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생략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궁금해하는 관계대명사의 생략 조건과 정확한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생략할 수 있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내신에도 자주 출제되는 단골손님이니 학생 여러분들은 특히 주의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주의할 것은, 관계대명사를 반드시 생략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고 놔두는 것이-특히 글에서는-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긴 문장에서는 관계대명사를 써 주는 것이 의미가 더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2.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함께 생략

3. There 구문에서 주격 관계대명사 생략

4. 관계대명사 생략 핵심 정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가 ‘목적격’으로 쓰였을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한적(한정적)이란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가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쉼표(,)와 함께 쓰인 ‘계속적 용법’에서는 관계 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다루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에는 타동사의 목적어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있습니다. 

먼저 타동사의 목적어를 봅시다.

 

1-1.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경우

It is the only choice (that) you've got

     (그것은 유일한 선택이다/ 너가 가진)
→ 타동사 got의 목적격


② This is the company (which / that) we built.
     (이것은 회사이다/ 우리가 세웠던)
→ 타동사 built의 목적어

 

위의 예문에서 관계대명사는 타동사 got과 built의 목적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는 생략 가능하다.

 

다음은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1-2.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경우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으면 생략할 수 없습니다. 전치사의 목적어란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를 어렵게 부르는 말입니다.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으면 생략할 수 없습니다.

① This is the house (which) I was born in.

    이것은 집이다/ 내가 태어났던.

→ 전치사 in의 목적격, 생략 가능

 

②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was born.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에 썼음, 생략 안됨 

잘못된 생략:

③ This is the house in I was born. (x)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에 썼음, 생략 안됨

 

예문 ①에서는 전치사가 문장 끝에 있으므로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②는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으므로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전치사가 앞에 왔는데도 관계대명사를 생략했기 때문에 ③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는 생략가능하다.
단,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있을 때는 생략할 수 없다.

제한적 관계대명사


2.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함께 생략

일반적으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단독으로 생략할 수 없습니다.

단,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be 동사가 함께 오는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 be 동사'를 한 번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그녀는 그의 아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길을 따라 떠나는)

관계대명사 + be 동사 생략

 

②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  관계대명사만 생략 안됨

 

③ She was waving to his son who (was) leaving along the road.

→  be 동사만 생략 안됨

 

①-③에서 보듯이 ‘주격관계대명사+be 동사’는 한꺼번에 생략해야 합니다. 주어만 생략하거나 be동사만 생략하면 안 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와 be 동사는 한꺼번에 생략 할 수 있다.

 

구어의 경우,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 구문을 생략하는 것이 훨씬 더 간결한 표현입니다.

주격관계대명사 + be 동사


3. There 구문에서 주격 관계대명사 생략

원칙적으로 주격관계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회화에서는, "존재를 나타내는 there 구문"에서 주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이는 구어체에서 볼 수 있는 예외적인 표현입니다.

 

There are people (who) believe Elvis is alive.

    (믿는 사람들이 있다/ 엘비스가 살아 있다고)

주격 관계대명사 who 생략

 

There's a stream (which) runs through our town.

    (개울이 있다/ 우리 마을을 통해 흐르는)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생략

 

①, ②번에서 보듯이 "there 구문"과 함께 쓰인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구어에서 볼 수 있는 문장이지만, 글에서는 관계대명사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구어체에서 "there 구문"과 함께 쓰인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다.

there 주격 관계대명사


4. 관계대명사 생략 핵심 정리

위에서 공부했던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유형 생략 가능 여부 조건
제한적 용법 + 목적격 ✅ 생략 가능 목적격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 함께 생략 가능 주격 관계대명사와 be 동사 동시 생략
주격 관계대명사 ❌ 원칙적으로 생략 불가능 there 구문 예외 (구어체에서 한정적 허용)

 

5.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생략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생략 연습문제 정답.pdf
0.23MB

 

 

그럼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생략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8 07:09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