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se, arouse 의미 정리
많은 사람들이 영어 공부를 할 때 특히 헷갈려하는 단어로 arise와 arouse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간결한 예문과 함께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rise vs arouse 간단 정리
2. 자동사 arise vs 타동사 arouse
3. arise, arouse 예문
4. 관련 표현 정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1. arise vs arouse 간단 정리
먼저 arise, arouse의 의미와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1) arise (자동사)
- 뜻 : 발생하다, 일어나다
- 시제 : arise – arose – arisen
- 특징 : 목적어가 필요 없음
(2) arouse (타동사)
- 뜻 : (감정 등을) 불러일으키다, 자극하다
- 시제 : arouse – aroused – aroused
- 특징 : 반드시 목적어가 필요함
2. 자동사 arise vs 타동사 arouse
- arise는 자동사이므로, 동사 뒤에 곧바로 목적어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주로 감정, 상황, 문제 등이 '스스로 발생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ex) Problems arose suddenly.
갑자기 문제가 발생했다. - arouse는 타동사이므로 반드시 목적어 명사를 필요로 합니다. arouse 다음에는 감정이나 반응 등을 '일으키는 대상'이 명시적으로 나타납니다.
ex) His speech aroused curiosity.
그의 연설이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3. arise, arouse 예문
두 단어의 차이를 잘 드러내는 예문을 봅시다. 자동사 arise 다음에 명사가 없는 것과, 타동사 arouse 다음에 명사가 오는 것에 주의하세요.
(1) A fiery anger arose in him.
그의 내면에서 불같은 분노가 발생했다.
(2) Her betrayal aroused his anger. (his anger는 목적어)
그녀의 배신이 그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3) New opportunities (arose, aroused) in the digital age.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기회들이 발생했다.
(4) New opportunities (arouse, aroused) young people. (young people은 목적어)
새로운 기회들이 젊은이들을 자극했다.
(3)번에서는 arose를 써야합니다. 동사 뒤에 목적어 명사가 없으므로 자동사가 와야 합니다.
4번에서는 aroused를 써야합니다. 목적어 young people이 있기 때문에 타동사가 와야 합니다.
4. 관련 표현 정리
- arise와 occur의 차이점:
두 단어 모두 '발생하다'는 의미이지만, arise는 문제, 사건, 기회 등 다소 추상적인 대상에 쓰이고, occur는 좀 더 폭넓고 일반적인 상황에 쓰입니다. - arouse와 provoke, stimulate의 차이점:
세 단어 모두 감정이나 반응을 일으킬 때 사용됩니다. arouse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감정에도 사용되며, provoke는 부정적인 반응(분노, 논란 등)을 자극할 때 주로 쓰이고, stimulate는 주로 긍정적인 자극이나 활성화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법:
자동사(in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가지지 않고, 타동사(transitive verb)는 반드시 목적어가 뒤에 와야 합니다
5. 연습문제
위에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 문제 pdf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상으로 arise, arous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 목적보어|동사원형과 현재분사(~ing)의 의미 차이와 예문 정리 (5) | 2025.04.12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완벽 정리 (+ 예문과 해석) (6) | 2025.04.12 |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는 부사 정리 (6) | 2025.04.07 |
since, from 차이 (5) | 2025.04.04 |
since, for (현재완료의 계속) (2)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