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부사 의미정리 (영문법 핵심정리 162)

 

접속부사란 접속사는 아니지만 의미상으로 문장을 연결하는 말들입니다. 실제로 영어 말과 글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들이니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본 글에서는 영어의 접속부사들을 의미에 따라 분류해서 예문을 함께 추가했습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pdf 파일을 첨부했습니다. 게시글 끝에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아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pdf 북마크를 누르면 차례가 나오니 필요한 내용을 찾아 보세요.

 

각설하고 예문을 봅시다. 


영어 접속부사 40가지 정리 (뜻과 예문)

1. 결과 (Result)

(1) accordingly: 따라서

  • 예문: He worked hard. Accordingly, he succeeded.
  • 해석: 그는 열심히 일했다. 따라서 성공했다.

(2) as a result: 결과적으로

  • 예문: It rained heavily; as a result, the game was canceled.
  • 해석: 비가 많이 와서 결과적으로 경기가 취소됐다.

(3) consequently: 결과적으로

  • 예문: He overslept. Consequently, he missed the train.
  • 해석: 그는 늦잠을 잤다. 결과적으로 기차를 놓쳤다.

(4) hence: 따라서, 그러므로

  • 예문: She was busy, hence she couldn't call.
  • 해석: 그녀는 바빴다. 따라서 전화를 못했다.

(5) therefore: 그러므로

  • 예문: He studied regularly; therefore, he improved.
  • 해석: 그는 꾸준히 공부했다. 그러므로 실력이 향상됐다.

(6) thus: 그래서

  • 예문: Prices rose; thus, fewer people bought houses.
  • 해석: 가격이 올라서, 그래서 집을 사는 사람이 줄었다.

2. 대조 (Contrast)

(1) contrarily: 대조적으로

  • 예문: I enjoy summer. Contrarily, my sister prefers winter.
  • 해석: 나는 여름을 즐기지만, 대조적으로 동생은 겨울을 선호한다.

(2) conversely: 반대로

  • 예문: She likes sweets; conversely, I like salty snacks.
  • 해석: 그녀는 단것을 좋아하지만, 반대로 나는 짠 과자를 좋아한다.

(3) in contrast: 대조적으로

  • 예문: Dogs are friendly; in contrast, cats are independent.
  • 해석: 개는 친근한 반면, 고양이는 독립적이다.

3. 추가 및 부연 (Addition)

(1) additionally: 게다가

  • 예문: He's smart; additionally, he's very kind.
  • 해석: 그는 똑똑할 뿐 아니라, 게다가 매우 친절하다.

(2) again: 다시

  • 예문: Try again; you can do it!
  • 해석: 다시 시도해 봐, 넌 할 수 있어!

(3) besides: 게다가

  • 예문: She sings; besides, she dances well too.
  • 해석: 그녀는 노래도 하고, 게다가 춤도 잘 춘다.

(4) further: 더욱이, 게다가

  • 예문: Further, we must consider the costs involved.
  • 해석: 게다가 관련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5) furthermore: 더욱이, 뿐만 아니라

  • 예문: The car is affordable; furthermore, it's reliable.
  • 해석: 이 차는 가격이 적당할 뿐 아니라 신뢰할 만하다.

(6) in addition: 게다가, 덧붙여

  • 예문: In addition, the location is perfect.
  • 해석: 게다가 위치도 완벽하다.

(7) indeed: 사실은

  • 예문: He's very good, indeed the best in class.
  • 해석: 그는 정말 잘한다. 사실은 반에서 최고다.

(8) moreover: 게다가, 더욱이

  • 예문: It's nutritious; moreover, it's tasty.
  • 해석: 영양가도 높고, 게다가 맛도 좋다.

4. 비유·비교 (Comparison)

(1) comparatively: 비교적으로

  • 예문: This test was comparatively easy.
  • 해석: 이 시험은 비교적 쉬웠다.

(2) in comparison: 비교적으로

  • 예문: The book is short in comparison with others.
  • 해석: 그 책은 다른 책들과 비교하면 짧다.

(3) just as: 마치 ~처럼

  • 예문: She sings just as beautifully as her mother.
  • 해석: 그녀는 마치 엄마처럼 아름답게 노래한다.

(4) likewise: 마찬가지로

  • 예문: He likes pizza; likewise, she does too.
  • 해석: 그는 피자를 좋아하고, 그녀 역시 마찬가지다.

(5) similarly: 유사하게

  • 예문: Similarly, both stories end happily.
  • 해석: 두 이야기 모두 유사하게 행복하게 끝난다.

5. 순서 (Order)

(1) finally: 마지막으로

  • 예문: Finally, mix the ingredients well.
  • 해석: 마지막으로 재료를 잘 섞으세요.

(2) next: 다음은

  • 예문: Next, bake for 20 minutes.
  • 해석: 다음으로 20분간 구우세요.

6. 양태 (Manner)

(1) almost: 거의

  • 예문: She almost finished the project.
  • 해석: 그녀는 프로젝트를 거의 끝냈다.

(2) certainly: 확실하게

  • 예문: You will certainly succeed.
  • 해석: 너는 확실히 성공할 거야.

(3) equally: 똑같이

  • 예문: Treat everyone equally.
  • 해석: 모두를 똑같이 대우해라.

(4) undoubtedly: 확실하게

  • 예문: He's undoubtedly the best player.
  • 해석: 그는 확실히 최고의 선수다.

(5) uniquely: 독특하게

  • 예문: She's uniquely talented in painting.
  • 해석: 그녀는 그림에 특별한 재능이 있다.

7. 역접 (Concession / Contrast)

(1) however: 그러나

  • 예문: She tried hard; however, she failed.
  • 해석: 그녀는 열심히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2) instead: 대신에

  • 예문: I chose coffee instead of tea.
  • 해석: 나는 차 대신 커피를 선택했다.

(3)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 예문: It was raining; nevertheless, we went hiking.
  • 해석: 비가 왔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등산을 갔다.

(4) nonetheless: 그렇기는 하지만

  • 예문: It's expensive; nonetheless, it's worth it.
  • 해석: 비싸긴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

(5) rather: 오히려

  • 예문: I'd rather stay home tonight.
  • 해석: 나는 오늘밤 오히려 집에 있고 싶다.

(6) still: 그러나

  • 예문: He studied hard; still, he couldn't pass.
  • 해석: 그는 열심히 공부했지만, 여전히 합격하지 못했다.

8. 재진술 (Restatement)

(1) in fact: 사실은

  • 예문: She isn't shy. In fact, she's very outgoing.
  • 해석: 그녀는 내성적이지 않다. 사실은 굉장히 외향적이다.

(2) namely: 다시 말하면

  • 예문: We need two things, namely time and money.
  • 해석: 우리는 두 가지가 필요한데, 다시 말하면 시간과 돈이다.

(3) that is: 즉

  • 예문: I'll arrive soon; that is, around 6 p.m.
  • 해석: 나는 곧 도착할 거야. 즉, 대략 6시쯤이야.

9. 조건 (Condition)

(1)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 예문: Leave now; otherwise, you'll be late.
  • 해석: 지금 출발해라. 그렇지 않으면 늦을 거다.

10. 화제전환 (Transition)

(1) anyway: 어쨌든

  • 예문: Anyway, let's move on.
  • 해석: 어쨌든, 넘어가자.

(2) elsewhere: 다른 곳에서는

  • 예문: You can't buy this elsewhere.
  • 해석: 다른 곳에서는 이걸 살 수 없다.

(3) incidentally: 그런데

  • 예문: Incidentally, have you heard the news?
  • 해석: 그런데, 그 소식 들었어?

(4) meanwhile: 한편

  • 예문: Meanwhile, she cooked dinner.
  • 해석: 한편, 그녀는 저녁을 만들었다.

(5) now: 자, 그럼

  • 예문: Now, let's start the meeting.
  • 해석: 자, 그럼 회의를 시작해봅시다.

(6) then: 그렇다면, 그럼

  • 예문: Then, what should we do next?
  • 해석: 그렇다면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까?

영어 글쓰기와 독해에 자주 쓰이는 표현들이니, 틈틈이 복습해 보세요. 각 접속부사는 글의 논리적 흐름을 매끄럽게 만듭니다. 잘 익혀두면 영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꼭 필요한 순간에 바로 꺼내 쓸 수 있도록, 자주 보며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접속부사의 의미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영어 접속부사 40가지 정리.pdf
0.35MB

 


 

다음은 제가 쓴 "접속사 직전정리" 책입니다. 접속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들만 모아서 간략하게 설명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는 영어 학도들이 무척이나 헷갈려하는 규칙입니다. 몇 번을 듣고 읽어봐도 두루뭉실한 설명 때문에 아리송하기만 합니다. 이번 글에서 명확히 정리하겠습니다. 지각동사(see, hear, feel, smell, taste)는 자주 출제되는 문법 포인트이므로 이 글을 통해 확실히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게시물을 다 읽고 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해서 잘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글의 내용

1. 지각동사란 무엇인가? 
2. 동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경우
3.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경우
4.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시작합시다!

1. 지각동사란 무엇인가? 

지각동사는 감각적으로 무언가를 인지할 때 사용하는 동사로, ‘무의지 동사’라고도 합니다.

대표적인 지각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see(보다), hear(듣다), feel(느끼다), smell(냄새 맡다), taste(맛보다)   

 

지각동사 hear와 listen to의 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1분 정리 041)


 

이러한 5형식 지각동사들은 목적보어로 동사와 형용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각 경우별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2. 동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경우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와 형용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적보어 형태는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데, 쉽지는 않은 내용이지만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를 할때

          →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or ~ing(현재분사)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p.p (과거분사)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2-1. 목적보어 예문

(1) I heard her call my name.

    (나는 들었다/ 그녀가 내 이름을 부르는 것을)

 

(2) I heard my name called by her.

    나는 들었다/ 내 이름이 불리는 것을/ 그녀에 의해서)

 

(1)번에서는 목적어인 her가 내 이름을 부릅니다. 목적어가 목적보어를 하는 ‘능동’이므로 동사원형 (~ing)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목적어 my name은 불리는 것’이므로 수동입니다. 그러므로 과거분사 called가 왔습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 다음 (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I saw my son (clean, cleaned) the room.

    (나는 보았다/ 내 아들이 방을 청소하는 것을)

(2) I saw the room (clean, cleaned) by my son.

    (나는 보았다/ 방이 청소되는 것을/ 내 아들에 의해서)

 

 

(1)번은 동사원형 wash를 써야 합니다. 목적어인 my son이 방을 청소하는 능동이기 때문입니다.

(2)번은 과거분사 cleaned를 써야 합니다. 목적어인 방(the room)은 내 아들에 의해서 ‘청소가 되는’ 수동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가 올 경우,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서 동사원형(~ing) 또는 p.p(과거분사)를 씁니다.

 

동사원형이 올 때와 ~ing가 올 때의 의미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형식 목적보어 (동사원형, 현재분사 ~ing) (1분 정리 042)

3.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경우

지각동사 + 목적어 + 형용사 (부사안됨)

지각동사는 형용사를 목적보어로 취할 수도 있습니다. 단 목적보어 자리에 부사는 올 수 없습니다.

 

ex) I saw her happy.

    (나는 보았다/ 그녀가 행복한 것을)

 

여기서 보어로 부사는 올 수 없습니다. 부사는 목적어인 명사를 수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부사는 보어로 쓰일 수 없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4.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

 

1) 목적보어가 동사일 때:

  • 목적어가 능동이면 → 동사원형 or 현재분사(~ing)
  • 목적어가 수동이면 → 과거분사(p.p.)

2) 목적보어가 형용사일 때:

  • 부사는 목적보어가 될 수 없습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본문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docx
0.02MB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와 해설.pdf
0.27MB

 

이상으로 "5형식 지각동사와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remember, forget, regret + to 부정사/ 동명사

 

 

remember, forget, regret 뒤에 to부정사와 동명사가 올 때 의미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문법입니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remember, forget, regret 다음에 to 부정사가 올 때를 봅시다. to 부정사는 미래를 뜻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살펴 봅시다.

 

1. remember, forget, regret + to 부정사 의미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면 아직 하지 않은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1) 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문을 잠글 것을 기억했다.

      (아직 잠그지 않았음)

 

(2) Don't forget to buy milk.

     우유 사오는 거 잊지 마. (아직 우유를 사지 않았음)

 

(3) I regret to inform you that you failed the exam.

     시험에 불합격했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어 유감입니다.

      (아직 말하지 않았음)

 

예문들에서 보았듯이 remember, forget, regret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는 '아직 하지 않은 일', 즉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이제 remember, forget, regret 다음에 동명사가 올 때를 봅시다.

 

2. remember, forget, regret + 동명사 의미

동명사(verb+ing)와 함께 쓰이면 이미 해버린 '과거의 일'을 나타냅니다.

 

(1) I remember locking the door.

     문을 잠근 것이 기억난다. (이미 잠갔음)

 

(2) I forgot sending the email, so I sent it again.

     내가 이미 이메일 보낸 것을 잊고 있어서 다시 보냈다.

     (이미 이메일을 보냈음)

 

(3) I regret telling her my secret.

     그녀에게 내 비밀을 말한 것을 후회한다.

      (이미 비밀을 말했음)

 

예문들에서 보듯이 '이미 해 버린 행동을' 기억하고, 잊고, 후회하는 것입니다. 

 

 

3. 정리

이렇게 정리해 두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remember, forget, regret 다음에서는,

  • to부정사 → 미래(아직 하지 않은 일)
  • 동명사 → 과거(이미 한 일

4. 연습 문제

실제로 사용되는 예시를 보면서 확인해 봅시다.

 

(1) 다음 중 문법적으로 바른 문장을 고르세요.

문제: 당신이 실패했다는 소식을 알리게 되어 유감입니다.

  • A. I regret to say you failed.
  • B. I regret saying you failed.

정답: A (아직 전달하지 않은 소식을 알리게 되어 유감)

 

(2) 다음 문장의 의미로 알맞은 것을 고르세요

문제: I remembered calling mom.

  • A. 엄마한테 전화를 아직 안 했다.
  • B. 엄마한테 전화를 이미 했다.

정답: B (이미 엄마에게 전화했음)

 

(3) 다음에서 밑줄 친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문제: I forgot bringing my homework.

I forgot to bring my homework.

 

숙제를 가져오기로 한 것을  잊어버린 상황입니다. 아직 하지 않은 일이므로 to부정사를 써야 합니다.

 

remember, forget, regret의 용법은 영어 시험에 자주 나옵니다. 이 내용을 반복적으로 공부해서 꼭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제가 쓴 "to 부정사 직전 정리" 책입니다. to 부정사에서 필요한 용법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remember, forget + 준동사  (핵심정리 058)   동영상 강의

 

"remember, forget + 준동사"의 의미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의미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두 준동사의 의미 차이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의미 차이

remember, forget은 to 부정사와 동명사, 둘 다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미가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지만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입니다. to 부정사는 기본적으로 지금부터 ‘미래’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동명사는 이에 대하여 과거부터 지금까지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to부정사: 앞으로 해야 할 일 (미래, 아직 하지 않은 일)
  • 동명사: 이미 완료된 일 (과거에 한 일)

2. remember, forget + 준동사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의미를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규칙이 나옵니다.

  • remember(forget) + to부정사미래의 일, 아직 안 한 것
  • remember(forget)  + 동명사: 과거의 일, 이미 해 버린 것


3. remember + 준동사 예문

실제 예문을 통해 의미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1) remember + to부정사
ex) I remember to send the email.
      나는 이메일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한다.
      (아직 보내지 않음)

 

(2) remember + 동명사
ex) I remember sending the email.
      나는 이메일을 보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

      (이미 보냈음)

 

차이를 아셨을 겁니다.


4. forget + 준동사 예문

forget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1) forget + to부정사
ex) I forgot to lock the door.
      나는 문을 잠가야 할 것을 잊었다.
      (문을 잠그지 않음)

 

(2) forget + 동명사
ex) I forgot locking the door.
      나는 문을 잠갔다는 사실을 잊었다.
      (이미 잠갔지만 기억하지 못함)

 

이렇게 쓰입니다. 


이제 아래 문제를 통해 연습해 봅시다.

5. 연습문제

다음 우리 말 해석에 알맞은 말을 괄호 안에서 고르시오.

(1) 나갈 때 가스 불 끄는 것 기억해라.
Remember (to turn off / turning off) the gas when you go out.

 

(2) 나는 가스 불을 껐다는 사실을 잊어버렸다.
I forgot (to turn off / turning off) the gas.

 

(1)번: to turn off (아직 안한 일, 미래)

(2)번: turning off (이미 해버린 일, 과거)

 

그럼 이것으로 remember, forge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regret + to 부정사/ 동명사 더 보기


 

다음은 제가 쓴 "to 부정사 직전 정리"입니다. to 부정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구동사 (phrasal verb)

 

구동사 (phrasal verb) (핵심정리 141)  동영상 강의

 

 

 

이번 강의에서는 영어의 구동사(phrasal verb)에 대해 정의부터 예문까지 한 번에 살펴 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정의와 형태

2. 목적어

3. 수동태

 

1. 구동사(Phrasal verb)란 무엇일까?  

구동사는 동사에 부사 또는 전치사가 결합하여 의미가 달라지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put(놓다)과 out(밖으로)이 결합한 put out은 '불을 끄다'는 의미가 됩니다. 'put', 'out'의 원래 뜻으로부터 예측하기 힘든 의미가 나왔습니다. 이런 까닭에 구동사는 비영어권 학습자들의 골칫거리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들은 구동사를 익혀야 합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구동사에는 다음 3가지 유형이 가장 흔합니다.

1. 동사 + 전치사

2. 동사 + 부사

3. 동사 + 부사 + 전치사

부사인지 전치사인지 정확히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구동사 자체가 하나의 동사처럼 기능한다는 것입니다. 



2
.
유형별 구동사 예문

각 유형별로 구동사들의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동사 + 전치사:

  • put in (들이다, 투자하다)
    ex) You should put in extra effort.
           노력을 더 들여야 해.

(2) 동사 + 부사:

  • put out (불을 끄다)
    ex) Firefighters put out the fire.
          소방관들이 불을 껐다.

(3) 동사 + 부사 + 전치사:

  • put up with (참다, 견디다)
    ex) I can't put up with you.
          나는 너를 참을 수 없어.

 


3. 구동사는 동사다

구동사에서, 동사에 결합된 것이 부사인지 전치사인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구동사들은 자체로 ‘동사’라는 것입니다. 즉, put, put in, put out, put up with 등은 자체로 하나의 동사가 됩니다. 반드시 기억해 두시길 바랍니다.

 


4. 구동사 사용법 - 목적어의 위치는?  

구동사는 목적어를 취할 수 있는 타동사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목적어가 명사일 때와 대명사일 때에 따라 그 목적어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 목적어가 일반 명사일 때:
    다음 두 가지 형태 모두 가능합니다. 목적어인 명사가 구동사 다음에 올 수도 있고, 동사와 부사(전치사) 사이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1) Firefighters put out the fire. 가능
    (2) Firefighters put the fire out. 가능
    실제로는 (1)번과 같은 형태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참고 하세요.

  • 목적어가 대명사(it/them/him 등)일 때:
    구동사는 반드시 분리하여 사용합니다. 목적어를 동사와 부사(전치사) 사이에 두어야 합니다.
    (1) Firefighters put it out. O (올바른 문장)
    (2) Firefighters put out it. X (틀린 문장)



5. 구동사의 수동태는 어떻게 만들까? 

구동사는 자체로 하나의 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로 바꿀 때도 그 형태 그대로 써야 합니다. 

 

예시를 보겠습니다.

  • 능동태: Firefighters put out the fire.
  • 수동태: The fire was put out by the firefighters.

또한,

  • 능동태: I can't put up with you.
  • 수동태: You can't be put up with by me.
  • 주의: 수동태로 바꿀 때도 구동사 구성요소(부사나 전치사)는 반드시 써야 합니다. 전치가 by가 또 나온다고 해서 전치사나 부사를 생략해서는 안 됩니다. 구동사는 그 자체로 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예문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어 어휘정리] - 영어 숙어 정리 (break) (숙어 정리 001)

[송샘 영어교실/영어 어휘정리] - bring (영어 숙어정리 002)

[송샘 영어교실/영어 어휘정리] - call (영어 숙어정리 003)

 

 

다음은 제가 쓴 구동사 책 "영어 구동사 167"입니다. 영어에서 필수적인 구동사만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관계 대명사, 관계부사 구별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구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 (+예문)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헷갈리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을 예문과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점

2. 관계대명사 예문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

3. 관계부사 예문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4. 문법적 설명 (어렵습니다)

5. 쉽게 구별하는 방법 (형식적 설명)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점

관계대명사과 관계부사를 구별하는 대락적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는 문장 내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문장은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된 '불완전한 문장'입니다.

(2) 관계부사
이에 대하여
관계부사는 문장 내에서 부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관계부사 뒤에 오는 문장은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갖춰진 '완전한 문장'입니다.

형식상으로는 관계대명사가 속한 절은 주어나, 목적어 중 하나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고, 관계부사가 있는 절은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구별


2. 관계대명사 예문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

ex) He is the man who killed the lion.
      (그는 그 사자를 죽인 남자다.)

  • 여기서 who 뒤에는 주어가 생략된 불완전한 문장(killed the lion)이 옵니다.
  • 선행사가 사람(the man)이므로 관계대명사 who를 사용합니다.

3. 관계부사 예문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This is the reason why he cheated me.    

      (이것은 이유이다/ 그가 나를 속였던.)

  • 여기서 why 뒤에는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있는 완전한 문장(he cheated me)이 옵니다.
  • 선행사가 이유(the reason)이므로 관계부사 why를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예문


4. 문법적 설명 (어렵습니다)
문법적으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 

한 번 볼까요?

"He is the man who killed the lion." 에서는, 선행사 ‘the man'를 대신하는 who가 'who killed the lion’라는 문장에서 주어역할을 하므로 관계대명사인 who를 써야합니다. 

"This is the reason why he cheated me."에서는 선행사 ‘the reason'을 수식하는 ’why he cheated me'라는 문장이 동사 ‘cheated'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부사인 where가 와야 한다.

그렇지만, 이렇게 설명하면 개념의 반복이 될뿐,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실제로 사용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형식적’이고 실제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5. 쉽게 구별하는 방법 (형식적 설명)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다음 규칙만 기억하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 관계대명사 뒤 = 불완전한 문장
  • 관계부사 뒤 = 완전한 문장

"He is the man who killed the lion." 에서는, 선행사가 사람이고 ‘killed'라는 동사의 주어가 생략되었으므로 관계대명사 who를 써야 합니다.

"This is the reason why he cheated me." 에서는 ’why 이하문장‘이 주어와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므로 관계부사를 써야 합니다.

 

이렇게 형식적인 설명이 훨씬 더 잘들어 옵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합시다.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구별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장이 불완전하고, 관계부사 다음에는 문장이 완전하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구별 문제.pdf
0.27MB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구별 문제 - 정답.pdf
0.27MB

 


 

다음은 제가 쓴 "관계부사 직전정리"입니다. 관계부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현재 완료 진행형

 

 

영어 문법 중에서 많은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현재 완료 진행형입니다. 현재 완료 진행형은 말 그대로 현재 완료와 진행형이 합쳐진 것입니다. 형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have(has) been + ~ing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현재 완료 진행형의 의미

2. 현재 완료와 현재 완료 진행형 의미 차이

 

1. 의미

 

현재 완료 진행형은 ‘어떤 동작이 과거에 시작되어 현재에도 계속’ 진행 중일 때 사용합니다. 현재 완료 진행형은 계속의 의미를 가지므로 for, since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때 for와 since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for: 구체적인 ‘기간’을 나타냅니다.
  • since: 구체적인 ‘시점’을 나타냅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1. 나는 영어를 ‘10년 동안’ 공부해 오고 있다.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for ten years.

 

2. 나는 2003년부터 영어를 공부해 오고 있다.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since 2003.

 

1번에서 for는 특정한 기간 (10년 동안)을 나타내고, since는 특정한 시점 (2003년 이후)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1,2번은 둘 다, 과거에 공부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계속해 오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현재완료와 현재완료 진행형의 차이

 

그렇다면 현재 완료현재 완료 진행형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아래의 두 문장을 비교해 봅시다.

 

1. I have studied English for ten years.

   (나는 영어를 공부해 왔다/ 10년 동안)

 

2.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for 10 years.

   (나는 영어를 10년 동안 (지금도!) 계속 공부하고 있다)

 

 

첫 번째 문장은 현재 완료입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영어를 공부한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공부를 계속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안 할 수도 있습니다. 막 끝냈을 수도 있습니다. 즉, 현재 완료는 과거의 경험이나 결과에 더 중점을 둡니다.

 

2번은 현재완료 진행형입니다. 과거부터 시작된 공부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음을 명확히 강조합니다.

과거에 영어를 공부하기 시작해서 지금도 계속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강조합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현재 완료 진행형이 현재 완료보다 ‘현재까지의 계속성’이 더 강합니다.

 

 

의미 차이 예문 (3-4)

다음 예문을 통해 다시 한번 살펴봅시다.

3. It has rained for three days.

   (3일 동안 비가 내렸다)  – 지금도 내리는지 불분명

 

4. It has been raining for three days.

   (3일 동안 계속 비가 내렸다) – 지금도 내리고 있거나 그 영향이 현재까지 남아 있음

 

4번, 현재 완료 진행형에서 반드시 비가 3일 동안 계속 내릴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3번 현재완료를 쓸 때보다 비 내린 효과가 현재에 더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자면 4번에서는 ‘땅이 지금도 젖어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완료 진행형은, 과거에 시작한 동작이 현재 완료보다 더 현재에 계속되거나 영향을 미침을 나타냅니다.

 

정리해 봅시다.

현재 완료 진행형은 과거에 시작한 행위가 현재에도 계속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현재완료 진행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현재 완료 직전정리"입니다. 현재완료에서 꼭 필요한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어 시제 (12 시제)

 

 

이번 시간부터는 동사의 시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의 시제는 크게 현재와 과거 두 가지를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 미래를  포함한 다양한 변형 시제들이 추가됩니다. 우리 인간들은 "현재"를 살아가는 동물입니다. 과거는 잊어버리고 미래는 신경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까요? 막상 시제를 공부해 보면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그러니 오늘은 아예 각잡고 시제를 제대로 공부해 봅시다.

 

영어의 시제를 현재, 과거를 기준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래 시제는 대부분 현재를 이용하여 나타냅니다)

 

1. 과거 시제

  • 단순 과거
  • 과거 진행형
  • 과거 완료 (과거완료 진행형 포함)

2. 현재 시제

  • 단순 현재
  • 현재 진행형
  • 현재 완료 (현재완료 진행형 포함)

3. 미래 시제 (현재 시제 활용)

  • 단순 현재로 미래 표현
  •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표현
  • 현재 완료로 미래 표현

4. 미래 시제 (미래 표현 전용)

  • be going to로 표현
  • will / shall로 표현
  • 미래 완료

(주의)

1. 편의상 완료진행형은 완료와 함께 묶었습니다.

2. 12 시제를 의미상 분류한 것이니 시제의 수에는 신경쓰지 마시길 바랍니다.

3. 12 시제의 명칭만 외우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4. 정확한 의미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그럼 영어 12시제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시제의 기본은 현재와 과거

 

위에서 보시면 알겠지만 ‘미래 시제’는 독립적인 표현이라기 보다는 ‘현재 시제’를 이용해서 표현합니다. 이렇게 본다면 시제에는 ‘현재’와 ‘과거’만 있다고 해도 그렇게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기본 시제인 ‘현재’, '과거‘외에 변형시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단 지금은 이 정도만 알아 두시면 됩니다.

 

그럼 각 시제의 의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재 시제

 

현재 시제는 현재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냅니다. 특히 주의할 것은 ‘단순 현재’는 "상당한 기간 변하지 않고 계속(또는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I buy the book. (단순 현재)
2. I am buying the book (현재 진행)
3. I have bought the book. (현재 완료)

 

1번 단순 현재형 은 “습관적으로 그 책을 산다”라는 의미입니다.

2번 현재 진행형은 “지금 이 순간 그 책을 사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3번 현재완료는 “과거에 그 책을 사서 지금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현재 시제 도식화

 

사건의 시작점, 끝점, 지속시간을 기준으로 도식화 해보겠습니다.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뜻밖에도” 단순 현재시제는 상당히 오랜기간 지속되는 사건을 나타냅니다. 오히려 진행형이 “뜻밖에도” ‘지속성이 없이 한 순간의 동작’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현재완료는 ‘어떤 동작을 사건이 과거에 시작되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과거 시제

 

과거시제는 과거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냅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과거 시제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2. 1분 전이던, 1시간 전이던, 1년 전이던, 1만년 전이던 과거 사건은 단순과거로 나타낸다.

 

예문을 봅시다.
1. I bought the book. (단순과거)
2. I was buying the book when you saw me. (과거 진행형)
3. I had bought the book before I met you. (과거 완료)

 

1번은 

단순 과거입니다.

"내가 과거에 그 책을 샀다“는 말입니다. 내가 지금도 그 책을 가지고 있는 지는 알 수 없습니다.

 

2번은 

과거 진행형입니다.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너가 나를 본 그 순간 나는 책을 사고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3번은 

과거완료입니다.

어떤 일이 과거 이전에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즉, ‘책을 샀던 것이’ ‘당신을 만났던 것보다 먼저 발생했던 사건’입니다.

 

과거 시제 도식화

과거 시제는 과거의 특정 시점에 있었던 사건을 나타내며, 현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역시 시작점, 끝점, 지속시간을 기준으로 도식화 해 보았습니다.

 

단순과거는 과거에 발생했던 사건을 나타냅니다.

과거진행형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발생했던 사건을 나타냅니다.

과거완료는 과거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3. 미래 시제

 

예문을 먼저 보겠습니다.

 

1️. I buy the book.
    (단순현재 → 미래 표현)

2️. I am buying the book.
    (현재진행형 → 미래 표현)

3️. I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현재완료로 미래 표현)

4️. I am going to buy the book.
    (be going to → 미래 표현)

5️. I will buy the book.
    (will → 미래 표현)

6️. I will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미래완료 → 미래 표현)

 

(3번, 6번은 편의상 함께 다루겠습니다)

 

미래시제는 실현 가능성

 

현재와 과거에서는 지속시간이 하나의 구별 기준이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미래표현들에서는 확실성(실현 가능성)이 구별기준이 됩니다.

 

1-6번까지의 미래 표현들은 확실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1번 

단순 현재로 미래표현

지금까지 규칙적으로 그 책을 샀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그 책을 살 것입니다.

 

2번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표현

확실히 그 책을 살 것입니다.

 

(3,6번)

완료 시제로 미래표현

특정시점(this Friday)까지 그 책을 사게 될 것입니다. 확실성 보다는 특정시점을 강조합니다.

 

4번 

be going to로 표현

2번 현재진행형보다 더 구체적입니다. 책 살 준비 끝났습니다.

 

5번

will로 미래 표현

지금 그 책을 사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실현 가능성은 90% 정도입니다.

 

미래 시제 실현 가능성 도식화

 

미래표현을 실현가능성을 기준으로 도식화 해 보았습니다.

 

 

 이상으로 시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알고 보면 어려운 것이 시제라는 말이 실감이 납니다.

 

 

다음은 제가 쓴 "시제 직전 정리" 입니다. 시제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27) 2025.04.05
현재 완료 진행형  (15) 2025.04.04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3강 수의 일치

수(number)란?

3강에서는 수의 일치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수(number)란 무엇일까요? 문법에서 말하는 수(number)는 단수와 복수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수의 일치라고 하면, 단수인지 복수인지 정확히 구별하는 것을 뜻합니다. 하지만 보통 시험에 출제되는 수의 일치 문제는 대부분 주어와 동사의 관계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수의 일치'를 '주어-동사의 수 일치(subject-verb agreement)'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하면 쉽습니다.

  

수(number)란 단수와 복수를 나타낸다.

수의 일치란 주어와 동사의 수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시작해 봅시다.

1. 수식어구와 절

 

첫 번째로 알아볼 것은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수 일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식어구와 절은 아무리 길고 복잡해도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정확하게 이해해 봅시다. 앞으로 주어는 S(subject), 동사는 V(verb)로 표기하겠습니다.


(1) He with a good brain often fails at something.
      (뛰어난 두뇌를 가진 그 사람도 종종 어떤 일에서는 실패한다.)
(2) He who has a good brain often fails at something.
     (뛰어난 두뇌를 가진 그 사람도 종종 어떤 일에서는 실패한다.)

(1)번과 (2)번 문장은 의미가 같습니다. 단지 (1)번은 형용사구의 수식을 받고, (2)번은 형용사절의 수식을 받는다는 것만 다릅니다. 보시는대로 형용사구나 절의 수식을 받아도 주어 동사의 수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주어 'He'는 여전히 단수입니다. 그래서 현재형 동사 fail에는 ‘s'가 붙습니다.

 

문법의 기본은 해석

 

그런데 잠깐 생각해 봅시다. 과연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는 문법 지식만 가지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문장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문법 규칙따위는 몰라도 문장을 해석할 수 있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법은 언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 줍니다.
문제를 더 빠르고 정확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렇지만 기억해 둡시다.

"문법의 기본은 해석이다"

 

이상으로 수의 일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일치 직전 정리"입니다. 영어의 일치에 대해 꼭 알아야 하는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완료 진행형  (15) 2025.04.04
영어 시제 (12 시제)  (6) 2025.04.04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수동태  (1) 2025.04.02

 물질명사 (material noun)

 

 

 

 

셀 수 없지만 셀 수 있는?

 

물질 명사 종류

 

물질 명사는 형태는 있지만 일정하지 않아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s)'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물질 명사를 편의상 고체, 액체, 기체로 분류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고체

    ex) chalk, meat, paper, stone, salt, soap 등

(2) 액체

    ex) coffee, milk, oil, water, wine 등

(3) 기체

    ex) air, gas, smoke, wind 등

 

 

 

 

물질명사 세는 방법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셀 수 없습니다.’ ‘셀 수 없으므로’ 부정관사를 붙일 수도 없고, 복수형을 만들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물질명사는 어떻게 '셀‘까요?

 

 

(1) 고체 물질명사 

 

    한 조각                                    두 조각

a piece of chalk  (분필 한 조각)    two pieces of chalk   (분필 두 조각)

a sheet of paper (종이 한 장)       two sheets of paper  (종이 두 장)

a piece of stone (돌맹이 한 개)     two pieces of stones (돌맹이 두 개)

a spoon of salt   (소금 한 숟가락)  two spoons of salt    (소금 두 숟가락)

a bar of soap     (비누 한 덩어리)  two bars of soap      (비누 두 덩어리) 

 

물질 명사는 여전히 복수가 되지 않지만, 덩어리나 담는 그릇은 복수가 됩니다. 좀 더 어렵게 설명하자면 물질 명사 자체는 복수형이 없으나,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piece, sheet, bar 등)는 복수형이 가능합니다.

 

                                                (2) 액체 물질명사

액체 물질명사 역시 자체로는 셀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음 예에서 보듯이 '그릇'에 담아서 세는 것은 가능합니다. 

 

     한 잔(?)                                     두 잔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two cups of coffee   (커피 두 잔)

a glass of milk    (우유 한 잔)       two glasses of milk   (커피 두 잔)

a gallon of oil     (석유 1갤런)      two gallons of oil     (석유 2갤런)

a bucket of water (물 한 통)         two buckets of water (물 두 통)

a bottle of wine   (와인 한 병)      two bottles of wine   (와인 두 병)

 

(3) 기체 물질명사    

 

    한 통                                      두 통

  a pail of air       (공기 한 통)      two pails of air       (공기 두 통)

 

※ 현실적으로 기체를 담는 용기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pail'보다는 현실적인 단위인 'tank' 또는 'contain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pail은 저도 잘 안씁니다)

 

2. 셀 수 없는 말을 수식하는 수량 형용사와 함께 사용

 

(1) 셀 수 없는 말을 수식하는 수량 형용사

 

물질명사와 같은 셀 수 없는 명사는 few, many와 같은 '수를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little, much와 같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입니다. 

 

little, much + 불가산명사

an amount of, a great deal of + 불가산 명사

a lot of, lots of, plenty of + 불가산 명사

 

ex) There is little salt left.
       (소금이 거의 남지 않았다.)

ex) She has plenty of water.
      (그녀는 물이 많이 있다.)

 

(2) 물질명사의 보통명사화

 

물질명사는 제품이나 구체적인 사건을 나타낼 때는 보통명사처럼 관사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제품을 나타낼 때

 

제품

(1) Wine is made of grapes.         (물질명사, 와인 전체를 의미)

    (와인은 포도로 만들어 진다.)

(2) I bought a rare wine in French. (보통명사, 와인 한 병을 의미)

    (나는 희귀한 와인을 한 병 샀다/ 프랑스에서.)

 

 

2. 사건을 나타낼 때

 

사건

(1) Fire burns everything down. (물질명사, 불 전체를 의미)

    (불은 모든 것을 태운다.)

(2) Many fires break out from mischief. (보통명사, 개별 화재 사건을 의미)

    (많은 화재들이 발생한다/ 장난 때문에.)

 

 

 

이렇게 물질명사들은 구체적인 제품이나 사건을 의미하면 보통명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사례들을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셀 수 없는 명사’들이라도 상황에 따라 ‘셀 수 있는 명사’가 될 수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물질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길고 어려운 내용,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사의 달인"책 입니다. 이 정도 어려운 내용을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 쯤 볼만합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시제 (12 시제)  (6) 2025.04.04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의 구별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는 둘 다 공통적으로 선행사(앞에 나오는 명사)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뒤에 오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최근에는 영어 시험에서는 이러한 문법 요소를 문맥에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적 역할뿐만 아니라 실제 해석과 실생활에서의 예문까지 꼼꼼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즉,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문장 자체가 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① 관계대명사 -주어역할-

You have just met the boy/            너는 방금 소년을 만났어/

who hacked the FBI.                     그런데 그 소년이 FBI를 해킹했어

 

관계대명사 'who'는 뒤 문장에서 'hacked'라는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 -부사 역할-

 

I visited the place/                      나는 그 장소를 방문했다/

where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거기서)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이 문장에서 관계부사 ‘where’는 뒤 문장의 동사구 'was killed'를 수식하는 장소부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와 달리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니 관계부사니 하는 명칭은 뒤에 있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관계 대명사’, 부사 역할을 하면 ‘관계부사’가 되는 것입니다.

 

 

관계부사의 해석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그런데’를 넣어서 이어가십시오. 선행사와 관계부사절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This is the day/                       그날이다/

when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그 날에)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최근 출제 경향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막연히 '감'에 기대지 말고, 정확히 구조를 분석해 내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문법적으로 이해한 후에는 자연스럽고 빠르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이 되는 이 해석 틀은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면화 되어갑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부사 직전정리" 책입니다. 관계부사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2-2]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수동태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자동사와 수동태

 

오늘 공부할 내용은 수동태입니다. 수동태로 바꾸는 기본적인 방법은 모두 아실 테니 생략하겠습니다. 대신 예문을 보면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능동태 : I love  you (화살표 표시)

타동사  목적어

수동태 : You are loved by me.

주어  수동태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바뀌는 과정을 봅시다. 타동사의 목적어가 수동태에서 주어 자리로 갑니다.

 

 

만약 문장에 목적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목적어가 없다는 것은 수동태 문장으로 바꿀 때 주어가 될 대상이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주어 없는 문장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규칙이 나옵니다.

 

‘자동사는 수동태로 고칠 수 없다.

 

그렇다면 수동태로 바꿀 수 없는 모든 자동사를 전부 다 외워야 할까요? 그것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고, 또한 불필요합니다. 우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는 동사들 중 시험에 자주 나오는 대표적인 단어 몇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2. 수동태로 고칠 수 없는 대표 자동사들

 

※ 다음은 시험에 빈번히 등장하는, 수동태로 쓸 수 없는 대표적인 자동사 9개입니다.

[happen, occur, take, place, appear, disappear, look, seem prove, turn out]

 

이 아홉 개 단어를 무작위로 외우는 것은 중노동입니다그래서 의미상 그룹 네 개로 묶어 보았습니다.

 

수동태가 안 되는 동사 9

1) 발생하다 : happen, occur, take, place

2) 나타나다 : appear, disappear

3) ~처럼 보이다 : look, seem

4) 판명되다 : prove, turn out (주의)

 

 

한결 외우기 편합니다

 

 

3. prove, turn out  수동태

위의 네 번째 그룹(prove, turn out)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수동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 단어들이 수동태로 쓰였다면 잘못된 문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prove와 turn out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습니다. 이 두 동사가 ‘~으로 판명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만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prove가 ‘증명하다’, turn out이 ‘생산하다’ 등의 의미일 때는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가 됩니다. 따라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The rumor proved to be true.

(그 소문은 사실로 판명되었다.)

 

이 경우에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으로 판명되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The evidence  proved  his  innocence.

(증거는 그가 결백함을 입증했다.)

 

이 문장에서 prove증명하다의 의미로 타동사로 쓰였습니다. 그리고 innocence는 목적어입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His innocence  was  proved  by  the  evidence.

 

이 부분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시험에서 실제로 자주 출제되는 것은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입니다. 4번은 굳이 완벽히 외우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수동태 직전정리"입니다. 수동태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as if 가정법  (6) 2013.09.24

동사 시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동사 시제를 공부하겠습니다.



영어 동사 시제에 관한 동영상 강의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영어 시제 (12 시제)




동사 시제 설명


시제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예문

1. You WRITE well.

2. John WROTE well.

3. He WILL WRITE well.

4. You LIVE at Seoul.

5. They LIVED at New-York.

6. I SHALL LIVE in London.

 

설명

- 동사 ‘write'는 현재, 지금을 의미하며,’현재시제‘라고 불립니다.


- 'wrote‘는 John이 지금 글을 잘 쓰는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John이 과거에 언젠가 글을 잘 썼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wrote'는 과거시제입니다.


- ‘will write'는 미래를 나타냅니다. ’He will write well.'은 앞으로 올 시간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ill write'는 미래시제입니다.


- 마찬가지로, 동사 live는 현재시제, lived는 과거시제, 그리고 shall live는 미래시제를 나타냅니다.

 


정리


시제

시제는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 등의 시간을 표현합니다.

 

영어에는 세 가지 주요 시제들이 있습니다.

- 현재, 과거, 미래 -



EXERCISE 25

 

※ 다음 동사들의 ‘과거, 현재, 미래’를 밝히시오.

1. The soldier ran away.

2. The knife cuts well.

3. The knife cut the boy's finger.

4. The knife will cut the wood.

5. My mother sent me a cake.

6. I will send you home.

7. My Mom thinks I read better.

8. The candle burns dim.

9. When I went downstairs, the light went out.

10. This cactus will grow well in dry places.

11. I will always love my parents because they always love me.

12. They will go into the country soon.

13. I see your brother every day.

14. He saw you yesterday.

15. We will both see him tomorrow, I hope. 



그럼 이상으로 동사 시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부사  (3) 2025.04.02
수동태  (1) 2025.04.02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as if 가정법  (6) 2013.09.24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분사구문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분사구문을 총정리하겠습니다.

 

 

 

 분사구문 동영상강의

 

 

완료분사구문 동영상 강의 

 

 

 

PART 1 분사구문 개념정리

 

분사구문이란?

문장의                            생략하고 동사를             로 바꾸어서 문장을 간단히 만드는 것.

 

분사구문으로 만드는 법

① 종속절의 접속사를 생략한다.

②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가 일치한다면 종속절의 주어를 생략한다.

③ 종속절의 동사와 주절의 동사의 시제가 일치한다면, 종속절의 동사를 능동일 경우에는 현재분사인 ~ing로, 수동일 경우에는 (Being) + P.P로 쓴다

④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써준다.

   ex) Because I lost my wallet, I couldn't buy her dinner.

                                            , I couldn't buy her dinner. (분사구문)

 

※ 분사구문은 다음과 같은 6가지 의미를 가진다.

 

시간 :

ex) When I went to the street, I met an old friend of mine.

                                               , I met an old friend of mine.

 

이유 :

ex) As he lives alone, he rarely have visitors.

                                                , he rarely have visitors.

 

조건 :

ex) If you starts immediately, you can catch the train.

                                                  , you can catch the train.

 

양보 :

ex) Though they live in the neighborhood, they never see each other.

                                                  , they never see each other.

 

동시동작 :

ex) As she stared at me, she threw the dishes on the floor.

                                                   , she threw the dishes on the floor.

 

연속동작 : ~한 다음 ~하다.

ex) The plane started Seoul at five and arrived New-york at ten.

= The plane started Seoul at five, arriving New-york at ten.

 

 

심화 1

분사구문에 접속사를 쓰는 경우: 의미를 분명하게 밝히기 위하여 접속사를 사용한다.

 

ex) Sleeping many hours, I was tired.

     잠을 많이 자서 피곤한가, 잠을 많이 잤지만 피곤한가?

 

위 예문과 같이 분사구문만으로는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속사를 써서 의미를 분명하게 밝힌다. 다음은 위 분사구문 예문에 접속사를 함께 쓴 문장들이다.

 

1. 잠을 (너무) 많이 자서 피곤한 경우.

   Because sleeping many hours, I was tired.

   (잠을 많이 자서, 피곤하다)

 

2. 잠을 많이 잤지만 피곤한 경우.

   Though sleeping many hours, I was tired.

   (잠을 많이 잤지만 힘들다)

 

 

심화 2

분사구문에 주어를 남겨두는 경우: 독립분사구문

 

ex) Dying, he lived a lonely life. (x)

    (죽어서 그는 외롭게 살았다)

 

위 문장이 잘 못된 이유는 주어 'dying'의 주어가 없기 때문이다. 분사구문에서 주어가 없다는 것은 주절의 주어(he)와 같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 문장에서 'dying'의 주어는 ‘he'가 된다. 그런데 해석을 해보면 말이 안된다. ’그는 죽어서, 그는 외롭게 살았다‘ ’he'는 'dying'의 주어가 될 수없다. 죽은 사람이 다시 살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 문장에서는 'dying'의 주어가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문맥에 맞게 고쳐써 보자.

 

ex) His wife dying, he lived a lonely life.

     (그의 아내가 죽어서, 그는 외롭게 살았다)

 

이제 의미가 통하는 문장이 되었다.

 

이렇게 분사구문의 주어가 있어야 하는 문장을 ‘독립분사구문’이라고 한다.

 

 

심화 3

종속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이전 시제인 경우 : 완료분사구문

 

ex) Because I read the book, I know the news.

     (책을 읽어서, 나는 그 소식을 안다)

 

위의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바꾸어 보자.

 

접속사를 없애고, 주어가 같으니 생략하고, 동사를 분사로 바꾸어야 한다. 그런데, 절의 시제는 이고 종속절의 시제는 이다. 즉, 두 시제가 같지 않고, 종속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이전 시제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동사를 능동이면 Having+P.P로 수동이면 (Having been)+P.P로 바꿔서 분사구문을 만들어준다.

 

따라서, 위의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바꾸어 쓰면,

'Having read the book, I know the news.'가 된다.

 

'having+p.p'와 같은 분사구문을 ‘완료분사구문’이라고 하며, 종속절의 시제가 주절보다 이전의 시제일 경우에는 이와같은 ‘완료분사구문’을 사용한다.

 

Review

다음 문장을 분사 구문으로 바꾸어 쓰시오.

1. As the book was written in Chinese, they couldn't read it.

  ⇒                                                                                                           ,

 

2. Because he had worked hard, he entered the best college.

                                                                                                             ,

 

3. When his homework was done, he went out to play.

                                                                                                            ,

 

 

PART 2. 분사구문을 접속사가 포함된 문장으로.

 

지금까지는 접속사가 포함된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바꾸는 것을 공부했다. 이제부터는 반대로, 분사구문을 접속사가 포함된 문장으로 바꾸는 것을 공부해 보자.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접속사를 찾는다

    의미에 맞게 알맞은 접속사를 찾는다. 

② 주어를 써준다.

   주어가 없다면, 생략했다는 것이니 주어를 찾아서 쓴다

③ 분사를 시제에 맞는 동사로 바꿔준다.

 

Review.

다음 밑줄 친 부분을 절로 변형하여 주어진 문장을 다시 쓰시오.

1. Realizing his mistake, he apologized immediately.

                                                                                            ,

 

2. Being kind, she was loved by everyone.

    ⇒                                                                                        ,

 

3. Weather permitting, we will go out for a date.

    ⇒                                                                                       ,

 

4. Having studied hard, he got a good score.

    ⇒                                                                                        ,

 

 

그럼 이상으로 분사구문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as if 가정법  (6) 2013.09.24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전치사 with  (0) 2013.07.17

 as if + 가정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s if 가정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as if 가정법'을 이해하기위해 필요한 강의들을 같이 올려 놓았습니다.

참고하세요.



가정과 조건

내용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if (가정, 조건)



가정법 과거

내용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내용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가정법 과거완료



as if 가정법

내용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as if, as though 가정법




as if 가정법 정리


1. 형식  

   주어 동사 as if 주어 동사과거.


2. 해석  

   마치 ~인 것처럼 (~하다) : 가정하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


3. 특징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as if 부분이 긍정이면 사실은 부정의 내용이고, as if 부분이 부정이면 긍정의 내용을 나타낸다.’


4. 동의어

as if 대신에 as though를 쓸 수 있음.


5. 시험대비  

   실제 의미를 파악하고, 직설법으로 바꿀 줄 알아야 함.  

   동사의 모양(즉 시제)을 헷갈리지 않아야 함.



[예문]

1. I can remember it as if it were yesterday. 

   나는 그 일을 마치 어제처럼 기억한다.


2. He acts as if he knew everything. 

   그는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행동한다.



그럼 이상으로 as if 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전치사 with  (0) 2013.07.17
do 동사 (160)  (2) 2013.06.06

사역동사의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역동사의 수동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역동사 수동태 동영상 강의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5형식 수동태



사역동사의 의미차이 동영상 강의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사역동사 (make, have, get)



개념정리


1. 사역동사란?

   '~하도록 시키다'는 의미의 동사 → (make, have - 시키다/ let - 허락하다)


2. 사역동사 능동태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목적보어 역할)


3. 사역동사 수동태  

   주어 + be made to 동사원형


4. 사역동사의 수동태가 될 때 

   목적보어역할을 하는 동사원형 앞에 to가 쓰임. (매우 중요★)


5. 사역동사 수동태 보기

   make의 수동태 → be made to 동사원형

   have의 수동태 → be asked to 동사원형

   let의 수동태 → be allowed to 동사원형

 


[예문]


1. The students were made to clean the classroom again.

   학생들은 교실을 다시 청소해야 했다.

 

2. The boy was made to clean his desk.

   그 소년은 자신의 책상을 청소해야 했다.

 

3. The doctor made him stop smoking. 의사는 그가 금연하게 했다.

    He was made to stop smoking by the doctor.

 

4. She had the porter carry the bag. 그녀는 짐꾼에게 가방을 옮기게 했다.

   The porter was asked to carry the bag by her.

 

5. Mom let me go to the concert. 엄마는 내가 콘서트에 가는 것을 허락해주셨다.

   I was allowed to go to the concert by Mom.

 


그럼 이상으로 사역동사 수동태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

다음에...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as if 가정법  (6) 2013.09.24
전치사 with  (0) 2013.07.17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전치사 with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with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동영상 강의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by, with의 구별

2. with의 기본 의미

3. with 관용어구


1. by, with의 구별


by의 용법에서 설명했듯이, by는 수동태에서 행위자(생물)를 나타내고, with는 무생물인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냅니다.


(1) The fire was put out by firefighters with water.

    (화재가 진압되었다/ 소방관들에 의해서/ 물로)


(2) The house was built by workers with bricks.

    (그 집은 지어졌다/ 일꾼들에 의해서/ 벽돌로)


(1)번에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옵니다. 그리고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번도 (1)번과 마찬가지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 with의 기본 의미


전치사를 공부할 때는 모든 의미를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 의미만 확실하게 정리해 두고 나머지는 문맥에서 찾아내면 됩니다. 전치사 with는 다음 두 가지 기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와 함께 (=together with)


1) I live with my family.

   (나는 산다/ 내 가족들과 함께)


2) She has been with her friends for hours.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있다/ 몇 시간 동안)



(2) ~을 가지고 (=having)


1) He is the man with a large head.

   (그는 남자이다/ 큰 머리를 가진)


2) She entered with a sword in her hand.

   (그녀는 들어왔다/ 손에 검을 가지고)


3) He went to America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English.

   (그는 미국으로 갔다/ 영어를 공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3. with 관용어구


(1) be filled with 

    ~으로 가득차다 (=be full of)

(2) be (angry, annoyed, pleased, satisfied) with ~ 

    ~에 화나다, 기쁘다, 만족하다

(3) agree(disagree) with ~ 

    ~에 동의하다, 반대하다

(4) argue(discuss, fight, quarrel) with ~ 

    ~과 논쟁하다, 토론하다, 싸우다, 언쟁하다.

(5) in accordance with ~ 

    ~에 따라서

(6) with the purpose(intention) of ~ 

    ~라는 목적(의도)를 가지고

(7) provide(supply) A with B 

    A(사람)에게 B(물건)를 주다

(8) inspire A with enthusiasm (fear, hope, love, etc.) 

    A에게 열정(두려움, 희망, 사랑 등을) 주다.

(9) What is the matter with you? 무슨 일이니?

    No matter with me. (문제 없어)

(10) be acquainted with~ 

     ~의 (얼굴을) 알다

(11) compare with ~ 

     ~과 비교하다




내용이 많죠?

전치사는 문장에서 아주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니 많을 수밖에 없죠. 


특히 with 관용어구들을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시간 전치사 by에서 뵙겠습니다.

안녕~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가정법  (6) 2013.09.24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do 동사




조동사 do의 용법


조동사 do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1. 의문문, 부정문에 사용되는 do

2. 대동사 do

3. 강조의 do

4. 부가 의문문의 do

5. 도치의 do

(도치, 부가 의문문에 사용되는 do는 별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의문문, 부정문에 사용되는 do


조동사 do는 일반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1) Do you like me? (일반동사 의문문)

(2) I don't like you. (일반 동사 부정문)




2. 앞에 나온 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do

(대동사 do)


do 동사는 앞에 나온 일반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1) 긍정문에서

    Do you love me?

    Yes, I do. (do=love)


(2) 부정문에서

    Don't you love me?

    No. I don't. (don't=do not love)




그리고 대동사로 쓰인 do에서는 인칭과 시제에 주의해야 합니다.



(대동사 do)


(3) I love you as much as he does.

    (난 너를 사랑해/ 그 만큼) (does = loves)


(4) You'd better apologize to your wife.

    I already did.    (did = apologized)

    (아내에게 사과해라)

    (이미 했어) 


(3)번에서 does는 love라는 현재형 일반동사를 대신합니다. 그리고 he가 3인칭이므로 does를 썼습니다. (조동사 do는 인칭과 시제 변화가 가능합니다.)


(4)번은 내용상 과거입니다. 그러므로 do의 과거 did를 썼습니다.




3. 동사를 강조하는 do


일반동사 바로 앞에 쓰인 do는 동사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 경우 do는 ‘정말로’라고 해석합니다.


1. I do love her.

   (나는 그녀를 정말 사랑해)


2. I did love her.

   (나는 그녀를 정말 사랑했어)


3. Everybody does love her.

   (모든 사람이 정말로 그녀를 사랑해)


특별하게 어려운 부분이 없으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동사를 제외한 그 외의 품사를 강조할 때는 'It is ~ that'구문을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전치사 with  (0) 2013.07.17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enough 위치






enough은 형용사나 부사로서 다른 말을 수식합니다. 그런데 품사에 따라 수식하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정리해 봅시다.


수식 위치


1. enough (형용사, 충분한)

   enough + 명사


2. enough (부사, 충분하게)

   형용사 + enough


enough가 형용사일 때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그렇지만 enough가 부사일 때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I have enough problems already.

   (나는 이미 문제가 충분히 많다)


  형용사 enough는 명사 problem을 앞에서 수식했습니다.


2. The problems are big enough for me.

   (문제들이 너무 크다/ 나에게는)


부사 enough는 big이라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형용사 enough는 뒤에서 명사를 수식할 수 있음


주의하실 것은 형용사 enough가 명사를 주로 앞에서 수식하지만명사를 뒤에서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3. There will be problems enough for me.


3번과 같이 형용사 enough를 명사 뒤에 써도 ‘틀리지는’ 않습니다. 단지 ‘구식’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enough (형용사) + 명사

형용사 + enough (부사)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예문 4-5


4. The house has (enough room / room enough) for my family.

   (그 집은 충분한 방이 있다/ 우리 가족들에게)


5. The house is (enough large / large enough) for my family)

   (이 집은 충분히 크다/ 우리 가족들에게)


4번에서 enough는 명사 room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enough room이 되어야 합니다.


5번에서 enough는 형용사 large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그러므로 large enough가 되어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모두 홧팅!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with  (0) 2013.07.17
do 동사 (160)  (2) 2013.06.06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현재분사(과거분사) 명사수식




분사는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보통은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그렇지만 분사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분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


1.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명사를 단독으로 수식하는 대부분의 분사


2.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

   (1) 대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2) 다른 어구와 함께 사용된 분사




각 경우별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1) The rising sun gives hope.

     (떠오르는 태양은 희망을 준다)


(2) My wife is a working woman.

    (내 아내는 직업이 있는 여성이다)


(3) My son doesn't like fried eggs.

    (내 아들은 계란 후라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4) Wounded soldiers went back home.

    (부상당한 군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1-4번까지 밑줄 친 분사들은 명사를 단독으로 수식합니다. 이 경우에 분사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2.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2-1. 대명사를 수식하는 분사


(분사는 대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1) Those frightened didn't fight back.

     (겁먹은 사람들은 반격하지 못했다)


(2) There is nothing left to lose.

    (잃을 것도 없어)


(3) He is the one chosen to save the world.

    (그는 선택된 사람이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1-3번까지 밑줄 친 분사들은 대명사를 수식합니다. 분사가 대명사를 수식할 때는 뒤에서 꾸며줍니다.




2-2. 분사가 다른 어구와 함께 쓰일 때


(다른 어구와 함께 쓰인 분사는 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1) The sun rising in the morning give hope.

     (아침에 뜨는 태양은 희망을 준다)


(2) My wife is a professor teaching students at college.

     (내 아내는 교수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3) My son like eggs boiled in the oven.

     (내 아들은 달걀을 좋아한다/ 오븐에서 삶은)


(4) Soldiers wounded at battle went back home.

     (교전 중에 부상당한 군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1-4번까지 분사들은 부사구과 함께 쓰이거나, 목적어를 취합니다. 이렇게 분사가 다른 말들과 함께 사용되면 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Thanks Again!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7) 2013.05.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