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부정사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의 주어"를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 문장에서는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등장합니다. 그리고 주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어서 길어집니다. 주어 자리에서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방식을 잘 알게되면 독해 실력이 크게 향상됩니다. 주어와 동사를 빨리 찾는 것이야 말로 독해력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내용이 약간 어렵더라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4. 내용 요약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먼저 영어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를 알아 봅시다. 영어에서는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들"이 주어 역할을 합니다. 이것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 → 명사
조건명제 형식을 빌려 표현하면 ‘주어이면 명사’라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말이 주어 자리에 있으면, 명사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같은 논리에 따라, 동사 앞에서 주어 자리에 오는 'to 부정사'는 명사 역할을 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는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주어로 쓰이는 'to 부정사'는 단순하게 "to + 동사원형"의 형태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to 부정사의 다양한 용법(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등) 때문에 문장 내에서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편의상 "to 부정사의 확장"이라고 합시다.
다음은 주어 자리에 있는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경우들입니다.
2-1. To judge is easy.
→ 판단하는 것은 쉽다.
→ 기본형
2-2. To judge a person is easy.
→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 목적어 추가
2-3. To judge a person's capacity is easy.
→ 사람의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 명사구 확장
2-4.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 형용사 추가
2-5.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 부사 추가
2-6. Not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 부정형
2-7.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가주어 it 사용)
→ 가주어 진주어 구문
위 예문들은 to 부정사 주어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각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법적으로 주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어 자리에 있는 단순한 to 부정사는 수식어구들에 의해서 점점 의미가 확장됩니다. "to 부정사"는 동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목적어를 취할 수도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어가 수식어구로 한정되어 길어지더라도, 의미상 결합되어 있다면 하나의 주어로 보아야 합니다. 위 예제들에서 밑줄 친 부분은 전체가 결합된 주어라는 점에서 모두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영어는 긴 주어를 싫어하는 언어입니다. 주어가 길어질 때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는 뒤로 보냅니다. 이러한 언어적 관행은 to 부정사에도 적용됩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게 됩니다.
to 부정사 주어
ex)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잘 썼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주어가 너무 길기 때문에 말하고 쓰기에 부담스럽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합니다.
가주어 진주어
ex)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
그렇지만 to 부정사 주어가 짧다면 그대로 둬도 의미 전달은 명확합니다. 취향과 선택의 문제라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가주어 it을 쓸지 말지 판단할 수 있는 대략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3단어 이내면 그냥 쓴다.
- 3단어가 넘으면 소리 내어 읽어본다.
→ 읽어봐서 자연스럽지 않으면 가주어를 쓴다.
이 기준은 다소 자의적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소리내서 읽어 봅니다. 읽는 것이 어색하면, 듣는 것도 어색합니다.
이 원칙은 에세이 쓰기, 스피킹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문장을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내용 요약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주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 주어가 길어질 경우, 가주어 i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가주어 진주어 구문은 문장의 명확성과 가독성을 높입니다.
5.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상으로 to 부정사 주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9 by Song SSam
다음은 제가 쓴 "to 부정사 직전 정리"입니다.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필수 사항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칭대명사 격변화 완벽 정리 – 주격, 목적격, 소유격의 차이와 사용법 (1) | 2025.04.20 |
---|---|
종속 접속사: 의미, 종류와 문법적 역할 완벽 정리 (16) | 2025.04.20 |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총정리 (0) | 2025.04.19 |
영어 수동태의 주어 정리 (의미와 형태) (0) | 2025.04.18 |
영어 도치구문 명쾌한 정리 (도치구문 제대로 이해하기)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