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제한적,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제한적 용법은 한정적이라고도 합니다. 그다지 어려운 내용이 아닙니다. 단지 위압적인 한자 문법용어 때문에 실제보다 더 어려워 보이는 것 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시와 함께 두 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3. 제한적 용법 vs 계속적 용법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여기서 제한이나 한정은 "수식 or 설명"한다는 말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이 형식에서 관계대명사가 없으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됩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앞에는 쉼표(",")가 없습니다.

 

 (1) This is the boy who stole my bicycle.

      이 소년이다/ 내 자전거를 훔친 사람은.

 

위 예문에서 "who stole my bicycle"을 생략해 봅시다. 

 

(1-1) This is the boy.

       이 소년이다.

 

관계사절을 생략하고 보니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절이 생략되면 문장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게 됩니다. 즉,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는 의미상으로 관계사절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내용상 선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 특징

  •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음
  • 생략하면 의미가 불명확함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의미상 문장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한적, 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은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는 분명합니다.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절 앞뒤에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2-1.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특징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쉼표(,)와 함께 사용합니다.

 

1) My grandfather, who is 92, is energetic.

    할아버지는, 아흔 둘이신데, 정정하시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를 해치지 않습니다.

 

1-1) My grandfather is energetic.

      내 할아버지는 정정하시다.

 

물론 "who is 92"가 있는 것이 정정함을 강조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who is 92"를 생략해도 의미가 통합니다.

 

✅ 계속적 용법 특징 요약

  • 관계대명사절이 부가적인 정보
  • 관계대명사 앞뒤에 쉼표(,)를 반드시 씀
  • 생략해도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음

주의: 글로 쓸 때,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계속적 용법 정리


 

2-1. 계속적 용법의 "which"

계속적 용법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것은 ",which"입니다.

 

 (1)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인데,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를 이용해서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접속사 and를 이용하여 (1)번 문장을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1-1)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and it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이고,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which

 

주의:계속적 용법의 which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X) Seoul, that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제한적, 계속적 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Q1.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제한적 용법은 필수적인 정보로,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불명확해지며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반면 계속적 용법은 부가적인 정보로 생략 가능하며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할 수 있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관계대명사절을 빼고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면 계속적 용법이고,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달라지면 제한적 용법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pdf
0.26MB
제한적 계속적 옹법 연습문제 정답.pdf
0.17MB

 


이상으로 제한적(한정적),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5 13:40 by Song SSam
unless 용법 정리

unless 용법

unless 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많이 쓰이지만 자칫 헷갈릴 수 있는 접속사 unle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less 자체가 쓰임이 많기도 합니다. 또한 우리말에는 있지만 영어에는 없는 이중부정 때문에 태생적으로 혼동됩니다. 총정리다 보니 내용이 깁니다. 커피 한잔과 함께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unless 뜻과 기본 용법
2. unless 조건 or 가정
3. unless 가정법 과거
4.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5. unless 핵심정리
6. 자주 묻는 질문(FAQ)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unless 뜻과 기본 용법

unless의 기본적인 의미와 용법입니다. unless의 여러 용법에 공통되는 기본이라 하겠습니다.

 

1-1. unless 뜻

unless는 "if ~ not(만약 ~하지 않는다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뜻입니다. unless의 다른 용법들은 전부 여기서 파생됩니다.

 

ex) Unless you exercise, you'll grow older fast. 

     만약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빨리 늙게 된다.

unless: 만약 ~하지 않는다면(if ~ not)

1-2. unless: 주의할 용법

특히 많이들 실수하는 부분입니다. unless 다음에는 부정어가 올 수 없습니다. 강조를 위해 이중부정을 허용하는 우리말과 달리 영어에는 이중부정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쓰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틀린 문장

ex) Unless you don't exercise, you'll grow older fast. (X)

→  unless 다음에 부정어(don't)를 쓸 수 없습니다.

 

영어에는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중부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에는 흔한 "하지 않을 수 없다"와 같은 표현은 영어에서 쓰지 않습니다.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Unless you exercise regularly, you'll grow older fast.

    만약 당신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더 빨리 늙게 된다. 

unless 부정어


Unless는 "if ~not(만약 ~하지 않는다면)"이라고 생각하면 거의 틀림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if가 조건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unless 역시 "조건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중요한 용법이기 때문에 항목을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조건과 가정의 if"를 정리하고 싶은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if (가정, 조건)


2. unless: 조건

unless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인 용법입니다. unless 다음에 현재동사가 오면 조건문으로서 "일반적인 사실"을 말합니다.

 

ex) Unless you desire it eagerly, you won't get it.

     만약 당신이 그것을 진정으로 원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것을 얻지 못할 것이다.

→  unless 다음에 현재형 동사 desire가 왔습니다.

 

이때 주의할 것은 unless 다음에 부정어를 쓸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절에서는 미래 조동사 "won't"를 썼습니다. 

unless + 현재동사 ⇒ 조건문 (일반적인 사실)

unless: 조건


3.  unless: 가정법 과거 

unless 다음에 "과거 시제"가 올 때는 가정법으로서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사실을 진술하는 조건의 unless와 잘 구별해야 합니다.

 

unless가정법

ex) Unless you disturbed me, I would solve the problem 

가정: 만약 당신이 방해만 안한다면, 나는 그 문제를 풀것이다.

직설: 당신이 지금 방해하고 있어서 나는 문제를 못 푼다.

 

"Unless you disturbed" 구문은 "지금 방해를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가정법이므로 주절에서는 과거 조동사 "would 동사원형"를 썼습니다.

 

unless 가정법 과거 문장을 if 가정법으로 바꾸어 봅시다.

ex) If you did not disturbed me, I would solve the problem 

unless + 과거 ⇒ 가정법 과거 (현재사실의 반대)

unless 가정법 과거


4.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unless 다음에 "과거완료"가 올 때는 가정법 과거 완료으로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ex) Unless you had helped me, I would not have solved the problem 

가정: 만약 당신이 돕지 않았었다면, 나는 그 문제를 풀지 못했을 것이다.

직설: 당신이 도와줬었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를 풀었었다.

 

"Unless you had helped" 구문은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 즉 가정법 과거 완료를 의미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주절의 시제는 "would have 과거분사"를 썼습니다.

 

unless 문장을 if 가정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if 가정법 과거완료

ex) If you had not helped me, I would not have solved the problem 

unless +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

unless 가정법 과거완료


5. unless 핵심정리

unless가 들어있는 부사절의 시제를 판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unles는 다음에 오는 동사의 시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 unless는 부정어와 함께 쓸 수 없다.
  • unless + 현재시제 ⇒ 실현가능한 사실을 나타낸다.
  • unless +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 unless +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unless 정리

 

별 생각 없었던 unless가 갑자기 어렵게 느껴지실 겁니다. 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보통은 조건의 unless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unless 뒤에 not을 절대 못 쓰나요?
A1. 원칙적으로는 그렇습니다. unless 자체가 부정 의미를 가지므로 not을 쓰면 이중부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수한 강조용 예외는 있지만 시험·실무에서는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if not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A2. 의미는 거의 같지만 unless가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어 줍니다.
ex) I’ll go for a walk if I’m not busy.

→  I’ll go for a walk unless I’m busy.

 

Q3. unless를 문장 맨 뒤에 쓸 수 있나요?
A3. 가능하지만 구어체·문어체 모두 앞절에 놓는 형태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ex) I won’t succeed unless I try.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unless 연습문제.pdf
0.29MB
unless 연습문제 정답.pdf
0.19MB

 


 

이상으로 unles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4-25 by Song SSam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이번 시간에는 많은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명사보어와 형용사 보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축하드립니다. 이 정도 문법까지 찾아 보실 정도라면 상당한 영어 실력을 가지신 분일테니까요. (^^)

 

우리는 한국말을 잘 합니다.그렇지만 "보어"에 대하여 설명할라치면 힘들어 합니다. 하물며 영어로 보어를 설명하는 것이야 두말할 여지없이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영어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 두셔야 합니다. 여기 저기서 반복되지만 제대로 설명이 되어 있지 않은 문법이라서 그렇습니다.

 

동영상을 보고, 읽어 보고, 그래도 헷갈리면 댓글이나 메일을 남겨 주세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격보어란?

2. 명사 보어

3. 형용사 보어

4.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쉽게 구별하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명사 보어와 형용사 보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어, 특히 주격보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1. 주격보어란?

보어란 보충(설명) 해주는 말입니다. 영어의 보어에는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가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격 보어는 주어를 보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말입니다. 주격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 두 가지입니다. 

주격 보어: 주어를 보충하는 명사나 형용사

 

명사와 형용사 둘 다 보어가 될 수 있지만 둘의 역할은 다릅니다.


2. 명사 보어

명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 "명사 보어"라고 합니다.

다음 예문에서 명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주어와의 관계를 살펴 봅시다.

 

(1) My dream / is / going to Paris.
      내 꿈은 파리에 가는 것이다.

→  "going to Paris"는 주격 보어.

→  "My dream" = "going to Paris"

 

예문에서 주어인 "My dream"과 주격보어인 "going to Paris"는 같습니다. 다음과 같이 주어와 주격보어를 바꾸어 놓아도 말이 됩니다.

 

(1-1) Going to Paris / is / my dream.

         파리에 가는 것은 나의 꿈이다.

 

이처럼 주격보어가 주어와 실제로 같으면 "명사 보어"라고 합니다. (1)번 예문에서 주격 보어인 "going to Paris"는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입니다.

명사 주격 보어: 주어와 실제로 같다. 

명사 주격 보어

 


3. 형용사 보어

형용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 "형용사 보어"라고 합니다.

눈치 빠른 분들이라면 짐작하셨겠지만 형용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는 주어를 설명할 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 am / going to Paris.                (I  going to Paris)

    (나는 가고 있다/ 파리로.)

→  "going to Paris"는 주격 보어.

→  I going to Paris

 

주격 보어인 "going to Paris"는 주어 'I'의 행위를 설명할 뿐입니다. 명사 보어에서 처럼 주어과 실제로 같지 않습니다. 주어와 주격 보어를 바꾸어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1-1) Going to Paris is I.

         (파리에 가는 것은 나다. ???)

 

"파리에 가는 것"과 "사람인 나"가 같을 수 없습니다. 즉, 형용사 보어는 주어와 실제로 같지 않고 보충 설명할 뿐입니다. 

형용사 주격 보어: 주어와 실제로 같지는 않다.

형용사 보어


4.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 쉽게 구별하기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를 구별하려면 결국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어와 보어를 파악할 수 있는 문장 분석 실력도 필요합니다. 그래서 명사 보어와 형용사 보어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아무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지침을 이용해 주격 보어의 품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주어 = 보어 ➡️ 명사보어
  • 주어 보어 (주어의 상태나 특징 설명) ➡️ 형용사보어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명사보어 형용사보어 연습문제.pdf
0.16MB
명사보어 형용사보어 연습문제 정답.pdf
0.17MB

 

 

이상으로 명사 보어, 형용사 보어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4 10:37 by Song SSam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 명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to 부정사에서도 대표적인 용법이니 확실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내용입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란?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3.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4.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란?

영어 문장에서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도 명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얻을 수 있습니다.

 

  • to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할 때.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라고 한다.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 작문과 회화에서 매우 빈번하게 쓰이므로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주의

명사 외에 형용사도 보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위 규칙은 사실 약간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공부하는 데는충분합니다. 혹시라도 끝까지 파헤치고 싶은 용감한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때

명사적 용법: 주어, 목적어, 보어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문과 함께 봅시다.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이는 경우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차례대로 살펴 봅시다.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서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1) To eat is my pleasure.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2) It is my pleasure to eat.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 (가주어 it, 진주어 to 부정사)

to 부정사가 주어 역할: 명사적 용법

 

참고

영어는 유별나게 긴 주어를 싫어하는 언어입니다. 우리말에는 없는 가주어(it)만 봐도 그렇습니다. 이러한 긴 주어 기피경향 때문에 주어 자리에 오는 to 부정사는 맨 뒤로 보내버립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가주어(형식주어)인 it을 씁니다. (1), (2)번 같이 to 부정사만 있는 짧은 경우라면 굳이 가주어를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to 부정사 주어가 길어지면 가주어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ex) To eat delicious food with my friends at a cozy restaurant is my pleasure.

→  It is my pleasure to eat delicious food with my friends at a cozy restaurant.

 

일부러 주어를 엿가락처럼 늘인 문장이지만 무슨 말인지 감은 잡으셨을 겁니다.


3.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동사 뒤에서 주어를 설명합니다. 이 때 to 부정사는 주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to 부정사를 주어와 바꿔 써도 말이 됩니다. 명사보어의 특징입니다.

 

(1) My pleasure is to eat.
     나의 즐거움은 먹는 것이다.

→ (to eat는 주어 My peasure를 설명하는 주격보어)

 

이 문장에서 주어와 보어 자리를 바꿔 보겠습니다.

(1-1) To eat  is My pleasure.

         먹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다.

→ 내용상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일 때: 명사적 용법

 

주의

그런데 to 부정사가 형용사 보어 역할을 할 때는 주어와 보어를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형용사 보어

(2) You are to eat less.

      (너, 좀 적게 먹어야 해.)

→  you ≠ to eat

 

형용사 보어인 "to eat"는 주어 "you"와 같지 않습니다. 주어와 보어를 바꾸어 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2-1) To eat less is you.

         적게 먹는 것이 너다.

         (?????????????)

형용사 보어는 이와 같이 주어를 설명하지만 주어와 같지는 않습니다.

이쯤해서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서 다시 링크갑니다.

 

명사보어, 형용사 보어 구별

to 부정사가 형용사 보어일 때: 주어와 바꾸어 쓸 수 없다.

4.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to 부정사는 타동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to 부정사는 명사로 쓰였습니다.

 

ex) I love to eat.
      나는 먹는 것을 좋아한다.

to 부정사는 타동사 love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명사적 용법입니다.

to 부정사가 목적어 역할: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를 목적어 취하는 동사들"에서 배웠던 그 to 부정사 용법입니다. 다음과 같은 동사들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는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적 용법입니다.

유형 to 부정사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들
소망/의도 want, hope, wish, intend, plan, decide, aim
약속/동의 promise, agree, refuse, consent, swear, undertake
시도/노력 try, attempt, manage, strive, seek, endeavor
기대/요구 expect, demand, ask, request, require
선택/결정 choose, decide, elect, opt
제공/제안 offer, volunteer, propose
기타 learn, afford, prepare, fail, tend, deserve, pretend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부정사 명사적 용법 연습문제.pdf
0.16MB
부정사 명사적 용법 연습문제 정답.pdf
0.22MB


그럼 이상으로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19:29 by Song SSam  

 

 
부정사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to 부정사'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7.04
관계대명사의 격 강의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관계대명사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 분들을 놀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만 사실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제대로 알아야 길고 복잡한 문장을 해석하고 쓸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름처럼 그렇게 "격"하게 어렵지 않은 내용이니 잘 들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5. 자주 묻는 질문(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1-1 격이란?

질문: 격이란 무엇일까요?

대답: 문장에서 하는 역할입니다.

 

그렇습니다. 격이란 어떤 표현 -단어·구·절- 등이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라고 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 주격: 주어 역할
  • 목적격: 목적어 역할
  • 소유격: 소유의 의미

1-2.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도 마찬가지입니다.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하고 소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관계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목적격, 소유격


 

각 격별 쓰임과 의미를 간단한 예문과 함께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합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습니다.

 

ex) Socrates is the one who shows me the way.

      소크라테스다/ 나에게 길을 알려준 것은.

→  (who는 show의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주어 자리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쉽게 생각합시다. 동사 앞에 있는 관계대명사는 주어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주어 역할

주격 관계대명사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ex) This is my daughter whom I love.

      내 딸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  (관계대명사 whom은 타동사 love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m은 관계사절에서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whom I love"를 보면 타동사 love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whom이 목적어이므로 생략한 것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찾는 요령입니다. 관계대명사절에서 끝에 있는 동사를 봅시다. 그 동사의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

 

Note:

현대 영어에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대신에 who를 자주 씁니다. 그렇지만 문법을 지켜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whom을 쓰는 것이 딱딱해 보여도 정확한 표현입니다. 글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목적격을 쓰는 것도 좋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소유나 소속 관계를 나타냅니다. 소유격은 주격, 목적격에 비해 약간 까다롭습니다. 정확한 해석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에는 "of which, whose"가 있습니다.

 

 ex) I have a house of which / whose roof is blue.

       나는 집이 있다/ 집의 지붕은 파란색이다.

→  (집의 지붕이라는 뜻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해석은 "선행사의 ~"이라고 합니다.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house입니다. 그러므로 "집(house)의 지붕"이라고 해석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대개 "명사"가 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소유나 소속을 나타낸다.

 

Note:

선행사가 사물일 때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원칙적으로 "of which"를 씁니다. 그렇지만 whose도 허용됩니다. 사물 다음에 오는 whose가 거슬려 보이지만 제대로 된 표현입니다. 오히려 "of which"가 더 딱딱하고 경직된 표현입니다.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다는 느낌마저 줍니다.

 

단, 사람의 소유격은  다음과 같이 당연히 whose를 써야 합니다.

 

ex) I know the girl whose hair is red.

      나는 소녀를 안다/ 그녀의 머리카락이 붉은.

관계대명사 소유격


5. 자주 묻는 질문(FAQ)

Q. 관계대명사 whom을 꼭 써야 하나요?
A. 아닙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일상적 대화나 글에서 목적격 whom 대신 who를 흔히 씁니다.

 

Q. 사물에도 whose를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사물의 소유격 표현에서도 whose가 자연스럽고 널리 쓰입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by Song SSam

 

yes / no 의문문

 Yes/No 의문문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Yes/No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영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지만, 자주 틀리는 것을 봐서요. 확실하게 익혀서 말이나 글에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Yes / No 의문문이란?

2. Yes / No 의문문 만드는 방법

  2-1. 조동사 도치

  2-2. 일반동사 (do/does/did) 도치 

  2-3. 본동사로 쓰인 Be동사 도치

  2-4. 평서문 형태 그대로 사용

3. 자주 묻는 질문(FAQ)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Yes / No 의문문이란?

Yes/No 의문문이란 긍정(yes)이나 부정(No)의 답을 예상하는 의문문을 말합니다. Yes/no 의문문은 문장 끝을 올려서 읽습니다. (a rising intonation).

 

(1) Do you love me? ( me에 강세)

     "너 나를 사랑하니?"      

 

의문사 없는 의문문은 Yes/No 형태로 대답할 수 있습니다.

(2) A: Did you go there? (너 거기 갔었니?)

     B: Yes, I did. (응, 그래.)

         No, I didn't. (아니, 안 갔어.)

Yes/No 의문문: 긍정(yes)이나 부정(No)의 답을 예상하는 의문문

2. Yes / No 의문문 만드는 방법

Yes/No 의문문은 동사를 주어 앞으로 도치시켜 만듭니다. 그리고 동사에 따라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집니다.

 

2-1. 조동사 의문문

문장에 조동사가 있는 경우에는, 조동사를 주어 앞으로 도치시켜 Yes/No 의문문을 만듭니다.

 

 (1) The train has arrived.   

  → Has the train arrived?


 (2) Ellen is reading a book.  

  → Is Ellen reading a book?
 (3) He was loved by everyone.  

  → Was he loved by everyone?


 (4) She could havepassed the test.  

  → Could she have passed the test?


 (5) They'll be waiting for us.  

  → Will they be waiting for us?

조동사 의문문: 조동사를 도치시킨다.

조동사 의문문


  2-2. 일반동사 의문문

일반동사 문장에서는 인칭과 시제에 맞추어 do, does, did 를 주어 앞으로 도치 시킵니다. 그리고 원래 동사는 반드시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1) We live in Seoul.   

  → Do we live in Seoul?

  → 현재형 일반동사이기 때문에 "do" 도치


 (2) He works hard.   

  → Does he work hard.

  →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이기 때문에 "does"가 도치

 

(3) She married young.  

  → Did she marry young?

  → 과거동사(married)이기 때문에 "did"가 도치

 

"do"를 도치시킬 때는 주어와 동사의 인칭에 주의해야 합니다. do 동사가 도치 되고 난 후  원래 동사는 "동사 원형"을 써야 합니다.

일반동사 의문문: do를 도치 시킨다.

일반동사 의문문


2-3. 본동사로 쓰인 Be동사 의문문

본동사로 쓰인 be동사는 그대로 도치시킵니다. 

 

 (1) They are excited.  

  → Are they excited?

  → 본동사로 쓰인 are를 주어 앞으로 도치


 (2) Jim was happy.  

  → Was Jim happy?

  → 본동사로 쓰인 was를 주어 앞으로 도치

본동사 be 의문문: be를 도치 시킨다.

 

주의

영국 영어의 경우 have 동사가 조동사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Have 주어 got"의 형태를 씁니다.

 

영국 영어

ex) He has a sports car.  

 → Has he got a sports car? 

 → 영국영어서는 has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미국영어

ex) He has a sports car.  
 Does he have a sports car? 

미국 영어에서는 has를 일반동사로 취급한다.         


  2-4. 평서문 형태 그대로 사용

의아함이나 놀람을 나타낼 때는 동사를 도치시키지 않고 평서문 그대로 의문문으로 씁니다. 이 경우, 문장 끝을 올려 읽습니다.

 

(1) You don' like him? ( him을 올린다)

    (그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2) He is a doctor? ( doctor를 올린다)

    (그가 의사라고?)

평서문 형태 의문문: 문장 끝을 올려 읽는다.

3. 자주 묻는 질문 (FAQ)

Q1. Yes/No 의문문에서 자주 하는 실수는?

Yes/No 의문문에서 가장 흔히 하는 실수는 주어와 동사의 순서를 올바르게 바꾸지 않는 것입니다. 특히 일반동사 문장에서 조동사(do, does, did)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거나, 3인칭 단수 주어와 시제에 맞는 조동사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 잘못된 예: He works hard? (X)
  • 올바른 예: Does he work hard? (O)

반드시 주어의 인칭과 문장의 시제에 맞게 적절한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Q2. 평서문 형태로 질문할 때 주의할 점은?

평서문 형태의 의문문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문장 끝을 올리는 억양으로 말해야 합니다. 주로 의아함이나 놀람을 나타낼 때만 가려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 You don't like coffee? (너 커피 안 좋아한다고?) (↗)
  • He is your teacher? (그 사람이 네 선생님이라고?) (↗)

지나치지 않게, 격식을 갖추지 않은 자리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yes no 의문문 문제.pdf
0.17MB
yes no 의문문 문제 정답.pdf
0.23MB


 

이상으로 Yes/No 의문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10:30 by Song SSam

 

영어 의문문

영어 의문문 종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의문문의 종류와 각 유형을 예문과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하겠습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우는 문장 형태이지만 자주 실수하는 문법입니다. 우리말과 영어의 사고방식 때문에 발생하는 부분이라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문과 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은 특히 회화에서 중요하니 확실하게 익혀 둡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Yes / No 의문문

2. Wh-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4. 자주 묻는 질문(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을 하여 답을 요구하는 문장"입니다. 영어의 의문문은 기대하는 답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Yes / No 의문문
  • Wh- 의문문
  • 선택의문문

각 유형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Yes / No 의문문

Yes / No 의문문은 말 그대로 ‘예(Yes)’ 또는 ‘아니요(No)’의 대답을 기대하는 질문입니다. 보통 의문사 없이 조동사나 be동사로 시작합니다.

 

1-1. 긍정의 Yes, 부정의 No

답변의 내용이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를 씁니다.

 

(1) Have you done your homework?

    (숙제는 했니?)

→ 긍정 답변: Yes, I have.

→ 부정 답변: No, I haven't

 

 Yes / No 의문문에서 청자는, 주로 "예/아니오"라는 답을 합니다. 다른 내용을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사실인지 아닌지만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Yes 다음에는 긍정적인 내용이, No 다음에는 부정적인 내용이 와야 합니다.

 

틀림: Yes, I have not. (X)

틀림: No, I have. (X)

긍정 / 부정 답변: 답변의 내용이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를 쓴다.

1-2. Yes / No 대신 쓸 수 있는 말들

긍정 / 부정 답변에서 반드시 Yes / No 만 쓸 필요는 없습니다. Yes/no 대신, 다양한 정도의 확실성을 가진 다른 말들로 대답할 수도 있습니다. 

 

긍정 답변

A: Do you love me? 나 사랑해?

B: Definitely. 물론이지.

Yes 대신 "Definitely" 사용.

 

부정 답변

A: Can I go there? 나 거기 가도 돼?

B: Perhaps not. 안될 걸.

No 대신 "Perhaps not" 사용.

긍정 / 부정 답변: 반드시 "Yes / No"만 쓸 필요는 없다.

 


1-3. 논리적 긍정 / 부정

 

논리적으로 의미가 통하면 Yes / No 의문문의 답이 될 수 있습니다.

 

 A: Will you go out with him tonight?

     오늘 저녁 데이트 하니?
 B: Well. My mom will kill herself.

     글쎄, 엄마 자살하실 걸.

부정의 형태는 아니지만 B의 응답은 분명히 "No"를 의미합니다. 긍정이나 부정 답변에 반드시 Yes / No를 쓸 필요는 없습니다.

긍정 / 부정 답변: 내용상 긍정 / 부정 답변도 가능하다.

yes: 긍정답변, No: 부정답변


2. Wh- 의문문

Wh- 의문문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반드시 의문사(What, When, Where, Who, How 등)로 시작해야 하며, Yes나 No로 대답할 수 없습니다.
  • What is your name? (이름이 뭐니?)
  • How old are you? (몇 살이니?)
  • When do you start? (언제 시작하니?)

이 질문들은 모두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의문문입니다. 이러한 의문문에는 Yes/No로 대답할 수 없습니다. 문법 규칙까지 들이댈 필요도 없습니다. 직접 예문을 보면 말이 안된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습니다.

 

말이 안됨

A: What is your name? 이름이 뭐니?

B: Yes. (x)

 

"Wh- 의문문"에 "Yes / No"로 답하는 것은 영어 문법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 정도라면 사회 생활하기 힘든 상태입니다.

wh- 의문문: Yes / No로 대답할 수 없다.

wh-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선택의문문은 상대방에게 두 가지 이상의 대안을 제시하여 선택을 요구하는 질문입니다.

 

ex) Which color do you like better, blue or red?
       (파란색과 빨간색 중 어떤 색이 더 좋니?)
I prefer blue.

     (파란색이 더 좋아.)

 

선택의문문에서 반드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문맥과 상황에 맞으면 다른 답이 올 수도 있습니다.

 

ex) Would you like to read a book or watch TV?
       (책 볼래, TV 볼래?)
I'm not sure.

     (잘 모르겠어.)

선택 의문문: 상대방에게 대안 중에서 선택하게 한다.

4. 자주 묻는 질문(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 내용입니다.

Q. Yes/No 의문문은 항상 Yes 또는 No로만 답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Definitely, Maybe, Perhaps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Wh- 의문문에 Yes나 No로 답할 수 없나요?
     그렇습니다. Wh- 의문문은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Yes 또는 No로는 답할 수 없습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영어 의문문 연습문제.pdf
0.16MB


 

이상으로 영어 의문문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06:33 by Song SSam

 

be known ~

be known + 전치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많은 학생들이 혼동하는 수동태 표현 "be known + 전치사"를 정리하겠습니다. 형태는 비슷하지만 "be known" 뒤에 오는 전치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이 표현의 핵심은 "전치사"입니다. 
전치사(to, for, as, by)가 가진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be known" 수동태 표현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be known to

2. be known for 

3. be known as

4. be known by

5. be known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be known to (~에게 알려지다)

전치사 to는 대상 앞에서 "~에게"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be known to ~"는 "~에게 알려지다"는 뜻이 됩니다.

 

ex) She is known to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to: ~에게 알려지다.

2.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지다)

전치사 for는 이유를 뜻하며 "~때문에"라는 뜻을 갖습니다. 그러므로 "be known for ~"은 "~때문에 알려지다"는 뜻이 됩니다.

 

ex) She is known for her beauty.
      그녀는 아름다움 때문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지다

3. be known as (~로서 알려지다) 

전치사 as는 자격을 나타내며 "~로서"라는 뜻입니다. "be known as ~"는 "지위나 자격으로 알려지다"는 뜻을 갖습니다.

ex) She is known as the Queen.
      그녀는 여왕으로서 알려져 있다.

be known as: ~로서 알려지다

4. be known by ( ~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전치사 by는 수단을 나타내며 "~에 의해서"라는 뜻입니다. "be known by ~"는 직역하면  "~에 의해서 알려지다" 이지만 "~에 의해서 알 수 있다"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ex) A man is known by his friends.
      남자는 그가 사귀는 친구들로 알 수 있다.

be known by: ~에 의해서 알 수 있다

5. be known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 be known tobe known fo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be known to는 대상을 강조하여 "누구에게 알려졌는지" 뜻합니다. 이에 대하여 be known for는 이유를 강조하여 "왜 알려졌는지"를 나타냅니다.
  • be known as는 언제 사용하나요?
    → be known as는 직업, 지위, 별명과 같이 구체적인 신분이나 자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be known 전치사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be known 전치사 연습문제.docx
0.04MB
be known 전치사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be known + 전치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22:27 by Song SSam

 

복수형 불규칙 변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골칫거리인 명사의 복수형 중 불규칙 변화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영어에서 대부분 명사의 복수형은 -s를 붙여서 만듭니다. 이를 규칙변화라고 합니다. 그런데 일부 명사들은 고유한 복수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자주 쓰이는 대표적 불규칙 복수형과 함께 예외적인 사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영어가 원체 예외가 많은 언어입니다. 그러다보니 스크롤의 압박이 장난 아닙니다. 글 말미에 본문의 내용을정리해서 파일로 올려 놓았습니다. 참고하세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모음이 바뀌는 불규칙 복수형 (feet, mice 등)

2. '-n'을 붙이는 불규칙 복수형 (children, oxen 등)

3. 단수와 복수형이 같은 명사 (fish, sheep 등)

4. 외래어 기원의 불규칙 복수형

5. 주의해야 할 불규칙 복수형 명사 정리

6. 내용정리, 연습문제 파일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니다!


1. 모음이 바뀌는 불규칙 복수형 (feet, mice 등)

고대 영어에서는 모음을 바꾸어 복수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다음 7개의 명사들은 현재에도 모음을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 foot → feet
  • goose → geese
  • louse → lice
  • man → men
  • mouse → mice
  • tooth → teeth
  • woman → women

모음 변화 불규칙


2. '-n'을 붙이는 불규칙 복수형 (children, oxen 등)

일부 명사들은 명사에 -n을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역시 -n을 붙여 복수형을 만드는 고대·중세 영어의 잔재입니다. 거의 사라졌지만 몇 단어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 brother → brethren
    (주의: 형제는 보통 brothers, brethren은 종교적 형제 신도)
  • child → children
  • ox → oxen

(주의)

brother의 복수형은 brothers, brothren이 있는데 의미가 다릅니다.

(1) brothers 일반적인 형제들

   ex) I have brothers.

        나는 형제들이 있다.

 

(2) brethren 종교상의 형제(신도)

    ex) Let us pray, brethren.

        신도 형제들이여, 기도 합니다.


3. 단수와 복수형이 같은 명사 (fish, sheep 등)

일부 명사들은 단수형과 복수형이 같습니다. 여기에 해당되는 명사들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던 다음과 같은 단어들입니다.

  • beef, deer, fish, sheep

이 단어들은 단수형과 복수형을 구별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이러한 것들이 떼를 지어 다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물고기(fish)떼를 구성하는 개체수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러므로 이것들을 한 덩어리로 보는 것이 편합니다. 그래서 -s,를 붙이지 않고 단수형과 마찬가지로 복수형도 fish라고 합니다.

 

(주의)

fish fishes는 의미가 다릅니다.

fish는 물고기 한 마리, 또는 여러 마리를 뜻합니다. 이에 대하여 fishes는 종류가 다른 물고기 종류들을 의미합니다.

 

fisth: 물고기의 복수

ex) a catch of three fish

     물고기 세 마리

 

fishes: 물고기 종류

ex) three different fishes

     세 가지 다른 물고기 종류

 

beef, deer, fish, sheep


4. 외래어 기원의 불규칙 복수형

다른 언어에서 영어로 들어온 단어들은 원래의 복수형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다음과 같은 복수형 변화를 갖습니다.

 

4-1. 라틴어 기원 단어 예시

  • -a → -ae
    alumna → alumnae
    larva → larvae
    vertebra → vertebrae

  • -us → -i
    alumnus → alumni
    fungus → fungi
    radius → radii

  • -um → -a
    agendum → agenda
    memorandum → memoranda
    medium → media
    datum → data
    stadium → stadia (또는 stadiums)

  • -is → -es
    basis → bases
    ellipsis → ellipses
    thesis → theses
    vortex → vortices (또는 vortexes)

4-2. 그리스어 기원 단어 예시

  • -on → -a
    criterion → criteria
    phenomenon → phenomena
    prolegomenon → prolegomena
    stigma → stigmata

(주의 1)

많은 외래어 단어들은 -s 붙여 복수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는 외래어가 영어화 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ex) vortex vortexes / vortices

     stadium stadiums / stadia(?)

 

(주의 2)

다음 세 외래어 기원 단어들은 불규칙 복수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alumni, criteria, memoranda


5. 주의해야할 불규칙 명사 정리

다음 불규칙 복수형들은 특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단수형 복수형 의미상 차이
fish fish / fishes fish(같은 종류 여러 마리), fishes(다양한 종류)
brother brothers / brethren brothers(형제들), brethren(종교상 형제)
stadium stadiums / stadia 둘 다 가능하며 stadiums가 현대 영어에서 더 자주 사용

6. 내용정리, 연습문제 파일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내용정리 파일도 함께 첨부했습니다.

불규칙 복수형 내용정리.pdf
0.26MB
불규칙 복수형 연습문제.pdf
0.16MB
불규칙 복수형 연습문제 정답.pdf
0.25MB


 

이상으로 명사의 복수형 불규칙 변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18:27 by Song SSam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선행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 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복잡한 문장에는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관계대명사가 들어갑니다. 다시 말하면, 초등학생 수준의 영어를 졸업하게 되면 관계대명사를 접하게 됩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2. 선행사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여느 책에서 하듯이 문법적으로 어렵게 관계대명사를 정의해 보겠습니다.

 

어려운 정의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의 역할과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역할을 한다."

 

이 "어려운 정의"를 읽고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는 것은 돌을 소화시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조금 더 친절하고 쉽게 정의해 보겠습니다.

 

쉬운 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해서, 관계대명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확실하게 정리해 봅시다.


(1) I know a boy.
     나는 한 소년을 안다.

→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문장만으로는 의미가 불분명하지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명확해집니다.

 

(2) I know a boy who runs fast.
     나는 빨리 달리는 소년을 안다.

소년을 설명하는 "who runs fast"가 의미를 분명하게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설명


2. 선행사란?

2-1. 선행사의 정의

앞서 "선행사"라는 용어가 나왔습니다. 웬지 어렵게 어렵게 보이지만 한자말이라서 그렇습니다. 선행사를 한자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선행사(先行詞)

한자를 아는 분들이라면 금새 짐작할 수 있는 쉬운 말입니다. 풀어 보면 "앞 선, 다닐행, 말 사"입니다. 앞에서 정의했던 "앞에 나온 말"을 한자로 옮긴 것 뿐입니다. 좀 더 간결하고 있어보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므로 선행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先行詞):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선행사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관계대명사를 좀 더 문법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2-2. 선행사의 종류

관계대명사가 설명하는 명사인 선행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관계대명사가 달라 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사람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람을 설명합니다.

ex) He is the man who helped me.
      그는 나를 도와준 사람이다.
→ 선행사: the man

→ 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who를 씁니다.

 

(2) 동물 선행사

      관계대명사 동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 the dog which won the competition.
       이 개가 대회에서 우승한 개다.
→ 선행사: the dog

→ 선행사가 동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that를 써도 됩니다. 

 

(3) 사물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 the camera which(that) I bought yesterday.
      이것이 내가 어제 산 카메라다.
→ 선행사: the camera

→ 선행사가 사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이지만 that도 가능합니다.

 

주의:

현대영어 -특히 구어- 에서는 관계대명사 which 대신에 that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선행사에 맞게 다른 관계대명사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마구잡이로 that을 쓰게 되면 의미가 뚜려하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공식적인 글을 쓸 때는 선행사에 알맞는 과계대명사를 쓰시기 바랍니다. 문법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외국인이 우리는 더욱 그렇습니다.

선행사 설명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 역할과 선행사 연습문제 정답.pdf
0.2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선행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14:40 by Song SSam

 

현재완료, 미래완료

 

현재완료, 미래완료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상당히 어려운 영어 문법인 현재완료미래완료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우리말에 없는 용법이다 보니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문법들입니다. 예문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니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현재완료의 기본 개념

2. 미래완료의 기본 개념

3. 자주 묻는 질문 (FAQ)

4. 연습문제 다운로도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현재완료의 기본 개념 

현재완료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 현재까지 영향을 주거나 연결될 때 사용합니다. 즉,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포함하는 시제입니다. 현재완료의 특징과 의미를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1-1. 현재완료의 특징

현재완료는 과거와 현재완료가 결합 되었므로, 과거와 현재로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1) I have bought a new car.   (현재완료)

→  I bought a new car. + I have the new car now.  (현재완료 + 과거)

나는 차를 사서 (지금도) 가지고 있다.

 

(2) She has come here to see me.   (현재완료)

→  She came here. + She is here now.

그녀는 여기로 와서 (지금도) 있다.

 

현재완료를 해석할 때는 "현재"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합니다.

현재완료: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되는 사건

1-2. 현재 완료의 의미

현재완료는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 첫째, 과거에 시작된 사건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둘째, 과거에 시작된 사건이 현재까지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완료 의미

ex) Jim has just finished his report.

→  Jim은 이제 그의 보고서를 끝냈다.

과거에서 시작된 보고서를 방금 끝냈습니다.

 

계속 의미

(4) He has lived in Seoul for 10 years.  

→  그는 서울에서 10년째 살고 있다.

10년 전부터 지금까지 살고 있습니다.

 

위 두 예문에서 현재완료는 지금도 현재와 관련되어 있는 사건을 표현합니다.

현재완료 의미: 완료, 계속

현재완료: 계속


1-3. 현재 완료 진행형

과거에 시작된 동작이 지금도 계속될 때는 현재완료 진행형을 씁니다. 현재완료 진행형은 (단순)진행형보다 더 오래된 진행·계속을 나타냅니다.

 

진행형 (순간)

(1) He is singing lullabies. 

그는 자장가를 (지금 이순간) 부르고 있다.

  

현재완료 진행형 (계속)

(2) He has been singing lullabies all evening. 

그는 저녁 내내 (계속) 자장가를 부르고 있다.

 

(주의)

순간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진행형은 계속을 나타내는 말과 쓸 수 없습니다.

ex) He is singing lullabies all evening. (X)

 

 "is singing"은 "지금 이 순간에 노래를 부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순간적인 사건은 계속을 의미하는 "all evening"과 함께 쓸 수 없습니다.

 

현재완료 진행형: 동작의 계속

현재완료 진행형: 동작의 계속


1-4. 현재 완료는 독립적인 시제

과거완료와 달리 현재완료는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 기준이 되는 비교 시제 없이도 현재완료만 쓸 수 없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내용입니다. 완료시제가 없는 한국인들이 자주 실수하는 문법이기도 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독립적인 현재완료

(1) I have done my best.

    나는 최선을 다했다.

→ 현재완료는 비교나 기준이 되는 다른 시제가 없어도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독립적이지 못한 과거완료

(2) I had done my work. (??)

→ 예문에서만 가능한 문장입니다. 실제 말과 글에서 과거완료는 혼자서 쓰일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비교되는 시제가 함께 있어야 합니다.

 

(2-1) I had done my work when he arrived.

→ 기준이 되는 과거시제 arrived가 있으므로 대과거인 "had done"을 쓸 수 있습니다. 과거완료는 과거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시제입니다.

현재완료: 독립적인 시제

2. 미래완료의 기본 개념

미래완료는 미래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을 나타냅니다. 미래완료는, 과거완료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시제입니다. 그러므로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미래완료는 보통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절과 함께 쓰입니다.

 

(1) His plane will have arrived when we get to the airport.

    그의 비행기가 도착해 있을 것이다/ 우리가 공항에 도착했을 때는.

  비행기 도착이 먼저 발생

 

(2) She will have finished her homework before I fix dinner. 끝내는 것이 먼저

      그녀는 과제를 다 할 것이다/ 내가 식사를 준비하기 전에.

  과제를 다 한 것이 먼저 발생

 

(주의)

(1), (2)에서, 시간절 "when, before"은 미래를 나타내지만, 현재형 "get, fix"를 썼습니다. 시간절에서는 내용상 현재가 미래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미래완료: 미래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 상대적인 시제

미래완료


3. 자주 묻는 질문 (FAQ)

  •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시제의 차이는?
    현재완료는 현재까지 영향을 주는 경우에 씁니다. 반면 단순과거는 현재와 연결되지 않은 과거 사건에 쓰입니다.
  • 현재완료 진행형과 현재 진행형의 차이는?
    현재완료 진행형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된 동작입니다. 현재 진행형은 현재 순간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 미래완료는 왜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나요?
    미래완료는 반드시 미래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써야 의미가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도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현재완료 미래완료 연습문제.pdf
0.25MB
현재완료 미래완료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현재완료, 미래완료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상당히 어렵고 수준높은 내용이니 잘 찬찬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07:25 by Song SSam

 

 

 

 

부사: 문장 전체 수식

 

부사의 수식 - 문장 전체 수식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어 수업 시간에 가끔  "부사는 해석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듣습니다. 중요하지 않아서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럴리가요. 필요없는 말이면 애초에 쓸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부사는 위치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오히려 해석에 주의해야할 말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란?

2. yes, no, not 문장 전체를 수식

3. 일반 부사의 문장 전체 수식

4.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란?

부사는 문장 전체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는 특정한 단어가 아니라 주어와 동사 사이의 관계, 즉 전체 의미를 강조합니다. 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단어 수식과 문장 수식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문장 전체 수식: 주어와 동사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는 것

 

특정한 단어가 아니라 전체 내용을 강조한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먼저 yes, no를 봅시다.

2. yes, no, not: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경우

yes·no는 긍정문과 부정문에 쓰이는 대표적인 문장 수식부사입니다. yes·no는 다른 말없이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생략된 부분을 써 주면 yes, no가 문장 전체를 수식함을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2-1. yes, no 문장 전체 수식

(1) Is he here?

    Yes, he is.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yes)

It is certain that he is here.   

 

(2) Is he here?

    No, he isn't.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no)

It is certain that He isn't here.

 

위 두 문장에서 yes, no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2-2. 부정어 not 문장 전체 수식

부정문에 쓰인 not은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3) He isn't a fool.

I deny that he is a fool. (문장 전체 수식)

    그는 바보가 아니다.

 

(3)번은 deny를 이용하여 전체를 부정하는 문장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이 때 not 은 "He is a fool" 전체 문장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부정문 형태입니다. (아무 생각없이 쓰던 문장도 문법적으로 설명하면 이렇게 어려워 집니다.)

 

(4) I don't think so. (문장 전체 수식)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4)번에서 not은  "I think so"라는 문장 전체를 부정하는 말입니다.

 

위 표현들은 우리가 자주 보는 것들입니다. 아, 이런 것들이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표현이었구나 쯤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yes, no, not


3. 일반 부사의 문장 전체 수식

일반 부사도 문장 전체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1) I certainly think so. (문장 전체 수식)

   → It is certain that I think so.

       확실히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위 문장을 수식 관계에 따라 해석해 보겠습니다.

(1-1) certainly가 주어 I 수식

    → 확실한 나 (??)

이것은 확실히 이상합니다.

 

(1-2) certainly가 동사 think 수식

    → 확실하게 생각하다

 

"certianly"가 문장의 동사 "think"를 수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문장 부사라는 것은 실제로 문장의 본동사를 수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문장에서 "fortunately" 또한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fortunately" 또한 문장의 본동사인 "passed"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2) She fortunately passed the exam.

    → It is fortunate that she passed the exam.

        운 좋게 그녀는 시험에 통과했다. 

문장의 본동사


4. 자주 묻는 질문 (FAQ)

  • 부사가 문장 전체를 수식할 때의 위치는 어디인가요?
    문장 맨 앞이나 주어 바로 뒤에 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yes와 no 이외에 자주 쓰이는 문장 전체 수식 부사는 무엇인가요?
certainly, fortunately, unfortunately, clearly, obviously 등이 있습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문장 부사 연습문제.pdf
0.16MB
문장 부사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4-21 by Song SSam  
명사의 종류

명사의 종류

명사의 종류와 개념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명사의 종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보통명사와 고유명사의 구분부터 추상명사, 물질명사, 집합명사의 개념까지 설명하겠습니다. 잘 보시고 명사의 종류에 대해 분명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명사의 기본 개념

2.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3. 다섯 가지 명사

    (보통, 고유, 추상, 물질, 집합 명사)

4. 명사 구분시 주의 사항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명사의 기본 개념

명사는 사람, 장소, 사물, 개념 등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명사를 정확하게 구별하는 것은 영어 문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입니다. 또한 우리의 생각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도 명사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름"을 붙여야 비로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명사: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

2.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명사는 크게 보아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보통명사(Common Noun): 특정한 종류 전체를 나타냅니다.
  • 고유명사(Proper Noun): 단 하나뿐인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내며, 반드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씁니다.

예시를 통해 이해해 봅시다.

  • girl → 여자아이 전체를 의미하므로 보통명사
  • Eiffel Tower →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일한 탑, 고유명사
보통명사: 종류 전체
고유명사: 하나 뿐인 사람인 사물

보통명사 vs 고유명사

 

명사는이렇게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좀 더 보기 쉽게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부분집합을 빌렸습니다.

명사 = 보통명사 + 고유명사


3. 다섯 가지 명사들

명사들은 보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 집합명사

 

각 그룹별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3-1. 보통명사  (Common Noun)

특정한 종류 전체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ex) boy, car, book, city 등


3-2. 고유명사 (Proper Noun)

하나뿐인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입니다.

ex) Seoul, Tom, Han River 등


3-3. 추상명사 (Abstract Noun)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ex) love, hope, happiness, courage 등


3-4. 물질명사 (Material Noun)

형태는 있지만 일정한 형태가 없어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ex) family, class, police, team 등


3-5. 집합명사 (Collective Noun)

같은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이 모여 전체를 이루는 명사입니다.

ex) family, class, police, team 등

다섯가지 명사 분류


4. 명사 구분시 주의 사항

엄밀히 말해서 추상명사, 물질명사, 집합명사 등은 "단 하나뿐인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크게 보아 "보통명사"에 속합니다. 즉, 모든 명사는 크게 보아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지 편의상 학자들이 다섯가지로 이름붙인 것 뿐입니다. (원래 학자들이 하는 일이 쉬운 것을 어렵고 있어 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니 각 명사들의 정의만 알아 두시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중요한 것은 명사의 분류가 아니라 그 명사를 "셀 수 있는지, 셀 수 없는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명사의 수(단수, 복수)에서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섯가지 명사 정의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명사의 분류 연습문제.pdf
0.16MB
명사의 분류 연습문제 정답.pdf
0.18MB


 

이상으로 명사의 종류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update on 2025-04-20 22:35 by Song SSam

 

 

 

most, the most

most, the most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ost, the most를 명확하게 구별해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mostthe most를 혼동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정확히 구분하지 않으면 의미가 전혀 달라지므로 이번 기회에 확실히 정리해 봅시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most, the most 차이와 혼동 사례
2. most, the most 정확한 용법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most, the most 차이와 혼동 사례

다음 예문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살펴봅시다.

(1) I like the most games. (x)

    (나는 대부분의 게임을 좋아 한다)

 

(2) She is most popular girl. (x)

    (그녀가 가장 인기 있는 여자이다)

 

영어 작문을 검토하다 보면 자주 보게 되는 문장들입니다. 이 문장들은 틀렸습니다. 

그런데 어디가 잘못 되었을까요? 쉽게 보이지만 그렇게 만만치 않습니다. 위 문장들을 정확히 구별하시는 분들이라면... 축하드립니다. 상당한 영어 경지에 오르신 분들입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도 실망할 필요 없습니다. 원체 헷가리는 어법이기도 하고, 이 글을 잘 읽고 나면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I like the most games."에서는  most의 쓰임이 잘못 되었습니다. most가 "대부분의"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정관사 the를 붙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1)번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1-1) I like most games. 

       (나는 대부분의 게임을 좋아한다.)

 

"She is most popular girl." 에서는 most 앞에 정관사 the를 붙여야 합니다 most가 "가장 많은"이라는 최상급 의미로서 명사를 수식할 때는 반드시 정관사 the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번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2-1) She is the most popular girl. 

       (그녀가 가장 인기 있는 여자이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대부분(nearly all)의 의미일 때는 정관사 the를 쓰지 않습니다.
  • 최상급의 의미일 때는 반드시 정관사 the를 사용해야 합니다.

most, 정관사 the


2. most, the most 정확한 용법

most, the most를 구별해서 정리하겠습니다.

 

2-1. most: 대부분(nearly all)

  • most는 명사 앞에서 한정사로 쓰이거나 명사 대신 대명사로 쓰입니다.
  • 정관사 the와 함께 쓰지 않습니다.

예문

  • Most teachers are boring.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지루하다.)
    → most는 명사 tearchers 수식

  • Most of the people aren't happy with their jobs.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일에 만족하지 않는다.)
    → most는 명사 people을 대신하는 대명사

2-2. the most: 가장 많은(최상급 표현)

 

  • the most는 형용사나 부사의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 반드시 정관사 the와 함께 사용합니다.

예문

  • Who is the most beautiful girl in the world?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녀는 누구일까요?)
    → the most는 최상급

  • This computer is the most expensive in the store.
    (이 컴퓨터는 이 가게에서 가장 비싸다.)
    → the most는 최상급

most, the most 정리


3.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복습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most 연습문제.pdf
0.26MB
most 연습문제 정답.pdf
0.29MB

 

 

그럼 이상으로 most, the mo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4-20 by Song SSam

 

인칭대명사 격

인칭대명사 격변화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꼭 알아야 할 인칭대명사의 격변화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주격, 목적격, 소유격의 정확한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인칭대명사의 격이란?

2. 주격(Subjective Case)

3. 목적격(Objective Case)

4. 소유격(Possessive Case)

5. 인칭대명사 격변화 표 정리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인칭대명사의 격이란?

격이란 "단어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인칭대명사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정해진 격에 맞춰 써야 합니다. 인칭대명사의 격에는 주격, 소유격 그리고 목적격이 있습니다.

격: 단어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

격: 문장에서 하는 역할


2. 주격(Subjective Case)

먼저 "주격"을 살펴 봅시다. 

 

2-1. 주어 자리

주격은 문장에서 주어(subject)주격 보어(subject complement) 자리에서 사용됩니다. 인칭대명사가 주어 자리에 올 때는 주격을 써야 합니다.

 

(1) I am your father. 

나는 너의 아버지다.

주어 자리 →  주격

 

(2) He is my friend. 

그는 내 친구다.

주어 주격 he


2-2. 주격 보어자리

주격 보어자리에도 주격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1) This is she. 

     저입니다. (전화에서)

     주격 보어 주격 she

 

그런데 현대 영어에서는 주격 대신 목적격을 더 자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현이 되어 버립니다. (2)번에서 "It’s I."라고 하면 너무 딱딱한 표현이 됩니다. 

 

(2) It’s me (I). 

     나야.

     주격보어 목적격.

 

2-3. 주격 보어 사용시 주의점

이렇게 정리해 둡시다.

  • 격식체: This is she. (전화 등 공식적 상황에서 사용)
  • 일반적 표현: It's me. (자연스러운 회화체)
주격: 주어나 주격 보어 자리에는 인칭대명사의 주격을 쓴다.

3. 목적격(Objective Case)

인칭대명사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오면 목적격을 써야 합니다.

 

3-1. 타동사의 목적어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인칭대명사는 반드시 목적격을 씁니다. 

 

ex) My father named me

      아버지가 내 이름을 지었다.

      타동사의 목적어 목적격 me


3-2.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 다음에 오는 인칭대명사는 목적격을 씁니다. 

 

ex) She took care of us

   그녀가 우리를 돌 봤다.

   전치사 of의 목적어 목적격 us 

목적격: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오는 인칭대명사는 목적격을 쓴다.

4. 소유격(Possessive Case)

소유격은 ‘누가 무엇을 소유하는지’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4-1. 소유하는 사람

소유격은 대상을 소유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1) This is my book. 

      이것은 내 책이다.

      내가 소유한

 

(2) It is his money. 

     그것은 그의 돈이다.

     그가 가진


4-2. 소유대명사의 활용

앞에 나온 명사가 "소유격+명사"로 반복되면, "소유대명사"로 줄여서 씁니다.

 

(1) This car is hers.  

      이 차는 그녀의 것이다

      ▶ hers = her car

 

"This car is her car"는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어색합니다.

 

(2) His opinion is different from mine.  

      그의 의견은 나의 것과 다르다.

      ▶ mine = my opinion

 

"His opinion is different from my opinion" 역시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간결하지 못합니다. 짧게 쓸 수 있는 것을 이유없이 길게 늘여쓰는 것은 좋지 못한 언어 습관입니다.

주격, 소유격, 목적격


5. 인칭대명사 격변화 표 정리

지금까지 공부했던 인칭대명사의 격 변화를 단수와 복수로 나누어서 정리하겠습니다.

 

5-1. 단수 인칭대명사 격변화

인칭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1인칭 I my me mine
2인칭 you your you yours
3인칭(남성) he his him his
3인칭(여성) she her her hers
3인칭(사물) it its it its

 

5-2. 복수 인칭대명사 격변화

인칭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1인칭 we our us ours
2인칭 you your you yours
3인칭 they their them theirs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인칭대명사 격 연습문제.pdf
0.16MB
인칭대명사 격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이상으로 인칭대명사의 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0 by Song SSam"

접속사 의미 총정리

접속사 의미 총정리

접속사 의미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맘먹고 영어 접속사를 분류해서 그 뜻과 예문을 정리하겠습니다. 영어를 공부하다보면 자주 만나는 접속사들이니 확실하게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각 분류 명칭과 해당 접속사까지 공부하면 더할 나위 없지만 항목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필요한 정도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접속사 분류

2. 핵심 접속사 15개

3. 접속사 예문과 해석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접속사 분류

강의에 나온 접속사를 역할별로 분류했습니다. 말이나 글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들이니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1-1. 등위 접속사

and (그리고) but (그러나) for (왜냐하면) nor (~도 아니다) or (또는) so (그래서) yet (그러나)

 

1-2. 종속 접속사

after (~후에) although (비록 ~이지만) as (~처럼) rather than (~라기보다는) because (왜냐하면) before (~전에) even if (비록 ~이지만) even though (비록 ~이지만) if (만약 ~한다면) in order that (~하기 위하여) once (한 번 ~하면) provided that (~한다면) since (~이후로) so that (~하기 위하여) than (~보다) that though (비록 ~이지만) unless (만약 ~않는다면) until (~까지) when (~할 때) whenever (~할 때마다) where (~곳) wherever (~하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whereas (반면에) whether (~인지 아닌지) while (~하는 동안에) why (~한 이유)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종속접속사를 자세하게 공부하려면 다음 글을 보세요.

종속 접속사: 의미와 종류

 

1-3. 관계대명사

that who which whoever (누구나) whosever (누구의 것이든) whichever (어느 것이든) whom whomever (누구의 것이든)

 

1-4. 관계부사

where (그곳에서) when (그때) why (그러한 이유로) how (그렇게 해서)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2. 핵심 접속사 15개

위에서 정리한 접속사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중요도가 가장 큰 핵심 접속사 15개를 선별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문법적으로도 필수적인 접속사들이니 꼭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2-1. 등위접속사 (5개)

  • and (그리고)
  • but (그러나)
  • or (또는)
  • so (그래서)
  • yet (그러나)

2-2. 종속접속사 (7개)

  • because (왜냐하면)
  • although (비록 ~이지만)
  • if (만약 ~한다면)
  • unless (만약 ~않는다면)
  • when (~할 때)
  • while (~하는 동안에, 반면에)
  • so that (~하기 위하여)

2-3. 관계대명사 및 관계부사 (3개)

 

  • who (사람 선행사)
  • which (사물 선행사)
  • where (장소, 그곳에서)

위 접속사들은 자주 사용되고 시험에도 자주 등장하는 것들입니다. 문장 연결은 물론 문법적으로도 중요한 것들이니 꼭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3. 접속사 예문과 해석 다운로드

강의에 나왔던 접속사들의 예문과 해석을 정리한 pdf 파일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접속사 의미 총정리.pdf
0.30MB

 


 

그럼 이상으로 접속사 의미 총정리 글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0 11:02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종속 접속사

 

종속 접속사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속 접속사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등위접속사와의 차이점과 문장 성분으로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문법 용어는 이름 때문에 더욱 어렵게 느껴집니다. "종속"이라는 이름만 빼면 그저, 연결하는 말입니다. 꼭 필요한 내용이니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종속접속사의 정의와 특징

2. 종속접속사의 문법적 역할

3. 종속접속사의 중요성 및 활용법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종속접속사의 정의와 특징

1-1.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의 차이

접속사는 크게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용어가 말해 주듯이 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말들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등위접속사 문장은 두 개의 독립적인(대등한) 문장들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1) 등위접속사 and

① I shopped at the store, and I went home.

→ I shopped at the store. + AND+ I went home. (O)

①번에서 보는 것처럼 등위접속사(and) 문장은 두 개의 대등한(독립적인) 문장으로 분리됩니다.

 

종속접속사가 이끄는 문장은 문장구성요소(주어, 목적어, 보어 등)가 됩니다. 문장 속에 포함되어 있으므로(종속) 두 문장으로 분리할 수 없습니다.

 

(2) 종속접속사 when

② I don't know when he will come.

→ I don't know. + When he will come. (X)

 

번에서 when이 이끄는 문장은 독립적으로 떼 놓을 수 없습니다.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의 when은 종속접속사입니다.

종속 접속사 독립 안됨


2. 종속접속사의 문장 성분 역할

문장 성분이 된다는 말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 예들에서 보듯이 종속접속사절은, 개별 품사와 마찬가지로, 문장성분이 될 수 있습니다.

 

  2-1. 주어 역할 (명사절) 

  • 명사(구) : His tale is a lie. (그의 이야기는 거짓이다.)
  • 명사절 : What he said is a lie. (그가 말한 것은 거짓이다.)

 

두 문장에서 "His tale, What he said'"는 동사 "is" 앞에서 주어 역학을 하고 있습니다. "His tale"은 명사구가, "What he said"는 종속접속사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 역할을 합니다.

 

2-2. 보어 역할 (명사절) 

명사(절)이 자동사 다음에서 주어를 설명합니다.

 

  • 명사(구) : This is the book. (이것은 책이다.)
  • 명사절 : This is what I want. (이것은 내가 원하는 것이다.)

명사구 "the book", 명사절 "what I want"는 두 문장에서 보어 역할을 합니다.

 

 

2-3. 목적어 역할 (명사절) 

목적어로 쓰이는 명사(절)은 타동사 다음에 위치합니다.

  • 명사(구) : I know the time. (나는 그 시간을 안다.)
  • 명사절 : I know when he will come. (나는 그가 언제 올지 안다.)

두 경우 모두 동사(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2-4. 부사적 수식어 역할 (부사절) 

부사절 역할을 하는 경우 부사(절)는 대개 문장 처음이나 끝에 위치합니다.

  • 부사 : I'll see you tomorrow. (나는 너를 내일 볼 것이다.)
  • 부사절 : I'll see you when I come. (나는 너를 내가 올 때 볼 것이다.)

두 경우 모두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2-5. 형용사적 수식어 역할 (형용사절)

보통 형용사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지만, 형용사절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 형용사 : This is an interesting book. (이것은 흥미로운 책이다.)
  • 형용사절 : This is the book which is interesting. (이것은 흥미로운 책이다.)

두 문장에서 "interesting, which is interesting"은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절 형태일 때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위치합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그저 간결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종속 접속사 문장성분


3. 종속접속사의 중요성 및 활용법

종속접속사는 형식과 의미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형식적 측면: 종속접속사는 다양한 문장 성분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복잡하고 다양한 문장을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합니다.
  • 의미적 측면: 다양한 의미(시간, 원인, 조건 등)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의미 전달을 돕습니다.

종속 접속사는 형식과 의미 두 측면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종속 접속사는 문장 성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장을 만들 수 있게 해 줍니다. 의미적 측면에서, 종속접속사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명확한 의미 전달을 도와 줍니다.

 

종속접속사를 잘 활용해서 더욱 정교하고 정확한 영어를 표현하시기 바랍니다.


4.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종속 접속사 연습문제.pdf
0.16MB
종속 접속사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다양한 영어 접속사들의 의미와 예문은 다음 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접속사 의미와 예문 정리


 

종속 접속사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은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0 08:34 by Song SSam

 

 

 

 

 

 

수의 일치 동영상 강의

내용정리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수일치

수의 일치 핵심 정리및 문제 풀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subject-verb agreement)"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수식어구와 절이 포함된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간단히 개념을 정리 한 후 실전 문제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어와 동사의 일치 핵심정리

2. 수식어구와 수의 일치

3. 연습 문제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수의 일치 핵심정리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주어가 단수일 경우 동사도 단수형을, 주어가 복수일 경우 동사도 복수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주 주어면 단수 동사, 복수 주어면 복수 동사라는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더욱 정확하게 이해해 봅시다.

 

  • 단수 주어 예문
    ex) My sister loves chocolate cake.
    →  My sister가 단수이므로 동사에 '-s'를 붙였습니다.
  • 복수 주어 예문:
    ex) The students are playing soccer.
    →  The students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are"를 썼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도 틀리지 않을 쉬운 문장들입니다. 그런데 수능, 토익과 같은 고급 영어 시험에서 "수의 일치"문제가 단골로 출제될까요? 주어와 동사 사이에 "수식어구와 절"이 끼어들어 문장이 복잡해 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수의 일치 문제는 수식어구와 절을 파악하는 문제나 다름없습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2. 수식어구와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주어를 꾸며주는 구나 절이 있더라도, 동사는 주어의 수에 맞춰야 합니다.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수식어구들이 있습니다.

 

  • 구(Phrase): 전치사구, to 부정사구, 동명사구, 분사구 등
  • 절(Clause): 관계사절, 동격절 등

다음은 수식어구와 절이 포함된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일치시켜 봅시다.

 

2-1. The box of chocolates was expensive.

       (초콜릿 상자는 비싸다.)

→  핵심 주어인 "box"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was"를 사용합니다. 수식어구인 "of chocolates"은 수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2. The books that are on the shelf belong to Sara.

       (선반 위에 있는 책들은 사라의 것이다.)

→  핵심 주어인 "the books"로 복수이므로 복수 동사 "belong"을 사용합니다. 관계사절인 "that are on the shelf"는 수식어절이므로 수의 일치에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수식어구의 수일치


3. 연습 문제

다음 문제들을 풀어 보면서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를 확실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문장에서 괄호 안의 동사를 문맥에 맞게 알맞은 형태로 고쳐 쓰세요.

  1. One out of every two marriages in Korea [ ] in divorce. [end]
  2. The typical retirement age [ ] 62. [be]
  3. The unemployment rate [ ] moved up. [have]
  4. An equation says two things [ ] equal. [be]
  5. Her bag [ ] empty. [be]
  6. The pollution from cars [ ] harmful. [be]
  7. One out of every two families [ ] a dog. [have]
  8. Good things come to those who [ ] eager to have. [be]
  9. One out of every three college graduates [ ] got a job. [have not]
  10. Most people who have survived accidents [ ] great strength. [have]
  11. The same attackers that breached Google [ ] hit the Pentagon. [have]
  12. One pleasurable thing to do [ ] to eat. [be]
  13. The fact that a believer is happier than a skeptic [ ] not true. [be]
  14. They say that health [ ] wealth. [be]
  15. The box of money [ ] full. [be]
  16. Poor conditions [ ] about poverty. [bring]
  17. An equation says two things [ ] equal. [be]

정답과 해설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 연습문제와 그에 대한 정답, 해설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공부하세요.

주어 동사의 일치 연습문제.pdf
0.13MB
주어 동사의 일치 연습문제 풀이.pdf
0.22MB

 

 

이상으로 수의 일치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이 글은 2025년 4월 19일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by Song SSam."

 

to 부정사 주어

To 부정사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의 주어"를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 문장에서는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등장합니다. 그리고 주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어서 길어집니다. 주어 자리에서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방식을 잘 알게되면 독해 실력이 크게 향상됩니다. 주어와 동사를 빨리 찾는 것이야 말로 독해력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내용이 약간 어렵더라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4. 내용 요약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

먼저 영어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를 알아 봅시다. 영어에서는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들"이 주어 역할을 합니다. 이것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 → 명사

 

조건명제 형식을 빌려 표현하면 ‘주어이면 명사’라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말이 주어 자리에 있으면, 명사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같은 논리에 따라, 동사 앞에서 주어 자리에 오는 'to 부정사'는 명사 역할을 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는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

주어→명사


2. to 부정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주어로 쓰이는 'to 부정사'는 단순하게 "to + 동사원형"의 형태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to 부정사의 다양한 용법(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등) 때문에 문장 내에서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편의상 "to 부정사의 확장"이라고 합시다.

 

다음은 주어 자리에 있는 to 부정사가 확장되는 경우들입니다.

2-1. To judge is easy.    

    → 판단하는 것은 쉽다.

    기본형


2-2. To judge a person is easy.    

    →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목적어 추가


2-3. To judge a person's capacity is easy.    

    → 사람의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명사구 확장


2-4.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쉽다.

     형용사 추가


2-5.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사 추가


2-6. Not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is not eas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판단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부정형


2-7.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 사람의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가주어 it 사용)

     가주어 진주어 구문

 

위 예문들은 to 부정사 주어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각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법적으로 주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어 자리에 있는 단순한 to 부정사는 수식어구들에 의해서 점점 의미가 확장됩니다. "to 부정사"는 동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목적어를 취할 수도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어가 수식어구로 한정되어 길어지더라도, 의미상 결합되어 있다면 하나의 주어로 보아야 합니다. 위 예제들에서 밑줄 친 부분은 전체가 결합된 주어라는 점에서 모두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정사의 확장


3. 긴 주어를 싫어하는 영어와 가주어

영어는 긴 주어를 싫어하는 언어입니다. 주어가 길어질 때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는 뒤로 보냅니다. 이러한 언어적 관행은 to 부정사에도 적용됩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게 됩니다.

 

to 부정사 주어

ex)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is not easy.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잘 썼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주어가 너무 길기 때문에 말하고 쓰기에 부담스럽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구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합니다.

 

가주어 진주어

ex) It is not easy to judge a person's mental capacity properly

 

그렇지만 to 부정사 주어가 짧다면 그대로 둬도 의미 전달은 명확합니다. 취향과 선택의 문제라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가주어 it을 쓸지 말지 판단할 수 있는 대략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3단어 이내면 그냥 쓴다.
  2. 3단어가 넘으면 소리 내어 읽어본다.
    읽어봐서 자연스럽지 않으면 가주어를 쓴다.

이 기준은 다소 자의적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소리내서 읽어 봅니다. 읽는 것이 어색하면, 듣는 것도 어색합니다.
이 원칙은 에세이 쓰기, 스피킹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문장을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4. 내용 요약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주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 주어가 길어질 경우, 가주어 i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가주어 진주어 구문은 문장의 명확성과 가독성을 높입니다.

5.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주어 연습문제.pdf
0.17MB
to 부정사 주어 연습문제 정답.pdf
0.19MB

 

 

이상으로 to 부정사 주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9 by Song SSam


 

다음은 제가 쓴 "to 부정사 직전 정리"입니다.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필수 사항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부정사 부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적, 원인, 결과, 이유·판단의 결과"라고 지겹도록 외웠던 그 문법입니다. 이렇게까지 달달 외울 필요는 없지만 실제로도 to 부정사의 대표적 용법이니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총정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내용도 많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란?
2. 의미별 정리 및 예문
3. 기타 용법

4. 자주 출제되는 예문

5. 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란?

to 부정사(이하 부정사)는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므로, 부정사가 부사 역할을 할 때도 동사·형용사·부사를 수식합니다.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동사, 형용사, 부사 수식

 

이렇게 부사역할을 하는 부정사를 의미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목적 (~하기 위하여)
  • 원인 (~해서 ~하다)
  • 이유, 판단의 근거 (~하다니)
  • 결과 (~하게 되다)
  • 조건, 가정 (~한다면)
  • 형용사 수식 (easy to, difficult to 등)
  • 관용 표현 : too ~ to, enough to

부정사가 부사로 사용될 때는 보통 위와 같이 쓰입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의미는 목적을 나타내는 "~하기 위하여"입니다. 통계를 보면 80%에 가깝다고 하니 절대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장에서 부사로 쓰인 to 부정사를 만나면 일단 "~하기 위하여"로 해석해도 될 정도입니다. 

목적 (~하기 위하여) 원인 (~해서 ~하다) 이유, 판단의 근거 (~하다니) 결과 (~하게 되다) 조건, 가정 (~한다면) 형용사 수식 관용 표현

부사적 용법: 동사, 형용사 수식

 


2. 의미별 정리 및 예문

각 부사적 용법을 의미별로 정리하고 예문을 통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2‑1. 목적 (~하기 위하여).

(1) We need mistakes to grow.
      우리들은 실수가 필요하다/ 성장하기 위하여.

      (동사 need 수식)


to grow는 "필요하다(need)"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 역할을 합니다. "성장하기 위하여"로 해석 되므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뜻으로 so as to, in order to, so that 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We need mistakes in order to grow

(1-2) We need mistakes so that we may grow.
 

"so as to"는 지나치게 옛스러운 문어체라서 현대 영어에서는 잘 쓰지 않습니다.


2‑2. 원인 (~해서 ~하다)

부정사가 형용사나 동사를 수식합니다. 해석은 "~해서 ~하다"로 합니다.

 

(1) I am glad to see you again.

    나는 기쁘다/ 너를 다시 보아서.

    (형용사 glad 수식)    

 

2. We regret to say that you failed the test.

   말하게 되어 유감입니다/ 당신이 시험에 떨어졌다는 것을.

   (동사 regret 수식)


2‑3. 이유·판단 근거 (~하다니)

부정사가 형용사나 부사, 그리고 동사를 수식합니다. 해석은 ‘~하는 것을 보니, ~하다니’로 합니다.

 

(1) You must be a fool to believe him.

    너는 바보임에 틀림없어/ 그를 믿다니.

    (동사 must be 수식)

 

2. I am lucky to marry you.

   나는 행운아야/ 당신과 결혼하다니.

   (형용사 lucky 수식)


 2-4. 결과 (~하게 되다, ~ 해 버렸다)

여기서 to 부정사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용법은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과 잘 구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1) He awoke to find himself famous.

목적: 그는 깨어났다/ 발견하기 위해서/ 자신이 유명해졌다는 것을. (X)

결과: (그는 깨어나서 발견했다/ 자신이 유명해졌다는 것을. (O)

 

목적으로 해석하면, "그는 자는 중에 자신이 유명해졌다는 것을 알고서 그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 깨어났다’는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그"는 자는 중에도 외부 세계가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는 "인간을 초월한 존재"가 되어 버립니다. 보통 사람들은 자면서 외부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없습니다. 

 

목적으로 해석하면 이렇게 엉뚱한 의미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결과로 해석해야 합니다. 아니면 다음과 같이 조금 길어지지만 접속사 and를 함께 사용하여 의미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1-1) He awoke and found himself famous.

       그는 깨어났다/ 그리고 발견했다/ 자신이 유명졌다는 것을.

 

어려운 부분이라 예문을 몇 개 더 추가했습니다.

 

(2) He grew up, so that he became a scientist.

→  He grew up to be a scientist.

     그는 자라서 과학자가 되었다.

 

(3) She grew up to be an actress.

    그녀는 자라서 여배우가 되었다)

 

(4) He tried hard only to fail.

    그는 열심히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결과


 

 2-5. 조건 (~한다면)

역시 부정사는 문장에서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To see her, you will love her immediately.

→  If you see her, you will love her immediately.

    그녀를 본다면, 당신은 그녀를 사랑할 것이다/ 즉시.

 

2. To take exercise regularly, you will stay fit.

If you take exercise regularly, you will stay fit.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면, 당신은 몸매를 유지할 수 있다.

 

영어 글이나 말에서 조건일 때 to 부정사를 쓰는 경우는 잘 보지 못했습니다. 의미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조건을 나타낼 때는 의미가 분명하도록 "if"를 쓰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3. 기타 용법

의미상 분류가 힘들어 별도로 정리합니다. 부정사는 특별한 의미없이 형용사를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관용적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두 경우 모두 형용사를 수식하므로 부사적 용법입니다.

 

3-1. 형용사 수식

to 부정사는 앞에 나온 형용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1) This book is easy to understand.

    이 책은 쉽다/ 이해하기에.

    (형용사 easy 수식)

 

(2) This question is not difficult to solve.

     이 문제는 어렵지 않다/ 풀기에.

     (형용사 difficult 수식)

 

두 문장에서 to 부정사는 앞에 나온 형용사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3-2. too ~ to, enough to

"too ~ to, enough to" 구문에서 to 부정사는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구문들은 "so ~ that"을 이용하여 절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He was too stupid to understand the question.

He was so stupid that he could not understand the quesiton.

    그는 너무 멍청해서 이해할 수 없다/ 그 문제를.

 

(2) My daughter is old enough to go to a kindergarten.

My daughter is so old that she can go to a kindergarten.

   내 딸은 충분히 나이가 들었다/ 유치원 가기에.


4. 자주 출제되는 예문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서 자주 출제되는 대표 예문들입니다. 잘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구분 핵심 예문 해석
목적 He saved money to buy a laptop. 노트북을 사기 위해 돈을 저축했다.
결과 She opened the box to find nothing inside. 상자를 열어 보니 안에 아무것도 없었다.
형용사 수식 The problem is difficult to solve. 그 문제는 풀기 어렵다.

5. FAQ

수업 시간에 자주 질문을 받았던 내용을 정리합니다. 참고하세요. 

Q1. 목적과 결과를 가장 간단히 판별하는 방법은?
A1. 문장을 to 부정사 대신 “and + 동사”로 바꿔 읽어 보세요. 뜻이 자연스러우면 결과, 부자연스러우면 목적입니다.

 

Q2. so as to, in order to 차이는?
A2. 의미는 같지만 so as to는 문어체·격식, in order to는  비교적 격식을 차린 표현입니다. 일상 회화에서는 단순 to 부정사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연습문제.pdf
0.17MB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연습문제 정답.pdf
0.19MB

 

 

그럼 이상으로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원인·결과)을 예문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update on 2025-04-19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