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이 아주 두려워하는 'to 부정사 뒤에 오는 전치사'에 대해 확실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와 필수 표현들을 예문과 함께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법은 한국인들이 특히나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는 당연한데 영어로 쓸 때만 문제가 되는 것이라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지나치게 어려워서인지 웬만한 영어 시험에서는 잘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들도 어렵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고급 영어 실력을 갖길 워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넘어야 할 벽이기도 합니다. 영어를 뛰어나게 잘하기 위해서는 "영어식 사고방식"에 익숙해야 하기 때문이죠. (중3 딸네미가 1학기 중간고사 준비 중에 하도 걱정스럽게 이 용법을 질문했습니다. 시험에 안 나온다고 그렇게 달래도 딸 자식 이기는 아빠가 어디 있나요. 결국 글을 정리하고 말았습니다. ㅠㅠ)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2. 자주 틀리는 명사 "to 부정사 + 전치사 " 10가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먼저 다음 예문을 살펴 봅시다. to 부정사와 그 다음에 오는 전치사 with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넘어야 할 "to 부정사 + 전치사"란 "to eat with"과 같은 형태를 말합니다.
(1) I need a spoon to eatwith.
(1-1)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1-2)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영어를 전공한 이후로 강산이 세 번도 넘게 바꼈습니다. 그런데 해석을 (1-1)번같이 하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 전문 번역가도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라고 번역을 하면 고개를 갸우뚱 거릴 것입니다.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는 해석이 우리 뇌에 착 감겨 들립니다. 적어도 한국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극히 정상적으로 들리는 "먹을 숟가락"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 어지럽겠지만 조금만 참고 봐 주시기 바랍니다.
(1) 번 문장 "I need a spoon to eat with."는 원래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나왔습니다.
(2) I eatwith a spoon.
나는 숟가락을 가지고 먹는다.
(2)번 문장에서 전치사를 빼면 다음과 같은 "불가사리"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3) I eat a spoon. (X)
나는 숟가락을 먹는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그렇지 숟가락을 씹어먹을 수야 없습니다. 고려시대 출몰했다는 민간괴담 속의 불가사리가 아닌 다음에야 말입니다.
이제 "I eat with a spoon." 문장을 need와 to 부정사를 이용해서 다시 써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4) I eat with a spoon.
→ I need a spoon to eat with.
어떻습니까? to 부정사 다음에 논리적으로 with가 와야하는 이유를 아시겠죠? 우리 보통 사람들은 "spoon"을 먹는 것이 아니라, "spoon"을 가지고 먹습니다.
이렇듯, to 부정사 뒤에 전치사를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문법학자들이 "to 부정사 + 전치사"라고 잽싸게 이름붙인 것입니다. (아마 일본쪽 영문학자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쪽으로는 도가튼 사람들이라서요.)
이렇게 친절한 설명을 들어도 여전히 골치가 아플 것입니다. 머리로는 알겠지만 뱃속이 불편한 찝찝한 느낌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어려워서 시험에 잘 나오지 않을 뿐더러, 나온다고 해도 몇 가지 뻔한 예들만 돌려쓰기로 출제됩니다. 그러니 다음에 정리하는 표현 정도만 알아도 "영어를 굉장히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알았지, 우리 딸?)
spoon to eat
다음 표현들은 어쩌다 시험에 나오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자주 쓰이는 "to 부정사 + 전치사" 표현들입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오는 전치사에 주의해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a house to live in (살 집)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a pen to write with (쓸 펜)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a tool to open with (열 도구)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기왕 정리하는 김에 설명까지 하겠습니다. 괜히 어설프게 설명했다가 모 중 3 여학생에게 의구심만 잔뜩 불러일으킬 것 같아서요.
a house to live in (살 집)
→ 집 "안에" 들어가 사는 것이므로 전치사 in 필요.
주의! a place to live 표현에서는 in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장소(땅) 안에 들어가서 살지는 않습니다.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의자 "위에" 앉는 것이므로 전치사 on 필요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 친구"에게" 이야기 하거나 (to), 친구와 "함께" 이야기 하므로 전치사 with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 돈을 "가지고" 구입하므로 전시사 with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종이 "위에" 쓰므로 전치사 on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펜을 "가지고" 쓰므로 전치사 with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 주제에 "대하여" 쓰므로 전치사 about
a tool to mend with (수리할 도구)
→ 도구를 "가지고" 수리하므로 전치사 with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 종교"에" 의지하므로 전치사 to
이 정도로 정리하면 "to 부정사 + 전치사" 때문에 골치 아플 일을 없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의미상 주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to 부정사와 관련된 의미상 주어의 다양한 유형과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줄인다고 줄였는데 글이 무척이나 길고 어렵습니다. 그래도 영어 레벨업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니 꼼꼼하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쓰는 저도 있습니다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상 주어란? 2. 의미상 주어 네 유형 3. 문장의 주어가 의미상 주어 4. 문장의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 5. 의미상 주어가 분명치 않은 경우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상 주어란?
영어 문법에서 의미상의 주어란 대개 "준동사의 행위의 주체"를 말합니다. 준동사의 행위의 주체라... 문법이 어려운지 문법 용어가 어려운지 헷갈립니다. 나름 고심한 명칭이겠지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무지막지한 용어를 조금 더 쉽게 쪼개서 이해해 봅시다. 영어에서 준동사들(to 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to 부정사 → to + 동사원형
동명사 → 동사원형 + ~ing
현재 분사 → 동사원형 + ~ing
보시다시피 준동사들에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준동사는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들 동사는 행위의 주체인 주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의미상의 주어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미상의 주어란 "준동사에 있는 동사(행위)의 주체"입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to 부정사에 있는 동사의 주체입니다.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동명사에 있는 동사의 주체입니다.
이 글에서는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만을 다루겠습니다.
행위의 주체
2. 의미상 주어 네 유형
의미상 주어는 크게 다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 → (의미상 주어는 생략)
목적어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 → (의미상 주어는 생략)
의미상의 주어가 일반인이나 알려지지 않은 경우 → (의미상 주어 생략)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 (for +목적격, of +목적격)
각 항목을 유형별로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3.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 (생략)
의미상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같은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1) I hope to succeed.
→I hope that I will succeed.
(나는 희망한다/ 성공하기를)
(2) He wanted to be a hero.
(그는 원했다/ 영웅이 되기를)
(1) 번에서 ‘to 부정사’에 있는 동사 ‘succeed'의 주어는 무엇일까요? 성공하는 사람은 ’I‘입니다. 즉, 'to succeed'의 의미상 주어는 ’I'가 됩니다. 그런데 'I‘는 문장의 주어와 같습니다. 이렇게 의미상의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같을 때는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2) 번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웅이 되고 싶은 사람 즉, ‘to be a hero'의 주어는 문장의 주어인 ’I'입니다. 역시 문장의 주어와 의미상 주어가 같기 때문에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4.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일 때 (생략)
의미상 주어가 목적어와 같은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쓰지 않습니다. to 부정사가 목적어 다음에 올 때, 목적어가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합니다. 다음 예문들에서 문장의 목적어와 to 부정사의 관계를 잘 살펴 보세요.
(1) Nobody tells me what to do.
→ Nobody tells me what Ishould do.
(누구도 나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무엇을 해야하는지)
(to do의 의미상 주어는 목적어 me입니다. 목적어와 같으므로 의미상 주어 생략)
(2) I expect himto succeed.
→ I expect that hewill succeed.
(나는 기대한다/ 그가 성공할 것이라고)
(to succeed의 의미상 주어는 him입니다. 목적어와 같으므로 의미상 주어 생략)
두 예문에서 목적어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하므로 생략합니다.
5. 의미상 주어가 분명치 않은 경우 (생략)
의미상 주어가 특정한 사람이 아닌 일반인일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쓰지 않습니다.
(1) It is best to be honest.
(최고이다/ 정직한 것이)
(2) It is wrong to tell a lie.
(잘못 되었다/ 거짓말하는 것은)
(1)번과 (2)번에서 ‘to 부정사의 주체는 "특정한 개인이 아닌 일반인"입니다. 이렇게 의미상 주어가 일반인일 경우에도 의미상 주어를 별도로 쓰지 않습니다. 사실 주어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쓸 수 없다"는 표현이 더 옳을 것 같습니다.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가장 중요한 경우입니다. 문법에서 의미상의 주어라고 하면 보통은 이러한 경우를 말합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필요하고,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와 다른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써 줍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문장의 주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형태가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for + 명사(목적격) of + 목적격
먼저 "for + 명사(목적격)"을 봅시다.
6-1. for + 명사(목적격)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으로 표시합니다.
ex) It is necessary for himto see a doctor.
(그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가 의사를 보는 것은.)
이 문장에서 ‘to see a doctor'하는 것은 문장의 주어인 ’it'이 아닙니다. ‘he'가 ’to see a doctor'합니다.
이렇게 문장의 주어와 의미상 주어가 다른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써 주어야 합니다. 단, 주격을 그대로 쓰면 주어와 혼동되므로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으로 써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석은 의미상의 ‘주어’이므로 주격조사 ‘은, 는, 이, 가’를 붙여서 해석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을 쓴다.
그리고 ‘necessary’는 원칙적으로 사람을 주어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쓸 수 없습니다.
이들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가주어 it"과 의미상 주어 "for 명사", 그리고 "to 부정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듭니다. 물론 "to 부정사"로 문장을 시작할 수도 있지만, 이들 형용사가 있을 때는 "가주어 it"을 쓰는 것이 훨씬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형용사 for 목적격 to 부정사.
사물 형용사가 "to 부정사"와 함께 쓰인 예문들입니다.
■ It is easy for himto answer the question. (권장)
→He is easy to answer the question. (×)
→To answer the question is easy for him. (○)
(그것은 쉽다/ 그가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 It is convenient for customersto shop on line.
→To shop on line is convenient for customers.
(그것은 편리하다/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것은)
■ It is difficult for meto focus on my study.
→To focus on my study is difficult.
(그것은 어렵다/ 내가 나의 공부에 집중하는 것은)
■ It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to send an e-mail.
→To send an e-mail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
(그것은 가능하다/ 내 할아버지가 이메일을 보내는 것은)
■ It is pleasant for herto help the poor.
→ To help the poor is pleasant for her.
(그것은 기쁘다/ 그녀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이 문장들에서 "for+명사"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for 목적격
6-2. of + 명사(목적격)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앞에 있을 경우, to 부정사는 의미상의 주어로 "of +목적격"의 형태를 취합니다.
ex) It is kindof youto invite us to the party.
(당신은 친절하군요/ 우리를 파티에 초대하다니)
이 문장 역시 문장의 주어 ‘it'은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it(그것)‘이 우리 초대할 수는 없으니까요. 그러므로 의미상 주어가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kind"라는 형용사는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말이 올 경우에는, "for + 목적격"을 쓰지 않고, "of + 목적격"을 씁니다.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쓰인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of 목적격"을 쓴다.
(Note)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위 문장을 ‘to 부정사’를 주어로 다시 쓰면, ‘To invite us to the party is kind of her.’ 라는 문법적으로는 하자가 없지만 어색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역시 가주어 it를 쓰고 ‘to 부정사’는 뒤로 보내는 것이 더 낫습니다.
주의할 것은 kind와 같이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necessary’들과는 달리 사람을 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문장이 가능합니다.
ex) It is kindof youto invite us to the party.
→You are kind to invite us to the party.
"kind"와 같은 형용사에 가주어 "it"을 사용하면, 문법적으로는 옳지만 지나치게 딱딱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은 굳이 가주어 "it"을 쓰는 것보다 사람을 주어로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이들 형용사들은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기 때문에 "of 목적격"이 의미상 주어로 사용 되었습니다.
of 목적격
이 정도로 공부하면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에서 막힐 일은 없을 것입니다. 학교 내신이나 수능에서는 의미상 주어 형태를 묻는 문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도 회화를 중시하는 영어 교육 때문인 듯 합니다. 그렇지만 영어로 글을 쓰려고 할 때는 정확한 표현이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잘 익혀둬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워낙 어려운 미묘하고도 어려운 부분이라 연습문제를 풀면서 형태와 의미를 익혀 보시기 바랍니다.
6. 의미상 주어를 써야 하는 경우 (for, of 의미상 주어)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법 구조인 make 목적어 형용사 형태를 정확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많은 학습자들이 make하면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습니다. 영어 유치원 시절부터 주입받은 영문법 교육의 그림자 이기도 합니다. 이번 시간에 "make 목적어 형용사 보어"를 확실하게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5형식 문장 어순
2. 영어의 보어
3. make 목적어 형용사 예문
4. 목적보어 자리에 부사를 쓸 수 없는 이유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5형식 문장 어순
make는 사역 동사로 5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다들 알고 있겠지만 5형식 문장의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어를 설명하는 "목적보어"입니다. 목적보어는 목적어를 직접 설명하거나 상태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규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보어"에 대해 정리하고 갑시다.
5형식 어순
2. 영어의 보어
보어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다음 공식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문법규칙이라기보다는 문법을 지탱하는 토대가 되는 "원리"들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기초가 없이는 문법이라는 집을 지을 수 없습니다.
꼭 알아 두셔야 합니다.
(2) 명사 → 주·목·보
(2) 주목 → 명사
(1)번 공식은 ‘명사이면 주어, 목적어, 보어’라고 읽습니다. 이 공식은, ‘명사가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번 공식은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명사’라는 의미입니다. (2)번 공식은 (1)번 공식의 ‘역’입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보어’가 빠져 있습니다. 왜냐하면 명사는 반드시 보어역할을 하지만 ‘보어 역할을 한다고 해서 명사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형용사’도 보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대를 세웠으니 이제 "make 목적어 형용사" 예문을 봅시다.
명사 → 주목보
3. "make 목적어 형용사" 예문
She mademehappy.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했다
Smiles can makethe atmospherepleasant. 미소는 주변을 유쾌하게 한다.
The traffic mademelate for work. 교통혼잡때문에 나는 직장에 늦었다.
이러한 형태로 사용되는 make 예문은 무수히 많습니다. 사실 무의식적일만큼 흔하게 쓰이는 문장 패턴이라 문법규칙이라고 하기에도 미안할 정도입니다. 여러분도 "make 목적어 형용사"를 자주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영어로 말하고 쓰는 실력을 한층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make 목적어 형용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목적어 다음에는 부사를 쓸 수 없고 반드시 "형용사"를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규칙을 설명하기 위해 이 글을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주의해서 잘 보시기 바랍니다!
4. 목적보어 자리에 부사를 쓸 수 없는 이유
영어에서 보어 역할을 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나 형용사’ 밖에 없습니다. 부사는 보어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에서 보어는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가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격보어는 주어를 설명하고, 목적격 보어는 목적어를 설명합니다. 여기서 설명이란 수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영어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밖에 없습니다. 즉, ‘주·목→명사’가 되는 것입니다.
주어나 목적어가 명사이므로 주어나 목적어를 설명하는 말인 주격보어나 목적격 보어는 형용사가 와야 합니다.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 것은 형용사 밖에 없으니까요. 부사는 명사를 수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어 자리에는 부사가 올 수 없다’라는 규칙이 나온 것입니다.
안개 속에서 걷는 듯 막연하지만 걱정 마세요.
우리의 친절한 친구 예문을 보면 명확하게 이해가 될 겁니다.
※ 다음 괄호 안에서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The rain made the road (wet, wetly). 비 때문에 길이 젖었다.
We made the house (clean, cleanly). 우리는 집을 깨끗하게 청소했다.
The teacher made the test (easy, easily). 선생님은 시험을 쉽게 출제했다.
Reading makes people (intelligent, intelligently). 독서는 사람을 지적으로 만든다.
His attitude made me (angry, angrily). 그의 태도는 나를 열받게 했다.
아마 쉽게들 골랐을 것입니다. 빨간 불에 길을 건너는 사람은 없겠지요?
모든 예문은 "make(made) + 목적어(명사) + 목적보어" 형태입니다. 목적어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와야 합니다. 이해 하셨죠?
좀 더 많은 문제를 풀어 보고 싶은 열혈학도들은 다음 연습문제를 보시기 바랍니다.
make 목적어 형용사 보어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에서 자주 틀리는 비교급 표현의 주의할 점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교급은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 글쓰기와 회화에서 자주 잘못쓰는 어법입니다. 문법 규칙뿐 아니라 논리적으로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주의할 비교급을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미리 말씀드리지만 내용도 길고 아주 어렵습니다. 여러 번 읽어 보고 연습문제도 풀어 보면서 익혀 두세요. 이쯤은 알아야 영어를 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비교급 다음에는 반드시 'than'
2. 동일 대상 비교 시 'more' 사용 가능
3. 절대적 속성의 형용사 (비교급 불가능)
4. 비교 대상 논리적 오류 피하기
5. 혼합 비교구문 금지
6. 핵심 요약
7. 자주 묻는 질문 FAQ
8. 연습문제 다운로드
1. 비교급 다음에는 반드시 'than'
동등 비교가 아닌 비교급 다음에는 반드시 than을 써야 합니다.
다음 두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네모 표시한 부분에 주의하면서 틀린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틀린 문장:
(1) My apartment is cleaneras yours.(x)
(2) Effort is more important that talent.(x)
학생들이 영작을 할 때 자주 이렇게 잘못된 문장을 씁니다. 두 문장이 잘못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번에서는 동등비교가 아닌데도 as를 썼습니다. ‘as’가 ‘~처럼’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2)번에서 that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that의 용법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1), (2)번을 제대로 고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올바른 문장:
(1-1) My apartment is cleaner than yours.
(2-1) Effort is more important than talent.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급 ‘-er, more’는 than과 함께 써야 합니다.
비교급 + than
2. 동일 대상 비교 시 'more' 사용 가능
1음절 이상의 말에는 대개 ‘-er’를 붙여서 비교급으로 만듭니다. 그런데 1음절 형용사임에도 ‘more’를 붙여 비교급을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므로 잘 보시기 바랍니다.
(1) She was clever than he.
(그녀는 그보다 영리하다)
→ (-er 비교급) (다른 대상 비교)
(2) She was more clever than pretty.
(그녀는 영리한 쪽이다/ 예쁘기 보다는)
(예쁜 것은 아니라는 뜻)
→ (more 비교급) (같은 대상의 다른 점 비교)
(1)번은 ‘she, he’라는 서로 다른 두 대상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두 대상을 비교할 때는 비교급 규칙이 적용됩니다. 그렇지만 (2)번 한 사람의 다른 성질들(clever, pretty)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같은 대상의 다른 점을 비교할 때는 1음절 형용사라도 more 비교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같은 사람이나 물건의 다른 성질 비교 → more 가능!
동일대상 비교
3. 절대적 속성 형용사 (비교급 불가능)
다음 형용사들은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들 수 없습니다.
조금 어려운 말로 이들 형용사들은 '절대적 속성'을 가졌다고 합니다. 단어들을 한 번 보세요.
dead, equally, round, perfect, universal
deader (x), deadest (x)more perfect (x), most perfect (x)
‘절대적 속성’을 가진 형용사들은 비교를 할 수 가 없습니다. dead의 경우 ‘더 죽거나, 덜 죽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미 완벽한 perfect 역시 ‘더 완벽하거나, 덜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들 단어들은 원칙적으로 비교급과 최상급이 없습니다.
주의
절대적 속성의 형용사는 비교급을 갖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절대적 형용사가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비교급, 최상급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문학 작품에서 이러한 예들이 종종 발견됩니다. (일상적인 글에서는 안 쓰는 것이 좋습니다,)
ex) a more perfect union
(더 완벽한 결합)
(문학적 허용)
절대적 속성 형용사
4. 비교 대상 논리적 오류 피하기
비교급 전체에 걸쳐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문법 규칙이 아닌 논리라서 그렇습니다.
여기서 적용되는 규칙(논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과 자신을 비교할 수 없다.
(2) 자신이 그 집단의 속할 때는 반드시 ‘other’를 넣어 명확하게 구분한다.
참으로 막연한 말이지만 예문을 보면 마냥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잘못된 예문:
(1) I am more beautiful thanI.(x)
(나는 나보다 아름답다?)
(2) She is more beautiful than any girls.(x)
(그녀는 어떤 소녀보다 아름답다?)
(1)번은 쉽게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과 자신을 비교했기 때문입니다. 비교할 대상은 반드시 서로 달라야 합니다. 똑 같은 대상을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2)번도 (1)번과 같은 논리입니다. ‘any girl’은 ‘모든 소녀들’을 말합니다. 그런데 ‘모든 소녀들’ 안에는 자신도 포함됩니다. 결국 자신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이 되어 버립니다.
(2)번을 제대로 고치려면 다음과 같이 대상을 분리시켜야 합니다.
올바른 문장:
(2-1) She is more beautiful than any OTHER girls.
(그녀는 더 아름답다/ 어떤 ‘다른’ 소녀들보다도’
소녀와 소녀가 속하지 않은 그룹이 분리되었으므로 비교급을 쓸 수 있습니다.
헷갈리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도 됩니다.
핵심정리: any, all, every 등에는 꼭 other를 추가하세요!
5. 혼합 비교구문 금지
동등비교와 다른 비교급을 혼합해서 사용하면 안 됩니다. 즉 비교 형태(as…as VS -er/more…than)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려운 듯 하지만 예문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혼합 비교급 오류:
(1) He is as smart, if not better than she.(x)
(그는 아주 영리하다, 그녀보다 더 낫지는 않더라도)
언뜻 보면말이 되는 것도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 문장에서‘if not better’를 없애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1-1) He is as smart than she.(x)
‘as 비교급’과 ‘than’ 비교급이 섞여 있는 이상한 문장이 되었습니다. 한 쪽으로 통일시켜야 합니다.
올바른 문장:
(2) He AS smart, if not better AS she.(o)
6. 핵심 요약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의할 점
올바른 사용법
예시
비교급엔 than 필수
-er, more 다음엔 반드시 than
cleaner than, more important than
동일 대상 비교
같은 대상 다른 성질 비교 시 more 가능
more clever than pretty
절대적 형용사
dead, perfect 등 비교급 사용 주의
(원칙) dead, perfect (예외) more perfect
비교 대상
자신 포함 대상은 반드시 other 추가
any other girls
혼합 비교 금지
한 문장에 as 비교급과 than 비교급 혼합 금지
as smart as smarterthan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as’와 ‘than’의 차이는 뭔가요? A. ‘as’는 동등 비교(~만큼), ‘than’은 우열 비교(~보다)를 나타냅니다.
Q. 비교급에서 ‘more’와 ‘-er’ 언제 쓰나요? A. 1음절 형용사는 -er, 3음절 이상은 more. 2음절은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Q. "more clever"와 "cleverer" 중 어떤 게 맞나요? A. 일반 비교는 cleverer, 동일 대상의 다른 특성 비교는 more clever를 씁니다.
8.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부정문에서 동의”하는 다양한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른바 “부정동의(negative agreement)”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용어가 막연하지만 그렇게 어려운 문법은 아닙니다. 중학교 때부터 자주 나왔던 구문을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 뿐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부정동의란?
2. 자주 쓰이는 부정동의 표현 5가지 정리
3. 시제와 동사에 따른 Neither/Nor 구문의 활용
4. 마무리: 부정동의 익히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부정동의란?
부정동의란? 앞에서 언급된 부정적인 서술(“안 좋아해”, “못해”, “아니야” 등)에 대해 “나도 그래”라고 동의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2. 자주 쓰이는 부정동의 표현 5가지 정리
영어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부정동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 우리말을 비슷한 의미의 부정동의 표현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A: 나는 초콜릿을 안 좋아해. B: 나도 그래.
2-1. Not ~ 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I don’t (like) either. (해석: “나도 안 좋아해/ 나도 그래”)
포인트 1 부정문에서 ‘역시, 또한’을 나타낼 때는 too 대신 either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 I don’t like chocolate. → I don’t either. (O) I don’t too. (X)
포인트 2 either를 도치(문장 맨 앞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예) Either don’t I. (X)
2-2. Me 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Me either. (해석: “나도 그래”)
Me either는 구어체에서 흔히 쓰며, 원래는 “I don’t either”를 축약한 형태입니다.
“I either”라고 하지 않고, 반드시 목적격인 Me either라고 사용합니다.
“It’s me.”라고 말할 때처럼, 목적격 'me'를 씁니다.
2-3. Me neither
A: I don’t like chocolate. B: Me neither. (해석: “나도 그래”)
Me neither 역시 구어적인 표현으로, 특히 친한 친구나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미국 영어에서 더욱 구어체로 많이 들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2-4. Nor do I
A: I don’t like chocolate. B: Nor do I. (해석: “나도 안 좋아해”)
Nor do I는 다소 격식을 차린 느낌이 있습니다.
실제 회화보다는 글이나 문어체에서 좀 더 자주 씁니다.
주의사항 (1) nor 자체가 부정을 포함하므로, 뒤에 부정어를 또 쓸 수 없습니다. → Nor don’t I. (X)
(2) nor가 문장 맨 앞에 오면 동사가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 Nor do I. (O) Nor I do. (X)
2-5. Neither do I
A: I don’t like chocolate. B: Neither do I. (해석: “나도 안 좋아해”)
Neither do I는 글과 말 모두에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주의사항 (1) 문장 끝에 neither를 단독으로 쓸 수 없습니다. → I do neither. (X) I don’t either. (O)
(2) neither는 이미 부정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뒤에 부정어(not 등)를 쓸 수 없습니다. → Neither don’t I. (X) Neither do I. (O)
(3) neither가 문장 맨 앞에 오면 동사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 Neither I do. (X) Neither do I. (O)
자주 쓰는 부정 동의 표현들
3. 시제와 동사에 따른 Neither / Nor 구문의 활용
부정동의를 나타내는 구문(Neither do I, Nor do I)은 앞 문장에 사용된 동사의 종류(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에 따라 달라집니다.
3-1. 일반동사가 앞 문장에 있을 때
시제와 인칭에 따라 일반동사를 대신하는 'do / did'를 씁니다.
형식: Neither do 주어 / Nor do 주어
현재 시제 A: I don’t like candy. (일반동사 “like”) B: Neither do I.
과거 시제 A: I didn’t like chocolate. B: Neither did I.
3-2. Be 동사가 앞 문장에 올 때
시제와 인칭에 맞게 be 동사를 변화 시켜 씁니다.
형식: Neither am I / Nor am I (주어)
현재 시제 A: I am not beautiful. B: Neither am I.
과거 시제 C: I was not beautiful. D: Neither was I.
3-3. 조동사가 앞문장에 올 때
앞 문장에 있는 조동사를 그대로 씁니다.
형식: Neither can I / Nor can I (주어)
현재 시제, can A: I can’t drive. B: Neither can I.
현재 시제, should C: I should not go there. D: Neither should I.
과거 시제, could E: I couldn’t do it. F: Neither could I.
시제 도치에 주의
4. 마무리: 부정동의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요령
상황을 구분해서 사용하기 일상 회화: Me either, Me neither 등 간단한 구어체를 사용. 격식 있는 표현: Nor do I, Neither do I.
도치 구문을 잊지 말기 문장 앞에 neither나 nor가 오면 반드시 “조동사/be 동사 + 주어” 어순을 확인하세요.
반복 연습 다른 사람의 부정 표현을 듣고 자연스럽게 “나도 그래(안 그래)”라고 대답해 봅시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법인 "형용사+to부정사’"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겠습니다. 이 표현들은 "be + to 부정사"라고 알려진 것들입니다. 내신 영어에서 "예정, 가능, 의도, 의무, 운명"이라고 마구잡이로 외워야 했던 문법입니다. 사실 이 표현은 문법이라기 보다는 "관용어 내지 숙어"라고 접근하는 것이 편합니다. 거의 같은 형태로만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용을 따라 자주 쓰이는 "be + 형용사 + to 부정사"를 예문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함께 확인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형용사 + to부정사의 개념
2. 자주 쓰이는 ‘형용사+to부정사’ 표현 정리
3. 핵심 표현 예문 15개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형용사+to 부정사
형용사는 보통 be동사 뒤에 오면서 주어를 설명하는 주격보어로 쓰입니다. 하지만 일부 형용사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가 불완전해서 반드시 뒤에 to부정사가 와야 완전한 뜻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I am likely. (X) → '나는 ~일 것 같다'라는 뜻이지만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I am likely to pass the exam. (O) → “나는 시험에 통과할 것 같다.” "to pass가" 와서 의미가 분명해 졌습니다. 시험에 통과할 것 같습니다.
예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I am willing. (X) → “나는 기꺼이 ~하다”라는 표현인데,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I am willing to meet her. (O) → “나는 기꺼이 그녀를 만날 것이다.” willing 뒤에 to meet이 붙어서 의미가 완전해졌습니다. 소녀를 만나려고 합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likely, willing"과 같은 형용사들은 항상 to부정사와 함께 사용해야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이러한 용법을 "be + to 부정사"라고 어렵게 부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be + 형용사 + to 부정사"로 쓰이기 때문에 "형용사 + to 부정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의 핵심 중 하나인 '2형식 문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2형식에 쓰이는 대표적인 동사들과 예문을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
1. 2형식 문장이란?
2. 2형식 문장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
3. 2형식 예문
4. 연습문제 다운로드
1. 2형식 문장이란?
2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A는 B이다' 또는 'A는 B한 상태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A'는 주어, 'B'는 주격보어입니다. 즉, 주격보어가 주어를 설명하거나 상태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격보어가 형용사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주격보어가 명사 주어와 동일한 대상을 나타내며, 주어와 보어가 같습니다.
규칙만 봐서는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좀 더 설명하겠습니다.
2형식 문장 예시
(1) You are crazy. (너는 미쳤다.)
주어(S): You
동사: are
보어(C): crazy (형용사: 주어의 상태 설명)
(2) You are a boy. (너는 소년이다.)
주어(S): You
동사: are
보어(C): a boy (명사: 주어와 동일한 대상
(1)번 문장 " You are crazy. "에서 'crazy'한 것은 누구입니까? 'You'입니다. (2)번 문장 " You are a boy. "에서 'a boy'는 누구입니까? 역시 'You'입니다. 두 문장에서 'C'는 둘 다 'You'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You'는 두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C'는 주어를 설명합니다. 이렇게 주어를 설명하는 말을 '주격보어'라고 하고, 주격보어가 있는 '문장을 2형식 문장'이라고 합니다.
2. 2형식 문장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
대표적인 2형식 동사는 "be동사(am, is, are, was, were)"들입니다. 그리고 주어의 상태나 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동사들이 사용됩니다. 중요한 동사들로는 become(~이 되다), look(~처럼 보이다), feel(~하게 느껴지다), remain(~한 상태로 남다), taste(맛이 ~하다), turn(~로 변하다) 등이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은 모두 주어를 수식하는 주격보어를 필요로 합니다. 2형식 동사를 만났을 때는 주어와 주격보어의 관계를 먼저 파악해야합니다.
자주 쓰이는 2형식 동사 리스트
be (am, is, are, was, were) : ~이다, ~한 상태이다
become : ~이 되다
look : ~처럼 보이다
feel : ~하게 느껴지다
remain : ~한 상태로 남다
taste : 맛이 ~하다
turn : ~로 변하다
3. 2형식 예문
그럼 짤막한 2형식 문장 예문들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단순하게 'SVC'라고만 외우고 있으면 영어 실력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말하고 쓸 수 있어야 진정한 영어실력이 됩니다.
2형식 동사별 예문들
(1) be
You aren't foolish. 너는 멍청하지 않다.
She is popular. 그녀는 인기 있다.
He is crazy. 그는 미쳤다.
The couple are quiet. 그 커플은 조용하다.
Jung Suk teacher isn't fat. 정석 쌤은 뚱뚱하지 않다.
We are rich. 우리는 부유하다.
He isn't a soldier. 그는 군인이 아니다.
Computers are useful. 컴퓨터들은 유용하다.
You are a student. 너는 학생이다.
We are Koreans. 우리는 한국인들이다.
I am your father. 나는 너의 아버지다.
We are at home. 우리는 집에 있다.
She is pleased with my present. 그녀는 내 선물에 기뻐한다.
My boss is a picky woman. 내 상사는 까다로운 여자다.
Water is essential to our lives. 물은 우리 삶에 필수적이다.
(2) become
My wife became a teacher. 내 아내는 선생님이 되었다.
John didn't become a baseball player. John은 야구선수가 되지 못했다.
(3) look
The fans look excited. 팬들은 흥분되어 보인다.
The lady standing beside you looks angry. 당신 옆에 서 있는 여자는 화나 보인다.
(4) feel
The silk felt smooth. 그 비단은 부드럽게 느껴졌다.
(5) turn
Her face turned white. 그녀의 얼굴은 하얗게 변했다.
(6) taste
This tea tastes bitter. 이 차는 쓴맛이 난다.
(7) grow
The audience grew bored. 청중들은 지루해졌다.
(8) remain
The killer remained unknown. 살인자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았다.
He remains obedient to his wife. 그는 아내에게 계속 순종적인 상태이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영어 문법에서 전치사와 추상명사가 결합하면 형용사적이거나 부사적인 표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특히 of + 추상명사와 with + 추상명사는 다양한 문맥에서 쓰입니다. 그 의미와 쓰임새를 제대로 알면 영어 작문이나 회화에서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of + 추상명사 → 형용사 역할 2. with + 추상명사 → 부사 역할 3. 결론 및 주의사항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of + 추상명사 → 형용사 역할
of + 추상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of의 의미는 ‘~을 가지고 있는(having)’입니다.
of value = valuable = having value
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The book is of value.
(2) The book is valuable.
(3) The book has value.
(1)번에서 'of value‘는 명사 ’book'을 수식하므로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2)번에서는 형용사구 'of value'를 같은 의미의 형용사 ‘valuable'로 바꾸어 썼습니다. (3)번에서는 전치사 of에 있는 ‘소유’의 의미를 살려서 'has value'로 썼습니다. (1),(2),(3)번은 크게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4-1) He is a man of courage.
(4-2) He is a courageous man.
위 두 문장들도 크게 의미가 다르지 않습니다. 그저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서 구별해 사용한다’쯤으로 알아두시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음은 'of + 추상명사‘ 구문, 그리고 그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 형용사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of + 추상명사 → 대응 형용사
of ability → able
of beauty → beautiful
of courage → courageous
of experience → experienced
of help → helpful
of honor → honorable
of importance → important
of interest → interesting
of sense → sensible
of use → useful
of value → valuable
of wisdom → wise
참고
원칙적으로 철자가 다르면 의미도 다릅니다. 그렇지만 위에 있는 표현쌍들은 크게 의미가 다르지 않습니다.
실제 영어 작문에서는 보통 형용사(valuable, important, courageous 등)를 더 많이 씁니다.
그러나 문장에 변화를 주고 싶다면, of + 추상명사를 활용해 문학적 혹은 수사적인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of 추상명사
2. with + 추상명사 → 부사역할
'of + 추상명사‘는 형용사구 역할을 하지만 ’with + 추상명사‘는 부사구 역할을 합니다. 이때 "with 추상명사"구가 동사를 수식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예시
(1) He did it with ease. → He did it easily.
(2) She speaks English with fluency. → She speaks English fluently.
(1)에서 ‘with easy'는 동사 did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2)번에서 'with fluency'역시 동사 speak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이 경우 ’with + 추상명사‘는 같은 의미를 지닌 부사구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ith 대신에 다른 전치사들이 추상명사와 결합하여 부사구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with (in, on, by) + 추상명사
with ease → easily
with safety → safely
with fluency → fluently
with care → carefully
with kindness → kindly
with patience → patiently
with rapidity → rapidly
without care → carelessly
by accident → accidentally
on occasion → occasionally
on purpose → purposely
in reality → really
in haste → hastily
in succession → successively
'with(in, on, by) + 추상명사‘ 구문도 같은 의미의 부사와 큰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원래 부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with 추상명사
3. 결론 및 주의사항
원칙적으로는 형용사나 부사를 직접 써주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직관적입니다.
하지만 글을 좀 더 문학적이거나 고급스럽게 표현하고 싶을 때, of + 추상명사나 with + 추상명사 구문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 서로 다른 표현(courageous vs. of courage)을 적절히 섞어 쓰면, 작문에 다양성과 풍부함을 줄 수 있습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오늘은 영어 회화와 글쓰기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표현, 「all + 추상명사」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영어를 중급 이상으로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다양한 표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늘 똑같은 단어와 표현만 사용하면 글이나 대화가 단조롭고 빈약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단조로움을 피하기 좋은 표현이 바로 「all + 추상명사」 구문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ll + 추상명사 의미
2. all + 추상명사 활용
3.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4. 실생활에서 쓰이는 순서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all + 추상명사
all + 추상명사’는 간단히 말하면 "매우 ~한"이란 뜻입니다. 특히 이 표현은 감정, 성격, 상태를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all + 추상명사 표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all + 추상명사 = 추상명사 + itself = very + 형용사
'all + 추상명사‘ 구문은 다양한 표현에 아주 유용하고 실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문법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잘 익혀서 자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all 추상명사 동의어
2. all + 추상명사 활용
‘all + 추상명사’는 문법적인 설명보다는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겠습니다. 'all + 추상명사‘의 용법을 구별(?)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I'm all attention. = I'm attention itself. = I'm very attentive. (나는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있어.)
위 예문에서 보듯이 'attention'이라는 추상명사만으로는 문장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all'을 붙이면 형용사 의미를 가져 주격보어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 다른 자주 쓰이는 관용적인 표현을 볼까요?
예문
(2) I'm all ears.
= I'm very eager to listen.
(나는 경청할 준비가 되어 있어요.)
"all ears"는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all ears" 구문을 영영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be eager to"와 같은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말할 때 "all earas"를 훨씬 자주 씁니다. "be eager to"로 바꾸어 말하는 경우는 잘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3.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구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표현들은 문법이라고 생각하지 말이나 글에서 자주 사용해야 합니다. 영어를 한층 고급스럽고 맛깔스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all attention (매우 주의 깊은)
all beauty (매우 아름다운)
all diligence (매우 성실한)
all happiness (매우 행복한)
all honesty (매우 정직한)
all intelligence (매우 지적인)
all kindness (매우 친절한)
all wisdom (매우 지혜로운)
일반적인 추상명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ll knowledge (매우 박식한)
all pain (매우 고통스러운)
all success (매우 성공적인)
4.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순서
'all + 추상명사‘ 표현에서 중요한 것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활용입니다. 많이 사용되는 순서로 'all + 추상명사’ 구문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ery attentive > all attention > attention itself
Very + 형용사 (가장 많이 쓰임)
All + 추상명사 (가끔 쓰이며 고급스러운 표현)
추상명사 + itself (드물게 사용됨)
활용을 살펴보면 'very attentive'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all attention'도 표현에 다양성과 고급스러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따금 사용됩니다. 그런데 'attention itself'는 같은 의미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잘 사용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영어 형용사 중에는 비교급을 만들 때 “-er, -est”를 붙이지 않는 말들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은 원형부터 비교급·최상급까지 특수한 형태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단어들을 ‘불규칙 형용사’라고 하며, 따로 암기하고 익혀 놓아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불규칙 형용사들 중에서 대표적인 형용사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
Good / Well
Bad / Ill
Far
Little
Many / Much
Old
Late / Near
정리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Good / Well → Better → Best
의미
Good: ‘좋은’
Well: ‘(몸 상태가) 건강한’, ‘잘’
형태 변화: good/well → better(비교급) → best(최상급)
예문
This pizza is better than the one we had yesterday. (이 피자는 우리가 어제 먹었던 것보다 더 맛있어.)
That wasthe best performance I’ve seen this year. (그것은 내가 올해 본 공연 중에 가장 뛰어났어.)
Tip: ‘Good’과 ‘Well’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Good은 형용사 ex) good food
Well은 형용사 혹은 부사로 사용 ex) play well
2. Bad / Ill → Worse → Worst
의미
Bad: ‘나쁜, 안 좋은’
Ill: ‘아픈, 좋지 않은 상태’ (때때로 ‘Bad’와 같은 맥락)
형태 변화: bad/ill → worse(비교급) → worst(최상급)
예문
Today’s weather is worse than yesterday’s. (오늘 날씨가 어제보다 더 안 좋아.)
That was the worst headache I’ve ever had. (그것은 내가 겪어본 두통 중에 가장 심했어.)
Tip: ‘Ill’은 비교급·최상급 형태에서는 ‘bad’와 마찬가지로 worse/worst를 쓸 수 있습니다.
3. Far → Farther / Further → Farthest / Furthest
의미
Far: ‘(거리·정도가) 먼’
Farther/Farthest: 물리적 거리나 공간적인 거리에 초점을 맞출 때 자주 사용
Further/Furthest: 거리뿐 아니라 추상적인 범위·정도(‘더 나아가’, ‘추가적으로’)를 표현할 때도 사용
형태 변화: far → farther/further(비교급) → farthest/furthest(최상급)
예문
He walked farther than anyone else in the group. (그는 그 그룹 중 누구보다 더 멀리 걸었다.)
Let’s discuss this further in our next meeting. (이 문제는 다음 회의에서 더 깊이 논의해 봅시다.)
This is the furthest point we can go without a permit. (허가증 없이 갈 수 있는 곳 중 가장 먼 지점이다.)
Tip: 구체적인 거리에는 ‘farther/farthest’, 추상적 개념에는 ‘further/furthest’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자주 두 형태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4. Little → Less → Least
의미: ‘(양이) 적은, 부족한’
형태 변화: little → less(비교급) → least(최상급)
예문
I have less time than you do this afternoon. (나는 오늘 오후에 너보다 시간이 더 적어.)
That is the lea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그것은 고려해야 할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도가 낮아.)
5. Many / Much → More → Most
의미: ‘(양이나 수가) 많은’
Many: 셀 수 있는 명사(가산명사) 앞에 주로 사용
Much: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앞에 주로 사용
형태 변화: many/much → more(비교급) → most(최상급)
예문
We need more chairs for the guests. (손님들을 위해 의자가 더 많이 필요해.)
This is the most money I’ve ever spent on a computer. (이것은 내가 컴퓨터에 써 본 돈 중에 가장 큰 금액이야.)
Tip: Many, Much는 비교급·최상급 형태는 같습니다. 셀 수 있는 말과 셀 수 없는 말을 잘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6. Old → Older / Elder → Oldest / Eldest
의미: ‘나이가 많은, 오래된’
Older / Oldest: 전반적인 나이 비교, 사물의 오래됨을 표현
Elder / Eldest: 주로 가족 관계(형제자매 등)나 직위가 높은 사람을 소개할 때 사용
형태 변화: old → older/elder(비교급) → oldest/eldest(최상급)
예문
I’m older than my brother. (나는 동생보다 나이가 많아.)
My elder sister is a professor. (우리 언니는 대학교수야.)
He’s the oldest student in our class. (그는 우리 반에서 가장 나이가 많아.)
Tip: 가족이나 친인척을 소개할 때는 ‘elder/eldest’가 좀 더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older/oldest’로 사용해도 뜻이 통합니다.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older / elder를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둘을 엄격하게 구별하면 'old'하다고 눈총을 받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외국인이 영어를 할 때는 문법을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7. Late / Near
Late → Later → Latest / Latter → Last
‘시간이 늦은, 뒤늦은’의 의미일 때는 ‘later, latest’를 씀
‘둘 중에 뒤의 것, 나중의 것’을 말할 때 latter(후자) 사용
‘마지막, 최종’을 말할 때 last를 사용
예문
I arrived later than I planned because of the traffic. (교통 체증 때문에 계획했던 것보다 늦게 도착했어.)
We’ll talk about the latter partof the plan tomorrow. (그 계획의 후반부는 내일 이야기합시다.)
He was the last person to leave the office today. (그는 오늘 사무실을 떠난 마지막 사람이었어)
Near → Nearer → Nearest / Next
Nearer → Nearest: 물리적인 거리(가장 가까운)를 표현
Next: 순서상으로 ‘다음의, 그다음에 오는’을 의미
예문
The nearest grocery store is just two blocks away. (가장 가까운 식료품점은 두 블록 거리에 있어.)
이처럼 형용사 원형은 같아도 맥락에 따라 다른 최상급 형태를 써야 합니다.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는 그 상황에 알맞는 변화형을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정리
위와 같은 불규칙 형용사들은 자주 사용하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일반 규칙에 어긋나는 형태 때문에 자주 헷갈립니다. 꾸준한 복습과 예문 연습을 통해 ‘원형 - 비교급 - 최상급’ 형태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익혀야 합니다.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Good/Well - Better - Best
Bad/Ill - Worse - Worst
Far - Farther/Further - Farthest/Furthest
Little - Less - Least
Many/Much - More - Most
Old - Older/Elder - Oldest/Eldest
이 기본 리스트는 확실히 알아 두어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접하기 때문입니다.
8. 연습 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잘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문법에서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부사절(Adverbial Clause)에 대해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부사절은 문법이 어렵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형태를 종잡을 수 없기 때문에 어렵게 보입니다. 공부하다보면 문법이라기 보다는 단어 실력이라는 생각마저 듭니다. 어쨌든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영어를 사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문법이기도 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부사절의 정의와 쉬운 예문
2. 부사절이 수식하는 대상 (동사, 형용사, 부사)
3. ‘that’ 부사절의 뜻과 사용법
4. 마무리하며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부사절의 정의와 쉬운 예문
부사절이란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절로, 동사나 형용사, 그리고 부사를 수식하는 절을 말합니다.
부사절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형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Jack spoke thoughtlessly. (기본 부사)
Jack spoke without thinking. (부사구로 수식)
Jack spoke before he thought. (부사절로 수식)
의미는 모두 "잭은 경솔하게 말했다"로 같습니다. 세 문장에서 "thoughtlessly, without thinking, before he thought"는 동사 spoke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2) The school stands there. (기본 부사)
The school stands at the crossroads. (부사구로 수식)
The school stands where the roads meet. (부사절로 수식)
수식하는 부사구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학교는 저기에 있다"는 문장이 "학교는 도로들이 만나는 곳에 있다"는 뜻으로 의미가 확장됩니다.
세 문장에서 " there, at the crossroads, where the roads meet"는 동사 stands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3) We pay our rent monthly. (기본 부사)
We pay our rent on the first of every month. (부사구로 수식)
We pay our rent when the first of the month comes. (부사절로 수식)
역시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수식하는 부사가 길어질수록 정보가 많아질 뿐입니다. "monthly, on the first of every month, when the first of the month comes" 등이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사절이란 위에서 보듯이 "접속사 + 주어 + 동사"절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2. 부사절이 수식하는 대상 (동사, 형용사, 부사)
부사절은 주로 동사를 수식하지만, 또한 형용사나 부사까지도 수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1) He was angry because he had failed.
(그는 실패했기 때문에 화가 났다.)
→ [형용사 angry 수식]
(2) I am uncertain which road I should take.
(나는 어느 길을 가야 할지 확신하지 못하겠다.)
→ [형용사 uncertain 수식]
(3) The horizon extended farther than eye could see.
(수평선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멀리 펼쳐져 있었다.)
→ [부사 farther 수식]
(4) A wall protected the path here, where the cliff was steepest.
(벽은 절벽이 가장 가파른 이곳의 길을 보호했다.)
→ [부사 here 수식]
부사절이 단순히 동사만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품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해석을 못하면 부사절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해석이 되어야 어떤 말을 수식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 어려운 부사절을 보겠습니다.
3. ‘that’ 부사절의 뜻과 사용법
'that'으로 시작하는 절도 동사나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여 부사절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런 that절은 주로 '~하기 때문에(because)' 또는 '~라는 사실(as to the fact that)'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1) He rejoiced that he won the game. (그는 경기를 이겼기 때문에 기뻐했다.)
→ [동사 rejoiced 수식]
(2) I am glad that you are coming. (나는 네가 온다는 사실에 기쁘다.)
→ [형용사 glad 수식]
(3) He was positive that there had been no harm. (그는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는 사실에 확신했다.)
→ [형용사 positivie 수식]
(4) They were afraid that the scandal would be revealed. (그들은 스캔들이 폭로될까 봐 두려워했다.)
→ [형용사 afraid 수식]
"that 주어 동사" 절은 문장에서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역시 수식을 통해서 의미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수식어구나 절이 길어진다고 해서 역할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합니다.
4.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꽤 어려운 문법인 부사절의 정의와 예문,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부사절을 이해하면 보다 정확한 문장 구성이 가능하며, 영어를 훨씬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명사절과 형용사절 등 영어 문장의 필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아래 관련 링크를 확인해 보세요.
[명사절 쉽게 배우기 (링크 삽입)]
[형용사절 총정리 (링크 삽입)]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부사절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영어로 '왕의 아들'을 표현할 때 "King's son"과 "The son of a king" 중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운지 고민해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영어에서 소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전치사인 of와 to의 정확한 사용법과 차이점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본문을 다 읽고 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가 있습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글의 내용
1. 소유의 of
2. 소유의 to
3. 자주 묻는 질문
4. 문제 다운로드
시작해 봅시다!
1. 소유의 of
먼저 of부터 살펴볼까요?
1-1. 사람의 소유를 나타내는 of
영어에서 of는 보통 사람의 소유 관계나 사물의 일부를 표현할 때 씁니다. 예를 들어,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of가 오면 '소유'의 의미가 됩니다.
ex) The son of a king is a prince.
(왕의 아들은 왕자다.) = King's son is a prince.
위 예문에서 보듯이, 사람의 소유는 보통 간단히 's로 표현합니다. 하지만 of를 쓰면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을 차린 느낌이 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사람의 소유격은 ‘s, 사물의 소육격은 of로 나타냅니다.
1-2 사물의 소유를 나타내는 of
다음으로, 사물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of가 오면 그 대상의 한 부분을 뜻합니다.
ex) The legs of the table are made of wood. (식탁의 다리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이번에는 to를 살펴보겠습니다.
2. 소유의 to
몇몇 특정한 단어(answer, key, damage, injury 등)는 소유나 관련성을 나타낼 때 관용적으로 to와 함께 사용합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of가 맞는 것 같지만, 이 단어들은 예외적인 관용 표현으로 반드시 to와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비 영어권 학습자들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용법입니다.
(1) He knew the answer to the question.
(그는 문제의 답을 알았다.)
(2) This is the key to the problem.
(이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3) The virus caused serious damage to my computer.
(바이러스가 컴퓨터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습니다.)
(4) Too much exercise can cause injury to your body.
(지나친 운동은 몸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표현들은 매우 자주 사용되는 관용 표현들이므로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3. 자주 묻는 질문
마지막으로, 자주 묻는 질문 두 가지를 정리하겠습니다.
Q. 사람의 소유를 나타낼 때 of와 's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일반적으로 사람의 소유는 's를 주로 사용합니다. of는 보다 문어적이고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Q. answer나 key는 왜 of 대신에 to를 사용합니까? → 관습적인 용법입니다. answer, key, damage 등 특정 단어들은 영어에서 소유나 관련성을 나타낼 때 반드시 to와 함께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4. 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와 해설을 준비했습니다. 다운로드 해서 잘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현재완료를 표현할 때 흔히 혼동하기 쉬운 ‘have been to’, ‘have gone to’, ‘have been in’ 표현의 차이를 깔끔하게 정리해 봅시다.
다음은 오늘 공부할 ‘have been ~’표현들입니다.
1. have been to 의미
2. have been to 주의할 용법
3. have been to, have gone to
4. have been to, have been in
1. have been to ~ (경험)
‘have been to ~’는 현재완료 중 특히 경험을 나타냅니다. 과거에 그 장소에 가본 적이 있으며, 지금은 돌아와 있다는 뜻입니다.
1) I have been to Paris. (나는 파리에 가본 적이 있다.)
2) He has been to the theater twice this week. (그는 이번 주에 두 번 극장에 다녀왔다.)
SNS 감성으로 약간 호들갑스럽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3) Have you ever been to Jeju Island? It's Instagram-worthy! (제주도 가본 적 있나요? 완전 인스타감성이에요!)
2. have been to에서 주의할 용법
have been to~’ 표현을 쓸 때 특히 세 가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1)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have been to ~'구문은 현재완료이기 때문에 ‘과거부사’와는 함께 쓸 수 없습니다. 현재를 포함하고 있는 현재완료와 명백한 과거 사이에 논리적 모순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과거부사(last year, yesterday)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ex) Last year we have been to Europe for a month. (x)
→ Last year we went to Europe for a month. (o)
(작년에 우리들은 유럽에 한 달 동안 다녀왔다)
위 예문에서와 같이 과거부사가 올 때는 현재완료를 쓰지 않고 과거동사를 써야 합니다.
(2) 구체적인 방문에는 'have been to ~'를 쓰지 않는다.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have been to’는 막연한 경험 표현에 쓰입니다. 목적이 분명한 구체적 방문에는 과거형을 써야 합니다.
현재완료는 다음 1)과 같이, ‘어디에 갔다왔다’는 경험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I have been to Paris. (o)
(나는 파리에 갔다 왔다)
그렇지만 경험을 나타내는 ‘have been to ~'를 구체적인 방문에 쓸 수는 없습니다.
2) I have been to Paris to see the Eifel Tower. (x)
3) I went to Paris to see the Eifel Tower. (o)
(나는 파리에 갔다/ 에펠탑을 보기 위하여)
예문 2)는 ‘에펠탑을 보기위하여’라는 구체적인 방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have been to'를 쓸 수 없습니다. 예문 3)처럼 과거형과 함께 써야 합니다.
현재완료는 어떤 상태나 동작이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2)와 같이 구체적인 방문에 현재완료를 쓰게 되면 ‘방문하는 그 동작을 계속하고 있다’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그러니, ‘과거의 구체적인 방문에는 ‘have been to'를 쓸 수 없다’라고 정리해 둡시다. (이 정도로 영어를 쓸 수 있으면 주위에서 "영어 정말 잘한다"는 말 많이 들었을 겁니다)
예문을 하나만 더 들어 보겠습니다.
4) I have been to England to visit my brother. (x)
→ I went to England to visit my brother. (o)
역시 구체적인 방문이므로 'have been to'는 쓸 수 없고 과거형 went로 써야 합니다.
(3) have been to + 사람, 사물도 가능
‘have been to ~'은 ’~에 갔다 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현 뒤에 주로 ’장소‘가 많이 오지만, 장소 이외의 말들도 올 수 있습니다. 웬지 무의식적으로 'have been to' 다음에는 "장소"만 쓰는 경향이 있지만 그럴 필요 없습니다. "사람, 사물, 행사" 등에 마음껏 써도 됩니다.
1) She has been to a lecture.
(그녀는 강의에 갔다 왔다)
2) She has been to a doctor.
(그는 의사에게 갔다 왔다)
3) She has been to a therapy.
(그녀는 치료받고 왔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서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3. have been to, have gone to
이 두 표현은 미묘하게 달라 헷갈릴 수 있습니다. 먼저 두 표현의 의미를 정리해 봅시다. ‘
have been to: ‘갔다 왔다’는 경험 (지금 여기 있음)
have gone to: ‘가버렸다’는 결과 (지금 여기에 없음)
예문을 보면서 의미 차이를 확실하게 알아 봅시다.
(1) have been to ~
ex) I have been to the hospital.
(나는 병원에 갔다 왔다) (‘~에 갔다 왔다’, 지금 여기에 있다)
(2) have gone to ~
ex) He has gone to the hospital.
(그는 병원에 가버렸다)
( '~에 가버렸다‘, 지금 여기 없다)
'have gone to ~'는 1인칭·2칭과는 쓸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3) 1, 2인칭 + have gone to ~
ex) I have gone to the hospital. (x)
(나는 병원에 가버렸다?)
1인칭·2인칭은 ‘말하고 듣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그런데 1인칭·2인칭에 ‘have gone to'를 쓰면 '말하고 듣는 사람'이 가버리고 없다는 뜻이 되어버립니다. 말하는 사람이 없는데 누가 말을 합니까? 말이 안 됩니다.
'have gone to'는 3인칭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have been to, have been in
'have been to ~'은 ‘갔다 왔다’는 것을, ‘have been in ~'은 ’일정 시간 계속 머무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have been to: 다녀온 경험
have been in: 계속 머물고 있는 상태
예문을 보면서 의미 차이를 확실하게 공부해 봅시다.
(1) I have been to Europe twice.
(나는 유럽에 두 번 갔다 왔다)
(2) I have been in Europe for a month.
(나는 유럽에 한 달 동안 머물러 있다)
(3) I have been in London since I saw you last time.
(나는 런던에 계속 있다/ 너를 지난 번에 본 이후로)
간단히 정리하면, 'have been to ~'는 경험을, ‘have been in ~'은 계속을 나타냅니다.
그럼 이상으로 'have been' 표현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현재 완료 직전정리"입니다. 현재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현재완료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 이어지는 사건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현재완료의 형태는 have(has) + p.p.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현재완료는 당연히 현재를 포함합니다. 이 핵심을 기억합시다.
1. 현재완료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내다.
현재완료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과거부터 시작된 일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과거는 현재와는 상관없는 지나가버린 한 점입니다. 그런데 현재완료는 과거에서 시작하여 현재에도 계속 되고 있습니다. 현재 완료는, 현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길 바랍니다.
예문을 통해 알아봅시다.
(1) I bought a computer. 컴퓨터를 샀다. (지금도 가지고 있는 지는 모르겠다) ▶ 과거: 과거에 샀다는 사실만 서술
(2) I have bought a computer. 컴퓨터를 샀다 (지금도 가지고 있다.) ▶ 현재완료: 현재도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
(1)번 문장은 단순 과거이고 (2)번 문장은 현재완료입니다. 두 문장의 의미차이는 무엇일까요? 과거시제는 현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1)번은 과거에 ‘컴퓨터를 샀다’는 사실만을 말해줍니다. 지금 그것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하여 (2)번은 ‘컴퓨터를 사서 지금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현재완료는 현재에도 계속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I lost my keys. 나는 열쇠를 잃어버렸다. ▶ 단순과거: 과거에 잃어버린 사실만 표현, 지금은 찾았을 수도 있음 완료
(4) I've lost my keys. 나는 열쇠를 잃어버렸다. ▶ 현재완료: 아직도 찾지 못해 지금도 열쇠가 없다는 뉘앙스 강조
두 번째 문장처럼 말하면, 상대방은 현재 열쇠를 찾지 못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현재 시점까지 뉴스거리가 되면 현재완료를 쓴다.
우리 말에는 현재완료라는 시제가 없습니다. 우리들은 현재완료 없이도 의사 소통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현재완료와 과거를 분명하게 구별합니다. 어쩌겠습니까? 영어를 배우려는 입장이니 우리가 뉘앙스 차이를 익혀야 합니다.
각설하고 현재완료를 쓰는 기준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리는 현재완료보다는 과거시제에 익숙해서 과거시제를 더 자주 사용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영어에서도 특별하게 과거대신 현재완료를 써야할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사건이 과거에 발생했지만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현재완료를 씁니다.
즉 현재완료는 현재에 더 초점을 맞춘 시제입니다. 예문을 통해 어떤 경우에 과거를 쓰고, 어떤 경우에 현재완료를 쓰는지 알아 봅시다.
(1) He died. ▶ 과거: 죽었다는 사실만 서술
(2) He has died. ▶ 현재완료: 그의 죽음이 현재의 뉴스거리
위 두 문장을 한국어로 옮기면 "그는 죽었다"가 됩니다. 그런데 미묘하지만 분명한 의미차이는 있습니다.
(1)번은 ‘그가 죽었다’는 과거의 사실을 나타냅니다. (2)번 역시 ‘그가 죽었다’는 과거를 나타냅니다. 두 문장은 죽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여기까지는 별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1)번은 그가 죽은 뒤 약간 시간이 경과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아는 사람은 다 안다’라는 뉘앙스입니다. 그의 죽음이 지금 화제 거리가 될 일이 없다는 뜻입니다.
그렇지만 (2)번 현재완료는 ‘그가 최근에 죽었고, 그가 죽은 것이 현 시점에도 뉴스거리가 될 만하다’라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이 정도로 정리하면 영어권 네이티브 못지않게 현재완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는 안 나오지만 실제로는 훨씬 중요한 용법이니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현재완료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현재 완료 직전정리"입니다. 현재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