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식 문장 규칙

1형식 문장규칙

1형식 문장규칙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형식 동사의 기본 규칙과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영어 문장의 기본 중 하나인 1형식 동사는 문장 형식의 기본입니다.  특히, 자동사의 특성상 주의해야 하는 수동태 제한, 과거분사 활용법, 의미 확장 방법을 예문과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1형식 문장규칙

2. 1형식 동사와 수동태 불가

3. 1형식 동사와 과거분사

4. 의미의 확장

5. 자주 묻는 질문 (FAQ0

6. 연습문제 다운로드.

 

설명에 앞서 꽤 까다로운 퀴즈를 풀어 보겠습니다.

Quiz

※ 다음 문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ex) She helped the died man.

 

이 퀴즈의 정답을 아시는 분들 축하합니다 !🏅 상당한 실력자들이므로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은 걱정 마시고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내용이 끝날 때 쯤이면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1형식 문장규칙

1형식 동사는 보어가 필요없는 완전 자동사’라고도 불리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요한 용법을 갖습니다.

  • 수동태 불가
  • 과거분사로 명사수식 불가
  • 의미의 확장 (부사구와 결합)

특히 수동태 불가는 시험에도 자주 나오는 항목이므로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수동태 불가 동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수동태 불가동사

1형식 동사: 완전 자동사

1형식 동사의 특징

 

각 항목을 자세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2. 1형식 동사와 수동태 불가

목적어가 있어야 수동태 문장의 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동사들은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 문장에서 주어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자동사 happen이 들어간 문장을 봅시다.

 

틀린 문장

ex) The accident was happened yesterday.
      자동사 happen은 수동태 불가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The accident happened yesterday. 
       사고가 어제 발생했다.

       → 자동사 happen은 항상 능동태

1형식 동사: 수동태 불가능

수동태 불가


3. 1형식 동사와 과거분사

퀴즈에 대한 정답이 나오는 부분입니다.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규칙이 나옵니다.

자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과거분사로 명사를 수식할 수도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dying man  (O)

→  죽어가는 사람

 

(2) died man   (?)

→  죽어진 사람 (불가능한 표현)

 

(1)번은 ‘죽어가는 사람(dying)'이라는 뜻으로 가능한 표현입니다. 그런데  ’죽어진(died) 남자‘라는 표현은  아무래도 이상합니다. 자동사 'die'의 과거분사 'died'는 이미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명사 앞에서 형용사처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동사: 과거 분사로 명사 수식 불가

명사수식 불가


4. 의미의 확장 (부사와 결합)

자동사들은 부사나 전치사구와 결합하여 의미를 확장합니다. 

 

(1) He drives.
     그는 운전한다.
→ 기본동사 drives

 

(2) He drives fast.
     그는 빨리 운전한다.
→ 부사 fast와 결합


(3) He drives with the maximum speed.
     그는 운전한다/ 최고 속도로.
→ with 전치사 구와 결합

 

(1)번은 ‘그는 운전한다.’는 현재의 사실만을 나타냅니다. 다음에 공부할 시제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현실에서 이렇게 현재형 동사만을 쓰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합니다.

(2)번은 부사 ‘fast'를 써서 그가 운전하는 방식을 말해줍니다. 그는 ’빨리‘ 운전합니다.

(3)번은 부사역할을 하는 ‘전치사+명사’구를 써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고 속도로’ 운전합니다.

 

이렇듯 1형식 동사는 주로, 부사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의미를 확장해서 사용합니다.

 

"with the maximum speed"는 동사 drives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자동사가 부사와 결합하는 이유는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영작 등에서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패턴이므로 잘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자동사: 부사나 전치사구와 결합하여 의미를 확장

의미의 확장


5.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왜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나요?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동태의 주어는 목적어에서 오는데, 목적어 자체가 없으므로 자동사는 수동태가 될 수 없습니다.

 

Q2. 자동사를 과거분사로 써서 명사를 수식하면 왜 안 되나요?
자동사는 기본적으로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를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1형식 문장규칙 연습문제.pdf
0.25MB
1형식 문장규칙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1형식 동사는 영어의 기본입니다.

우리가 가장 먼저 배우고 쓰는 일상적인 말입니다.

1형식 동사만 잘 이해하고 활용해도 기본적인 영어는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인생의 모든 것이 그렇듯 시작이 반입니다.

우리 포기하지 맙시다!

 

update on 2025-05-06 by Song SSam

 

5형식 개념정리

5형식 개념정리

5형식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문장의 5형식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5형식 문장패턴은 영어학습에 아주 유용한 도구이므로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문법 용어가 많이 등장하다 보니 국어 수업같은 느낌이 들겁니다. 쉽게 설명해드리고 싶지만 어쩔 수 없는 점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 여러분이 공부하실 것은 ‘문법의 원칙’입니다. 원칙은 기본이 되고 변치 않는 것입니다. 이 원칙을 확실하게 세워두시지 않으면 문법 실력을 쌓을 수 없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5형식 문장 패턴

2. 필수 문법 용어 정리

    - 품사

    - 문장 성분

    - 구와 절

3. 5형식에 자주 쓰이는 문법 약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Quiz

다음 약어의 뜻을 해석할 수 있는 분들은 이 글을 보실 필요 없습니다. 살포시 뒤로 가기를 눌러 주세요.
많이 봤지만 아직은 분명히 정리가 안 되신 분들은 주의깊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S V
S V C
S V O
S V I.O D.O
S V O O.C

1. 5형식 문장 패턴

영어 문장 5형식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또야, 으~"라는 말이 들리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문장의 5형식은 영어 학습이라는 여행길에서 나침반 같은 존재입니다. 챙겨두면 언제고 필요할 때마다 길을 알려 주는 든든한 친구입니다.

 

 1형식  S  V  (주어 동사)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일단 이 패턴은 외워두십시오.

한국에서 영어시험을 보는 한 반드시 외워두셔야 합니다.

토익이나 토플 등 영작 시험에서도 아주 유용합니다. 

문장의 5형식: 영어 학습의 나침반


2. 필수 문법 용어 정리

그렇지만 위 공식을 그대로 외우기만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이 짧은 공식들 속에는 대부분의 문장규칙이 녹아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규칙의 대부분은 문법용어들입니다.

 

사실, 5형식 패턴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문법 용어에 대한 개념정리가 안되어서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5형식 문장패턴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문법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은 문장형식 공부에 필요한 문법용어들입니다. 이 용어들을 확실하게 정리하지 않으면 문법 실력을 쌓아 갈 수 없습니다. 이해하신 다음 확실하게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그럼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문장 5형식을 이해하기 위한 정도로만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영문법: 대부분은 문법 용어

5형식 문법용어


문장의 5형식 학습에 필요한 문법 용어들입니다. 

 

2-1. 품사

품사는 성격이 같은 말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영어 품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문장의 5형식 설명을 위해 필요한 품사만 선택해서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 동사: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 명사: 사람이나 동물, 그리고 사물의 이름입니다.
  • 형용사: 명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이러한품사들은 전부 ‘-사’는 말로 끝납니다. 기억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품사: 품사는 성격이 같은 말들을 모아놓은 것

품사


2-2. 문장성분

문장 성분은 각 품사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문장 성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각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주어: 동작의 주체를 나타냅니다.
  • 서술어: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 목적어: 주어가 행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입니다.
  • 보어: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말입니다.

 

문장성분들은 전부 ‘-어’로 끝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하실 것이 있습니다. 영어 5형식에서는 서술어라는 용어 대신에 ‘동사’를 사용합니다. 품사인 동사가 그대로 서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굳이 다른 용어를 쓰지 않습니다.

문장성분


3. 구와 절

그리고 구와 절에 대한 정의를 알아 두셔야 합니다.

  • 구: 주어 동사가 없는 단어들의 모임입니다.
  • 절: 접속사가 이끄는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입니다

구와 절

 

다시 한 번 영어 문장 5형식 패턴을 보겠습니다.

 

 1형식  S  V  (주어 동사)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이제 오른 쪽에 있는 문법 용어들은 이해하셨을 겁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는 우선은 ‘목적어’라고 이해해 두시면 됩니다.


3. 5형식에 자주 쓰이는 문법 약어

다음은 표의 왼쪽에 있는 영어 약어들의 원래말을 정리한 것입니다. 

S → subject,  

V verb,  

O object,  

C  complement

약어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기억하면서 표를 다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원래말  우리말  우리말 해석
 S  subject  주어  은,는,이,가를 붙여 해석
 V  verb  동사  동사의미 그대로 해석
 O  object  목적어  ~을(를), ~에게로 해석
 C  complement  보어  ~이다, ~되다로 해석

그리고 글 처음에 제시했던 Quiz에 대한 다시 한 번 답해 보세요.

  • S  V
  • S  V  C
  • S  V  O
  • S  V  I.O  D.O
  • S  V  O   O.C

잘 답하셨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아직도 살짝 헷갈리신다면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설명이 길어졌습니다. 그렇지만 하나도 뺄 것이 없습니다. 다른 문법사항들은 시간이 흐르면 바뀔 수 있는 규칙들입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설명한 문법사항들은 토대가 되는 원칙들입니다. 시간이 걸리셔도 여러 번 반복해서 정확한 용어를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영어 문장의 5형식 패턴을 꼭 외워야 하나요?
A: 네, 반드시 외워야 합니다. 5형식 문장 패턴은 영어 학습의 기본 원칙입니다. 시험은 물론 말과 글에도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므로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Q2: 문장 성분에서 '서술어' 대신 '동사'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영어 5형식 문장에서는 품사로서의 동사가 그대로 서술어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따로 '서술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동사'라고 표현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5형식 개념정리 연습문제.pdf
0.16MB
5형식 개념정리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그렇잖아도 긴 글에 사족을 붙입니다. 


 

이 부분은 힘들어도 확실하게 여러분 것으로 만들어 두셔야 합니다.이 문법 용어를 소흘히 하면 문법 전체가 어렵게 됩니다.
처음에는 용어와 약어 때문에 유별나게 어려워 보이지만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이해하신 다음에는 꼭 외우셔야 합니다.용어를 외우시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여러분들은 이 긴 글을, 끝까지 보시는 대단한 분들입니다.

그렇기에 여러분들의 시간을 헛되이 하지 않겠습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부터는 본격적으로 개별 문장 5형식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update on 2025-05-05 by Song SSam

 

자동사 수동의미

자동사의 수동 의미

자동사의 수동적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자동사인데도 불구하고 뜻은 수동태로 해석되는 특별한 동사들을 접하게 됩니다. 자동사는 본래 목적어가 필요 없고 수동태 형태로 쓰일 수 없지만, 이들 자동사들은 마치 수동태처럼  해석됩니다. 어렵지만 영어 실력을 한단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이므로 잘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퀴즈를 봅시다.

Q. 다음 문장을 "write"를 써서 영어로 옮겨 보세요.

이 펜은 부드럽게 써진다.
영작:                                 

수동태를 쓰지 않고 이 퀴즈를 영어로 번역하신 분들은 이 글이 필요없는 실력자들입니다. 살포시 뒤로가기를 눌러서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도 염려마세요. 어렵고 수준높은 내용이지만 글을 끝까지 잘 읽고나면 쉽게 대답할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수동태

2.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들 ( ①- ⑥)

3.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들 ( ⑦- ⑫)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자동사와 수동태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자동사를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틀린 문장

ex) She is looked beautiful.

 

그런데 영어에서 자동사들은 수동태로 바꾸지 않고도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수업 시간에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생소한 부분입니다. 규칙이라기보다는 어휘의 활용 내지 영어적 감에 가까운 내용이라 그렇습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일상적으로 말과 글에서 쓰지만 우리에게는 난감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일단 이렇게 정리해 둡시다.

자동사: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2.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들 ( ①- ⑥) 

look (보이다) open (열리다) cut (잘리다) close (닫히다) dye (염색되다) lock (잠기다)

 

이들 동사들은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로 자주 사용됩니다. 간결함을 선호하고 수동태를 꺼리는 영어의 언어적 성향을 반영해서 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look, open

look (보이다)
ex) She looks beautiful.
      그녀는 아름답게 보인다.)

open (열리다)
    The store opens at 9 A.M.
    그 가게는 오전 9시에 열린다.

 

①번에서 look은 ‘보다’가 아니라 ‘보이다’라는 수동의 의미를 가집니다. ②번에서 open역시 ‘열다’가 아니라 ‘열리다’라는 수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사가 수동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 1-2

 


cut, close

cut (잘리다)
ex) This knife cuts well.
      이 칼은 잘 든다.

 

close (닫히다)
ex) The store closes at 6 P.M.
      그 가게는 오후 6시에 닫힌다.)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 3-4


dye, lock

dye (염색되다)
ex) This cloth doesn't dye well.
       이 옷감은 염색이 잘 되지 않는다.

 

lock (잠기다)
ex) The door locked automatically.
      이 문이 자동으로 잠겼다.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 5-6


3. 수동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들 ( ⑦ - ⑬ )

read (읽히다) peel (벗겨지다) sell (팔리다) sound (들리다) translate (번역되다) wash (씻기다) write (써지다)

 

이 동사들 대부분은 우리에게 익숙한 타동사로 쓰이는 것들입니다. 그렇지만 자동사로도 쓰일 수 있으니 잘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수동태로 바꾸는 것보다는 자동사형을 그대로 쓰는 것이 훨씬 좋은 문장입니다.

 

각 동사별로 쓰임을 살펴 보겠습니다.

 

read (읽히다)
ex) His novel reads like a comic book.
     그의 소설은 만화책처럼 읽힌다.

read


 

peel, sell

peel (벗겨지다)
ex) This orange peels easily.
      이 오렌지는 껍질이 쉽게 벗겨진다.

 

sell (팔리다)
ex) My book sells like hotcakes.
      내 책은 날개 돋친 듯이 팔린다.

peel, sell


sound, translate

sound (들리다)
ex) You sound strange on the phone.
      너, 전화 목소리가 이상하게 들린다.

 

translate (번역되다)
ex) This book translated very well.
      이 책은 번역이 아주 잘 되었다.

sound, translate


wash, write

wash (씻기다)
ex) The blue jeans don't wash clean.
      그 청바지는 깨끗하게 씻기지 않는다.

 

다음은 퀴즈의 정답입니다.

 

write (써지다)
ex) This pen writes softly.
       이 펜은 부드럽게 써진다.

 

wash, write


이 부분은 영작과 회화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속된 말로 하면 버터냄새를 팍팍 풍길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들은 이렇게 간결하게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우리들은 접속사를 써서 길게 말하는 것이 편하고요. 초등학교 때 선생님들께서 했던 말씀이 있습니다.

 

'긴 것이 답이다.'

 

시험에서는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는,

 

'Simple is better'

 

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 자동사가 수동 의미로 쓰일 때 수동태로 형태를 바꿀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자동사는 원칙적으로 수동태로 형태를 바꿀 수 없습니다. 수동의 의미만 있을 뿐 형태는 능동형을 써야 합니다.

 

Q. 자동사인데도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경우가 있나요?
A. 거의 없습니다. 위에서 본 자동사들은 목적어 없이 자연스럽게 주어 자체가 행동의 영향을 받는 의미로 쓰입니다.


5.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의 의미 연습문제.pdf
0.17MB
자동사의 의미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오늘(2025년 5월 3일) 발표 자료를 준비하던 와이프가 그러더군요.

 

"청년 실업이 심각하구나."

 

OECD 국가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한 대표적인 나라가 대한민국이더군요.

가뜩이나 힘든데 이렇게 힘든 영어글까지 읽어야 하는 젊은 여러분들.

군에서 복무하는 제 아들을 보는 것 마냥 안쓰럽고 대견합니다.

 

힘내세요.

꿈을 포기하지 마세요.

남 눈치보지 마시고, 좌고우면하지 마시고, 자신을 믿으세요.

화이팅!

 

이상으로 자동사의 수동적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5-03 by Song SSam
자동사 타동사 구별 강의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의 기본 동사 유형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적어가 없으면 자동사, 목적어가 있으면 타동사"라고 기계적으로 분류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만만치가 않습니다. 

 

먼저 간단한 퀴즈 문장을 봅시다.

  • I walk my dog everyday.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있는 분들은 이 글이 필요없습니댜. 이미 상당한 영어 실력을 갖추신 분들로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은 글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장담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기본 정의

2. 자동사 예문

3. 타동사 예문

4.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5. 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기본 정의

영어 시간에 흔히 들었던 자동사와 타동사의 정의입니다.

  •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자동사 타동사 구별

 

대부분의 정의가 그렇듯이 깔끔하게 이해가 되는 것 같지만 막상 문장에 적용할 수가 없습니다. 문장에서 자동사와 타동사가 꼬리표를 붙이고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자동사와 타동사를 다음과 같이 쉽게 풀이해 보았습니다.

자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타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자동사 타동사 정의


2. 자동사 예문

자동사는 동작의 주체만 있으면 됩니다. 동작의 주체, 즉 주어의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접했던 동사들이 자동사에 해당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 I walk.
    나는 걷는다.

  • She sleeps.
    그녀는 잔다.

이 두 문장에서는 주어가 하는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즉 행위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를 자동사라고 합니다.

자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자동사의 정의 예문


3. 타동사 예문

타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내용이 불충분합니다. 동작이 전해지는 대상이 필요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 I love her.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 killed the mosquito.
    그는 그 모기를 죽였다.

예문에서 동사 love나 kill은 주어의 동작이 전해질 대상(목적어)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동작이 전해질 대상이 필요한 동사를 타동사고 합니다.

타동사: 동작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타동사의 정의 예문


4.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영어에서 자동사들은 타동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Quiz. 문장에 대한 답이 나오는 곳이기도 하니 잘 보시기 바랍니다.

 

(1) walk (걷다, 걷게하다)

 ex) I walk my dog everyday.

      나는 내 개를 매일 산책시킨다.

→   산책시키는 대상이 필요.

 

(2) run

ex) I ran my dog to the door.

     나는 내개를 문까지 달리게 했다.

→  달리게 하는 대상이 필요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위 문장들은 상당히 어렵지만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것들입니다. 특히 자동사, 타동사를 엄격하게 구별하는 한국인들이 어려워하는 패턴들입니다. 그렇지만 영어를 영어답게 만드는 문장들이므로 잘 익혀 두어야 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자동사가 타동사를 전부 외워야 하나요?

모든 자동사를 외울 수도 없고 외울 필요도 없습니다. 헷갈리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영어사전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Q2. 자동사가 타동사가 시험에 자주 나오나요?

자동사, 타동사의 구별은 시험에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자동사가 타동사로 쓰이기도 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6.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pdf
0.16MB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그럼 이상으로 자동사,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5-02 by Song SSam

 

문장의 종류 동영상 강의

문장의 종류

문장의 종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장의 종류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어 문장에는 말하는 방식에 따라 평서문, 조건문, 명령문, 감탄문 등이 있습니다. 날마다 쓰는 문장이지만 막상 문법 용어로 접하고 보면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래도 영어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개념들이니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문장의 종류: 평서문, 조건문, 명령문, 감탄문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평서문 (Declarative Sentence)

2. 조건문 (Conditional Sentence)

3.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4. 감탄문 (Exclamatory Sentence)

5. 자주 듣는 질문 (FAQ)

6. 연습문제 다운 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평서문 (Declarative Sentence)

평서문이란, 어떤 사실이나 의견을 평범하게 단언하거나 부정하는 문장을 말합니다. 평서라는 말은 한자 그대로 "(사실을) 평범하게 서술한다"는 뜻입니다.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1) The eBay sells everything.
      eBay는 모든 것을 판매한다.

→  평서문의 sells

 

(2) Han-Earl reads a comic-book.
     한얼이 만화책을 읽는다.

→  평서문의 reads

  • 첫 번째 문장의 sells는 eBay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사실을 표현합니다.
  • 두 번째 문장도 마찬가지로 reads는 한얼이가 무엇을 하는지를 평범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평서문: 사실을 그대로 서술하는 문장

평서문


2. 조건문 (Conditional Sentence)

조건문은 조건이나 가정을 표현하는 문장으로 보통 접속사 if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1) I will be angry if he sells my bicycle.
     그가 내 자전거를 판다면 나는 화가 날 것이다.

 

(2) If he plays fairly, I will like him.
     만약 그가 정정당당하게 경기한다면, 나는 그를 좋아할 것이다.

 

  • 첫 번째 문장에서 sells은 접속사 if와 함께 사용되어, "그가 상자를 팔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심"을 나타냅니다. "if"와 함께 쓰인 동사 sell은 조건문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 두 번째 문장에서도 "he will play fairly"할지는 의심스럽습니다. 그러므로 "if" 문장에서 plays는 조건문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조건문: 조건이나 가정을 표현하는 문장

조건문


3.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명령문이란 상대방에게 명령, 지시, 요구를 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명령문은 대개 동사 원형으로 시작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Go out of the room.
      방 밖으로 나가라.

 

(2) Play with me, Jin-ha.
     나랑 놀자, 진하야.

 

  • 첫 번째 문장의 go는 명령을 나타내며 명령문입니다.
  • 두 번째 문장의 play 역시 요청 또는 명령을 나타내는 명령문입니다.

 

그렇지만 강조를 위하여 "You"를 남겨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3) You, sit down.

     너, 앉아.
→ 강조를 위해 동사 원형 앞에 You를 씀

명령문:  명령, 지시, 요구를 할 때 사용하는 문장

명령문


4. 감탄문 (Exclamatory Sentence)

감탄문은 놀람, 기쁨, 슬픔 등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감탄문은 문장의 마지막에 느낌표(!)를 씁니다.

 

(1) Ah, life is wonderful!
     아, 삶은 놀랍다!

→  감탄사 Ah 사용

 

(2) How wonderful life is!
     얼마나 놀라운 삶인가!

→ How 감탄문

 

(3) What a wonderful life!
     정말 놀라운 삶이야!

→ What 감탄문

감탄문: 놀람, 기쁨, 슬픔 등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명령문

5. 자주 듣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입니다.

 

Q1. 영어 문장의 종류는 왜 알아야 하나요?
영어 문장의 종류를 알면 문장의 의미와 쓰임새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막연히 쓰는 것보다 정확하게 알고 쓰면 표현력이 눈에 띄게 늘어납니다.

 

Q2. 조건문은 꼭 'if'와 함께 써야 하나요?
대부분의 조건문은 접속사 'if'와 함께 쓰입니다. 그렇지만 문맥에 따라 unless(~하지 않으면), as long as(~하는 한), provided(~라면)와 같은 표현들도 조건문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6. 연습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문장의 종류 연습문제.pdf
0.16MB
문장의 종류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문장의 종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5-01 by Song SSam

조동사 will

조동사 will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조동사 will의 의미와 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조동사 will은 주로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거나 미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많은 영어 학습자가 be going to와의 차이를 헷갈려하는데, 명확하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조동사 will: '화자의 의지'

2. 조동사 will: '단순 미래'

3. will과 be going to의 차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도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조동사 will: 화자의 의지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 때 will‘~하겠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화자의 의지를 의지 미래또는 화자의 고집이라고 따로 구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예문에서 보듯이 의지의 다른 표현입니다.

 

의지를 나타내는 will

(1) I will stop drinking. 

      나는 술을 끊겠다.

→  나의 의지

 

(2) My daughter will not listen to me. 

      내 딸이 말을 들으려 하질 않아. 딸의 의지

→ 딸의 의지

 

(주의)

사물에 쓰이는 will은 사람의 의지를 간접적으로 반영할 뿐입니다 사물 자체에는 의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ex) This window won’t open.

      이 창은 잘 안 열려.

→   창문이 열리지 않는 건, 창문 자체의 의지가 아니라 열려는 사람의 의지를 반영한 표현입니다.

will: 화자의 의지 (~하겠다)

will: 화자의 의지


2. 조동사 will: 단순 미래

will은 미래의 일을 표현할 때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영어에는 별도의 미래 시제가 없기 때문에 조동사 will로 미래를 표현합니다.  단순미래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행위가 일어난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때 will은 "~할 것이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단순 미래를 나타내는 will

(1)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물이 된다.

→  시간만 지나면 내년이 된다.

 

(2) The sun will rise again tomorrow. 

      태양은 내일도 뜰 거야

→  시간만 지나면 태양이 떠 오른다.

 

(주의)

조동사 shall도 미래를 나타낼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 shall은 미래를 나타내는데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인 관용적인 청유형 정도에나 쓰이고 있습니다.

 

ex) Shall we dance? 

      춤 한번 출까요?

→  청유형

 

Let's를 이용한 청유형보다 고상하고 우아한 느낌을 줍니다. 금방이라도 손을 잡고 스텝을 밟고 싶은 기분까지 듭니다.


단순미래

3.  will, be going to 차이

will과 be going to는 둘 다 미래를 표현하지만, 뉘앙스가 상당히 다릅니다. 마구잡이로 바꿔쓰다보면 '실없는 녀석'이라는 말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will, be going to는 실현 가능성이 다릅니다.

will은 이전에는 계획이 없었다가 그 순간에 즉흥적으로 하겠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상당히 강한 의지의 표현이지만 장담은 못합니다. 이에 대하여 be going to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워 놓은 상황에 쓰입니다. 그러므로 will보다 실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will: 과거에 계획이 없다가 말하는 순간 즉흥적으로 결정한 것
    → 의지는 있지만 확실한 준비는 없다.

  • be going to: 이미 계획이 세워져 있고, 준비가 진행된 상태
    실현 가능성이 아주 높다.

 

will, be going to 예문

(1) I will stop smoking. 

     담배 끊을 거야.

→  즉흥적인 결심, 아직 실현여부는 불확실함

(2) I am going to stop smoking. 

     담배 끊으려고 노력 중이야.  ▶ -> 구체적인 계획이 있음

→ 구체적인 계획 수립, 실현가능성 높음

 

예문에서는 (1)번보다 (2)번이 금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번이 즉흥적인데 대해 (2)는 이미 금연계획 중입니다. 금연 클리닉에 등록해놓았고, 니코틴 패치와 전자담배도 구입하는 등 구체적입니다.


will, be going to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will과 be going to 는 어떤 경우에 쓰나요?
A: 회화에서는 be going to가 계획된 미래 상황을 표현할 때 더 자주 쓰입니다. will은 즉흥적인 결정이나 의지를 강조할 때는 더 많이 쓰입니다.

 

Q2: will not과 won't는 같은 뜻인가요?
A: 네, will not과 won't는 같은 의미이며, 축약형 won't가 더 자주 쓰입니다. won't는 특히 회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5.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조동사 will 연습문제.pdf
0.17MB
조동사 will 연습문제 정답.pdf
0.16MB


 

이상으로 조동사 will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4월 30일 by Song SSam

 

 

 

few, a few, little, a little

few, a few, little, a little [12]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few, a few, little, a little의 정확한 차이는 무엇일까요?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이 간단한 표현들 때문에 자주 혼란스러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문과 함께 그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few는 부정, a few는 긍정
2. little은 부정, a little은 긍정
3. 자주 묻는 질문 (FAQ)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few는 부정, a few는 긍정  

few, a few는 셀 수 있는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셀 수 있는 명사란 갯수를 따질 수 있으며 복수형을 만들 수 있는 것들입니다. "one book, two book, many books"에서처럼  복수형(-s)을 붙일 수 있는 명사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셀 수 있는 명사들은 few, a few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few는 부정

  •  few는 "거의 없는"의 뜻이며 부정적인 뉘앙스로 쓰입니다.

A: I heard Mr. Song has only two friends. 

  송샘은 친구가 단 두 명이래.

B: He has few friends. ‘없다에 초점

 그는 친구가 거의 없구나.

 

실제로는 친구가 두 명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few를 쓰면 "두명 밖에 없구나"라는 부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few: "없음"에 초점을 두며 부정적인 뉘앙스

1-2. a few는 긍정

   a few"어느 정도"를 뜻하며 긍정적인 뉘앙스로 쓰입니다.

 

A: I heard Mr. Song has two friends. 

송샘은 친구가 두 명이래.

B: He has a few friends. ‘있다에 초점

그는 친구가 어느 정도는 있구나.

 

실제로 친구는 두 명입니다. 그렇지만 a few를 쓰면 "두명은 있구나"라는 긍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a few: "있음"에 초점을 두며 긍정적인 뉘앙스

 

위에서 살펴 본 것처럼 "few, a few"는 같은 수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few는 부정적인 느낌으로 "없다"를, a few는 긍정적인 느낌으로 "있다"를 나타냅니다. 정리하자면 "few, a few"는 구체적인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없다, 있다"를 의미합니다. 

  • few: 없다(부정)
  • a few: 있다(긍정)

(주의)

few 다음에는 복수형을 씁니다. 부정의 뉘앙스이지만, few는 기본적으로 ‘두 개 이상’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복수명사와 함께 씁니다. (a few는 당연히 복수명사와 함께 씁니다)

 

(1) I have few friends

나는 친구가 별로 없어.

→  few+복수명사

 

(2) Very few people learn study Latin now. 

라틴어 공부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  few+복수명사

few, a few


2. little은 부정, a little은 긍정

little, a little은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셀 수 없는 명사란 개수를 따질 수 없으며 복수형을 만들 수 없는 것들입니다. 예를 들어, "water(물)"는 "one water, two water, many waters"와 같이 표현할 수 없습니다. 셀 수 없는 명사들은 little, a little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2-1. little은 부정

little"거의 없는"의 뜻이며 부정을 나타냅니다 .

 

물이 약간 남은 컵을 보고 little를 써서 표현한 문장입니다.

ex) There is little water. 

      물이 별로 없다.

  부정의 뉘앙스

 

실제로 물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little을 쓰면 "물이 거의 없네"라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표현합니다.

little: "없음"에 초점을 두며 부정적인 뉘앙스

2-2. a little은 긍정

"a little""약간 있는"의 뜻이며 긍정을 나타냅니다.

 

little의 경우에서와 같이 물이 약간 남은 컵을 보고 하는 말입니다. 

ex) There is a little water. 긍정의 뉘앙스

      물이 조금은 있다.

→  긍정의 뉘앙스

 

little을 쓸 때와 같은 양의 물입니다. 그렇지만 a little을 쓰면 "물이 조금은 있네"라는 긍정적인 뉘앙스를 나타냅니다.

a little: "있음"에 초점을 두며 부정적인 뉘앙스

little, a little


(참고)

"quite a few, not a few"상당히 많은 수를 나타냅니다.

ex) There are quite a few errors in the report. = 

      그 보고서에는 상당히 많은 오류들이 있다.

  not a few    

 

"quite a little, not a little"상당히 많은 양을 나타냅니다.

ex) He has quite a little money.

      그는 상당히 돈이 많다.

  not a little  


3. 자주 묻는 질문 (FAQ)

Q1: few와 little의 차이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A: few는 셀 수 있는 명사와, little은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의미는 둘 다 ‘거의 없다’는 부정적 뉘앙스입니다.

 

Q2: quite a few와 quite a little이 무슨 의미인지 다시 알려주세요.
A: quite a few는 ‘상당히 많은 수’를 의미하며, quite a little은 ‘상당히 많은 양’을 의미합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few little 연습문제.pdf
0.16MB
few little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few, a few, little, a littl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30]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수일치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능과 토익은 물론 관계대명사에 관한 모든 시험에서 출제 1순위입니다. 확실하게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2. 선행명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
3.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관계대명사절은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수식어절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일치시켜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절에서 수일치가 복잡해 지는 선행사와 관계사절 사이에 수식어절이 끼어들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동사 일치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관계대명사절 내의 동사는 반드시 선행사와 수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 선행사에 일치 시킨다.
  •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선행사에 맞춘다

2. 선행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

선행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에 수 일치는 아주 쉽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와 문장의 동사를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의 인칭과 수에 맞추면 됩니다.

 

선행사가 관계사 바로 앞에 있음

ex) The person who trusts(1) me is(2) my friend.

    나를 믿는 사람은 내 친구이다.

 

예문에서 동사는 두 개입니다. 관계대명사 절의 trust, 문장의 동사인 is가 그것들입니다. 두 동사의 주어는 선행사인 the person입니다. 그리고 'the person'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를 썼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바로 앞의 선행사에 일치시킨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와 문장의 동사: 선행사에 일치시킨다.

 


3.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문제는 선행사와 관계대명사가 떨어져 있는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해석을 해서 내용상 연결이 되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선행사와 관계대명사가 떨어져 있음

(1) People are happy who have true friends.

    사람들은 행복하다/ 진정한 친구를 가진.

 

위 문장에서 관계대명사절을 선행사 다음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를 선행사 다음으로 옮기기

(2) People who have true friends are happy.

주어가 너무 길어서 산만해 보입니다. 관계대명사절을 뒤로 보낸 (1)번이 훨씬 더 간결하고 깔끔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위치는 다르지만, (1), (2)번은 의미상 같은 선행사(people)을 설명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절에서는 복수 동사 have를 썼습니다.

 

주의

관계대명사절이 주어자리에 오면 주어가 길어져서 의미가 문장이 산만해 집니다. 이때 의미를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관계대명사절을 문장 끝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반드시 의미를 파악하여 선행사와 수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결국 해석을 못하면 문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공부한 것을 규칙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관계사절의 수일치 ★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반드시 선행사와 일치시킨다.

 

※ 주격관계대명사란 관계대명사 다음에 주어가 없이 동사가 바로 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선행사 찾기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항상 선행사에 맞추나요?
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언제나 선행사의 수와 일치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이 문장 끝에 있으면 어떻게 수를 일치시키나요?
문장 끝에 관계대명사절이 있어도 의미상 설명하는 선행사를 찾아 수를 일치시킵니다. 선행사를 찾기 위해서는 해석을 통해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수일치 연습문제.pdf
0.17MB
관계대명사 수일치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update on 2025-04-29 18:27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포인트 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치, agreement  (0) 2025.04.02
도치구문에서의 일치  (5) 2014.08.24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0) 2014.08.21
주어 동사의 일치  (0) 2014.08.20
수동태 불가 동사 동영상 강의

수동태 불가 동사

수동태 불가 동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어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동태를 사용할 때 자주 틀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자동사와 일부 타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우리말로 해석해 보면 말이 되는 것 같지만 영어로는 틀리게 되는 동사들입니다. 영어와 우리말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라서 어렵기도 하거니와 시험에도 자주 출제됩니다. 잘 보시고 정확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수동태가 안되는 자동사

2. 수동태가 안 되는 타동사

3. 자주 묻는 질문 (FAQ)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수동태가 안되는 자동사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즉, 모든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자동사들을 죄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 위주로 정리하면 충분합니다.

 

다음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었던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입니다.

 

 수동태 불가동사 정리

  • 발생하다: happen, occur, take place
    ex) The accident happened yesterday. (O)
    →   The accident was happened yesterday. (X)

    "발생하다"는 뜻을 가진 영어 동사나 구문은 전부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 ~처럼 보이다: seem, look
    ex) She seems tired. (O)
    →   She is seemed tired. (X)

  • 나타나다 (사라지다): appear (disappear)
    ex) The sun suddenly appeared. (O)
    →   The sun was appeared. (X)

  • ~으로 판명되다: prove, turn out
    ex) His theory proved correct. (O)
    →   His theory was proved correct. (X, 이 뜻으로는 사용 불가)
    →   prove가 "증명하다"일 경우에는 수동태 가능


  • ~으로 구성되다: consist of
    ex) Water consists of hydrogen and oxygen. (O)
    →   Water is consisted of hydrogen and oxygen. (X)

위 동사들은 자동사들로서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특히 prove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ve는 "판명되다"일 경우에만 수동태가 안 됩니다. "입증하다, 증명하다"로 쓰일 경우에는 타동사이므로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수동태 가능

ex) The suspect's innocence was proved by the new evidence.

       새로운 증거에 의해 용의자의 결백이 입증되었다.

수동태 불가 자동사

 


2. 수동태가 안 되는 타동사

타동사는 원칙적으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동사들은 예외적으로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수동태 불가 타동사: resemble, cost, belong to

 

2-1. resemble: ~을 닮다

타동사인데도 불구하고 수동태가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위 동사들이 "상태나 소유"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수동태는 "행위나 동작을 당하는" 문장입니다. "상태를 당하다", "소유를 당하다"는 말은 어색할 뿐더러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resemble이 들어간 능동태 문장을 봅시다.

ex) He resembles his father.

      그는 아버지와 닮았다.

 

이 문장을 수동태로 고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   He is resembled by his father. (X)

       그는 닮게 되었다/ 그의 아버지에 의해서. (????)

 

말이 되지 않습니다. 아버지가 아들을 성형수술이라도 시켜서 자신을 닮게 만들었다는 뜻일까요?

 

동사 resemble은 수동태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resemble은 "전치사, 진행형,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쓰면 틀립니다. 

  • resemble with
    →  타동사이므로 전치사 불가
  • be resembling
    →  상태동사이므로 동작을 나타내는 진행형 불가
  • be resembled
    →   상태동사이므로 수동태 불가
resemble: 전치사, 진행형, 수동태 불가

 

2-2. cost: ~의 가격을 매기다

cost는 가격이나 비용을 나타내는 상태적 의미를 표현합니다. 가격이나 비용은 의도적 행위나 동작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ex) The book costs $10.

      그 책은 10달러이다.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어 봅시다.

 

수동태 (X)
→   The book is cost $10.  (X)

       그 책은 10달러 가격이 매겨진다. (????)

 

영어권 네이티브가 아닌 우리가 봐도 능동태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굳이 어색한 수동태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cost: 상태 동사라서 수동태 불가

 

2-3. belong to (~에 속하다, 소유이다)

belong to는 소유나 소속을 나타내는 상태적 관계를 표현합니다. 상태나 소속 관계 자체는 동작이 아니기 때문에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ex) The book belongs to me.

      그 책은 내 것이다.


수동태 (X)

→ The book is belonged to me. (X)

     그 책은 내게 소유되게 되었다. (????)

 

belong to 구문을 수동태로 바꾸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굳이 문법을 따질 필요도 없습니다.

belong to: 소유 동사라서 수동태 불가

수동태 불가 타동사


3.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자동사는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나요?
능동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됩니다. 그런데 자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수동태 형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주어없는 문장은 성립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Q2. resemble, belong to는 왜 수동태가 불가능한가요?
이 동사들은 상태를 나타내며, 행동이나 동작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상태동사들은 진행형이나 수동 형태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수동태 불가 동사 연습문제.pdf
0.16MB
수동태 불가 동사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잘 보셨습니까? 그럼 다음에 봅시다!

update on 2025-04-29 by Song SSam

 

수량 표현들

수량형용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수량형용사(수량 표현)"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량형용사는 "셀 수 있는 명사(가산명사)"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집니다. 언뜻 보기와는 달리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므로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수·량 한정사란?

2. 수·량 표현 한정사 분류

3. 셀 수 있음, 셀 수 없음에 따른 분류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수·량 한정사란?

수나 양을 나타내는 말을 ‘수량 한정사라고 합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수량형용사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영어에서 수를 나타내는 말들은 셀 수 있고, 양을 나타내는 말들은 셀 수 없습니다. 셀 수 있다는 것은 부정관사와 함께 쓰이고 복수형이 있다는 뜻입니다. 셀 수 없다는 것은 부정관사와 함께 쓸 수 없고, 복수형으로 못 쓴다는 말입니다.

 

'셀수 있다, 셀 수 없다'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핵심정리 1부 동영상] - 셀수 있는 명사, 셀수 없는 명사 (핵심정리 089)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2. 수·량 표현 한정사 분류

수량 표현 형용사들을 다음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해 보겠습니다.

  • 'of'를 기준으로 분류
  • 셀 수 있음, 셀 수 없음으로 분류

2-1. 'of'를 기준으로 수량 표현 형용사 분류

많은 수량 형용사들이 'of'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영어의 수량 표현 한정사들은 ‘of'를 기준으로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of' 없이 쓰이는 말들

each every all many much enough some few little any either neither no

 

 

(2) 'of'와 함께 쓰이는 말들

a lot of lots of plenty of a large number of a great deal of a large amount of

of 수량표현


 

2-1. '셀 수 있음', '셀 수 없음'으로 분류

수량 한정사들은 ‘단수, 복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much'는 ‘셀 수 없는 단수 명사’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이에 대하여 'many'는 ‘셀 수 있는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 I made many mistakes in my life.
    →  a few, few, several, enough, no 등 가능
    "many, a few, few, several, enough"들은 복수형과 함께 쓰입니다. 그러므로 복수명사 ‘mistakes'가 왔습니다.

  • I have much money.
    →  little, enough, no 등 가능
    "much, little"은 셀 수 없는 명사의 단수형과 함께 쓰입니다. 그러므로 'money'가 왔습니다.


3. 셀 수 있음, 셀 수 없음에 따른 분류

수량 한정사들은 각기 '셀 수 있음''셀 수 없음'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단수 복수가 결정됩니다.

 

3-1. 수량 형용사의 단수 복수

 

(1) 단수로만 쓰이는 수량표현

'하나(각각)'를 나타내기 때문에 단수로만 쓰입니다.

each every either neither

 

(2) 북수로에 쓰이는 수량표현

'여럿'을 나타내며 복수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many a number of a great number of (a) few several a couple of both

 

(3) 셀 수 없는 수량표현: 단수 취급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쓰여 단수 취급합니다.

much little a large(small) amount of a large(small) quantity of a large(great, good) deal of

 

셀 수 있는 형용사는 문법 용어로 '가산', 셀 수 없는 형용사는 '불가산'이라고 합니다.


3-2. 수량 형용사의 단수 복수 표 정리

 

위에서 정리한 수량 형용사들의 용법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각 수량 형용사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셀 수 있음 (단수) 셀 수 있음 (복수) 셀 수 없음
each car x x
every car x x
either car x x
neither car x x
no car no cars no water
any car any cars any (of the) water
x all (of the) cars all (of the) water
x many (of the) cars x
x a great many cars x
x a number of cars x
x a lot of cars a lot of water
x lots of cars lots of water
x plenty of cars plenty of water
x enough cars enough water
x some (of the) cars some (of the) water
x (a) few cars x
x several cars x
x a couple of cars x
x both cars x
x none of the cars none of the water
x x a great deal of water
x x a large amount of water
x x much water
x x little water

4. 자주 묻는 질문 (FAQ)

Q. 'many'와 'much'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반면 much는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Q2. 'a lot of'와 'lots of'는 어떻게 다른가요?

A. 두 표현 모두 '많은'이라는 의미로,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 모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lots of'가 더 일상적인 표현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수량 표현 연습문제.pdf
0.15MB
수량 표현 연습문제 정답.pdf
0.25MB

 


그럼 이상으로 수량표현(수량 형용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년 4월 28일 by Song SSam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차이점 정리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철자나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는 단어들이 자주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볼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은 언뜻보면 같은 글자라고 생각할 정도로 철자가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들은 의미가 각각 다르므로 명확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많이 봤지만 선뜻 확신이 서지 않는 이 녀석들의 의미와 품사,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네 단어 의미정리

2. 예문으로 익히는 네 단어

3. 비슷한 의미 단어들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네 단어 의미정리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네 단어들의 품사와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어 품사 핵심 의미
though 접속사 비록 ~이지만
through 전치사 / 부사 ~을 통하여, 꿰뚫어
thorough 형용사 철저한, 빈틈없는
throughout 전치사 / 부사 ~내내, 전 구간

2. 예문으로 익히는 네 단어

단어의 의미와 용법을 익히는데는 예문이 최고입니다.

각 단어가 사용된 간결한 예문들을 보면서 의미를 정확히 익혀 봅시다.

 

2-1. though (도우) 
      비록 ~이지만

ex) Though she is my daughter, she acts like my boss.

→  비록 내 딸이지만, 그녀는 내 보스처럼 행동한다.

 

2-2. through (쓰루-) 

      ~을 통해서

ex) My wife sees through my mind.

→  내 아내는 내 마음을 꿰뚫어 본다.

though, through

 

2-3. thorough (써로우-)

       철저한, 빈틈없는

ex) I gave my house thorough cleaning.

→  나는 집을 철저히 청소했다.

 

4. throughout  (쓰루-아웃)

    내내 (죽~)

ex) My son played video game throughout the day.

→  내 아들은 컴퓨터 게임을 했다/ 하루 종일.

thorough, throughout


3. 비슷한 의미 단어들

 

  • though vs. although
    두 단어는 의미가 거의 같으나 although가 다소 격식 · 문어적인 뉘앙스를 지닙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대부분 although 대신 though를 쓰는 추세입니다.
  • through vs. across
    through는 "내부를 관통하는 것",  across는 "표면을 가로지르는" 의미가 강조됩니다.

  • thorough vs. throughout
    thorough는 “철저한 상태”, throughout은 “기간/공간 전체”를 의미합니다.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 “비록”이 문장 끝에 올 때는 though와 although 중 무엇을 써야 하나요?
A. 구어체에서는 문장 끝에 though를 자주 씁니다. although는 문장 끝에서 잘 쓰이지 않습니다.

→  It’s expensive, though.

 

Q. “~내내” 대신 all day를 써도 되나요?
A. 네, 의미상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throughout the day가 조금 더 격식 있게 들립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연습문제.pdf
0.16MB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의 차이를 확실히 정리하셨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영어 표현이나 헷갈리는 단어가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 주세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8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관계대명사 강의 7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영어 말과 글에서 자주 쓰이는 관계대명사 what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선행사가 없어서 당혹스럽기도 하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가볍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2. 관계대명사 what 쉬운 예문

3. 관계대명사 what 주의할 점

4. 자주 받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관계대명사 wha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행사가 없다"는 것입니다. "사람, 사물, 동물" 등의 선행사가 필요한 여타 관계대명사와 달리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가 필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자체에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일 때 해석은 "~하는 것"이 됩니다.

 

선행사가 없지만 관계대명사 what은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 즉 주격이나 목적격으로 쓰입니다. 의문문에서 쓰인 what과 다른 점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

ex) I don’t know w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을 나는 모른다.
→  타동사(know)의 목적어 역할

 

의문사 what
ex) What does he want?
      그는 무엇을 원하나요?

 

위 두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at"~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의문사 what은 "무엇"이라는 의미로 의문문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관계대명사 what선행사가 필요 없다.
  • 관계대명사 what"~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선행사 포함


2. 관계대명사 what 과 선행사

관계대명사 what은 "the thing which"와 같은 말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의 해석인 "~하는 것"을 영어로 옮긴 것 뿐입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 what이 들어간 문장은 "the thing which"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1) What he said made me laugh.
     그가 말한 것이 나를 웃게 했다.
The thing which he said made me laugh.

 

(2) I can give you what you want.
     나는 네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있어.
→ I can give you the thing which you want.

 

그런데 영어 문장에서 "the thing which ~"과 같이 쓰는 것은 가뭄에 콩나듯한 일입니다. 한껏 멋부린 만연체 연설문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는 대부분(거의 대부분) 관계대명사 what을 씁니다. 

the thing which


3. 관계대명사 what 주의할 점

관계대명사 what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3-1. what 앞에는 선행사를 쓸 수 없다.

영작할 때 무의식적으로 저지르는 실수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hat 앞에 선행사를 쓰면 안 됩니다. 

 

잘못된 문장
ex) The waiter brought the thing what we ordered (X)

      웨이터가 가져왔다/ 그가 주문한 것을.

→   what은 order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 앞에 선행사 "the thing"을 쓰지 말아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써야 합니다.

 

올바른 문장
ex) The waiter brought what we ordered(O)

 

잘 기억해 둡시다.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를 쓸 수 없다. 

선행사 생략

 

3-1. 관계대명사 what은 계속적 용법에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일 때 what 앞에는 쉼표(,)를 쓸 수 없습니다. 즉, 관계대명사 what은 계속적 용법에는 쓸 수 없습니다.

 

잘못된 문장

ex) She is always late, what made me angry.

→  쉼표(,)가 있는 계속적 용법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She is always late, which made me angry.

     그녀는 항상 늦는다, 그것이 나를 열받게했다.

 

이때 which는 앞 문장 전체 "She is always late"를 선행사로 받습니다.

계속적 용법과 what


4. 자주 받는 질문 (FAQ)

Q. 관계대명사 what과 다른 관계대명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관계대명사 what은 다른 관계대명사(who, which, that)와 달리 앞에 별도의 선행사를 쓰지 않습니다.

 

Q. 관계대명사 what을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이미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별도의 선행사를 지칭하는 계속적 용법(콤마 뒤에 추가설명)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which를 사용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what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what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what에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7 17:56 by Song SSam

any other

any other + "단수, 복수 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ny other" 다음에 단수명사복수명사 중 어떤 것을 사용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교 문장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많은 학습자들이 혼동하는 용법입니다. 아마 other 다음에 "단수, 복수"가 가능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번 기회에 "any other"를 확실하게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ny other" + 복수 명사

2. "any other" + 단수 명사

3. 비교 문장에서의 "any other"

4. 요약 정리

5. 자주 묻는 질문 (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any other" 다음에서 단수·복수를 결정하는 것은 "선택의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가이드 라이만을 제시하겠습니다.

1. "any other" + 복수 명사

"any other" 다음에는 단수명사도 복수 명사도 올 수 있습니다. 결국 선택의 문제입니다. 그렇지만 내용상 여러 개가 있으면 "any other + 복수"형태를 씁니다.

 

내용상 여러 개가 있을  때

(1) And, this is the end of my lecture. Are there any other questions?

     그럼, 이것으로 강연을 마치겠습니다. 질문 있습니까?

→ 질문은 보통 여러 개가 나오므로 복수

 

(2) I'll help my wife with any other house chores.

    나는 내 아내를 도울 것이다/ 어떤 다른 허드렛일이라도.

→ 허드렛일은 보통 여러 가지이므로 복수.

 

주의:

복수형 "Are there" 대신에 "Is there any question?"도 아주 많이 쓰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선택의 문제입니다.

any other + 복수


2. "any other" + 단수 명사

내용상 하나만 있을 때는 "any other" 다음에 "단수 명사"가 옵니다.

 

내용상 하나가 있을 때

(1) Is there any other girl to love me?

    어떤 다른 여자기 있을까/ 나를 사랑해 줄?

→ 사랑은 보통 한 번에 하나씩 하므로 단수

 

② If I could live any other way, I would be an actor.

    만약 내가 다른 방식으로 살 수 있다면, 나는 배우가 될거야.

한 번에 한 가지 방식으로 밖에 살 수 없으므로 단수


3. 비교 문장에서의 "any other"

비교는 일반적으로 두 대상 사이에서 행해집니다.

ex) I am taller than John. (I vs John)

     나는 더 크다/ 존보다.

 

그러므로 비교 문장에 쓰인 "any other" 다음에는 보통 단수명사를 씁니다.

(1) He was unlike any other handsome man.

    그는 달랐다/ 여느 잘생긴 남자와는.

unlike가 비교를 나타내므로 단수

 

(2) My son is quite different from any other teenager.

    내 아들은 아주 다르다/ 여느 10대와는.

→ "different from"이 비교를 나타내므로 단수

 

③ Soccer is more popular than any other sport.

    축구는 더 인기가 있다/ 어떤 다른 스포츠보다.

than이 비교급이므로 단수

 

주의:

"any other than" 다음에는 "단수"가 훨씬 더 많이 쓰이지만 복수도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복수를 쓰게 될 경우 비교하는 대상을 구별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any other 단수"를 쓰는 것이 낫습니다.

any other + 단수명사


4. 요약 정리

이번 시간에 공부한 any other 단수/복수에 대하여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any other" + 단수/복수 명사
    문맥에 따라 하나의 대상이면 단수, 여러 대상이면 복수 사용.

  • 비교 문장
    "any other" + 단수 명사 사용이 일반적.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any other" 다음에 항상 단수 명사를 사용해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문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명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대상을 언급할 때는 복수 명사를 사용합니다.

Q2: "any other"와 "anothe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2: "another"는 항상 단수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에 반해 "any other"는 문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any other 연습문제.pdf
0.17MB


그럼 이상으로 any o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년 4월 27일 오전 9시 31분 by Song SSam

 

조동사 의미 총정리

조동사 의미 총정리

영어 조동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조동사(modals)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는 문장의 뉘앙스를 바꾸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의도치 않은 오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조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확실히 익혀 봅시다.

 

각 조동사들은 모두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의미들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의미 하나만 정리해두고 문장을 통해서 익히면 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이 아주 깁니다. 커피 한 잔과 함께 찬찬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쓰는 저도 있으니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 😄👍)

 

그럼 시작합시다!


영어에는 30개 남짓한 조동사들이 있습니다. 찾아보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학자가 아니라면 그렇게 할 이유도 필요도 없습니다. 이 조동사들로도 충분합니다.

 

설명을 위해서 조동사들을 "단순형, 조합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단순형"은 말 그대로 단어 하나로 구성된 조동사들입니다. "조합형"은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것들입니다.

단순형, 조합형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동사"하면 떠오르는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말들입니다. "조동사 + 동사원형"이라고 알고 있는 표현들입니다. 단순형 조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1. 단순형 조동사 의미 정리

will: ~할 것이다 would: ~할 것이다 can: ~할 수 있다 could: ~할 수 있었다 shall: ~일 것이다 should: ~해야 한다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might: ~일지도 모른다 must: ~해야 한다 dare: 감히 ~하다 need: ~할 필요가 없다 do, does, did: 정말로

1-2. 단순형 조동사 활용

단순형 조동사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뜻만 정리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많이 보던 것들이라 크게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will ~할 것이다 She will arrive soon.
would ~할 것이다 / ~하곤 했다 I would help if I could.
can ~할 수 있다 I can play guitar.
could ~할 수 있었다 / ~할 수도 있다 She could swim fast.
shall ~일 것이다 We shall see.
should ~해야 한다 You should rest more.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It may rain today.
might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arrive late.
must ~해야 한다 You must stop now.
dare 감히 ~하다 How dare you say that?
need ~할 필요가 없다 You need not worry.
do, does, did 정말로 I do love you.

 

이들 조동사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 원형 와야 합니다. 또한 조동사 "do"는 시제와 인칭 변화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단순형 조동사들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합형 조동사는 여러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한 단어처럼 쓰입니다. 조합형 조동사는 한 단어처럼 활용되므로 중간에 부정어 등을 끼워 넣을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은 잘못된 것들입니다.

  • 잘못된 표현
    had not better
    may not as well

  • 옳은 표현
    had better not
    may as well not

 

2-1. 조합형 조동사 의미 정리

다음은 대표적인 조합형 조동사들입니다.

ought to: ~해야 한다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used to: ~하곤 했었다 have(has) to: ~해야 한다 have got to: ~해야 한다 be able to: ~할 수 있다 be going to: ~할 것이다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2-2. 조합형 조동사 활용

조합형 조동사들은 한 단어처럼 알아 두어야 합니다. 모두가 워낙 많이 쓰는 것들이니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ought to ~해야 한다 You ought to study harder.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You had better leave now.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I'd rather stay home.
used to ~하곤 했었다 He used to swim every morning.
have(has) to ~해야 한다 She has to finish the work.
have got to ~해야 한다 I've got to leave early today.
be able to ~할 수 있다 He will be able to attend.
be going to ~할 것이다 I'm going to visit Paris.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You may well be confused.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e may as well wait here.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I'd sooner resign than accept this.

 

조합형 조동사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조합형 조동사는 언뜻 보기에는 "숙어" 표현들과 형태가 같습니다. 그렇지만 숙어와는 달리 조합형 조동사들은 독립적으로 동사가 될 수 없습니다.

 

3-1. 숙어는 동사로 사용  가능

예를 들어, "make fun of"라는 숙어는 다음 예문에서 처럼 문장에서 동사로 쓸 수 있습니다.

  • She made fun of me.
    → "made fun of"는 목적어(me)를 취하는 타동사 역할

3-2. 조동사는 동사로 사용 불가능

그런데 복합조동사 "may as well"은 어떤가요? 

  • She may as well me. (잘못된 문장)
    "may as well"은 동사 역할을 할 수 없음

"may as well"은 반드시 동사 앞에서만 쓰일 수 있습니다.

  • She may as well apologize.
    "may as well"은 동사 apologize를 보조

 복합 조동사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조동사인 것입니다.

복합형 조동사 + 동사

 

외웁시다!

현실적으로 조합형 조동사들을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단 외워야 합니다. 고급영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니 철저하게 암기한 다음 활용하셔야합니다. 'should, must, had better, have to, have got to' 편에서 설명하겠지만 조동사 잘못 사용하면 인간관계 망칠 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속마음)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had better"와 "may as well"은 둘 다 "~하는 것이 낫다"인데 차이점이 있나요?

A1. 네, 차이가 있습니다. "had better"는 강한 권고나 경고에 가깝습니다. 하지 않으면 나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Q2. "ought to"와 "should"는 의미가 같은데 언제 구별해서 써야 하나요?

A2. 두 표현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ought to"는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should"는 일상 대화에서 더 흔하게 쓰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pdf
0.16MB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이상으로 조동사 의미 총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7 07:22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왕초격인 that의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현대 영어에서 that은 모든 관계대명사를 대신하겠다는듯이 세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과유불급이라고나 할까요? 편하다고 마구잡이로 that을 남용하다보니 문맥이 분명치 않은 경우도 왕왕 보게 됩니다. 편한만큼 주의해서 사용해야 할 관계대명사가 that이기도 합니다.

 

관계대명사에서 특히 "that은 제한적 용법으로만 사용"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 who/which 대신 사용하는 that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3. that을 쓸 수 없는 경우

4. 자주 묻는 질문 ( FAQ)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제한적 용법의 that


1. 관계대명사 who/which 대신 사용하는 that

관계대명사 중 제한적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who나 which를 대신해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즉, 제한적 용법에서 주격이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제한적 용법에서는 선행사가 사람, 사물에 관계없이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1-1. 주격 관계대명사

(제한적 용법으로 쓰인) 주격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선행사가 사람
    They are the soldiers who/that fought the battle.
    그들은 군인들이다/ 그 전투에서 싸웠던.

    → 관계대명사는 fought의 주어 역할
  • 선행사가 사물
    This is the camera which/that takes high-quality photos.
    이것은 카메라다/ 고화질 사진을 찍는.
    관계대명사는 takes의 주어 역할

두 예문에서 that은 주격관계대명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who/which와 that은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


1-2. 목적격 관계대명사

(제한적 용법으로 쓰인) 목적격 관계대명사 역시 tha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선행사가 사람
    The man whom/that I met yesterday is a famous writer.
    내가 어제 만났던 그 남자는 유명한 작가이다.
    관계대명사는 met의 목적어 역할
  • 선행사가 사물
    These are the books which/that you should read
    이것은 책들이다/ 당신이 읽어야 하는.
    관계대명사는 read의 목적어 역할

주의:

공식적인 자리나 글에서는 선행사에 맞는 관계대명사를 써 주는 것이 의미가 분명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인데 that을 쓰면 글이 맞는지 다시 한번 보게 읽게 됩니다. 지나치게 고리타분하지만 않다면 문법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선행사에 특정한 말이 있을 경우에는 that만 써야 합니다.

 

2-1 선행사가 사람+사물일 때

선행사에 "사람+사물" 혹은 "사물+사람"이 올 경우에는 that을 써야 합니다. 사람, 사물 두 선행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that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사람+사물 선행사
    The bomb blow up the people and buildings that stood there.
    폭탄은 사람과 건물을 날려버렸다/ 그곳에 있던.
    the people(사람) + buildings(사물)
  • 사물+사람 선행사
    I like the song and singer that won the competition.
    나는 노래와 가수를 좋아한다/ 대회에서 우승했던.
    the song(사물) + singer(사람)

2-2. 선행사가 특정 단어일 때

선행사에 "최상급, 서수, all, every, some"과 같은 단어가 있을 때는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이 경우 다른 관계대명사 (who/which)는 쓸 수 없습니다.

  • 최상급 선행사
    It was the worst explosion that struck the nation.
    그것은 최악의 폭발이었다/ 그 나라를 강타한.
    최상급 선행사(the worst) + that

  • 서수 선행사
    This is the first book that I read.
    이것이 첫 번째 책이다/ 내가 읽은.
    서수 선행사 (the first) + that
  • all 선행사
    All that I need is your support.
    내가 필요한 전부는 너의 지지이다.
    → all 선행사 + that

사람 + 사물


2-3 의문사가 선행사 앞에 올 때

의문사로 시작하는 문장에서는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 의문사가 앞에 올 때
    Who is the boy that won the prize?
    누구냐/ 상을 탄 소년은?
    의문사 who + 관계대명사 that

위 세가지 경우처럼 특정한 선행사가 앞에 있는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 써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 선행사가 사람+사물일 때
  • 선행사가 특정 단어일 때
    최상급, 서수, all, every, some
  • 의문사가 선행사 앞에 올 때

3. that을 쓸 수 없는 경우

관계대명사 that은 계속적 용법에서 쓸 수 없습니다. 즉, 쉼표(,)가 있는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대신할 수 없습니다. 

  •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My car, which/that is old, consumes much gasoline.
    내 차는 오래되어 기름을 많이 소비한다.
    계속적 용법 + 관계대명사 that

계속적용법 that


4.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관계대명사 that과 which는 아무 때나 바꿔 쓸 수 있나요?
아닙니다. that은 제한적 용법에서만 사용하며, 계속적 용법(콤마로 추가 설명하는 경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which를 써야 합니다.

 

Q2. that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선행사가 사람과 사물이 동시에 등장할 때, 또는 선행사 앞에 최상급, 서수(first, second...), all, every, some 등의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that을 사용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that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that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6 by Song SSam

 

none other than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 no other than, none other than
비교급 관용표현 2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도 영어 비교급 관용표현 중 많은 학습자가 헷갈려 하는 표현들을 정리하겠습니다. 내용이 더 많은 비교급 관용표현 1부를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권합니다.

 

[비교급 관용표현 1부]

난이도 ★★★★☆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nothing more than VS nothing less than

2. no other than VS none other than

3. 자주 묻는 질문 (FAQ)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이 표현들은 원어민들도 잘 구별하지 못하는 것들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실생활에서 자주 쓰입니다. 억울하겠지만 익혀둘 수 밖에 없습니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nothing more than VS nothing less than

이 두 표현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혼동을 피하려면 예문을 통해 뉘앙스를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1-1. nothing more than 뜻: "단지 ~에 불과한" 

       유의어: only, merely, no more than

 

"nothing more than"은 어떤 대상을 "중요하지 않게 여기거나 무시하는"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ex) He is nothing more than a child.

     그는 단지 어린 아이야.

     (뭘 기대해, 아이에게서...)

 

ex) This is nothing more than a rock.

     이것은 단지 돌맹이 하나에 불과해.

    (돌맹이 하나 가지고 뭔 난리야...)

 

"nothing more than" 구문은 "별것 아닌"이라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1-2. nothing less than 뜻: "바로 그것, 완전히, 그야말로"

        유의어: exactly, surely, completely, nothing short of

 

"nothing less than"은 강조의 의미로 "정확히 바로 그"라는 뜻을 지닙니다.

ex) It was nothing less than a miracle.

     그것은 바로 기적이었어.

 

ex) You are nothing less than crazy.

     .너 완전히 미쳤구나.

 

 "nothing less than" 구문은 "nothing short of"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이 때 "short""~이 부족한"이라는 뜻입니다.

 

ex) She is nothing short of a genius.

 =  She is nothing less than a genius.

     그녀는 부족함이 없다/ 천재이기에.

 

주의: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을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너무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아도 됩니다. 혼동된다면 다른 표현을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nothing more than, nothing less than


2. no other than VS none other than  

    유의어: exactly, nothing less than, nothing short of

 

이 두 표현은 같은 의미로, 둘 다 "다름 아닌 바로 그 사람/사물"을 강조할 때 씁니다.

 

ex) It was no(none) other than the president herself.

  = It was nothing less than the president herself.

     그것은 다름 아닌 대통령 자신이었다.

 

ex) Alexander's teacher was none(no) other than Aristotle.

  = Alexander's teacher was nothing short of Aristotle.

    .알렉산더의 스승은 다름 아닌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위 예문들에서 보듯이 "no other than, none other than"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단지 "no other than"이 훨씬 더 많이(대략 100배) 사용됩니다.

no ohter than, none other than


3. 자주 묻는 질문 (FAQ)

Q. 'nothing more than'과 'nothing less than'을 잘못 쓰면 의미가 크게 달라지나요?
A. 구어체에서는 엄격히 구별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그래도 정확한 의미로 사용하려면 뉘앙스를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Q. 'no other than'과 'none other tha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의미는 같습니다만, no other than이 훨씬 더 자주 쓰입니다. 구어 및 문어에서 "no other than"을 쓰는 것을 권합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비교급 관용표현 2부 연습문제.pdf
0.16MB
비교급 관용표현 2부 연습문제 정답.pdf
0.22MB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6 11:37 by Song SSam

 

비교급 관용표현

 영어 비교급 관용 표현 9가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헷갈리는 비교급 관용 표현을 알기 쉽게 정리하겠습니다. 자주 쓰이는 표현이지만 정확한 의미를 몰라 실수하기 쉽습니다. 관용 표현이니만큼 단어나 숙어처럼 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익혀 회화와 글에서 요긴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용표현 1-5

2. 자주 묻는 질문 (FAQ)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용표현 1-5

better off get the better of no less than no more than nothing less than 
 

1-1. better off : 더 잘 살다, 형편이 낫다

  • 의미: 경제적 또는 상황적으로 더 나은 상태를 표현합니다.
  • They are better off than us.
    그들은 우리보다 더 잘 산다.

1-2. get the better of : ~을 능가하다

  • 동의 표현: get the best of, defeat
  • He got the better of me in tennis.
    그가 테니스에서 나를 이겼다.

1-3. no less than : 무려, ~만큼이나

  • 동의 표현: as many as, as much as
  • No less than twenty people came to my birthday party.
    2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내 생일 파티에 왔다.

1-4. no more than : 겨우, 단지

  • 동의 표현: only, merely, nothing but
  • No more than twenty people came to the party.
    겨우 20명의 사람들이 파티에 왔다.

"no more than"을 들이파고 싶은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no more than 들이파기



1-5. Nothing less than : 다름 아닌 바로 그것, 그야말로

  • 동의 표현: exactly, surely, completely
  • It was nothing less than a miracle.
    (그것은 바로 기적이었다.)

better off


관용표현 6-9

nothing less than nothing more than much less still less much more still more no(none) other than

 

1-6. nothing more than : 단지, ~에 불과한

  • 동의 표현: only, merely, no more than
  • He is nothing more than a child.
    그는 단지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1-7. much less / still less : 하물며, 더군다나 

  • 부정문에서 의미 강화
  • He can't speak English, much less(still less) Latin.
    그는 영어를 못한다, 하물며 라틴어야.

→ "그는 영어도 못하는데 어려운 라틴어를 잘 할 리 없다"고 무시하는 뉘앙스입니다. 


 

1-8. much more, still more : (옛투) 하물며, ~은 말할 것도 없이

  • 긍정문에서 의미 강화
  • He is fluent in Latin, much more English.
    그는 라틴어가 유창하다, 하물며 영어야.

→ "어려운 라틴어도 하는데 영어쯤이야"라고 감탄하는 뉘앙스입니다.  예스러운 문체라서 글에서나 볼 수 있는 표현입니다.


1-9. no(none) other than : 다름 아닌 바로 그 사람

  • 동의표현: nothing short of
  • Alexander's teacher was none(no) other than Aristotle.
    알렉산더의 스승은 다름 아닌 아리스토텔레스였다.

nothing less than


2. 자주 묻는 질문 (FAQ)

Q1. no more than과 no less tha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no more than은 "겨우 ~뿐"이라는 최소한의 의미입니다. 반면 no less than은 "무려 ~나"의 강조 표현으로 최대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Q2. better off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경제적이거나 상황적으로 더 좋은 상태를 표현합니다. 생활수준이나 형편을 비교할 때 자주 쓰입니다. 주의할 것은 이 표현이 긍정적인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off"가 있어서 부정적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Q3. much less와 much more를 구분하는 쉬운 방법은?
much less부정적인 뉘앙스로 쓰이며 "하물며"로 해석됩니다. , much more긍정적인 뉘앙스 쓰이며 "~은 말할 것도 없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3. 연습문제 다운로드

비교급 관용표현 연습문제.pdf
0.15MB
비교급 관용표현 연습문제 정답.pdf
0.13MB

 



이상으로 비교급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4-26 by Song SSam

no more than

   no more than, not more than, no less than, not less than
비교급 관용표현 1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에서 헷갈리기 쉬운 비교급 관용 표현인 no more than, not more than과 no less than, not less than을 확실히 구별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들 비교급 관련 표현들은 아주 혼동되는 것들입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도 정확히 구별하지 못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각 표현 쌍의 의미 차이를 구별할 필요가 없습니다. "not more than, not less than"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교급 관용표현 2부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비교급 관용표현 2부

 

난이도 ★★★★☆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no more than VS not more than

2. no less than VS not less than

3. 자주 묻는 질문(FAQ)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no more than VS not more than

어떤 양이나 수가 적다는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no less than VS not less than"과 대조되는 표현들입니다.

 

1-1. no more than : 겨우 (~뿐이다)
       (= only, merely, nothing but)

  • No more than twenty people came to the party.
    겨우 20명의 사람들이 왔다/ 파티에.
  • She spent no more than five minutes finishing her homework.
    그녀는 겨우 5분 걸렸다/ 과제를 끝내는데.

1-2. not more than : 기껏해야, 많아야 고작
       (= at most)

  •  Not more than twenty people came to the party.
     기껏해야 20명의 사람들이 왔다/ 파티에.
  • The meeting will last not more than an hour.
    회의는 지속할 것이다/ 길어야 한 시간 정도.

두 표현은 미묘한 차이가 있지만, 일상 회화에서는 거의 구분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은 no more than입니다.

no more than, not more than

 


2. no less than vs not less than

이 표현들은 앞에서 봤던 것들과 반대로 양이나 수가 "많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2-1. no less than : ~만큼이나 (~이나 되는)

  • No less than twenty people came to my birthday party.
    2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왔다/ 내 생일 파티에.
  • He speaks no less than five languages fluently.
    그는 다섯 개나 되는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2-2. not less than : 적어도 (~이상)

  • Not less than twenty people came to my birthday party.
    적어도 20명이 왔다/ 내 생일 파티에.
  • You should sleep not less than seven hours each night.
    적어도 7시간은 자야 합니다/ 매일 밤.

이 두 표현 역시 차이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no less than이 강조하는 표현으로 더 흔하게 쓰입니다.

no less than, not less than


3. 자주 묻는 질문(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no more than과 not more tha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두 표현 모두 수나 양이 적음을 나타내지만 미묘하게 의미가 다릅니다. no more than"겨우"의 의미로 강조하며, not more than"기껏해야, 많아야"라는 최대치를 나타낼 때 씁니다.

 

Q2: no less than과 not less than의 차이는 뭔가요?

A: no less than"만큼이나, ~이나 되는"이라는 의미로 양이 많음을 강조합니다. 반면, not less than"적어도, 최소한"의 의미로 최소치를 나타냅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비교급 관용표현 연습문제.pdf
0.15MB
비교급 관용표현 연습문제 정답.pdf
0.13MB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 관용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년 4월 26일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제한적,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제한적 용법은 한정적이라고도 합니다. 그다지 어려운 내용이 아닙니다. 단지 위압적인 한자 문법용어 때문에 실제보다 더 어려워 보이는 것 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시와 함께 두 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3. 제한적 용법 vs 계속적 용법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여기서 제한이나 한정은 "수식 or 설명"한다는 말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이 형식에서 관계대명사가 없으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됩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앞에는 쉼표(",")가 없습니다.

 

 (1) This is the boy who stole my bicycle.

      이 소년이다/ 내 자전거를 훔친 사람은.

 

위 예문에서 "who stole my bicycle"을 생략해 봅시다. 

 

(1-1) This is the boy.

       이 소년이다.

 

관계사절을 생략하고 보니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절이 생략되면 문장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게 됩니다. 즉,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는 의미상으로 관계사절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내용상 선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 특징

  •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음
  • 생략하면 의미가 불명확함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의미상 문장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한적, 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은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는 분명합니다.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절 앞뒤에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2-1.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특징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쉼표(,)와 함께 사용합니다.

 

1) My grandfather, who is 92, is energetic.

    할아버지는, 아흔 둘이신데, 정정하시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를 해치지 않습니다.

 

1-1) My grandfather is energetic.

      내 할아버지는 정정하시다.

 

물론 "who is 92"가 있는 것이 정정함을 강조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who is 92"를 생략해도 의미가 통합니다.

 

✅ 계속적 용법 특징 요약

  • 관계대명사절이 부가적인 정보
  • 관계대명사 앞뒤에 쉼표(,)를 반드시 씀
  • 생략해도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음

주의: 글로 쓸 때,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계속적 용법 정리


 

2-1. 계속적 용법의 "which"

계속적 용법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것은 ",which"입니다.

 

 (1)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인데,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를 이용해서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접속사 and를 이용하여 (1)번 문장을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1-1)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and it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이고,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which

 

주의:계속적 용법의 which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X) Seoul, that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제한적, 계속적 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Q1.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제한적 용법은 필수적인 정보로,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불명확해지며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반면 계속적 용법은 부가적인 정보로 생략 가능하며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할 수 있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관계대명사절을 빼고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면 계속적 용법이고,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달라지면 제한적 용법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pdf
0.26MB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 정답.pdf
0.17MB

 


이상으로 제한적(한정적),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5 13:40 by Song SSam
unless 용법 정리

unless 용법

unless 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많이 쓰이지만 자칫 헷갈릴 수 있는 접속사 unle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less 자체가 쓰임이 많기도 합니다. 또한 우리말에는 있지만 영어에는 없는 이중부정 때문에 태생적으로 혼동됩니다. 총정리다 보니 내용이 깁니다. 커피 한잔과 함께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unless 뜻과 기본 용법
2. unless 조건 or 가정
3. unless 가정법 과거
4.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5. unless 핵심정리
6. 자주 묻는 질문(FAQ)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unless 뜻과 기본 용법

unless의 기본적인 의미와 용법입니다. unless의 여러 용법에 공통되는 기본이라 하겠습니다.

 

1-1. unless 뜻

unless는 "if ~ not(만약 ~하지 않는다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뜻입니다. unless의 다른 용법들은 전부 여기서 파생됩니다.

 

ex) Unless you exercise, you'll grow older fast. 

     만약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빨리 늙게 된다.

unless: 만약 ~하지 않는다면(if ~ not)

1-2. unless: 주의할 용법

특히 많이들 실수하는 부분입니다. unless 다음에는 부정어가 올 수 없습니다. 강조를 위해 이중부정을 허용하는 우리말과 달리 영어에는 이중부정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쓰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틀린 문장

ex) Unless you don't exercise, you'll grow older fast. (X)

→  unless 다음에 부정어(don't)를 쓸 수 없습니다.

 

영어에는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중부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에는 흔한 "하지 않을 수 없다"와 같은 표현은 영어에서 쓰지 않습니다.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Unless you exercise regularly, you'll grow older fast.

    만약 당신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더 빨리 늙게 된다. 

unless 부정어


Unless는 "if ~not(만약 ~하지 않는다면)"이라고 생각하면 거의 틀림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if가 조건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unless 역시 "조건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중요한 용법이기 때문에 항목을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조건과 가정의 if"를 정리하고 싶은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if (가정, 조건)


2. unless: 조건

unless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인 용법입니다. unless 다음에 현재동사가 오면 조건문으로서 "일반적인 사실"을 말합니다.

 

ex) Unless you desire it eagerly, you won't get it.

     만약 당신이 그것을 진정으로 원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것을 얻지 못할 것이다.

→  unless 다음에 현재형 동사 desire가 왔습니다.

 

이때 주의할 것은 unless 다음에 부정어를 쓸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절에서는 미래 조동사 "won't"를 썼습니다. 

unless + 현재동사 ⇒ 조건문 (일반적인 사실)

unless: 조건


3.  unless: 가정법 과거 

unless 다음에 "과거 시제"가 올 때는 가정법으로서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사실을 진술하는 조건의 unless와 잘 구별해야 합니다.

 

unless가정법

ex) Unless you disturbed me, I would solve the problem 

가정: 만약 당신이 방해만 안한다면, 나는 그 문제를 풀것이다.

직설: 당신이 지금 방해하고 있어서 나는 문제를 못 푼다.

 

"Unless you disturbed" 구문은 "지금 방해를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가정법이므로 주절에서는 과거 조동사 "would 동사원형"를 썼습니다.

 

unless 가정법 과거 문장을 if 가정법으로 바꾸어 봅시다.

ex) If you did not disturbed me, I would solve the problem 

unless + 과거 ⇒ 가정법 과거 (현재사실의 반대)

unless 가정법 과거


4.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unless 다음에 "과거완료"가 올 때는 가정법 과거 완료으로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ex) Unless you had helped me, I would not have solved the problem 

가정: 만약 당신이 돕지 않았었다면, 나는 그 문제를 풀지 못했을 것이다.

직설: 당신이 도와줬었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를 풀었었다.

 

"Unless you had helped" 구문은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 즉 가정법 과거 완료를 의미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주절의 시제는 "would have 과거분사"를 썼습니다.

 

unless 문장을 if 가정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if 가정법 과거완료

ex) If you had not helped me, I would not have solved the problem 

unless +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5. unless 핵심정리

unless가 들어있는 부사절의 시제를 판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unles는 다음에 오는 동사의 시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 unless는 부정어와 함께 쓸 수 없다.
  • unless + 현재시제 ⇒ 실현가능한 사실을 나타낸다.
  • unless +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 unless +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unless 정리

 

별 생각 없었던 unless가 갑자기 어렵게 느껴지실 겁니다. 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보통은 조건의 unless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unless 뒤에 not을 절대 못 쓰나요?
A1. 원칙적으로는 그렇습니다. unless 자체가 부정 의미를 가지므로 not을 쓰면 이중부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수한 강조용 예외는 있지만 시험·실무에서는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if not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A2. 의미는 거의 같지만 unless가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어 줍니다.
ex) I’ll go for a walk if I’m not busy.

→  I’ll go for a walk unless I’m busy.

 

Q3. unless를 문장 맨 뒤에 쓸 수 있나요?
A3. 가능하지만 구어체·문어체 모두 앞절에 놓는 형태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ex) I won’t succeed unless I try.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unless 연습문제.pdf
0.29MB
unless 연습문제 정답.pdf
0.19MB

 


 

이상으로 unles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4-25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