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상 주어

의미상 주어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의미상 주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to 부정사와 관련된 의미상 주어의 다양한 유형과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줄인다고 줄였는데 글이 무척이나 길고 어렵습니다. 그래도 영어 레벨업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니 꼼꼼하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쓰는 저도 있습니다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상 주어란?
2. 의미상 주어 네 유형
3. 문장의 주어가 의미상 주어
4. 문장의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
5. 의미상 주어가 분명치 않은 경우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상 주어란?

영어 문법에서 의미상의 주어란  대개 "준동사의 행위의 주체"를 말합니다. 준동사의 행위의 주체라... 문법이 어려운지 문법 용어가 어려운지 헷갈립니다. 나름 고심한 명칭이겠지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무지막지한 용어를 조금 더 쉽게 쪼개서 이해해 봅시다. 영어에서 준동사들(to 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 부정사
    → to + 동사원형
  • 동명사
    동사원형 + ~ing
  • 현재 분사
    →  동사원형 + ~ing

보시다시피 준동사들에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준동사는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들 동사는 행위의 주체인 주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의미상의 주어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미상의 주어란 "준동사에 있는 동사(행위)의 주체"입니다.

 

  •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to 부정사에 있는 동사의 주체입니다.
  •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동명사에 있는 동사의 주체입니다.

이 글에서는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만을 다루겠습니다.

행위의 주체


2. 의미상 주어 네 유형

의미상 주어는 크게 다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
    → (의미상 주어는 생략)
  • 목적어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
    → (의미상 주어는 생략)
  • 의미상의 주어가 일반인이나 알려지지 않은 경우
    → (의미상 주어 생략)
  •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 (for +목적격, of +목적격)

각 항목을 유형별로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3.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 (생략)

의미상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같은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1) I hope to succeed.

I hope that I will succeed.

    (나는 희망한다/ 성공하기를)

 

(2) He wanted to be a hero.

    (그는 원했다/ 영웅이 되기를)

 

(1) 번에서 ‘to 부정사’에 있는 동사 ‘succeed'의 주어는 무엇일까요? 성공하는 사람은 ’I‘입니다. 즉, 'to succeed'의 의미상 주어는 ’I'가 됩니다. 그런데 'I‘는 문장의 주어와 같습니다. 이렇게 의미상의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같을 때는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2) 번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웅이 되고 싶은 사람 즉, ‘to be a hero'의 주어는 문장의 주어인 ’I'입니다. 역시 문장의 주어와 의미상 주어가 같기 때문에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4.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일 때 (생략)

의미상 주어가 목적어와 같은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쓰지 않습니다. to 부정사가 목적어 다음에 올 때, 목적어가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합니다. 다음 예문들에서 문장의 목적어와 to 부정사의 관계를 잘 살펴 보세요.

 

(1) Nobody tells me what to do.

  Nobody tells me what I should do.

    (누구도 나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무엇을 해야하는지)

(to do의 의미상 주어는 목적어 me입니다. 목적어와 같으므로 의미상 주어 생략)

 

(2) I expect him to succeed.

 I expect that he will succeed.

  (나는 기대한다/ 그가 성공할 것이라고)

(to succeed의 의미상 주어는 him입니다. 목적어와 같으므로 의미상 주어 생략)

 

두 예문에서 목적어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하므로 생략합니다.


5. 의미상 주어가 분명치 않은 경우 (생략)

의미상 주어가 특정한 사람이 아닌 일반인일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쓰지 않습니다.

 

(1) It is best to be honest.

    (최고이다/ 정직한 것이)

 

(2) It is wrong to tell a lie.

    (잘못 되었다/ 거짓말하는 것은)

 

(1)번과 (2)번에서 ‘to 부정사의 주체는 "특정한 개인이 아닌 일반인"입니다. 이렇게 의미상 주어가 일반인일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별도로 쓰지 않습니다. 사실 주어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쓸 수 없다"는 표현이 더 옳을 것 같습니다.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가장 중요한 경우입니다. 문법에서 의미상의 주어라고 하면 보통은 이러한 경우를 말합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필요하고,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와 다른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써 줍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문장의 주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형태가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for + 명사(목적격)
of + 목적격

 

먼저 "for + 명사(목적격)"을 봅시다


6-1. for + 명사(목적격)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으로 표시합니다.

 

ex) It is necessary for him to see a doctor.

     (그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가 의사를 보는 것은.)

 

이 문장에서 ‘to see a doctor'하는 것은 문장의 주어인 ’it'이 아닙니다. ‘he'’to see a doctor'합니다.

이렇게 문장의 주어와 의미상 주어가 다른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써 주어야 합니다. 단, 주격을 그대로 쓰면 주어와 혼동되므로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으로 써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석은 의미상의 ‘주어’이므로 주격조사 ‘은, 는, 이, 가’를 붙여서 해석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을 쓴다.

 

그리고 ‘necessary’는 원칙적으로 사람을 주어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쓸 수 없습니다.

 ex) He is necessary to see a doctor. (×)

 

이러한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important easy convenient difficult dangerous possible impossible pleasant

 

이들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가주어 it"과 의미상 주어 "for 명사", 그리고 "to 부정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듭니다. 물론 "to 부정사"로 문장을 시작할 수도 있지만, 이들 형용사가 있을 때는 "가주어 it"을 쓰는 것이 훨씬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형용사 for 목적격 to 부정사.

 

사물 형용사가 "to 부정사"와 함께 쓰인 예문들입니다.

 

It is easy for him to answer the question. (권장)

He is easy to answer the question. (×)

To answer the question is easy for him. (○)

    (그것은 쉽다/ 그가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It is convenient for customers to shop on line.

To shop on line is convenient for customers.

    (그것은 편리하다/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것은)

 

It is difficult for me to focus on my study.

To focus on my study is difficult.

    (그것은 어렵다/ 내가 나의 공부에 집중하는 것은)

 

It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 to send an e-mail.

To send an e-mail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

    (그것은 가능하다/ 내 할아버지가 이메일을 보내는 것은)

 

It is pleasant for her to help the poor.

To help the poor is pleasant for her.

   (그것은 기쁘다/ 그녀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이 문장들에서 "for+명사""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for 목적격


6-2. of + 명사(목적격)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앞에 있을 경우, to 부정사는 의미상의 주어로 "of +목적격"의 형태를 취합니다.

 

ex) It is kind of you to invite us to the party.

    (당신은 친절하군요/ 우리를 파티에 초대하다니)

 

이 문장 역시 문장의 주어 ‘it'은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it(그것)‘이 우리 초대할 수는 없으니까요. 그러므로 의미상 주어가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kind"라는 형용사는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말이 올 경우에는, "for + 목적격"을 쓰지 않고, "of + 목적격"을 씁니다.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쓰인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of 목적격"을 쓴다.
(Note)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위 문장을 ‘to 부정사’를 주어로 다시 쓰면, ‘To invite us to the party is kind of her.’ 라는 문법적으로는 하자가 없지만 어색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역시 가주어 it를 쓰고 ‘to 부정사’는 뒤로 보내는 것이 더 낫습니다.

 

주의할 것은 kind와 같이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necessary’들과는 달리 사람을 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문장이 가능합니다.

 

ex) It is kind of you to invite us to the party.

  You are kind to invite us to the party.

 

"kind"와 같은 형용사에 가주어 "it"을 사용하면, 문법적으로는 옳지만 지나치게 딱딱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굳이 가주어 "it"을 쓰는 것보다 사람을 주어로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good nice bad clever wise foolish silly stupid kind polite generous rude careful thoughtful considerate careless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들과 의미상 주어 예문들입니다.

 

It is bad of him to insult her like that.

He is bad to insult her like that.

    (그것은 나쁘다/ 그가 그녀를 그렇게 모욕한 것은)

 

It is wise of her to tell the truth.

She is wise to tell the truth.

    (그것은 현명하다/ 그녀가 진실을 말한 것은)

 

It is foolish of me to waste my time.

I am foolish to waste my time.

    (그것은 멍청하다/ 내가 시간을 낭비한 것은)

 

It is rude of them to keep us waiting.

You are rude to keep us waiting.

    (그것은 무례하다/ 그들이 우리를 기다리게 한 것은)

 

It is thoughtful of him to comfort me.

He is thoughtful to comfort me.

    (그것은 사려깊다/ 그가 나를 위로한 것은)

 

이들 형용사들은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기 때문에 "of 목적격"이 의미상 주어로 사용 되었습니다.

of 목적격

 

이 정도로 공부하면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에서 막힐 일은 없을 것입니다. 학교 내신이나 수능에서는 의미상 주어 형태를 묻는 문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도 회화를 중시하는 영어 교육 때문인 듯 합니다. 그렇지만 영어로 글을 쓰려고 할 때는 정확한 표현이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잘 익혀둬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워낙 어려운 미묘하고도 어려운 부분이라 연습문제를 풀면서 형태와 의미를 익혀 보시기 바랍니다.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의미상 주어 연습문제.pdf
0.23MB
의미상 주어 연습문제 정답.pdf
0.25MB

 

 

이상으로 의미상 주어에 대한 기나긴 정리를 마칩니다. 
Update in 2025-04-17 07:42:24 KST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