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동의

영어 부정동의 표현

난이도 ★★★☆☆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부정문에서 동의”하는 다양한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른바 “부정동의(negative agreement)”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용어가 막연하지만 그렇게 어려운 문법은 아닙니다. 중학교 때부터 자주 나왔던 구문을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 뿐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부정동의란?

2. 자주 쓰이는 부정동의 표현 5가지 정리

3. 시제와 동사에 따른 Neither/Nor 구문의 활용

4. 마무리: 부정동의 익히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부정동의란?

부정동의란? 앞에서 언급된 부정적인 서술(“안 좋아해”, “못해”, “아니야” 등)에 대해 “나도 그래”라고 동의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2. 자주 쓰이는 부정동의 표현 5가지 정리

영어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부정동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 우리말을 비슷한 의미의 부정동의 표현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A: 나는 초콜릿을 안 좋아해.
B: 나도 그래.

 

2-1. Not ~ 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I don’t (like) either.
    (해석: “나도 안 좋아해/ 나도 그래”)
  • 포인트 1
    부정문에서 ‘역시, 또한’을 나타낼 때는 too 대신 either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 I don’t like chocolate.
    → I don’t either. (O)
         I don’t too. (X) 
  • 포인트 2
    either를 도치(문장 맨 앞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예) Either don’t I. (X) 

2-2. Me 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Me either.
    (해석: “나도 그래”)

  • Me either는 구어체에서 흔히 쓰며, 원래는 “I don’t either”를 축약한 형태입니다.
  • “I either”라고 하지 않고, 반드시 목적격인 Me either라고 사용합니다.
  • “It’s me.”라고 말할 때처럼, 목적격 'me'를 씁니다.

2-3. Me n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Me neither.
    (해석: “나도 그래”)

  • Me neither 역시 구어적인 표현으로, 특히 친한 친구나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 미국 영어에서 더욱 구어체로 많이 들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2-4. Nor do I

A: I don’t like chocolate.
B: Nor do I.
    (해석: “나도 안 좋아해”)

  • Nor do I는  다소 격식을 차린 느낌이 있습니다.
  • 실제 회화보다는 글이나 문어체에서 좀 더 자주 씁니다.
  • 주의사항
    (1) nor 자체가 부정을 포함하므로, 뒤에 부정어를 또 쓸 수 없습니다.
    → Nor don’t I. (X)

    (2) nor가 문장 맨 앞에 오면 동사가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 Nor do I. (O)
          Nor I do. (X)

2-5. Neither do I

A: I don’t like chocolate.
B: Neither do I.
    (해석: “나도 안 좋아해”)

  • Neither do I는 글과 말 모두에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 주의사항
    (1) 문장 끝에 neither를 단독으로 쓸 수 없습니다.
    →  I do neither. (X)
         I don’t either. (O)

    (2) neither는 이미 부정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뒤에 부정어(not 등)를 쓸 수 없습니다.
    →  Neither don’t I. (X)
          Neither do I. (O)

    (3) neither가 문장 맨 앞에 오면 동사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  Neither I do. (X)
          Neither do I. (O)

자주 쓰는 부정 동의 표현들


3. 시제와 동사에 따른 Neither / Nor 구문의 활용

부정동의를 나타내는 구문(Neither do I, Nor do I)은 앞 문장에 사용된 동사의 종류(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에 따라 달라집니다.

 

3-1. 일반동사가 앞 문장에 있을 때

시제와 인칭에 따라 일반동사를 대신하는 'do / did'를 씁니다.

형식: Neither do 주어 / Nor do 주어

  • 현재 시제
    A: I don’t like candy. (일반동사 “like”)
    B: Neither do I.

  • 과거 시제
    A: I didn’t like chocolate.
    B: Neither did I.

3-2. Be 동사가 앞 문장에 올 때

시제와 인칭에 맞게 be 동사를 변화 시켜 씁니다.

형식: Neither am I / Nor am I (주어)

  • 현재 시제
    A: I am not beautiful.
    B: Neither am I.

  • 과거 시제
    C: I was not beautiful.
    D: Neither was I.

3-3. 조동사가 앞문장에 올 때

앞 문장에 있는 조동사를 그대로 씁니다. 

형식: Neither can I / Nor can I (주어)

  • 현재 시제, can
    A: I can’t drive.
    B: Neither can I.
  • 현재 시제, should
    C: I should not go there.
    D: Neither should I.

  • 과거 시제, could
    E: I couldn’t do it.
    F: Neither could I.

시제 도치에 주의


4. 마무리: 부정동의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요령

  • 상황을 구분해서 사용하기
    일상 회화: Me either, Me neither 등 간단한 구어체를 사용.
    격식 있는 표현: Nor do I, Neither do I.

  • 도치 구문을 잊지 말기
    문장 앞에 neither나 nor가 오면 반드시 “조동사/be 동사 + 주어” 어순을 확인하세요.

  • 반복 연습
    다른 사람의 부정 표현을 듣고 자연스럽게 “나도 그래(안 그래)”라고 대답해 봅시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부정동의 문제.pdf
0.28MB

부정동의 문제 - 정답.pdf
0.32MB

 

 

럼 이상으로 부정동의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