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차이점 정리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철자나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는 단어들이 자주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볼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은 언뜻보면 같은 글자라고 생각할 정도로 철자가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들은 의미가 각각 다르므로 명확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많이 봤지만 선뜻 확신이 서지 않는 이 녀석들의 의미와 품사,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네 단어 의미정리

2. 예문으로 익히는 네 단어

3. 비슷한 의미 단어들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네 단어 의미정리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네 단어들의 품사와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어 품사 핵심 의미
though 접속사 비록 ~이지만
through 전치사 / 부사 ~을 통하여, 꿰뚫어
thorough 형용사 철저한, 빈틈없는
throughout 전치사 / 부사 ~내내, 전 구간

2. 예문으로 익히는 네 단어

단어의 의미와 용법을 익히는데는 예문이 최고입니다.

각 단어가 사용된 간결한 예문들을 보면서 의미를 정확히 익혀 봅시다.

 

2-1. though (도우) 
      비록 ~이지만

ex) Though she is my daughter, she acts like my boss.

→  비록 내 딸이지만, 그녀는 내 보스처럼 행동한다.

 

2-2. through (쓰루-) 

      ~을 통해서

ex) My wife sees through my mind.

→  내 아내는 내 마음을 꿰뚫어 본다.

though, through

 

2-3. thorough (써로우-)

       철저한, 빈틈없는

ex) I gave my house thorough cleaning.

→  나는 집을 철저히 청소했다.

 

4. throughout  (쓰루-아웃)

    내내 (죽~)

ex) My son played video game throughout the day.

→  내 아들은 컴퓨터 게임을 했다/ 하루 종일.

thorough, throughout


3. 비슷한 의미 단어들

 

  • though vs. although
    두 단어는 의미가 거의 같으나 although가 다소 격식 · 문어적인 뉘앙스를 지닙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대부분 although 대신 though를 쓰는 추세입니다.
  • through vs. across
    through는 "내부를 관통하는 것",  across는 "표면을 가로지르는" 의미가 강조됩니다.

  • thorough vs. throughout
    thorough는 “철저한 상태”, throughout은 “기간/공간 전체”를 의미합니다.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 “비록”이 문장 끝에 올 때는 though와 although 중 무엇을 써야 하나요?
A. 구어체에서는 문장 끝에 though를 자주 씁니다. although는 문장 끝에서 잘 쓰이지 않습니다.

→  It’s expensive, though.

 

Q. “~내내” 대신 all day를 써도 되나요?
A. 네, 의미상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throughout the day가 조금 더 격식 있게 들립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연습문제.pdf
0.16MB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though, through, thorough, throughout"의 차이를 확실히 정리하셨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영어 표현이나 헷갈리는 단어가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 주세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8 by Song SSam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이번 시간에는 많은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명사보어와 형용사 보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축하드립니다. 이 정도 문법까지 찾아 보실 정도라면 상당한 영어 실력을 가지신 분일테니까요. (^^)

 

우리는 한국말을 잘 합니다.그렇지만 "보어"에 대하여 설명할라치면 힘들어 합니다. 하물며 영어로 보어를 설명하는 것이야 두말할 여지없이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영어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 두셔야 합니다. 여기 저기서 반복되지만 제대로 설명이 되어 있지 않은 문법이라서 그렇습니다.

 

동영상을 보고, 읽어 보고, 그래도 헷갈리면 댓글이나 메일을 남겨 주세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격보어란?

2. 명사 보어

3. 형용사 보어

4.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쉽게 구별하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명사 보어와 형용사 보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어, 특히 주격보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1. 주격보어란?

보어란 보충(설명) 해주는 말입니다. 영어의 보어에는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가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격 보어는 주어를 보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말입니다. 주격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 두 가지입니다. 

주격 보어: 주어를 보충하는 명사나 형용사

 

명사와 형용사 둘 다 보어가 될 수 있지만 둘의 역할은 다릅니다.


2. 명사 보어

명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 "명사 보어"라고 합니다.

다음 예문에서 명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주어와의 관계를 살펴 봅시다.

 

(1) My dream / is / going to Paris.
      내 꿈은 파리에 가는 것이다.

→  "going to Paris"는 주격 보어.

→  "My dream" = "going to Paris"

 

예문에서 주어인 "My dream"과 주격보어인 "going to Paris"는 같습니다. 다음과 같이 주어와 주격보어를 바꾸어 놓아도 말이 됩니다.

 

(1-1) Going to Paris / is / my dream.

         파리에 가는 것은 나의 꿈이다.

 

이처럼 주격보어가 주어와 실제로 같으면 "명사 보어"라고 합니다. (1)번 예문에서 주격 보어인 "going to Paris"는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입니다.

명사 주격 보어: 주어와 실제로 같다. 

명사 주격 보어

 


3. 형용사 보어

형용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 "형용사 보어"라고 합니다.

눈치 빠른 분들이라면 짐작하셨겠지만 형용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는 주어를 설명할 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 am / going to Paris.                (I  going to Paris)

    (나는 가고 있다/ 파리로.)

→  "going to Paris"는 주격 보어.

→  I going to Paris

 

주격 보어인 "going to Paris"는 주어 'I'의 행위를 설명할 뿐입니다. 명사 보어에서 처럼 주어과 실제로 같지 않습니다. 주어와 주격 보어를 바꾸어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1-1) Going to Paris is I.

         (파리에 가는 것은 나다. ???)

 

"파리에 가는 것"과 "사람인 나"가 같을 수 없습니다. 즉, 형용사 보어는 주어와 실제로 같지 않고 보충 설명할 뿐입니다. 

형용사 주격 보어: 주어와 실제로 같지는 않다.

형용사 보어


4.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쉽게 구별하기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를 구별하려면 결국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어와 보어를 파악할 수 있는 문장 분석 실력도 필요합니다. 그래서 명사 보어와 형용사 보어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아무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지침을 이용해 주격 보어의 품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주어 = 보어 ➡️ 명사보어
  • 주어 보어 (주어의 상태나 특징 설명) ➡️ 형용사보어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명사보어 형용사보어 연습문제.pdf
0.16MB
명사보어 형용사보어 연습문제 정답.pdf
0.17MB

 

 

이상으로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4 10:37 by Song SSam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 명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to 부정사에서도 대표적인 용법이니 확실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내용입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란?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3.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4.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란?

영어 문장에서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도 명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얻을 수 있습니다.

 

  • to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할 때.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라고 한다.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 작문과 회화에서 매우 빈번하게 쓰이므로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주의

명사 외에 형용사도 보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위 규칙은 사실 약간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공부하는 데는충분합니다. 혹시라도 끝까지 파헤치고 싶은 용감한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때

명사적 용법: 주어, 목적어, 보어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문과 함께 봅시다.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이는 경우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차례대로 살펴 봅시다.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서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1) To eat is my pleasure.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2) It is my pleasure to eat.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 (가주어 it, 진주어 to 부정사)

to 부정사가 주어 역할: 명사적 용법

 

참고

영어는 유별나게 긴 주어를 싫어하는 언어입니다. 우리말에는 없는 가주어(it)만 봐도 그렇습니다. 이러한 긴 주어 기피경향 때문에 주어 자리에 오는 to 부정사는 맨 뒤로 보내버립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가주어(형식주어)인 it을 씁니다. (1), (2)번 같이 to 부정사만 있는 짧은 경우라면 굳이 가주어를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to 부정사 주어가 길어지면 가주어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ex) To eat delicious food with my friends at a cozy restaurant is my pleasure.

→  It is my pleasure to eat delicious food with my friends at a cozy restaurant.

 

일부러 주어를 엿가락처럼 늘인 문장이지만 무슨 말인지 감은 잡으셨을 겁니다.


3.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동사 뒤에서 주어를 설명합니다. 이 때 to 부정사는 주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to 부정사를 주어와 바꿔 써도 말이 됩니다. 명사보어의 특징입니다.

 

(1) My pleasure is to eat.
     나의 즐거움은 먹는 것이다.

→ (to eat는 주어 My peasure를 설명하는 주격보어)

 

이 문장에서 주어와 보어 자리를 바꿔 보겠습니다.

(1-1) To eat  is My pleasure.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 내용상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일 때: 명사적 용법

 

주의

그런데 to 부정사가 형용사 보어 역할을 할 때는 주어와 보어를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형용사 보어

(2) You are to eat less.

      (너, 좀 적게 먹어야 해.)

→  you ≠ to eat

 

형용사 보어인 "to eat"는 주어 "you"와 같지 않습니다. 주어와 보어를 바꾸어 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2-1) To eat less is you.

         적게 먹는 것이 너다.

         (?????????????)

형용사 보어는 이와 같이 주어를 설명하지만 주어와 같지는 않습니다.

이쯤해서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서 다시 링크갑니다.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to 부정사가 형용사 보어일 때: 주어와 바꾸어 쓸 수 없다.

4.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타동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to 부정사는 명사로 쓰였습니다.

 

ex) I love to eat.
      나는 먹는 것을 좋아한다.

to 부정사는 타동사 love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명사적 용법입니다.

to 부정사가 목적어 역할: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를 목적어 취하는 동사들"에서 배웠던 그 to 부정사 용법입니다. 다음과 같은 동사들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는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적 용법입니다.

유형 to 부정사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들
소망/의도 want, hope, wish, intend, plan, decide, aim
약속/동의 promise, agree, refuse, consent, swear, undertake
시도/노력 try, attempt, manage, strive, seek, endeavor
기대/요구 expect, demand, ask, request, require
선택/결정 choose, decide, elect, opt
제공/제안 offer, volunteer, propose
기타 learn, afford, prepare, fail, tend, deserve, pretend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부정사 명사적 용법 연습문제.pdf
0.16MB
부정사 명사적 용법 연습문제 정답.pdf
0.22MB


그럼 이상으로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19:29 by Song SSam  

 

 
부정사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to 부정사'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7.04
most, most of, mostly, almost 차이

most, most of, mostly, almost

most, most of, mostly, almost의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헷갈려 하는 표현 중 하나인 most, most of, mostly, almost의 차이를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 네 표현은 모두 한국어로 ‘거의’, ‘대부분’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각 표현의 품사와 정확한 용법은 크게 다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정리

2.  most

3. most of

4. mostly

5. almost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 정리

이 네 단어는 우리 말로 ‘거의, 대부분’으로 해석 됩니다. 먼저 네 단어의 용법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표 아래 가로 스크롤 바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티스토리를 10년 넘게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HTML을 상당히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거든요.)

표현 품사 의미 정확한 용법
most 형용사 대부분의 most + 명사 (바로 명사 앞에 쓰임)
ex) most students
most 부사 가장 most + 형용사/부사 (최상급 의미)
ex) most beautiful
most of 대명사 ~의 대부분 most of + 한정사(관사, 소유격, 지시사) + 명사
ex) most of the people
mostly 부사 주로, 대개 mostly + 동사/형용사/부사/문장 전체
ex) mostly sunny
almost 부사 거의 almost + 수량 표현(all, every, any, always 등)
ex) almost all the money

 

각 단어별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most 부터 시작합시다.

 

2. most
형용사일 때는 "대부분의", 부사일 때는 "가장"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2-1. 형용사
most는 바로 다음에 수식받는 명사나 형용사가 옵니다. 즉 명사를 직접 수식할 때 사용합니다.

  • He took most money.  
    (그가 대부분의 돈을 가져갔다.)
    명사 money 수식

  • Most students passed the exam.
    (대부분의 학생들이 시험에 통과했다.)
    명사 students 수식

2-2. 부사

most는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최상급으로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He is most greedy.
    ( 그가 가장 탐욕스럽다.)
    → 형용사 greedy 수식

  • She is the most talented singer here
    (그녀는 이곳에서 가장 재능 있는 가수이다.)
    → 형용사 talented 수식

most 형용사, 부사


3. most of

"most of"는 대명사로서 "대부분"이라는 이미를 갖습니다. 명사를 곧바로 수식할 없으며, "most of + 한정사 + 명사"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 한정사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한정사 (관사, 지시사, 소유격) (핵심정리 094)

 

  • Most of the people liked the movie.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영화를 좋아했다.)

  • Most of the friends don't like this greedy man. 
    (내 친구들 대부분은 해외에 산다.)

most of 한정사


4. mostly

mostly는 "주로, 대개"의 뜻을 가집니다. mostly는 부사로서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꾸밉니다.

  • He is mostly greedy about money. 
    (그는 주로 탐욕스럽다/ 돈에 대해서.) 

    → 형용사 greedy 수식

  • He mostly works from home.
    (그는 주로 재택근무를 한다.)
    동사 works 수식

  • Mostly, she eats healthy food.
    ( 그녀는 주로 건강한 음식을 먹는다.)
    문장 전체 수식

mostly 부사


5. almost

almost는 부사로서 "거의"라는 뜻을 가지며 명사를 직접 수식할 수 없습니다. almost always 명사, almost any 명사, almost every 명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즉 항상 수량 표현(all, any, every, always 등)을 동반합니다.

 

  • He tries to keep almost all the money.
    ( 그는 거의 모든 돈을 가지려고 애쓴다.)

  • He drinks coffee almost every day.
    (그는 거의 매일 커피를 마신다.)
  • You can buy almost any book online.
    ( 당신은 거의 모든 책을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

almost

 

 자, 다들 감은 잡았을 겁니다. 워낙 헷갈리는 녀석들이라 한두번 봐서는 금새 잊어 버립니다. 예문을 보면서 반복해서 의식적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일단 이해를 했으면 다음에는 반복이 왕도입니다. (더 나이들면 반복해도 힘듭니다요 ㅠㅠ)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most mostly almost 연습문제.pdf
0.30MB
most mostly almost 연습문제 정답.pdf
0.31MB

 

 

이상으로 most, most of, mostly, almo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another, other, others 구별

another, other, others

another, other, others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다른’을 의미하는 another, other, others의 용법과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말로는 "다른"이라고 해석되는 바람에 무척이나 헷갈리는 말들입니다. 정확한 사용법을 익혀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용법정리

2. another + 단순명사

3. other + 복수명사

4. others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용법 정리

another, other, others는 문장에서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이들 표현 다음에 오는 명사의 단수 복수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another + 단수명사, 복수명사
  • other + 복수명사
  • others(명사) : 다른 사람들

용법 정리


순서대로 살펴 보겠습니다.

2. another + 단수 명사, 복수 명사

본적으로 another 다음에는 단수명사가 옵니다. 해석은 "다른, 또 다른"이 됩니다. 

  • another + 단수
    another chance, another book

그렇지만 another 다음에 수사가 올 때는 복수 명사를 취할 수도 있습니다

  • another + 복수
    A: Do you want to have another drink?
        
    (한 잔 더 할래?
    B: Another drink?
        
    (한 잔 더?)
      
    No, I want to have another three drinks!
        
    (천만에, 세 잔 더해야 겠어!)

another + 단수, 복수


3. other + 복수 명사

other는 보통 복수 명사와 결합하여 “다른 여러 개”를 뜻합니다.

 

other: 다른 여러 개

 

  • other questions, other options
  • "Do you have any other questions?"
    (다른 질문들이 있나요?)

other + 복수


4. 대명사 others

others는 사람을 지칭하는 대명사로서 “다른 사람들”이라는 뜻입니다. 이 때 others는 "other people"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others: 다른 사람들 (other people)

  • You should be kind to the others.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해야 한다)

others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another other others 연습문제.pdf
0.25MB
another other others 연습문제 정답.pdf
0.37MB

 

 

이상으로 another, other, other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2025년 4월 15일 업데이트 by Song SSam -

5형식 목적보어 동영상

5형식 목적보어

5형식 목적보어|동사원형과 현재분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문장의 핵심 구조 중 하나인 5형식 문장에서 목적보어 자리에 오는 동사원형과 현재분사(~ing)의 차이를 예문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두 형태가 비슷해 보여 혼동될 수 있는데, 이번 기회에 명확하게 정리하고 넘어갑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5형식 목적보어란?

2. 목적보어가 동사원형일 때 

3. 목적보어가 현재분사(~ing)일 때

4. 동사원형 vs 현재분사(~ing)

5. 추가 예문과 핵심 정리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5형식 목적보어란?

5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로 구성됩니다. 여기에서 목적보어(Object Complement)는 목적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하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목적보어 자리에 올 수 있는 형태는 명사, 형용사, 동사, 그리고 분사 등 다양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원형현재분사(~ing)가 올  때 의미차이를 살펴 보겠습니다.


2. 목적보어가 동사원형일 때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을 쓰면 일반적인 진술이나 행위가 처음부터 끝까지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문:

  • I saw a cat cross the street.
    (나는 고양이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
    –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 뉘앙스

  • I heard her sing a song.
    (나는 그녀가 노래 한 곡을 부르는 것을 들었다.)
    – 노래 전체를 다 들은 느낌

3. 목적보어가 현재분사(~ing)일 때

목적보어 자리에 현재분사(~ing)를 쓰면 동작이 진행 중이거나, 그 순간의 생생한 장면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예문:

  • I saw a cat crossing the street.
    (나는 고양이가 길을 건너고 있는 중인 것을 보았다.)
    – 순간적인 진행 강조

I heard her singing a song.
(나는 그녀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 것을 들었다.)
– 노래 중간의 한 장면을 들은 느낌


4. 동사원형 vs 현재분사(~ing), 미묘한 차이

사실 위의 두 경우는 의미가 거의 비슷합니다. 실생활에서는 큰 차이가 없이 둘 다 많이 사용됩니다. 굳이 차이를 구별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동사원형 목적보어:
    행동 전체, 일반적인 사실 강조 (사진 같은 정적인 이미지)

  • 현재분사(~ing) 목적보어:
    행동의 진행과 순간의 역동성 강조 (동영상 같은 움직이는 이미지)

쉽게 말해,

동사원형은 "사진 찍듯 한 번에 보는 느낌"

현재분사(~ing)는 "동영상을 찍듯 생생하게 보는 느낌"


이라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동사원형 vs 현재분사


5. 추가 예문과 핵심 정리

좀 더 많은 예문으로 두 표현의 느낌을 이해해 봅시다.

  • I watched him dance.
    (나는 그가 춤추는 것을 보았다.)
    – 전체적인 모습

  • I watched him dancing.
    (나는 그가 춤추고 있는 중인 것을 보았다.)
    – 진행되는 모습

  • We noticed the boy cross the road.
    (우리는 소년이 길을 건너는 것을 알아챘다.)
    – 건너는 동작 전체

  • We noticed the boy crossing the road.
    (우리는 소년이 길을 건너고 있는 중인 것을 알아챘다.)
    – 진행 중의 순간 포착

사실 원어민들도 헷갈리는 표현이라 감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당연히 한국 영어 시험에서는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이 오는지 "현재분사"가 오는지 구별하는 문제는 나오지 않습니다. 단지 수준 높은 영어실력을 쌓기위해 공부하는 측면이 강합니다.

 

아무튼 위에서 공부했던 것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핵심 정리

목적보어가 동사원형일 때
→ 동작의 전체적인 모습 강조 (사진 느낌 📸)

목적보어가 현재분사(~ing)일 때
→  동작의 진행 중인 생생함 강조 (동영상 느낌 🎬)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pdf
0.28MB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 - 정답.pdf
0.33MB

 

이상으로 5형식 목적보어|동사원형과 현재분사(~ing)의 의미 차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쓴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간략하게 담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내신과 문법과 수능 독해에서 자주 등장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을 예문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형용사의 역할

2. 명사 + to 부정사

3. (-thing, -body, -one) + to 부정사

4. (It is time) + to 부정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형용사의 역할

to 부정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할 때는 기본적으로,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입니다.

 

명사수식

  • She is a kind person.
    (그녀는 친절한 사람이다.)
    → 명사(person)를 수식

보어 역할

  • She is kind.
    (그녀는 친절하다.)
    → 주어(she)를 설명하는 보어로 사용

이 글에서는 특히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명사수식, 보어

 


2. 명사 + to 부정사

to 부정사는 주로 명사 뒤에서 그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이때 의미는 주로 ‘~할’, ‘~하는’ 정도로 해석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 I need a friend to trust.
    (나는 필요하다/ 믿을 친구가)

  • We don't have money to buy a new house.
    ( 우리는 돈이 없다/ 집을 )

  두 문장에서 to trust와 to buy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2. [-thing, -body, -one + to 부정사] 형태

to 부정사는 -thing, -body, -one으로 끝나는 대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The boys need something to eat.

    (그 소년들은 필요하다/ 무언가 먹을 것이)

 

(2) You need somebody to turn to.

    (당신은 필요하다/ 누군가 의지할 사람이)

 

(3) Is there anyone to love me?

    (어떤 사람이 있을까/ 나를 사랑할?)

 

"-thing, -body, -on"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는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thing, body, one


3. [It is time + to 부정사] 형태 

‘It is time to 부정사’에서 to 부정사는 time을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It is high time은 우리말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이제 ~할 때이다."
  • "진작에 ~했어야 할 때이다."
  • "정말로 ~해야 할 때이다."

high가 들어감으로써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 '아주 급한 상황'이라는 뉘앙스가 강조됩니다.

 

다음은 It is high time to 부정사 예문입니다. 

 

(1) It is about time to stop smoking.

    (이제 담배 끊을 때다)

 

(2) It is good time to love.

    (사랑하기 좋은 시간이다)

 

위 문장들에서 to 부정사는 명사 time을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It is high time to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연습문제.pdf
0.26MB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연습문제 - 정답.pdf
0.30MB


 

지금까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쓴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간략하게 담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arise, arouse 동영상

 

arise arouse

arise, arouse 의미 정리

 

많은 사람들이 영어 공부를 할 때 특히 헷갈려하는 단어로 arisearouse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간결한 예문과 함께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rise vs arouse 간단 정리

2. 자동사 arise vs 타동사 arouse

3. arise, arouse 예문

4. 관련 표현 정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1. arise vs arouse 간단 정리

먼저 arise, arouse의 의미와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1) arise (자동사)

  • 뜻 : 발생하다, 일어나다
  • 시제 : arise – arose – arisen
  • 특징 : 목적어가 필요 없음

(2) arouse (타동사)

  • 뜻 : (감정 등을) 불러일으키다, 자극하다
  • 시제 : arouse – aroused – aroused
  • 특징 : 반드시 목적어가 필요함

2. 자동사 arise vs 타동사 arouse

  • arise는 자동사이므로, 동사 뒤에 곧바로 목적어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주로 감정, 상황, 문제 등이 '스스로 발생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ex) Problems arose suddenly.
          갑자기 문제가 발생했다.
  • arouse는 타동사이므로 반드시 목적어 명사를 필요로 합니다. arouse 다음에는 감정이나 반응 등을 '일으키는 대상'이 명시적으로 나타납니다.
    ex) His speech aroused curiosity.
         그의 연설이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3. arise, arouse 예문

두 단어의 차이를 잘 드러내는 예문을 봅시다. 자동사 arise 다음에 명사가 없는 것과, 타동사 arouse 다음에 명사가 오는 것에 주의하세요.

 

(1) A fiery anger arose in him.
     그의 내면에서 불같은 분노가 발생했다.

 

(2) Her betrayal aroused his anger.  (his anger는 목적어)
      그녀의 배신이 그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3) New opportunities (arose, aroused) in the digital age.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기회들이 발생했다.

 

(4) New opportunities (arouse, aroused) young people.  (young people은 목적어)
     새로운 기회들이 젊은이들을 자극했다.

 

(3)번에서는 arose를 써야합니다. 동사 뒤에 목적어 명사가 없으므로 자동사가 와야 합니다.

4번에서는 aroused를 써야합니다. 목적어 young people이 있기 때문에 타동사 와야 합니다.

 


 

4. 관련 표현 정리

  • arise와 occur의 차이점:
    두 단어 모두 '발생하다'는 의미이지만, arise는 문제, 사건, 기회 등 다소 추상적인 대상에 쓰이고, occur는 좀 더 폭넓고 일반적인 상황에 쓰입니다.
  • arouse와 provoke, stimulate의 차이점:
    세 단어 모두 감정이나 반응을 일으킬 때 사용됩니다. arouse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감정에도 사용되며, provoke는 정적인 반응(분노, 논란 등)을 자극할 때 주로 쓰이고, stimulate는 주로 긍정적인 자극이나 활성화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법:
자동사(in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가지지 않고, 타동사(transitive verb)는 반드시 목적어가 뒤에 와야 합니다


5. 연습문제

위에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 문제 pdf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arise arouse 구별 문제.pdf
0.26MB
arise arouse 구별 문제 - 정답.pdf
0.27MB

 

 

이상으로 arise, arous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는 부사 정리

영어 현재완료(have + 과거분사)는 한국어에 없는 시제라서 많은 분들이 어려워합니다. 특히 현재완료와 과거 시제를 혼동하기 쉽고, 잘못된 부사를 함께 쓰는 실수가 흔히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완료와 절대로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부사를 예문과 함께 명확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글이 끝나는 부분에 "현재 완료와 함께 쓸 수 없는 부사" 연습문제와 정답 파일이 있습니다. 본문 내용을 읽어 본 다음에 문제와 해설을 다운 받아서 풀어 보세요.

 

시작합시다!

 

글 내용
1. 명백한 과거부사는 현재완료와 쓸 수 없다.
2. 현재완료에서 절대 사용하면 안 되는 과거 부사
3. 현재완료에서 when을 쓸 수 없는 이유
4. 현재완료 문법, 왜 어려운 걸까?
자주 묻는 질문(FAQ)
문제 다운로드


1. 명백한 과거부사는 현재완료와 쓸 수 없다.

현재완료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결된 상황을 나타내는 '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확히 끝난 시점을 나타내는 과거부사는 '점'이기 때문에, 둘은 논리적으로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설명을 봐도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규칙을 적용해 봅시다.

 

잘못된 문장:

ex) He has come here yesterday. (X)

위 문장에서 현재완료(has come)와 과거부사(yesterday)가 같이 쓰였습니다. 이것은 틀린 문장으로, 올바른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올바른 문장:

ex)  He came here yesterday. (O)

 

yesterday는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므로 과거와 함께 써야 합니다. 현재완료는 함께 쓸 수 없습니다.


2. 현재완료에서 절대 사용하면 안 되는 과거 부사

다음의 부사들은 명백한 과거 시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 yesterday
  • ago
  • last night
  • last week / month / year
  • then
  • 특정 과거 연도(in 2014 등)

위의 부사들은 반드시 과거형과 함께 써야 합니다.


3. 현재완료에서 when을 쓸 수 없는 이유

when 역시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when은 특정한 한 시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현재완료가 나타내는 지속되는 시간과 논리적 모순을 일으킵니다.

 

잘못된 문장:

ex) When have you come? (X)

 

올바른 문장으로 고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올바른 문장:

ex) When did you come? (O)


4. 현재완료 문법, 왜 어려운 걸까?

현재완료는 한국어에는 없는 개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완벽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당연합니다. 문법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연스럽게 느껴질 때까지 자주 사용해서 익숙해져야 합니다. 우리 말에 없는 표현이기 때문에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부사들은 암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영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며, 실제 영어회화에서도 흔히 틀리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현재완료는 어떤 상황에서 쓰나요?
A. 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거나, 현재에 영향을 주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Q. 현재완료와 과거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현재완료는 과거의 일이 현재와 연결될 때 사용하고, 과거형은 명확히 끝난 과거의 사건이나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현재완료 시제가 까다롭게 느껴지겠지만, 위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 설명한 부사들은 반드시 기억하세요.



 

문제 다운로드

아래 문제와 해설은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는 부사"를 중심으로, 시제를 정확히 익히기 위한 연습 자료입니다. 첨부된 PDF 또는 문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자유롭게 학습하세요.

현재 완료와 쓸 수 없는 부사들 문제.pdf
0.27MB
현재 완료와 쓸 수 없는 부사들 - 정답 및 간단 해설.pdf
0.26MB

 

 

다음은 제가 쓴 "현재 완료 직전 정리"입니다. 현재 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만 골라서 간략하게 설명습니다. 한 번 보세요.

 

since와 from의 정확한 차이를 쉽게 익혀보자

 

 

이번 시간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since, from을 공부하겠습니다.

 

since와 from은 둘 우리 말로는 둘 다 '~부터'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두 단어는 쓰이는 상황과 문법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습니다.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보겠습니다.

 

since, from

먼저 기본적인 의미를 보겠습니다.

1. since ~ 이후로

   과거의 특정한 때로부터 현재까지 계속

   (주로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

 

2. from ~로부터

   시작점과 끝점이 존재함

   (시제 가리지 않음)

 

정의만 봐서는 아직 막연합니다.

예문을 보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봅시다.

시작점과 끝점에 주의하면서 예문을 봅시다.

1. since 

ex) Since last Monday, I have worked overtime.

    (지난 월요일 이후로, 나는 초과근무를 해오고 있다.)

지난 월요일 이후 지금도 계속하고 있으므로 since를 썼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시작 시점만 제시되었다는 점입니다. 끝점은 따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2. from 

ex) From last Monday to yesterday, I worked over time.

    (지난 월요일부터 어제까지, 나는 초과근무를 했다.)

시작점 -지난 월요일 (Last Monday)-과 끝점 -어제(yesterday)-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from을 썼습니다. from을 쓸 때는 반드시 시작점과 끝점이 함께 등장합니다. 

 

예문을 좀 더 봅시다.

 

3. We have been discussing the problem (from / since) 10 a.m.

   (우리는 그 문제를 토론해 오고 있다/ 10시 이후로 계속)

4. We'll have another discussion (from, since) 10 a.m to 12 p.m.

   (우리는 또 한 번 토론할 것이다/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3번은 since를 써야 합니다. 

시제가 현재완료이고, 끝점이 없이 지금도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4번은 from을 써야 합니다. 

12시까지(to 12 a.m)라는 끝점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5. I've lived in Busan (from / since) I was born.
    (나는 태어난 이후로 부산에 살고 있다.)

   정답: since

   태어난 시점부터 지금까지 부산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시작 시점만 뜻하는 since를 씁니다.

6. The library is open (from / since) 9 a.m. to 5 p.m. on weekdays.
    (도서관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합니다.)

   정답: from

   개방 시간이 명확히 9시(시작점)에서 5시(끝점)까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from을 사용합니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since, from 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since
    • 주로 현재완료(have p.p.) 또는 현재완료 진행형(have been ~ing)과 사용
    • 시작 시점만 나타내고, 끝점이 없다.
  • from
    • 주로 일반 과거 또는 미래 시제와 사용
    • 반드시 시작점과 끝점이 함께 나타난다.

 

지금까지 since와 from의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헷갈리는 영어 단어쌍 67"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보는 헷갈리는 단어들을 골라서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Since, for

 

 

since와 for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현재완료 또는 현재완료진행형과 함께 자주 사용합니다.두 단어의 기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ince: ~이후로 계속

for   : ~ 동안


since는 특정한 시점이나 사건 이후 계속된 시간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가게 상호에 흔히  쓰이는 "since 2013"이 대표적입니다. 2013년 이후로 계속 사업 중임을 의미합니다. for는 특정한 기간이나 숫자가 와서 계속된 시간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보며 감을 익혀 봅시다.

(1) The Beatles has been popular since their debut.

    (비틀즈는 인기가 있다/ 데뷔한 이후로)
     비틀즈가 처음 등장한 특정 시점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인기가 있기 때문에 since를 씁니다.

 

(2) I have been listening to Beethoven for 5 hours.

    (나는 베토벤을 듣고 있다/ 다섯시간 동안.)

    음악을 듣는 행위가 '5시간이라는 기간' 동안 계속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for를 씁니다.

 

 

현재완료 진행형

since, for는 현재완료 진행형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현재완료 진행형이란 "과거에서 시작된 동작이 현재까지 계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동작의 계속" 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ex) She has been running since 6 in the morning.
     그녀는 아침 6시부터 계속 뛰고 있다.

  • 특정 시점(오전 6시)을 기준으로 뛰는 동작이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 현재완료진행형을 사용했습니다.

ex) They have been working on the project for two months.
      그들은 두 달 동안 계속 프로젝트 작업을 하고 있다.

  • '두 달 동안'이라는 기간 동안 행동이 지속되었으므로 for를 사용했습니다. 역시 현재까지 계속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since와 for는 특히 개인적인 경험이나 일상적인 활동을 표현할 때 특히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ex) I’ve been following her channel since 2021.
     나는 2021년부터 계속 그녀의 채널을 팔로우하고 있다.

  • 특정 시점(2021년)부터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냅니다.

ex) He’s been vegan for three years now.
     그는 이제 3년째 계속 비건이다.

  • ‘3년’이라는 구체적 기간 동안 계속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럼 이상으로 현재완료 since, fo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현재완료 직전정리"입니다. 현재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해 두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like, alike, likely

like, alike, likely

like, alike, likely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like, alike, likely"는 우리 말로 "~와 같은" 입니다. 그렇지만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용법도

 

이번 글에서는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like, alike, likely의 차이점과 정확한 사용법을 간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like, alike, likey 의미 정리

2. 전치사 like 의미와 용법

3. alike 의미와 용법

4. likely 의미와 용법

5. 추가 예문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like, alike, likey 의미 정리

먼저 각 단어별 의미와 용법을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휴대폰에서는 표 아래 스크롤 바를 이용하세요. 

 

단어 품사 의미 용법
like 전치사 ~와 같은 like + 명사
alike 형용사 비슷한 be + alike
부사 똑같이 동사 수식
likely 형용사 가능성이 큰 likely + 명사
형용사 ~할 것 같다 be likely to + 동사 (또는 that 절)

2. 전치사 like 의미와 용법

여기서 like는 전치사로서 "~와 같은" 입니다.

 

ex) My son is like me.

      (내 아들은 나를 닮았다.

Like는 전치사이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like 전치사


3. alike 의미와 용법

alike는 형용사와 부사로 사용됩니다.

 

3-1. alike 형용사

alike는 형용사로서 "비슷한" 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이때 alike는 주로 be동사 다음에서 쓰이고, 명사를 앞에서 수식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alike 다음에는 명사가 바로 올 수 없습니다.

 

ex) My son and I are alike.
      (내 아들과 나는 닮았다.)

 

  • 틀림: alike son
             alike는 명사 앞에 올 수 없습니다.
  • 옳음: My son and I are alike.
             be alike는 가능합니다.
alike 형용사: 비슷한

3-2. alike 부사

부사로 쓰인 alike는 동사를 수식하며 "똑같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ex) I treat my son and daughter alike.

     (나는 내 아들과 딸을 똑같이 대우한다)

alike 부사: 똑같이

4.  likely 의미와 용법

likely는 형용사로서 "가능성이 큰, ~할 것 같은"의 뜻을 갖습니다.

 

4-1. likely: 가능성이 큰, ~할 것 같은

"likely + 명사" 형태로 "가능성이 큰"의 뜻을 갖습니다. 

 

ex) This is the most likely solution. 

     (이것이 가장 가능성이 큰 해결책이다.)

alike


4-2. likely (that): ~할 것 같다.

"be likely to, be likely that"의 형태로 "~할 것 같다"는 뜻을 갖습니다.

 

ex) My son is likely to be a good husband.

     (내 아들은 좋은 남편이 될 것 같다.)

likely


5. 추가 예문들

like (전치사)
She sings like an angel. (그녀는 천사처럼 노래한다.)
He behaves like a child. (그는 아이처럼 행동한다.)

alike (형용사)
The twins are very much alike.
(그 쌍둥이들은 아주 많이 닮았다.)

All the houses look alike.
(모든 집이 비슷해 보인다.)

alike (부사)
The policy affects everyone alike.
(이 정책은 모두에게 똑같이 영향을 준다.)

likely (형용사)
It's likely to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가능성이 크다.)

He's likely to win the match.
(그는 그 경기에서 이길 가능성이 크다.)

6.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like alike likely 연습문제.pdf
0.16MB
like alike likely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like, alike, likel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7 by Song SSam

 

 

제가 쓴 혼동되는 어휘를 설명한 책입니다. 독해에서 빈번하게 보는 헷갈리는 단어들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ce, from 차이  (5) 2025.04.04
since, for (현재완료의 계속)  (2) 2025.04.04
rise, raise 의미 차이  (3) 2013.09.30
cause, reason 의미차이  (2) 2013.05.31
enough to 용법  (4) 2013.05.28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rise, raise 차이



lie, lay 차이



find, found 차이




Check up


다음 괄호 안에서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The sun has already [raised / risen] in the sky.

   태양은 벌서 중천에 떠있다.


2. My mother [raised / rose] three kids alone.

   내 엄마는 홀로 세 아이들을 키우셨다.


3. The book [lay / laid] on the table.

   그 책은 탁자 위에 놓여있다.


4. He [lay / laid] the book on the table a minute ago.

   그는 1분 전에 탁자에 그 책을 놓았다.


5. She [lies / lays] about her age.

   그녀는 그녀의 나이를 속인다.


6. I [found / founded] the book under the desk.

   나는 책상 아래에서 그 책을 발견했다.


7. My grandfather [found / founded] our house.

   내 할아버지가 우리 집을 지으셨다.


8. The Han river [across / crosses] Korea.

   한강은 한국을 가로지른다.


9. There’s a bakery [cross / across] the street.

   길 건너에 빵집이 있다.

 

정답

1. risen     2. raised     3. lay      4. laid     5. lies    6. found     7. founded     

8. crosses  9. across

 


 그럼 이상으로 혼동하기 쉬운 단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cause, reason 차이




의미 정리


다음은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cause   원인

reason  이유


그렇지만 여전히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상황 1)


아내가 화가 나 있습니다. (결과)

남편이 아내에게 묻습니다.


남편: What's the reason for your anger?

       (화난 이유가 뭐야?)


아내: It's because your son spoiled the exam! (화난 원인)

      (왜냐하면 당신 아들이 시험을 망쳤거든!)


'시험을 망친 것'이 원인(cause)이고, '화(anger)'가 결과입니다. 그리고 화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의미차이


cause(원인)란 어떤 결과를 초래한 직접적인 사건입니다. reason(이유)이란 그 원인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상황 2


1. What is your reason for being late?

   (늦은 이유가 뭐니?)

   (늦은 원인을 설명해 봐라)


2. The traffic is the cause.

   (교통이 원인이었어요.)


'traffic(교통)'이 원인 되어 '늦은(late)'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자신이 늦은 것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cause는 사건의 원인, reason은 그 원인을 설명해 주는 것



Thanks for watching.




enough to 용법






용법 정리


enough to 부정사는 ‘to 부정사 하기에 충분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A enough to  구문을 절로 고치면,

 A enough to = so A that S can 이 됩니다. 


이것은 ’아주 A해서 ~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해석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enough to 구문은 'too ~ to' 구문과 반대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He is clever enough to obey his wife.

   (그는 충분히 영리하다/ 아내에게 복종할 정도로)


1번을 절로 고쳐보겠습니다.


2. He is so clever that he obeys his wife

   (He is so clever that he can obey his wife. 가능)

   '그는 아주 영리해서 아내에게 복종한다'가 됩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3. They were brave enough to face the strong enemy.

   (그들은 충분히 용감했다/ 적에게 맞설 정도로)


3번을 절로 고쳐보겠습니다.


4. They were so brave that they faced the strong enemy.

   (그들은 아주 용감해서 강한 적에게 맞섰다)




이상입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용법 정리


too (형용사, 부사) to 부정사는 ‘너무(아주) ~하다, ~하기에는’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것을 우리말로 의역한 것이 ‘아주 ~해서 ~할 수 없다라는 절이 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oo (형용사, 부사) to 부정사   (구)

so (형용사, 부사) that S can't  (절)


too ~to 구문에서는 부정어가 들어가지 않지만 so ~that S can't 절에서는 부정어 can't가 들어간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예문을 봅시다.


예문 1-2


1. This opportunity is too good to be true.

   (이 기회는 너무 좋아/ 사실이라고 하기에는)


절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2. This opportunity is so good that it can't be true.

   (이 기회는 너무 좋아서 사실일 리가 없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예문 3-4


3. The enemy was too tough to defeat.

    (적이 너무 터프했다/ 이기기에는)


절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4. The enemy was so tough that we couldn't defeat it.

   (적이 너무 터프해서 우리는 이길 수 없었다/ 그것을)





THANKS FOR YOUR WATCHING.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use, reason 의미차이  (2) 2013.05.31
enough to 용법  (4) 2013.05.28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2) 2013.05.25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예문을 보겠습니다.


~하기 위하여


1-1. We need mistakes to grow.

      (우리들은 실수가 필요하다/ 성장하기 위하여)


1-1번에서 to grow는 ‘성장하기 위하여 필요하다’이므로 ‘목적’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need)’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 역할을 합니다. 즉, 'to grow'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부정사는 같은 의미를 지닌 다양한 표현들로 바

꾸어 쓸 수 있습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to 부정사구


먼저 구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1-2. We need mistakes so as to grow.

1-3. We need mistakes in order to grow.


이 문장들의 의미는 1-1과 같습니다. 그렇지만 'so as to'는 문학에서나 쓰일법한 딱딱한 표현이고, 'in order to'는 격식을 갖춘 상황에 쓰이는 말입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절


리고 to 부정사구문 1-1은 절을 이용하여 바꿀 수도 있습니다.


1-4. We need mistakes that we can(may) grow.

1-5. We need mistakes so that we can(may) grow.

1-6. We need mistakes in order that we can(may) grow.


역시 의미는 1-1과 같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것은 절로 바꾸었을 때는 1-5(so that)절이 가장 많이 사용된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동사는 일반적으로 can을 많이 사용합니다.




예문을 더 들어보겠습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구: 추가 예문


2-1. He worked hard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기본형)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엄마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부정어 not의 위치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구로 바꾸기

2-2. He worked hard so as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2-3. He worked hard in order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부정어는 to 부정사 바로 앞에 옵니다.)

      (해석은 생략합니다.)




절로 바꾸기


(시제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주절이 과거이므로 조동사의 과거형을 썼습니다.)


2-4. He worked hard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2-5. He worked hard so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2-6. He worked hard in order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해석은 생략합니다.)




시간내서 봐주신 여러분.

GOOD LUCK!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ough to 용법  (4) 2013.05.28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1) 2013.05.26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ethics, moral, morale





의미 차이


우선 moral과 ethics를 보겠습니다.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moral   도덕, 도덕적인

 ethics   윤리




도덕과 윤리

(자발성과 강제성)


이 단어들은 우리말 자체가 어렵습니다. 보통 moral(도덕)과 ethics(윤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moral(도덕)은 개인의 양심과 관련이 있고 강제성이 없습니다.

2. ethics(윤리)는 사회시스템과 관련이 있고 강제성이 있습니다.


moral(도덕)이 없으면 욕먹고 끝납니다. 도덕적이지 않다고 처벌받지는 않습니다.

렇지만, ethics(윤리)가 없으면 처벌 받습니다. (변호사 윤리 위반으로 처벌 등)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 It's moral to help poor people.

   (그것은 도덕적이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안 돕는다고 처벌받지는 않습니다)


2. It's not ethical for a lawyer to reveal client's secrets.

   (그것은 윤리적이지 않다/ 변호사가 고객의 비밀을 누설하는 것은)

   (변호사 윤리 어기면 처벌 받습니다)


이렇게 moral과 ethics에는 개인성과 사회성, 그리고 자발성과 강제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morale


그리고 moral과 헷갈리는 단어가 morale입니다. 철자는 비슷하지만 morale은 사기(의욕)이라는 뜻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The morale is high on our team.

(사기가 높다/ 우리 팀은)


이와 같이 사용됩니다.




구별이 까다로운 말들인데 잘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1) 2013.05.26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2) 2013.05.25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sit, seat 차이  (12) 2013.05.19

rise, raise






단어

분류

 의미

 시제변화

 rise

 동사

 올라가다

 rise-rose-risen

 raise

 타동사

 올리다, 기르다

 raise-raised-raised



두 단어의 구별


rise는 자동사이므로 다음에 적어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raise는 타동사이므로 다음에 목적어 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The sun has already risen in the sky.

   (해가 이미 떴다/ 하늘에)


2. My mother raised three kids alone.

   (내 어머니는 세 아이를 키우셨다/ 혼자서)


위와 같이 쓰입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예문 3-4)


3. I (rose / raised) at seven this morning.

   (나는 아침 7시에 일어났다)


4. My wife (rose / raised) her voice.

   (내 아내는 높였다/ 목소리를)


3번에서는 자동사 rise의 과거 rose를 써야합니다. 뒤에 목적어 명사가 없기 때문입니다.

4번에서는 타동사 raise의 과거 raised룰 써야 합니다. 뒤에 목적어 명사(her voice)가 있기 때문입니다.




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2) 2013.05.25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sit, seat 차이  (12) 2013.05.19
lie, lay 차이  (8) 2013.05.15

find, found, founded 




이번 시간에는 find(찾다), found(세우다, 설립하다)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find, found는 동사의 시제 변화 형태를 잘 알아 두셔야 합니다


두 단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어

분류

 의미

 시제변화

 find

 타동사

 찾다, 발견하다

 find-found-found

 found

 타동사

 세우다, 설립하다

 found-founded-founded



find의 과거형 found인지, found의 현재형(원형)인지 문맥을 통해 구별하셔야 합니다. 



(예문 1-2)


1. I found what I liked.

   (나는 찾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2. I founded the company at my parent's garage.

   (나는 회사를 설립했다/ 내 아버지의 차고에서)


   위와 같이 사용됩니다.




found vs founded (예문 3-4)


4. I finally (found / founded) the solution.

   (나는 마침내 발견했다/ 해결책을)


5. My grandfather (found / founded) the college.

   (내 할아버지가 세웠다/ 그 대학을)


4번에서, ‘해결책을 찾다’와 ‘해결책을 세우다’를 비교해 봅시다. 해결책을 찾다가 말이 됩니다. 여기서는 find(찾다)의 과거형 found입니다.


5번에서는 ‘대학을 발견하다’보다는 ‘대학을 세웠다’가 더 문맥에 맞습니다. 여기서는 found(세우다)의 과거 founded입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sit, seat 차이  (12) 2013.05.19
lie, lay 차이  (8) 2013.05.15
미래진행형 (영어시제)  (6) 2013.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