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known + 전치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많은 학생들이 혼동하는 수동태 표현 "be known + 전치사"를 정리하겠습니다. 형태는 비슷하지만 "be known" 뒤에 오는 전치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이 표현의 핵심은 "전치사"입니다. 각 전치사(to, for, as, by)가 가진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be known" 수동태 표현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be known to
2. be known for
3. be known as
4. be known by
5. be known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be known to (~에게 알려지다)
전치사 to는 대상 앞에서 "~에게"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be known to ~"는 "~에게 알려지다"는 뜻이 됩니다.
ex) She is known to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to: ~에게 알려지다.
2.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지다)
전치사 for는 이유를 뜻하며 "~때문에"라는 뜻을 갖습니다. 그러므로 "be known for ~"은 "~때문에 알려지다"는 뜻이 됩니다.
ex) She is known for her beauty.
그녀는 아름다움 때문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지다
3. be known as (~로서 알려지다)
전치사 as는 자격을 나타내며 "~로서"라는 뜻입니다. "be known as ~"는 "지위나 자격으로 알려지다"는 뜻을 갖습니다.
ex) She is known as the Queen.
그녀는 여왕으로서 알려져 있다.
be known as: ~로서 알려지다
4. be known by ( ~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전치사 by는 수단을 나타내며 "~에 의해서"라는 뜻입니다. "be known by ~"는 직역하면 "~에 의해서 알려지다" 이지만 "~에 의해서 알 수 있다"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ex) A man is known by his friends.
남자는 그가 사귀는 친구들로 알 수 있다.
be known by: ~에 의해서 알 수 있다
5. be known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 be known to와 be known fo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be known to는 대상을 강조하여 "누구에게 알려졌는지" 뜻합니다. 이에 대하여 be known for는 이유를 강조하여 "왜 알려졌는지"를 나타냅니다. - be known as는 언제 사용하나요?
→ be known as는 직업, 지위, 별명과 같이 구체적인 신분이나 자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상으로 "be known + 전치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2 22:27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조동사 의미 총정리|단순형과 조합형 대표 의미 및 예문 (4) | 2025.04.27 |
---|---|
unless 용법 총정리 (조건, 가정법 과거, 과거완료) (13) | 2025.04.25 |
명사의 종류와 개념 총정리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등) (12) | 2025.04.20 |
had better의 정확한 사용법 | must나 should와의 뉘앙스 차이 (9) | 2025.04.15 |
4형식 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 동사 (1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