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도치 구문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치 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영어 도치구문은 일반적인 문장과 어순이 달라서 많은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개념입니다. 미리 부탁드리건데 급하게 대충 읽을 수 있는 글은 아닙니다. 커피 한잔을 마실 정도로 느긋한 시간이 있어야 합니다. 그만큼 어렵기도 하고 차분하게 생각해야 하는 글입니다. 약속할 수 있는 것은 들인 시간만큼의 가치는 확실히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도치란 무엇인가요?
2. 자동사 문장의 도치 (보어나 부사 강조)
3. 타동사 문장의 도치 (목적어 강조)
4. 도치구문의 핵심 정리 (요약)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도치란 무엇인가요?
일반적인 영어 문장은 주어(S) + 동사(V)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특정 단어나 구(phrase)를 문장 앞으로 보내면 동사가 주어 앞으로 오는 '동사(V)+주어(S)' 형태로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문장 구조를 도치(Inversion) 라고 합니다. 도치를 하는 이유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영어의 도치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동사가 직접 주어 앞으로 오는 도치
- 조동사가 주어 앞으로 오는 도치
1-1. 동사가 주어 앞으로 오는 도치
① Here COMES the bus.
(여기 온다/ 버스가.)
→ 동사(come) + 주어 (the bus)
② Down WENT Alice after it.
(아래로 갔다/ Alice가 그것를 따라서.)
→ 동사(went) + 주어(Alice)
1-2. 조동사가 주어 앞으로 오는 도치
① You love her and so DO I.
(너는 그녀를 사랑한다/ 그리고 나도 그래.)
→ 조동사(do) + 주어(I)
② Seldom DID he go to church.
(좀처럼 그는 가지 않는다/ 교회에.)
→ 조동사(did) + 주어(he)
영어의 도치
동사의 도치와 조동사의 도치가 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가 직접 주어 앞으로 오는 도치만 다루겠습니다.
2. 자동사 문장의 도치 (보어나 부사 강조)
일부 1형식 문장들과 2형식 문장들은 동사만으로 의미가 불완전 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들 동사들은 의미가 약합니다. 약한 동사들을 보충하기 위해 부사구나 보어가 필요합니다.
2-1. 보어나 부사 도치
다음 예문에서 동사 다음에 온 부사구와 보어의 위치에 주의해 봅시다.
① His body lay in peace. 1형식
(그의 시체는 놓여 있었다/ 평화롭게.)
→ 자동사(lay) + 부사구(in peace)
② Her beautiful face was disfigured. 2형식 (SVC)
(그녀의 아름다운 얼굴은 일그러져 있었다)
→ 자동사(was) + 보어(disfigured)
①,②번에서 보어 다음에 있는 말을 강조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그 표현들을 문장 첫 머리로 보내면 됩니다.
문장 첫머리 강조효과는 문법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우리들은 자동적으로 가장 먼저 나온 정보에 주의하게 됩니다. 진화과정에서 습득한 어쩔 수 없는 자동 반응기제 쯤 될까요? 아무튼 첫머리 주의 내지 강조 효과를 이용한 것이 영어의 도치구문입니다.
이제부터 설명이 좀 어렵습니다. 내신이나 시험 문법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라 그렇습니다. 하지만 여기까지 읽은 분들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자, 안전벨트 메셨죠?
이제 밑줄 친 부분을 문장 처음으로 보내 도치 시켜 봅시다.
①-1. In peace his body [lay]. (?)
→ 부사구(In peace)만 첫머리로 도치
②-1. Disfigured her beautiful face [was]. (?)
→ 보어(Disfigured)만 첫머리로 도치
①-1, ②-1 두 문장을 소리내서 읽어 보세요. 아니면 머리 속으로라도 음독해 보세요. 눈으로만 봐서는 감이 오지 않습니다.
어떻습니까? 소리내서 읽어보면 이 문장들의 의미가 머리 속으로 들어 오지 않습니다. 아무리 읽어도 "I love you"같은 느낌으로 쌈박하게 이해 되지 않습니다. 강조는 커녕 의미조차 흐릿해지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애매함의 이유는 "end-focus"라는 심리적 현상 때문입니다. 문장 끝에 있는 말이 강조를 받는다는 원칙이기도 합니다. 우리들도 잘 알고 있는 "주인공은 맨 나중에 등장한다"는 상식입니다.
두 문장을 다시 한번 봅시다.
①-1. In peace his body [lay].
②-1. Disfigured her beautiful face was.
주인공 효과에 따르면 ①-1 , ②-1 에서는 끝에 있는 [lay], [was]가 강조를 받습니다. 문제는 'lay, was'는 의미가 약한 단어들이라서 강조해 봤자 별 효과가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②-1번의 경우, 아무리 크게 악을 쓰며 읽어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즉, 자동사의 경우 보어만 도치시키고 동사를 그대로 두면 의미가 불분명 해지고 맙니다. 허약한 자동사 녀석이 end-focus 효과를 줘도 못 받아 먹습니다.
이번에는 자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 봅시다.
①-2. In peace lay [his body].
→ 자동사(lay)를 주어(his body) 앞으로 도치
②-2. Disfigured was [her beautiful face].
→ 자동사(was)를 주어(her beautiful face) 앞으로 도치
다시 한번 두 문장을 소리내서 읽어 보세요. 이제 머리 속이 환해지는 느낌이 들겁니다.
드디어 "end-focus" 약발이 받고 있습니다. 당장 "his body, her beautiful face"로 시선이 갑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동사 다음에 있는 "보어나 부사"가 문장 첫머리로 나갈 때는, "동사+주어" 형태를 취하게 됩니다.
도치
"보어나 부사"가 문장 첫머리로 나갈 때는, "동사+주어"형태가 된다.
이러한 도치 구문은 약간 ‘낡은’ 느낌을 주며, 주로 문학에서 사용됩니다. 영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잘하고 싶은 분이 아니라면 이해만하고 있어도 충분합니다.
그런데 거의 관용표현 수준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도치 표현들도 있습니다.
2-2. 일상적인 "동사 + 주어" 도치
다음 표현들은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도치 표현들입니다.
어디선가 본 것같이 묘하게 낯익은 문장들입니다.
① Here's the Queen.
② Here comes the bus.
③ Down came the rain.
④ Up went the flag.
그런데 도치된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 사이에 의미차이가 있을까요? 단연코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뿐 아니라 모든 언어에 공통되는 철칙입니다. 철자가 다르면 의미도 다릅니다. 문장 순서가 바뀌었는데 의미가 같을 수는 없습니다.
"end-focus"를 염두에 두고 끝에 있는 말에 주의해 봅시다.
①-1. Here's the Queen.
(여기 여왕님이 계신다.)
①-1 문장은 "Queen(여왕)"이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강조를 받습니다.
즉, 이 문장에서 화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여왕"의 등장 자체이며, "다른 사람이 아닌 여왕이 여기에 있다"는 뉘앙스를 주기 위한 것입니다
①-2. Queen is here at this humble place.
(여왕이 여기 있다 / 이 누추한 곳에)
①-2 문장에서는 "here(at this humble place, 이 누추한 곳)"가 문장의 끝부분에 위치해 강조됩니다.
즉, "여왕이 다른 화려한 곳이 아니라 바로 이처럼 누추한 곳에 왔다"는 장소 자체를 강조하는 의미가 됩니다.
주의
대명사가 주어일 때는 "here+동사+주어" 어순을 취하지 않습니다.
ex) Here comes he. (x)
Here he comes. (o)
대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이 불분명하므로 강조를 받을 수 없습니다.
어떻습니까? 이쯤되면 도치는 문법이 아니라 "인지나 심리"쯤 되는 것 같습니다. 이정도 까지 오셨으면 남아있는 커피를 마저 들이키고 마지막 부분으로 돌진해 봅시다. 카페인 부스팅!
3. 타동사 문장의 도치 - 목적어의 도치
이 부분은 길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특별히 어려운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소설에서 흔히 보던 문장 구조라 아주 익숙합니다.
우선 규칙입니다.
목적어의 도치
타동사 다음에 있는 목적어가 문장 첫머리로 갈 경우 도치가 발생한다.
직접화법(상대에게 직접 하는 말) 에서만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① "Shut up!", said she.
→ She said "Shut up." (원래 문장)
② "What shall I do?", asked he.
→ He asked, "What shall I do?" (원래 문장)
어려운 것 같지만 우리 말로 번역하면 별 것 없습니다.
①-1. "Shut up!", said she.
("입닥쳐", 그녀가 말했다.)
② -1 "What shall I do?", asked he.
("제가 무엇을 할까요?", 그가 물었다.)
소설에서 많이 보던 문체입니다.
목적어 도치구문은 주로 문학에서 쓰입니다. 모 화백 대사처럼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4. 도치구문의 핵심 정리 (요약)
지금까지 공부했던 영어 도치구문을 간략하게 요약하겠습니다.
- 영어 도치는 강조와 문학적 효과를 위한 어순 변화입니다.
- 자동사 문장에서 보어나 부사가 앞으로 가면 도치 발생.
- 타동사 문장에서는 직접화법에서 목적어가 앞으로 가면 도치 발생.
- 대명사는 도치되지 않으므로 주의!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 정도 내용을 이해했으면 안 풀어도 충분합니다. 그런데 커피 한 잔을 더 들이키며 끝장을 보려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이상으로 영어 도치 구문 파헤치기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8 10:49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총정리 (0) | 2025.04.19 |
---|---|
영어 수동태의 주어 정리 (의미와 형태) (0) | 2025.04.18 |
관계대명사 생략, 언제 가능할까? (정확한 사용법 & 예문) (12) | 2025.04.18 |
형용사구와 부사구, 전치사구 쉽게 정리하기 (0) | 2025.04.17 |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오는 표현 쉽게 정리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