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형식 수동태



수동태 총정리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5형식 수동태를 공부하겠습니다.


5형식 수동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4. 목적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 동사들 수동태




차례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1번 설명


(1)번 능동태 문장에서 president는 목적어 Lincoln를 설명하는 목적보어입니다.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Lincoln이 주어가 됩니다. 그러므로 president는 주어를 설명하는 주격보어가 됩니다. be 동사 + 주격보어이므로 2형식 문장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면,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5형식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에서 들었던 예문을 다시 보겠습니다.


(1)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O)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3)  President was elected ~                      (X)




2번 설명


(3)번은 (1)번 문장에서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쓴 것입니다. 말이 될 것도 같지만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지각, 사역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 올 수 있습니다.


지각,사역 5형식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각동사 정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0)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1)


예문을 봅시다.


(1) 능동태

    They saw Lincoln enter the White House.

    (그들은 보았다/ 링컨이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을)


(1)번 능동태 문장에서는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enter'가 왔습니다.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2) 수동태

    Lincoln was seen to enter the White House.

    (링컨은 보였다/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이)




3번 설명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enter 앞에 to를 썼습니다. 능동태에서는 동사원형 enter를 썼지만 수동태에서는 to enter가 됩니다. 사역동사도 마찬가지 규칙이 적용됩니다.


이것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목적보어로 to가 오는 동사들


다음 동사들은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합니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1분 정리 033)


그룹 1) advise, allow, ask, expect, encourage, invite, persuade, tell, want

그룹 2) enable, get, force, order




예문을 보겠습니다.


4번 설명


(1) 능동태

    Lincoln allowed the Southern captives to return home.

    (링컨은 허용했다/ 남부 포로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1)번 문장을 수동태로 고쳐 보겠습니다. 

목적보어의 형태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2) 수동태

    The Southern captives were allowed to return home by Lincoln.

    (남부 포로들은 허용되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링컨에 의해서)


(1)번 능동태에서 목적보어 to return은 (2)번 수동태에서도 그대로 ‘to return'으로 쓰였습니다. 즉, 


능동태에서 목적보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수동태에서도 to 부정사 그대로 사용됩니다.




다 함께 수동태를 능동적으로 공부한 이번 시간의 강의를 마칩니다.

 

고맙습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이번 시간에는 5형식 사역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5형식 사역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하게 하다

   have, get, make, let

   (bid)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2. 준사역 help


(사역 동사의 의미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역동사 (make, have, get) (1분 정리 043)




목적보어의 형태


5형식 사역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목적보어의 형태입니다. 5형식 사역동사의 목적보어는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have, make, let) (목적어) (동사원형)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have, make, let) (목적어) (p.p)


2. get

   get 사람 to (간혹 ~ing)

   get 사물 p.p


3. help 목적어 (to or 동사원형)

                   (~ing는 올 수 없음)




그럼 각 동사별로 예문을 보면서 공부하겠습니다.


1. make


(1) :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동사원형

    ex) My boss made me finish this work.

        (내 상사는 내가 끝내도록 했다/ 그 일을)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My boss made this job finished by me.

        (내 상사는 그 일을 끝내게 했다/ 나에 의해서)




2. have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동사원형

    ex) I had the mechanic check my car.

        (나는 수리공에게 검사하게 했다/ 내 차를)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I had my car checked by the mechanic.

         (나는 내 차를 검사시켰다/ 수리공에 의해서)


(let은 예문 생략합니다.)




3. get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to 부정사

     ex) I got my son to eat the vegetable.

          (나는 내 아들이 야채를 먹게 했다)

          (구어체에서 to eat 대신에 ~ing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올 경우에도 과거분사를 쓸 수 있습니다)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I got the vegetable eaten by my son.

         (나는 야채를 먹게 했다/ 내 아들에 의해서)




4. help


(1) 능동: 목적어가 목적 보어할 때,  동사원형 또는 to 부정사

     I help my son do (to do) his homework.

     (나는 도왔다/ 내 아들이 숙제하는 것을)


2. 수동

    help는 목적보어가 p.p(과거분사)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사역동사의 목적보어를 살펴보았습니다. 


Simple is Better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능동,수동 문장들은 문법적으로는 올바른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영어, 어쩌면 모든 언어에 공통적인 ‘원칙’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간단한 표현이 더 낫다’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능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굳이 수동으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능동을 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5형식 사역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을 기대해 주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유사보어 (준보어) (quasi-predicative)  (9) 2013.04.17

4형식과 5형식의 구별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과 5형식 문장을 구별해 보겠습니다.



4형식, 5형식 어순


4형식과 5형식은 문장형식이 비슷합니다.


(1) 4형식      I.O  D.O 

(2) 5형식     V  O   O.C 


문제는 4형식의 I.O(간접 목적어) D.O(직접 목적어) 때문에 발생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를 목적어, 목적보어로 혼동하기 때문입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그렇지만 구별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구별의 포인트입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다시 한번 목적보어를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목적보어

목적어를 설명하는 말로서, 목적어와 주술 관계를 이룬다.




그럼,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예문 1


(1) My dad made me a chair.

    (아빠가 나에게 의자를 만들어 주었다) (4형식)


(2) My dad made me a doctor.

    (아빠가 나를 의사로 만들었다)          (5형식)




설명 1


(1)번을 봅시다.

(1)번에서 목적어와 목적보어로 보이는 me, a chair의 관계를 봅시다. me(나)와 a chair(의자)가 주어·술어 관계를 이루는지 봅시다. ‘나는 의자다’. 말이 안 됩니다. chair는 목적보어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1)번은 5형식이 아닙니다.


(2)번을 봅시다.

me, a doctor를 보면 ‘나는 의사다’라고 주술 관계가 성합니다. a doctor는 목적보어입니다. 그러므로 (2)번은 5형식이 됩니다.




예문 2


다음 문장의 형식을 말하세요.

(1) She got me a present. (4형식, 5형식)

    (그녀는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2) She got me happy. (4형식, 5형식)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했다)




설명 2


(1)번은 4형식입니다. 'me  present', ‘나는 선물이다’는 말이 되지 않습니다. 목적어 me와 present 사이에 주어 술어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5형식은 아닙니다. present(선물)를 직접 목적어로 해석하여 ‘나에게 선물을 주다’로 해석해야 합니다. 4형식 문장입니다.


(2)번은 5형식입니다.

me와 happy는 ‘나는 행복하다’가 되어 ‘주술관계’가 성립합니다. happy는 목적어를 설명하는 ‘목적보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유사보어 (준보어) (quasi-predicative)  (9) 2013.04.17
2형식 동사 예문  (8) 2013.04.16

 5형식 문장 예문




이번 시간에는 5형식 문장을 직접 분석해 보겠습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5형식 문장에서는 목적어와 목적보어 사이에 주어 술어관계가 성립합니다. 즉, ‘목적어는 목적보어이다’가 됩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했듯이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같으면 명사보어, 목적보어가 목적어와 같지는 않고 단지 목적어를 설명하는 것이면 형용사 보어가 됩니다.


5형식 목적보어 설명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5형식 문장 (목적보어) (5형식 동사) (핵심정리 117)




예문 분석 (1-3)


1. The boys chose Ned captain of the base-ball team.

   (소년들은 Ned 선택했다.)

   (Ned는 야구팀의 주장이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사이에 주술 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Ned = captain이므로 명사보어)


2. I called her my sister.

   (나는 불렀다/ 그녀를 내 여동생이라고.)

   (그녀는 내 여동생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녀 = 내 여동생이므로 명사보어)


3. We thought you very kind.

   (우리는 생각한다/ 당신이 매우 친절하다고)

   (당신이 친절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kind가 목적어 you와 같지는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예문 분석 (4-6)


4. They named the child John.

   (그들은 이름지었다/ 그 아이를 John이라고.)

   (그 아이는 John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 아이 = John 이므로 명사보어)


5. Our success made us happy.

   (우리의 성공이 만들었다/ 우리를 행복하게)

   (우리가 행복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appy가 us와 같지는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보어)


6. Did you call that man your father?

   (당신은 불렀는가/ 저 남자를 당신의 아버지라고?)

   (저 남자는 당신의 아버지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저 남자 = 당신의 아버지이므로 명사보어)




예문 분석 (7-9)


7. The President appointed his friend Secretary of State.

   (대통령은 임명했다/ 그의 친구를 국무장관으로.)

   (그의 친구가 국무장관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의 친구 = 국무장관이므로 명사보어)


8. We think him tall.

   (우리는 생각한다/ 그가 크다고)

   (그가 크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tall가 him이 같지는 않고, him을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9. The accident made him a cripple.

   (사고가 만들었다/ 그를 불구로.)

   (그가 불구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e = cripple 이므로 명사보어)




5형식 문장 예문 분석 (10-12)


10. The jury pronounced him guilty.

    (배심원들은 선고했다/ 그가 유죄라고)

    (그가 유죄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guilty는 him과 같지않고 him를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보어)

11. He made himself famous by his own ability.

    (그는 만들었다/ 자신을 유명하게/ 그 자신의 능력으로)

    (그가 유명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famous는 him과 같지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12. He declared himself a candidate.

    (그는 선언했다/ 자신이 후보라고)

    (그는 후보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self = a candidate이므로 명사보어)




예문 분석 (13-15)


13. He called the island a perfect paradise.

    (그는 불렀다/ 그 섬을 완벽한 이상향이라고.)

    (그 섬은 이상향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island = a perfect paradise이므로 명사보어)


14. They made him keeper of the money.

    (그들은 만들었다/ 그를 돈의 관리자로)

    (그는 돈의 관리자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 = keeper 이므로 명사보어)


15. Robert's experience makes him a valuable partner.

    (Robert의 경험이 만들었다/ 그를 소중한 동업자로)

    (그는 동업자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 = a valuable partner이므로 명사보어)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유사보어 (준보어) (quasi-predicative)  (9) 2013.04.17
2형식 동사 예문  (8) 2013.04.16
2형식 동사 정리  (8) 2013.04.14

유사보어 (준보어)





유사보어(준보어)란?


유사보어란 1형식 완전 자동사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와서 보어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died rich.            (형용사 유사보어)

    (그는 부자로 죽었다.)


(2) He died a millionaire.  (명사 유사보어)

    (그는 백만장자로 죽었다.)


동사 die는 원래 보어가 필요없는 완전자동사입니다. 이 die 뒤에 (1),(2)번과 같이 형용사나 명사가 와서 보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유사보어라고 합니다.




원래 문장


(1),(2)번을 한 번 고쳐 써 보겠습니다.


(1) He died rich.

(3) He died when he was rich.

    (그는 부자였다/ 그가 죽었을 때.)


(2) He died a millionaire.

(4) He died when he was a millionaire.

    (그는 백만장자였다/ 그가 죽었을 때)


보시는 것처럼 (3),(4)번을 줄인 것이 (1),(2)번입니다. 간결하기 때문에 (1),(2)번과 같이 쓰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유사보어 예문 (1-4)


(1) The couple married young.

    (그 커플은 젊어서 결혼했다)


(2) The door broke open.

    (그 문은 깨져서 열렸다.)


(3) Many children still go hungry.

    (많은 아이들이 여전히 굶주린다)


(4) We lay satisfied.

    (우리는 누웠다/ 만족해서)




유사보어 예문 (5-8)


(5) He lived a millionaire and died a beggar.

    (그는 백만장자로 살다가 거지로 죽었다)


(6) The well ran dry.

    (우물이 말라버렸다)


(7) He returned home bankrupt.

    (그는 파산해서 집에 돌아왔다)


(8) He sat reading a book.

    (그는 앉았다/ 책을 읽으면서)




위에 있는 예문들을 잘 익히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2형식 동사 예문  (8) 2013.04.16
2형식 동사 정리  (8) 2013.04.14
2형식 동사규칙 (2형식 문장 어법)  (9) 2013.04.12

2형식 동사 예문





이번시간에는 2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2형식 동사 설명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2형식 동사규칙 (2형식 문장 어법) (핵심정리 113)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2형식 동사 정리 (핵심정리 114)




Part 1   BE 동사   (상태유지형 동사들) 예문


be 동사 유형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냅니다.


1. be 동사

   be동사는 예문을 생략합니다.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1)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The old man continued tough all his life.

    (그 노인은 계속 터프했다/ 평생동안)


(2) hold good 유효하다

    This contract still holds good.

    (이 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다.)


(3)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You'd better keep silent when eating.

    (조용히 있어라/ 먹을 때는)


(4)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Fallen leaves lay thick on the ground.

    (낙엽들이 두텁게 쌓여있다/ 땅 위에서)


(5)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he remains calm under any circumstances.

    (그녀는 어떤 상황에서도 차분함을 유지한다.)


(6)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The actress has stayed young for many decades.

    (그 여배우는 젊음을 유지해 왔다/ 몇 십년 동안)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1)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We feel friendly towards the beautiful.

   (우리는 친근함을 느낀다/ 미인들에게)


(2)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The roses smell sweet.

    (이 장미들은 달콤한 향기가 난다)


(3)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He sounds strange over the phone.

    (그의 목소리는 이상하게 들린다/ 전화로)


(4)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This meat tastes salty.

    (이 고기는 짠 맛이 난다)




4. seem 유형   ~처럼 보이다


(1)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Your bones appear normal on X-ray.


(2)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You look beautiful.

    (당신은 아름답게 보인다.)


(3)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The play boy seemed innocent at first.

    (그 바람둥이는 순진해 보였다/ 처음에는)


(4)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His hypothesis proved right after all.

    (그의 가설은 옳다고 판명되었다/ 결국에는)


(5)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The defendant turned out guilty.

    (피고는 판명되었다/ 유죄라고)





Part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become 유형  상태변화 (~하게 되다)


(1) become fat 뚱뚱해 지다

    (예문 생략)


(2) come true 사실이 되다

    My dream has come true.

    (내 꿈이 실현되었다)


(3) fall short 부족하다

    I fell short of words.

    (할 말이 없다.)


(4)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I grew wiser with age.

    (나는 더 현명해졌다/ 나이가 들면서)


(5)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진다.)


(6) go wild 난폭하게 되다

    We went wild at the party.

    (우리는 미쳐 버렸다/ 파티에서)


(7) run dry 마르게 되다

    The well has run dry.

    (우물이 말라 버렸다.)


(8) turn sour 시게 되다

    The milk turned sour.

    (우유가 시게 되었다.)




이상으로 2형식 동사 예문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형식 동사 정리





2형식 동사: BE 유형, BECOME 유형


2형식 동사는 크게 보아 BE(~이다) 유형, BECOME(~이 되다)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은 주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is thin.

     (그는 말랐다.)         (마름 -> 마름)

(2)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안 마름 -> 마름)

    속뜻 그는 안 말랐었는데 말라 버렸다.


(1),(2)에 사용된 2형식 동사들은 주어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의미가 약간 다릅니다. (1)번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습니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상태가 바뀝니다’. ‘안 말랐었는데 말라버렸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상태유지, 상태변화


이렇게 be동사는 상태를 유지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become은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 -> 상태 유지

become -> 상태 변화




2형식 동사들을 be동사(상태유지), become(상태변화)유형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be 동사 (상태유지형)


be 동사 유형에 속하는 동사들은 대부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에서 다루겠습니다.


(1) be 동사   (~이다)

    (예문 생략)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동사

 형용사

 의미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hold  good  유효하다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동사

 형용사

 의미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4) seem 유형 + 형용사  (~ 처럼 보이다)


 

동사

 형용사

 의미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역시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마찬가지로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동사

 형용사

 의미

 
  become fat 뚱뚱해 지다 
  come true 사실이 되다 
 

 fall

 short 부족하다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go wild   난폭하게 되다 
  run dry 마르게 되다 
  turn sour  시게 되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형식 문장규칙




이번 시간에는 2형식 동사의 어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2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은 단연코,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2형식 동사의 보어 자리에는 부사는 올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문법은 다음 두 문장의 차이를 이해하면 끝납니다.


(1) You look beautiful.

(2) You look beautifully.


대부분의 사람들이 2번 문장은 틀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내신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시험에도 그렇게 출제가 됩니다. 그런데 과연 정말로 2번은 ‘틀린’ 문장일까요?




한 번 봅시다.



형용사와 부사


1번과 2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용사’와 ‘부사’의 역할을 알아야 합니다.


형용사    명사나 대명사 수식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 수식


수식이라는 것은 ‘수식받는 대상을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look beautiful, look beautifully


1번 문장에서 beautiful은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장에서 beautiful이 수식할 수 있는 말은 대명사인 'you'가 됩니다. 결국 ‘당신이 아름다운 것’입니다.


2번 문장에서 beautifully는 부사입니다. 그러므로 동사 look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바라보는 것이 아름답다’가 됩니다.


수식의 의미를 살려 두 문장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You look beautiful.

   ('당신' 아름다워.)

2. You look beautifully.

   (당신이 ‘바라보는 것’이 아름다워.)

이런 의미쯤 됩니다.


생활에서 2번같이 말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보통은 1번같이 말합니다. 그렇다고 2번이 ‘틀린’ 문장일까요?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이 ‘바라보는 것 자체가 아름다울 수’도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 turn, taste, smell


몇 문장 더 예문을 들겠습니다.


(1) He turned (pale / palely).

(2) This medicine tastes (bitter / bitterly).

(3) Roses smell (sweet / sweetly).


1-3번에 쓰인 동사들은 '2형식‘ 동사들입니다.

(2형식 동사들에 대해서는 핵심정리 114편에서 정리하겠습니다. )




turned pale


원리만 이해하면 전혀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1번부터 보겠습니다.


1번에서, 

부사 palely를 쓰게 되면 동사 turned를 수식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창백하게 돌다’라는 말이 되어버립니다. 도대체 창백하게 도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까? 

형용사 pale을 쓰면 대명사 'he‘를 수식합니다. ’그가 창백하다‘, 이제 말이 됩니다.


ex) He turned pale.

    (그는 창백하게 되었다.)




tastes bitter


2번에서,

부사 bitterly를 쓰게 되면 동사 taste를 수식하게 됩니다. 약이 맛을 볼 수 있습니까? 이것 역시 엽기적인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형용사 bitter는 명사 'medicine'를 수식하여 ‘약이 쓰다’라는 정상적인 말이 됩니다.


ex) This medicine tastes bitter.

    (이 약은 쓴 맛이 난다.)




smell sweet


3번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사 sweetly는 동사 smell을 수식합니다. ‘장미가 냄새를 달콤하게 맡다’라는 마찬가지로 엽기적인 문장이 됩니다. 

형용사 sweet는 명사 rose를 수식하여 ‘달콤한 향기가 나는’이라는 상식적인 문장이 됩니다.


 ex) Roses smell sweet.

     (장미는 달콤한 향기가 난다.)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2형식 문장들에서 이러한 내용만을 정리해 놓은 규칙이 앞에서 말했던,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라는 것입니다.


문법은 이렇게, 지극히 상식적인 문장들만을 모아 규칙으로 만든 것입니다. 문법이 실제로 사용되는 ‘말’이라는 것을 무시하고 규칙만 외우면 말 그대로 ‘죽은 문법’이 됩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왜 ‘You look beautiful.'를 쓰는지 아셨을 겁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형식 동사 예문  (8) 2013.04.16
2형식 동사 정리  (8) 2013.04.14
자동사 타동사일때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23) 2013.04.08
자동사야, 타동사야?  (29) 2013.04.07
조동사 could  (13) 2013.04.06

자동사와 타동사일 때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핵심정리 109)  동영상 강의




의미 정리입니다. 

 동사

 자동사 

 타동사 

 동사

 자동사

 타동사

 become

 ~이 되다

 울리다

 decline

 감소하다

 거절하다

 count

 중요하다

 세다, 계산하다

 pay

 이익이 되다

 지불하다

 do

 충분하다

 하다

 run

 달리다

 운영하다

 grow

 ~이 되다

 키우다

 stand

 서다 

  참다, 견디다



각 단어별 예문입니다.

1. become


(1) 자동사   ~이 되다

ex) My hair became short.

     (내 머리가 짧아 졌어.)


(2) 타동사   어울리다

ex)  Short hair becomes me well.

     (짧은 머리가 나에게 어울려.)




2. count


(1) 자동사   중요하다.

ex) Every calorie counts in diet.

    (다이어트에서는 모든 칼로리가 중요해.)


(2) 타동사   세다, 계산하다

ex) You should count every calorie you get.

    (너는 모든 칼로리를 계산해야해/ 너가 섭취하는.)




3. do


(1) 자동사   충분하다

ex)  Mr. Song's book will do in studying grammar.

     (송샘의 책이면 충분하다/ 문법 공부하는데.)


(2) 타동사   하다

    예문은 생락합니다.




4. grow


(1) 동사   ~이 되다

ex) Your hair grew short.

     (너의 머리가 짧아졌어.)


(2) 타동사  기르다

ex) You should grow you hair.

     (너, 머리좀 길러라.)




5. decline


(1) 자동사   감소하다, 줄어들다

ex) My weight doesn't decline one gram.

    (내 몸무게는 줄지 않는다/ 1그램도.)


(2) 타동사   거절하다.

ex) I must decline the invitation to dinner.

    (나, 저녁식사 초대 거절해야 겠어.)




6. pay


(1) 자동사   이익이 되다

ex) Lying doesn't pay.

    (거짓말은 이익이 안 된다.)


(2) 타동사   지불하다.

ex) You have to pay the price for the lying.

    (당신은 댓가를 지불해야 한다/ 거짓말에 대해서.)




7. run


(1) 자동사   달리다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타동사   운영하다

ex) He is running a company.

     (그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8. stand


(1) 자동사   서다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타동사  참다, 견디다

ex) I can't stand your bad joke.

    (나는 너의 썰렁한 농담을 참을 수 없어.)




영어를 공부할수록 기본 단어들이 두렵습니다.

괜히 잘난척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사전을 뒤적이는 것들은 기본 단어들입니다.


어쩌면 외국인으로서의 한계일 수도 있습니다.

마흔이 넘은 저는 가족과 친구를 위해 살고 있습니다.

주어진 한계를 지키는 삶입니다.


젊은 여러분들은 한계를 뛰어 넘으셔야 합니다.

제가 마흔 넘어 절실히 새기는 말은,


역시 기본이 중요하다입니다.


이들 단어들은 평소에는 공부하기 힘든 것들입니다.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헷갈리는 자동사, 타동사들 




지금부터 공부할 동사들이 헷갈리는 이유는 ‘같은 의미를 가진’ 타동사와 자동사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뭐, 이 녀석들은 방법이 없습니다. 잘 정리해 놓고 외울 수 밖에요.


헷갈리는 타동사, 자동사들


 1. 도착하다

 2. 떠나다

타동사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

 reach

 arrive at

 leave

 leave from

 

 get to

 

 leave for


 3. 기다리다

 4. 언급하다

 타동사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

 await

 wait for

 mention 

refer to 




각 동사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도착하다

타동사   reach 

자동사   arrive atget to


reach는 앞에서 보았듯이 타동사라서 전치사를 쓸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같은 arrive와 get은 같은 의미인데도 자동사입니다. 그래서 항상 전치사와 함께 써야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들겠습니다.


(우리는 회담 장소에 도착했다.)

(1) We reached our meeting place.

(2) We arrived at our meeting place. (arrive at = get to)




2. 떠나다

타동사     leave 

자동사     leave fromleave for


leave와 leave from은 우리말로 옮기면 둘 다 ‘떠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예문을 먼저 봅시다.

(1) I left my home to see you.

    (나는 집을 나왔다/ 너를 보기 위하여.)

    속 뜻 (딴 데 들렀다 왔습니다.)


(2) I left from home to see you.

    (나는 집을 나왔다/ 너를 보기 위하여.)

    속 뜻 (딴 데 들르지 않고 바로 왔습니다.)


밑에 속뜻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leave만 쓰면 그저 ‘어딘가를 떠났다’는 사실만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leave from' ‘어딘가를 떠나 곧장’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leave for 는 쉽습니다. ‘어디를 향하여 떠나다’라는 의미입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left for NewYork.

     (나는 뉴욕을 향해 떠났다.)




3. 기다리다

타동사     await 

자동사     wait for


이 두 단어는 거의 없습니다. 차이라면, await는 타동사라서 전치사없이 쓰입니다. 그리고 wait for가 100배쯤 더 많이 사용됩니다.


이렇게 사용됩니다.

(1) The promotion is awaiting me.

    (승진이 나를 기다리고 있어.)

(2) I am waiting for the promotion.

    (나는 승진을 기다리고 있다.)




4. 언급하다

타동사     mention 

자동사     refer to


둘 다 언급하다라는 뜻이고, 별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mention은 타동사라서 전치없이 쓰입니다.


(1) Nobody mentioned me.

     (누구도 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2) Nobody was referring to me.

    (누구도 나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어렵죠?

당연합니다.


저도 잘난척 설명은 하고 있지만 솔직히 헷갈립니다.

동영상 보면 너무 설명을 잘 한다고요?


편집입니다.

몇 번씩 자르고 이어 붙인 겁니다.


여러 분들보다 영어는 조금 잘하겠지만 저도 많이 버벅거립니다.

항상 아내에게 구박받는 공처가이고요.


내일은 전혀 예측할 수없는 평범한 중년 아저씨고요.


여러분들은 대단하신 분들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부분을 '찾아서' 공부하고 있지 않으십니까?


여러분들이 미래를 만드시는 겁니다.

힘드셔도, 두 눈을 비비면서 공부하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could




이번에는 조동사 could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could에서는 세 가지 주요한 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쉬운 것 두 개부터 보겠습니다.



1. can의 과거 (가능)


(1)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자기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1)번 could는 단순히 가능을 나타내는 can의 과거입니다. 과거동사 said에 맞추어 과거를 쓴 것입니다.




2. 정중한 표현


(2)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 좀 잠깐 써도 될까요?)


(2)번에서는 공손한 표현입니다. 영어에는 존댓말의 개념이 없습니다. 위 아래 없이 'You'라고 하니까요. 그렇지만 분명히 정중한 표현은 존재합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대부분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만약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꼬맹이가 엄마한테,

'Can you give me some water?' 라고 말하면 아마, 엄마는 눈을 흘기면서,

'Could you give me some water, please?' 라고 말할 겁니다.


이렇듯 조동사의 과거형은 공손하고 정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could have p.p (과거 사실의반대)


이제 세 번째 공부할 것은 could에서 가장 어려운 'could have p.p'입니다. 일단 'could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입니다. 그리고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아주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1)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나쁠 수도 있었어. (실제로 더 나쁘지는 않았음.))

(2) You could have been dead. 

    (너 죽을 수도 있었어. (실제로 죽지는 않았음.))

이렇게 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영어에서 아주 많이 쓰입니다. 그러니 반드시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정리해 봅시다.


could have p.p 가정법 과거완료 

~일수도 있었다. 실은 안 그랬다.




조동사는 사실 '감'입니다.

외국인이 아무리 공부해도 확실하게 익힐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




이번 시간에는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역시 상당히 많은 것들이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만을 설명하겠습니다.



apologize, graduate


이 두 단어는 우리말로는 타동사입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는 자동사로 쓰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1. apologize


(1) apologize의 쓰임

    apologize to A for B      A에게 B를 사과하다


apologize는 우리말로 옮기면 ‘~을 사과하다’가 됩니다. 우리 말로는 타동사가 됩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 apologize는 자동사입니다. 그래서 전치사와 함게, ‘apologize to A for B’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A(사람)에게 (B)를 사과하는 것입니다. 




예문


(1) apologize to A for B            (A에게 B에 대하여 사과하다)

    I apologized to my boss for being late.

    (나는 나의 보스에게 사과했다/ 늦은 것을.)


위 문장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습니다.

(1-1) apologize to A(사람)        (A에게 사과하다)

      I apologized to my boss. (for 생략)

      (나는 사과했다/ 나의 상사에게.)


(1-2) apologize for B(사과 내용) (B에 대해 사과하다)

     I apologized for being late. (to 생략)

    (나는 늦은 것에 대해서 사과했다.)


그렇지만,

ex) I apologized being late. (x)

   이것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apologize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전치사를 써야 합니다.




graduate from 

(~을 졸업하다)


    예문을 먼저 봅시다.

(1) I graduated Korea University. (x)

(2) I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o)

    (나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graduate 역시 우리말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우리 식으로 생각하면 ‘고려대학을 졸업하다’와 같이 전치사 없이 씁니다. 그렇지만 graduate는 자동사이고 반드시 전치사 ‘from’과 함께 써야 합니다. 그러므로 (1)번과 혼자 쓰일 수 없습니다. (2)번이 옳은 문장입니다.


apologize는 저도 헷갈립니다.

 graduate는 가끔 그렇고요.


방법은 예문을 하나 외우시는 겁니다. 

사전에 있는 예문은 훌륭하지만 금방 잊혀집니다.


'나'와 관계없기 때문입니다.

'나'와 밀접하게 관계된 예문을 만들어 보세요.

훨씬 더 잘 기억되고 오래갑니다.


화이팅!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사야, 타동사야?  (29) 2013.04.07
조동사 could  (13) 2013.04.06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15) 2013.04.05
want, wish, hope  (13) 2013.04.03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11) 2013.04.01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




이번에는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러한 동사들은 우리말과 영어의 뉘앙스 때문에 혼동됩니다. 상당히 많은 단어들이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들만 골라서 설명하겠습니다.



나는 타동사!


   이 단어들은 반드시 예문을 통해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에문들은 편의상 과거형으로 해석했습니다. 

approach


1. approach   (~로 접근하다) (to 안됨)

웬지 ‘~로 접근하다’이므로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 'to'를 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approach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를 쓸 수 없습니다. 어색하지만 다음과 같이 써야 합니다.


ex) I approached a beautiful lady in red.

    (나는 한 아름다운 빨간 옷 입은 여자에게 접근했다)




become


2. become   (~에 어울리다) (전치사 안됨)

become은 ‘~이 되다’입니다. 당연히 자동사입니다. 그렇지만 'become'은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become이 타동사가 되면 ‘~에 어울리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 red dress becomes her perfectly.

     (빨간 옷은 그녀에게 완벽하게 어울렸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타동사로 쓰이는 become은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iscuss


3. discuss   (토론하다) (about 안됨)

토론은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에 대하여’라는 전치사 ‘about’를 쓰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discuss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 없이 써야합니다. (뭐, 보통 토론하면 혼자 떠드는 사람이 많아서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ex) I suddenly discussed our future with the red girl.

(나는 갑자기 빨간 옷 그녀와 미래를 토론했다.)




marry


4. marry   (~와 결혼하다) (with 안됨)

아마 가장 헷갈리고 충격을 주는 것이 marry일 것입니다. ‘결혼’은 반드시 누군가와 ‘함께’해야 합니다. 당연히 함께라는 전치사 ‘with'를 써야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결혼하신 분들은 잘 아실 겁니다. 결혼하면 ’혼자‘하는 것이라는 것을요. 아무튼 marry는 타동사라서 ’혼자‘ 결혼해야 합니다.


ex) I wan to marry the beautiful red lady.

    (나는 그 빨간 미녀와 결혼하고 싶었다.)




mention


5. mention   (~에 대하여 언급하다) (about 안됨)

‘언급하다’ 역시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about'를 쓰고 싶어집니다. 그렇지만 mention은 ’타동사‘입니다. 전치사 없이 혼자 써야 합니다.


ex) I mentioned our marriage to the red girl.

    (나는 빨간 옷 여자에게 우리의 결혼을 언급했다.)




reach


6. reach   (~에 도착하다) (to 안됨)

‘~에 도착하다’도 방향을 나타내는 ‘to'와 함께 쓰기 쉽습니다. 그렇지만 reach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와 함께 쓰일 수 없습니다.


ex) Finally I reached the police station by the red girl.

    (마침내 나는 경찰서에 도달했다/ 그 빨간 옷 입은 여자에 의해서.)


(당연합니다. 생전처음 보는 여자에게 결혼하자고 추근댔으니 경찰서 갈 수밖에요...)




이 단어들은 아주 중요합니다. 당연히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그리고 기본 단어들이라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용법을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나름대로 예문을 재미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우리, 주어진 시간 동안 후회 없이 살아봅시다.

어떻게 해도 후회가 남는 것이 인생입니다.


그러기에 후회없이 살아 봅시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want, wish, hope




공부할 내용


1. to 부정사와의 결합

2. that절과의 결합

3. 문장형식: 3형식과 5형식 


위 세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3번 문장형식은 1,2번 설명에 포함시켰습니다.




1. to 부정사의 사용

(3형식 목적어)


(1) want + to 부정사 (o)

(2) wish + to 부정사 (o)

(3) hope + to 부정사 (o)

셋 다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3형식 문장에서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쓸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2) I wish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to drive a car.          (o)

   (나는 희망한다/ 차를 운전하는 것을.)




to 부정사의 사용

(5형식 목적보어)


(1) want 목 to    (o)

(2) wish 목 to    (o)

(3) hope 목 to   (x)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2) I wish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역시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you to drive my car. (x)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2. that절의 사용


want that (x)

wish that (o)

hope that (o)


want는 목적어로 that절을 쓸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want는 3형식 문장에서 that을 목적어로 쓸 수 없습니다.




that절의 사용 

(예문)



(1) I want that I drive a sport car someday.          (x)

    (want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2) I wish that I were Superman.                        (o)

    (나는 소망한다/ 수퍼맨이기를.)

    (wish 다음에 that절이 올 때는 과거동사가 옵니다.)

    (그리고 사실의 반대인 가정법으로 쓰입니다.)


(3) I hope that I will drive a sport car someday.     (o)

    (나는 희망한다/ 언젠가 스포츠카를 운전하기를.)

    (hope 다음에 that절이 오면 미래 조동사 will을 함께 씁니다.)

    (희망한다는 것은 미래의 일을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시험에 나오는 것들로만 정리했습니다.

그러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실 바랍니다.


그래도 대충 공부하실 것은 아니죠?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소유격없다

(2) 전치사 다음에 쓸 수 없다

(3)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항목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소유격이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사용되고 소유격이 없습니다. 따라서 소유격이 필요할 때에는 whose를 사용합니다.

 

ex) This is Rudolf the Reindeer whose nose is red.

(이것이 루돌프 사슴이다/ (그것의) 코가 빨간.)

 

 

 

 

 

(2) 전치사 다음에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전치사 뒤에 쓸 수 없습니다.

 

① English is a language with that we can communicate. (x)

    이 문장은 틀린 예입니다.

 

그렇지만 전치사를 문장 뒤로 보내면 관계대명사 that을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위의 틀린 예를 옳게 바꿔보겠습니다.

② English is a language with which we can communicate. (o)

   (영어는 언어이다/ 우리가 의사소통할 수 있는.)

 

 

 

 

 

(3)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계속적 용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who, whom, which를 사용하면 됩니다.

 

① He told me a story, that is about the scandal. (x)

② He told me a story that is about the scandal. (o)

③ He told me a story, which is about the scandal. (o)

(그는 나에게 이야기를 하나 해 주었다/ (그런데 그것은) 그 스캔들에 대한 것이었다.)

 

 

 

 

 

 

어렵죠?

그래도 여러분들은 할 수 있습니다.

힘 내세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15) 2013.04.05
want, wish, hope  (13) 2013.04.03
관계대명사 that (001)  (15) 2013.04.01
추상명사 (abstract noun)  (8) 2013.03.28
few, a few  (10) 2013.03.26

관계대명사 that (001)

 

 

 

 

일반적으로 어떤 관계대명사를 사용할지는 선행사를 보고 결정합니다.

 

 

 선행사 + 관계사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 whose, whom을 씁니다. 선행사가 사람이 아니면 which, whose, which를 씁니다.

 

 

 

 

 

 

 

그런데 관계대명사 that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who, whom, which 대신

(제한적 용법의 경우)

 

 

선행사가 사람일 때와 사람이 아닐 때 모두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1) He is the boy who locked the door.

 = He is the boy that locked the door.

    (그는 소년이다/ 문을 잠갔던.)

 

(2) I have a clever dog which can unlock the door.

 = I have a clever dog that can unlock the door.

    (나는 영리한 개가 있다/ 문을 열 수 있는.)

 

 

 

 

 

 

 

그렇지만 다음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 써야 합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1)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사람 + 사람 아닌 것’이 함께 선행사로 나올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쓰면 됩니다.

 

ex) Several police are searching for the man and his car that caused the accident.

    (여러 경찰들이 찾고 있다/ 그 남자와 그의 차를/ 사고를 일으킨.)

 

 

 

 

 

 

(2)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the only, the very,

all, no, any, much, little, every, the same, the last,

something, anything, somebody, anybody

 

 

이런 표현이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씁니다.

 

 

ex) He is the greatest musician that has ever lived.

    (그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이다/ 지금까지 살았던.)

 

 

 

 

 

 

(3) 의문사가 있을 때

 

who, whom, which,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관계대명사 who, whom, which, what 등을 또 쓰면 모양이 같아서 혼동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Which is the one which you want?

   (무엇이니/ 네가 원하는 것이?)

   which가 두 번 나와서 혼동할 수 있습니다.

 

Which is the one that you want?

   위의 문장과 뜻은 똑같고, 의문사 which관계대명사 that이 확실히 구별됩니다.

 

 

 

 

 

 

 

 

정리하면,

 

(1) 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가 있다.

    ①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②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③ 의문사가 있을 때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추상명사




(1) 감정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을 나타내거나,

love, joy, hate, anger, fear...




(2) 생각이나 개념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내거나,

knowledge, thought, idea, information, trust, liberty, slavery, peace, despair 등




(3) 속성이나 상태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거나,

beauty, youth, honesty, intelligence, pain, misery...




(4) 움직임이나 상황


움직임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victory, success, loss, failure 등...




(5) 다른 품사 + 접미어


그리고 추상명사는 다른 품사에 접미어를 붙여서 만들기도 합니다.

actionmovementgladnessexcellencefriendship...




추상명사들은 눈에 보이지 않고 형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관사를 붙일 수 없고, 단수 취급합니다. 


이상으로 추상명사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추상명사를 구체적으로 공부해 가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few, a few





few, a few 


few, a few에서 공부할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1. few, a few는 부정, 긍정의 개념이다.

2. few 다음에도 복수명가 온다.




잘못 알고 있는 few, a few


첫 번째, few, a few 의미입니다.

보통 few, a few는 아주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그럼에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보통 few, a few는 이러한 의미로 알고 있습니다.


few (거의 없다), a few (조금 있다)


그렇게 틀리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수를 나타내는 few, a few를 이렇게 적고, 많음(다소)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안 됩니다. 




few, a few: 부정, 긍정


few, a few는 多少라기보다는 부정, 긍정쪽에 가까운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을 봅시다. A. B가 송샘의 친구 수에 대해서 하는 말입니다.


A: I heard Mr. Song has two friends. (송샘은 친구가 두 명이래)

B: He has (few, a few) friends.


보통 이러한 문제를 주면 대 부분의 사람들이 few를 답으로 고릅니다. 친구가 두 명밖에 없으니 ‘적다고’ 생각해서입니다. 그렇지만 이 예문에서는 few, a few 둘 다 올 수있습니다. 문장이 주는 뉘앙스에 따라서요. 




봅시다.



부정적인 뉘앙스: few

  긍정적인 뉘앙스: a few


1. (뭐, 송샘 친구가 두 명밖에 없다고?) (친구가 두 명밖에 안 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

  ex) He has few friends. (그 사람 친구 진짜 없구나...)


2. (뭐, 송샘 친구가 두 명이나 돼?) (친구가 두 명이나 되어서 놀랐다는 뉘앙스)

   ex) He has a few friends. (그 사람도 친구가 있구나...)


이렇게 few, a few는 동일한 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뉘앙스로 없다는 

쪽이면 few, 긍정적인 뉘앙스이면 a few를 쓰시면 됩니다.




few + 복수형


두 번째 few + 복수명사입니다.

few를 ‘거의 없다’로 알고 있는데서 발생되는 오류입니다. ‘없다’는 말이 있어서 부정이라고 생각해서 ‘단수’ 명사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few는 기본적으로 ‘두 개 이상’입니다. 그래서 항상 다음에 복수명사가 와야 합니다. a few도 당연히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간단한 예를 보겠습니다.


ex) I have few friends. (나는 친구가 별로 없어.)


친구가 없다고 말은 하지만 최소한 두 명이상이므로 복수명사 friends를 썼습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few, a few

   few는 부정, a few는 긍정이다.

2. few, a few 다음에는 복수 명사를 쓴다.


새롭죠?

이 부분은 의외로 많이 쓰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부분이고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집합적 물질명사


집합적 물질명사 (핵심정리 098)  동영상 강의




이번 시간에는 상당히 어려운 어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바로 ‘집합적 물질명사’라는 개념입니다. 

집합적 물질명사는 우리 말에는 없는 개념이라서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집합적 물질명사들


집합적 물질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baggage, clothing, equipment, furniture, fruit, luggage, merchandise

(2) jewelry, machinery, poetry, scenery

(3) change, game, produce




전체를 나타내는 말


집합적 물질명사라는 말이 있지만 잘 안들어옵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전체를 나타내는 말’이라는 용어를 쓰겠습니다. ‘furniture'를 예로 들겠습니다. ’furniture(가구)‘라는 전체집합 속에는 '수 백억개의 침대들’, ‘수 백억개의 책상들’, ‘수 백억개의 의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모든 것들 전체를 나타내는 ‘가구(furniture)’라는 말은 하나뿐입니다. 그래서 단수 취급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우리말과는 다른 개념이니 이정도 이해하시면 됩니다. 문제는 이 모든 단어들을 정확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3가지 분류


학습을 돕기 위해서 단어들을 위에서 보듯이 3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번은 전체를 나타내는 접미어 ‘~류’가 붙는 말들입니다.

   baggage(화물) , clothing(의), equipment(설비),  furniture(가구), fruit(과일),        

   luggage(화물),   merchandise(상품)

                      

(2)번은 역시 전체를 나타내는 영어 접미어 '-ry'가 붙는 말들입니다. (접미어 ‘-ry’는 전체를 나타냅니다. 'bakery' 빵이 있는 곳, 빵집이라는 뜻입니다.)

   jewelry(보석류), machinery(기계류), poetry(시), scenery(경치)

              

(3) 뭐, 방법없이 외워야 하는 것들입니다.

   change(잔돈), game(사냥감), produce(생산품)





셀 수 없는 명사


이러한 명사들은 ‘물질명사’에 속합니다. 

그래서 셀 수 없습니다. 

셀 수 없으므로,

① 부정관사를 쓸 수 없고,

② 복수형으로 만들 수 없고, (항상 단수 취급)

③ few, many로 수식할 수 없고,

④ little, much로 수식해야 합니다.




 furniture


furniture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1) a furniture                (x) (부정관사 못씀)

(2) furnitures                 (x) (복수형 안 됨)

(3) few (many) furnitures  (x) (few, many로 수식 안 됨)

(4) little(much) furniture   (o) (little, much 수식 가능)

(5) a piece of furniture     (가구 한 점)

    two pieces of furniture (가구 두 점)



집합적 물질명사의 실제 용법에 대한 설명은 시간 관계상 ‘집합적 물질 명사의 활용’ 편에서 다루겠습니다.



이름도 괴이한 집합적 물질명사. 그렇지만 이것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뿐만아니라 실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잘 정리해 두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고유명사 (proper noun)




공부하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2. 고유명사는 보통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고유명사는 하나뿐인 (유일무이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셀 수없는 명사입니다. 셀 수 없기 때문에 관사를 붙일 수 없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항상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ex) Steve Jobs made I-phone the heart of Apple.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을 애플사의 핵심으로 만들었다.)




위에서 보듯이 고유명사들은,

 관사나 복수형 없이 원래 형태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그렇지만 고유명사는 문장에서 보통명사처럼 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He is an Einstein in physics.

  (그는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이다/ 물리학계의)

(2) Two Picassos were stolen from the museum.

    (두 개의 피카소 작품이 도난을 당했다/ 박물관에서.)

(3) She comes from a Hamilton.

    (그녀는 해밀턴 가문 출신이다.)

(4) Three Wellingtons work at the same team.

    (세 명의 웰링턴이 같은 팀에서 근무한다.)

(5) The Norfolks are very proud.

    (Norfolk 집안 사람들은 매우 자부심이 강하다.)




고유명사는 위에서와 같이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붙이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각각의 의미와 용도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1)번에서 ‘an Einstein’은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를 말합니다. 고유명사 앞에 부정관사가 붙붙으면 ‘~와 같은 사람’이나 ‘~의 작품’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는 ‘Picaasso'다음에 복수형 어미 ’s'가 붙었습니다. 의미는 ‘피카소의 작품(들)’이 됩니다.

(3)번에서는 가문의 일원임을 의미합니다.

(4)번에서는 이름이 웰링턴인 사람이 세 명임을 나타냅니다.

(5)번에서는 가문 사람들 전체를 나타냅니다. Norfolks는 Norfolk 집안 사람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고유명사들은 제한된 의미에 한해서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용법은 중,고등학교 내신을 제외하고는 거의 시험에 출제되지 않습니다그렇지만 영어 말과 글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매끄러운 해석을 위해서 꼭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