문법입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세 가지 중요한 규칙을 명확히 이해하고, 실제 영어 예문으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

1.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 생략

2.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 생략 

3.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 생략

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ex) She is the girl (whom) I love most.
      그녀는 내가 가장 사랑하는 소녀이다.
      (love의 목적어인 whom 생략 가능)

 

예시 2:
ex) It is the book (which) he wrote.
      그것은 그가 쓴 책이다.
      (wrote의 목적어인 which 생략 가능)

 

Note:

whom 대신에 who를 쓸 수도 있습니다.

ex) She is the girl who I loves most.

 

단순함을 지향하는 현대 영어는 복잡한 표현 대신에 짧은 표현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목적어 whom을 써야 할 자리에 who를 쓰곤 합니다. 하지만 격식을 갖추어야 할 글에서는 여전히 whom을 쓰는 것이 낫습니다. 문법 규칙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2.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 생략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일 때도 뒤에 전치사가 따라오면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용법은 한국 영어 학도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영어 숙어나 동사구를 알고 있어야 하며,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까닭인지 수능에서는 보기 힘든 어법 문제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중요하고 자주 쓰이는 문법이므로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예시 1:
ex) He is the man (whom) she is engaged with.
       그는 그녀가 약혼한 남자이다.

 

예시 2:
ex) I have a cat (which) I should take care of.
      나는 내가 돌봐야 하는 고양이가 있다.

 

Note:

'전치사 + 관계대명사' 형태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예: of which는 생략 불가)

ex) I have a cat of which I should take care.

 

Note:

전치사 + 관계대명사는 글에서 많이 쓰입니다.

 

  • 글이나 격식 있는 상황에서는 "전치사 + 관계대명사"를 앞에 둡니다.
    ex) Everybody glances at the lady with whom I date. (글, 격식)
  • 회화에서는 전치사를 뒤에 붙여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ex) Everybody glances at the lady who I date with. (일상 회화)

 


3.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주격 관계대명사 다음에 be동사가 나올 때는 "관계대명사와 be 동사" 를 함께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반드시 둘을 한꺼번에 생략해야 합니다.

 

예시 1:
ex) They are the people (who are) irresistible to money.
     그들은 돈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사람들이다.

 

예시 2:
ex) Here are the books (which are) popular for everyone.
     여기에 모든 사람에게 인기 있는 책들이 있다.

 

Note:

  •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는 반드시 함께 생략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만 생략하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ex) A boy (who is) the first rank got the trophy. (O)
    ex) A boy (who) is the first rank got the trophy. (X)

 

 

 

관계대명사 생략은 영어 문법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개념입니다. 오늘 배운 규칙들을 잘 기억해 두면 어려운 문장도 문제없이 읽고 쓸 수 있습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관계대명사 생략 연습문제.pdf
0.21MB
관계대명사 생략 연습문제 - 정답.pdf
0.20MB

 

 

다음은 제가 쓴 "관계대명사 직전 정리"입니다. 관계대명사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선행사와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정확한 사용법
(who, which, that, what 구분하기)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여러 관계대명사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중학교 1학년 때부터 나오는 문법이라는 것은 기초 중의 기초라는 말입니다. 제대로 정리해서 자신있게 관계대명사를 써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선행사에 따른 관계대명사

2. 사람 선행사

3. 동물이나 사물 선행사

4. 선행사가 없는 관계대명사

5. 자주 틀리는 관계대명사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선행사에 따른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문장 속에서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을 대신하고 문장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선행사의 종류와 유무에 따라 관계대명사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who, which, that, what을 쓸 수 있습니다. 선행사는 사람, 동물, 그리고 사물이 올 수 있습니다.

선행사의 종류


2. 사람 선행사: who 또는 that

선행사가 사람이면 관계대명사 whothat을 씁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who를 쓸 자리에 that을 자주 씁니다. 하지만 격식있는 자리나 글에서는 선행사에 사람이 올 경우 who를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특히 영어로 글을 쓸 때는 that을 쓰는 것 보다 선행사에 따라 관계대명사를 쓰는 것이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ex) He is the person who/that helped me.
      그이다/ 나를 도왔던 사람은.

사람 선행사


3. 동물이나 사물 선행사 : which 또는 that 

선행사가 동물이나 사물이면 관계대명사 whichthat을 사용합니다. 역시 현대 영어에서는 which를 쓸 자리에 that을 자주 씁니다. 하지만 who/that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글이나 격식을 갖춘 영어에서는 which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ex) It was the cat which/that drank away my milk.

      고양이었다/ 내 우유를 먹어치웠던 것은.

사물, 동물 선행사


4. 선행사가 없는 관계대명사 : what 사용

선행사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what을 씁니다. 이때 what은 ‘~하는 것’의 의미를 가집니다. 관계대명사로 쓰인 what 앞에 선행사가 있으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무심코 저지르는 실수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쓰지 않습니다. what 자체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ex) This is what I like best.
      이것이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Note: 선행사에 따라 who, which를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that은 격식을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주로 쓰입니다.

관계대명사 that


5. 자주 틀리는 관계대명사

5-1. 사람 선행사 뒤에 which를 쓰는 경우 

  • (오답) She is the teacher which taught me English.
  • (정답) She is the teacher who/that taught me English.
    → 사람 선행사 다음에는 who/that을 쓴다.

5-2. 사물 선행사 뒤에 who를 쓰는 경우 

  • (오답) This is the laptop who I bought yesterday.
  • (정답) This is the laptop which/that I bought yesterday.
    → 사물 선행사 다음에는 which/that을 쓴다.

5-3. 선행사가 없는데도 which나 who를 쓰는 경우

  • (오답) This is which I want.
  • (정답) This is what I want.
    → 선행사가 없을 때는 what을 쓴다. 

관계대명사는 영어 문장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필수 문법입니다. 글에서 반드시라고 해도 될 정도로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잘 이해해서 정확하게 사용하기 바랍니다.

 

더 많은 영문법 정리는 아래 글에서 확인하세요.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구별 연습문제.pdf
0.26MB
관계대명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30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정확한 사용법"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대명사 직전 정리"입니다. 관계대명사에서 꼭 필요한 사항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2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 그리고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 보어로 이루어집니다. 2형식 동사는 주격 보어를 필요로 하며, be 유형과 become 유형이 있습니다.

 

 

1.  2형식 동사에는 be동사 유형과 become 유형이 있다

2형식 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

be 유형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음을, become 유형은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ex) He IS thin.

      그는 말랐다.

→  상태 변화 없음 (마름 → 마름)

 

ex)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  상태 변화 있음 (안마름 → 마름)

 

 

2.  2형식 주격보어로는 명사 또는 형용사가 온다

주격보어는 주어를 설명하거나 정의한다

2형식 문장의 주격보어는 명사 또는 형용사로, 주어를 설명하거나 정의합니다. 주격보어가 명사일 경우 주어와 보어는 동일하고, 형용사일 경우 보어는 주어를 수식합니다.

 

ex) My friend IS a student.

      내 친구는 학생이다.

→  주어(my friend) = 보어(a student)

 

ex) My friend IS happy.

      내 친구는 행복하다.

→  주어(my friend) ≠ 보어(happy)

 

3.  보어 자리에 부사는 올 수 없다

보어 자리는 형용사 또는 명사로만 채울 수 있다

2형식 문장에서 보어는 주어를 설명하므로 형용사나 명사가 와야 합니다. 부사는 보어 자리에 올 수 없습니다.

ex) You LOOK beautiful.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  beautifully (X), 보어 자리에 형용사 beautiful (O)

ex) This medicine TASTES bitter.

      이 약은 쓴 맛이 난다.

→  bitterly (X), 보어 자리에 형용사 bitter (O)

 

 

4. 2형식은 ‘완전자동사+유사보어’도 가능하다

완전 자동사 뒤에 유사보어를 사용하여 2형식 문장으로 확장 가능

완전 자동사는 원래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유사보어를 사용하여 2형식 문장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유사보어란 보어는 아니지만 "보어

 

ex) He DIED rich.

      그는 부자로 죽었다.

→  완전 자동사 died 뒤에 형용사 유사보어 rich

 

ex) He DIED a millionaire.

      그는 백만장자로 죽었다.

→  완전 자동사 died 뒤에 명사 유사보어 a millionaire

 

 

▶▶ 같이 알아두기 ◀◀

 

2형식 동사 be유형 vs become유형

 

1. be유형 (상태 유지)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런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 hold good: 유효하다
  •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 lie thick: 두텁게 쌓여 있다
  •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유형 (상태 변화)

전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지금은 그렇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 become fat: 뚱뚱해지다
  • come true: 사실이 되다
  • fall short: 부족하다
  •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 go wild: 난폭하게 되다
  • run dry: 마르게 되다
  • turn sour: 시게 되다

 

다음 제가 쓴 "문장의 5형식 직전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일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1형식은 주어와 동사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문장 형식입니다. 이를 보통 ‘S+V’라고도 하며,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1. 1형식 동사는 ‘완전 자동사’다

1형식 동사는 보어와 목적어 없이도 의미를 전달한다

1형식 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이루어지며, 보어나 목적어가 없습니다. 이러한 동사를 ‘완전 자동사’라고 부릅니다.

ex) I GO.

      나는 간다.

→  GO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합니다.

 

ex) She SINGS.

      그녀는 노래한다.

→  SINGS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합니다.

 

 

2. 완전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로 만들 수 없다

 

능동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됩니다. 하지만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ex) (타동사) I LOVE you. → You are loved by me. (O)

      (타동사) 나는 너를 사랑한다. → 너는 나에 의해 사랑받는다.

→  타동사는 수동태로 변환 가능

 

ex) (자동사) She SLEEPS. → ? was slept. (X)

      (자동사) 그녀는 잔다. → ? 잤다. (불가능)

→   자동사는 수동태로 변환 불가

 

3. 완전 자동사는 과거분사로 쓸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수동의 의미를 지닌 과거분사로 사용할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능동의 현재분사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A DYING man.

      죽어가는 남자.

→   능동 의미의 현재분사 사용 가능

 

ex) A DIED man. (X)

      죽게 된 남자. (불가능)

→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 사용 불가

 

 

4. 완전 자동사는 부사와 결합되어 의미가 확장된다

부사를 통해 구체적인 의미를 더할 수 있다

 

보어나 목적어가 없는 완전 자동사는 부사나 부사구를 통해 의미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ex) He DRIVES.

      그는 운전한다.

→  단순히 운전하는 사실

 

ex) He DRIVES fast.

      그는 빨리 운전한다.

→  ‘빨리’라는 부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의미

 

ex) He DRIVES with the maximum speed.

      그는 최고 속도로 운전한다.

→  부사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의미

 

 

4. 완전 자동사는 ‘와서 존재하고 가다’이다

완전 자동사는 ‘오다’, ‘존재하다’, ‘가다’의 세 가지 의미로 나뉜다

 

1형식의 완전 자동사는 ‘오다’, ‘존재하다’, ‘가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를 ‘와서 존재하고 간다’로 외우면 쉽습니다.

ex) I CAME.

      나는 왔다.

→  ‘오다’의 의미

 

ex) I LIVE.

      나는 산다.

→  ‘존재하다’의 의미

 

ex) I’ll GO.

      나는 갈 것이다.

→  ‘가다’의 의미

 

 

▶▶ 같이 알아두기 ◀◀

 

완전 자동사 3그룹

 

1. ‘오다’ 그룹

ex) come, appear, arrive, emerge, arise, happen, occur, take place

 

2. ‘존재하다’ 그룹

ex) be, exist, live, lie, stay, sit, stand, walk, run, jump, rest, breathe, sleep

 

3. ‘가다’ 그룹

ex) go, disappear, leave, die, end

 

 

다음은 제가 쓴 "문장의 5형식 직전정리" 책의 일부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하는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문장의 5형식

 

영어 문장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려면 ‘문장의 5형식’을 알아야 합니다. 영어 문법의 기초가 되는 이 ‘5형식’은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5형식을 정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영어 문장의 기본 틀, ‘5형식’이란?
2. 영어 문장 5형식의 종류와 예시 
3. 품사란 같은 성격의 말들의 모임이다 
4. 문장성분이란 단어가 문장에서 맡는 역할이다 
5. ‘구’와 ‘절’은 주어와 동사의 유무로 구별한다 
6. 꼭 기억해야 할 문법 약어 정리
7. 영어 문장 5형식 FAQ
8.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영어 문장의 기본 틀, ‘5형식’이란?

영어 문장은 크게 보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것을 ‘문장의 5형식’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형식’이라는 것은 문장의 골격, 즉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을 이해하고 쓰는 데 있어서, 5형식만큼 유용한 도구는 별로 없습니다.

 

5형식을 이해하려면 문법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형식 공부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법 용어를 알아봅시다.


2. 영어 문장 5형식의 종류와 예시

5형식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간략히 형태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 1형식: S V (주어 동사)
  •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ex) My daughter sleeps.

   → S V (주어 동사)

ex) My daughter is lovely.

    S V C (주어 동사 보어)

ex) My daughter eats an ice cream.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ex) My daughter gives me happiness.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ex) My daughter calls me dad.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3. 품사란 같은 성격의 말들의 모임이다

품사는 문장에서 쓰임이 같은 말끼리 모아놓은 것입니다. 품사는 모두 ‘-사’로 끝납니다.

 

ex) A cat runs.

   →  동사: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ex) The cat runs after a butterfly.

   →  명사: 사람이나 동물, 그리고 사물의 이름입니다.

ex) The butterfly has a beautiful color.

   →  형용사: 명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ex) It flies smoothly.

   →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ex) The butterfly is on the flower.

   →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4. 문장성분이란 단어가 문장에서 맡는 역할이다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기준으로 품사를 분류한 것입니다. 문장성분은 모두 ‘-어’로 끝납니다.

ex) I love her.

   →  주어는 동작의 주체를 나타냅니다.

ex) She loves me, too.

   →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ex) We both love dogs.

   →  목적어는 주어가 행한 동작의 대상입니다.

ex) Dogs make us happy.

   →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줍니다.

ex) Dogs are wonderful animals.

   →  수식어는 꾸미는 역할을 하는 말입니다.


5. ‘구’와 ‘절’은 주어와 동사의 유무로 구별한다

주어와 동사가 없는 단어의 모임은 구, 주어와 동사가 있는 문장을 절이라고 합니다.

  • : 주어와 동사가 없는 단어의 모임
       ex) on the flower, to run, driving a car
  • : 주어와 동사가 있는 단어의 모임
       ex) when you come, because he was late

 


6. 꼭 기억해야 할 문법 약어 정리

문법 약어

5형식으로 분류할 때 편의상 다음과 같은 문법 약어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S (Subject, 주어)
    → ‘~은(는), ~이(가)’로 해석
ex) I love dogs. (나는)

 

V (Verb, 동사)
   → 동작이나 상태 그대로 해석
ex) She runs fast. (달린다)

 

O (Object, 목적어)
   → ‘~을(를), ~에게’로 해석
ex) I love dogs. (개를)

 

C (Complement, 보어)
   → ‘~이다, ~되다’로 해석
ex) He became a teacher. (선생님이 되었다)

 

* 서술어라고 해야 맞지만, 서술어로 쓰는 모든 말의 품사가 동사이기 때문에 서술어 대신 동사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씁니다.


7. 영어 문장 5형식 FAQ

Q. 영어 5형식을 꼭 알아야 하나요?
     네. 영어 문장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르게 쓰기 위해서는 5형식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Q. 가장 많이 쓰이는 형식은 무엇인가요?
     일상 영어에서는 3형식(S V O)이 가장 자주 쓰입니다.

Q. 품사와 문장성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품사는 단어 자체의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고, 문장성분은 단어가 문장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나타냅니다.


8.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문장의 5형식 연습문제.pdf
0.29MB
문장의 5향식 연습문제 정답.pdf
0.30MB

 

 

 

이상으로 문장의 5형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우리의 생각은 말이나 글의 문장으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문장은 말하는 방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조건문, 명령문, 감탄문으로 나뉩니다. 문장의 종류란 결국 말하는 방식입니다.

 

1. 평서문

평서문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고 주장한다

사실을 그대로 말하는 문장을 평서문이라고 합니다. 평서문이란 ‘사실을 평범하게 서술한다’라는 의미입니다.

 

ex) The e-bay SELLS everything.

      e-bay는 모든 것을 판다.

→  SELLS는 e-bay가 무엇인지 서술하고

 

ex) Han Earl READS a comic-book.

      한얼이가 만화책을 읽는다.

→  READS는 Han-Earl을 서술합니다.

 

 

2. 의문문

의문문은 질문하는 문장이다

상대방에게서 답을 얻기 위해 묻는 문장을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ex) Are you a student?

     너는 학생이니?

→  학생인지 묻고

 

ex) What is your dream?

     무엇이 되고 싶니?

→  무엇을 원하는지 묻습니다.

 

 

3. 조건문

조건문은 어떤 일에 필요한 조건을 나타낸다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합니다.

 

ex) I will be angry IF he SELLS my bicycle.

      그가 내 자전거를 판다면 나는 화낼 것이다.

→  화를 내는 데 필요한 조건 ‘그가 상자를 팔면’

 

ex) IF he PLAYS fairly, I will like him.

      그가 정당하게 경기한다면, 나는 그를 좋아할 것이다.

→  그를 좋아할 조건은 ‘그가 공정히 경기하면’

 

 

4. 명령문

명령문은 시키는 문장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을 명령문이라고 합니다. 명령문은 명령하는 대상이 정해져 있으므로 주로 주어 없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ex) GO out of the room.

      방 밖으로 나가라.

 

ex) PLAY with me, Jin-ha.

      나랑 놀자, 진하야.

 

5. 감탄문

감탄문은 느낌이나 감정을 나타낸다

말하는 사람의 강한 느낌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문장을 감탄문이라고 합니다.

 

ex) AH, Life is wonderful!

      아, 삶은 놀랍다!

 

ex) HOW wonderful life is!

      얼마나 놀라운 삶인가!

 

ex) WHAT a wonderful life!

      놀라운 삶!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문장의 5형식'을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문장의 5형식'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8.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