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분사 (past participle)




과거분사는 보통 동사원형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의미


과거분사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완료 (~한, ~해버린)

2. 수동 (~당한, ~하게된)




1. 완료 (~한, ~해버린)


거분사는 어떤 행위가 완료되었음(끝나버렸음)을 나타냅니다.


(1) Fallen apples lay on the ground.

    (떨어진 사과들이 놓여있다/ 땅 위에)


(2) Apples have fallen on the ground.

    (사과들이 떨어졌다/ 땅 위에)


(1)번과 (2)번에서 fallen apples는 사과들이 이미 ‘떨어져 버렸음’을 나타냅니다.




2. 수동: 타동사의 과거분사


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당한, ~하게 된)의 의미를 갖습니다.


(1) 수동태에서  (~당한, ~하게 된)

    ex) The house was destroyed by the storm.

         (그 집은 파괴되었다/ 폭풍에 의해서)


(2) 과거분사로 명사 수식  (~하게 된)

     ex) The destroyed house should be rebuilt.

          (그 파괴된 집은 다시 지어져야 한다)


(1)번에서 destroyed는 수동태에서 ‘파괴 된’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번에서 destroyed는 수동의 의미(파괴된)를 가지고 명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과거분사는 '완료나 수동'의 의미를 갖는다.


귀한 시간 내 주셔서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7) 2013.05.21
현재분사 과거분사 구별  (2) 2013.05.21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의미


현재분사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진행 (~하고 있는)

2. 능동 (~하는, ~하게 하는)




진행


진행 (~하고 있는)

현재분사는 be 동사와 결합하여 현재나 과거의 특정 순간에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1) I am watching TV now.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2) I was watching TV when you called me.

   (나는 TV를 보고 있었다/ 너가 전화했을 때)


(1)번과 (2)번에서 현재분사는 각각 현재(now), 과거(when you called)의 특정 순간에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동사의 현재분사: 진행


자동사의 현재 분사는 진행의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앞, 뒤에서 수할 수 있습니다.


(3) The crying baby is my nephew.

    (울고 있는 아기는 내 조카다)


(4) The baby crying desperately is my nephew.

    (필사적으로 울고 있는 저 아기는 내 조카이다)


(3),(4)번에서 crying은 아기가 ‘지금’ 울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 능동 (~하게하는)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하게하는’의 의미를 가집니다.


(1) The teacher is boring.

    (저 선생님은 지루하다 (사람을 지루하게 한다))


(2) The boring teacher always makes me sleep.

    (저 지루한 (지루하게 하는) 선생님은 항상 나를 잠들게 한다)


(1),(2)번에서 선생님은 (나를)지루하게 합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현재분사는 진행과 능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늘도 최선을 다하는 하루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이번 시간에는 주어와 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주어를 찾아 봅시다.


ex 1) I will always love you.

위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지 못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문장은 어떠할까요?

ex 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41개의 단어로 구성된 위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기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운 좋게 'integer(정수)‘라는 단어까지 알았다고 해도 이해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Russel 백작이 글을 어렵게 쓰기도 합니다만)




이번에는 주어와 동사만 찾아서 해석해 봅시다.


ex 3)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대충 다음과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음절수는 증가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빠졌지만 음절의 수에 관한 말이라는 것과, ‘그것이 증가한다’라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어휘력도 필요하겠지만, 주어와 동사만 파악해도 대충의 내용은 알 수 있습니다.




3. 영어의 기본, 주어 동사 찾기


영어 학습의 기본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짧은 문장만 접할 생각이라면 굳이 ‘주어와 동사’를 찾아가며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길고 수준 높은 내용이 담긴 글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문장 구조가 복잡합니다. 이럴 때 독해의 나침반은 결국 ‘주어와 동사’를 정확하게 찾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어와 동사를 어떻게 공부할까요? 

다음 질문을 봅시다.


Q.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요소가 무엇일까요?

A. 동사입니다.


영어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답하고, 이것은 실제로 정답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교재는 동사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며 ‘해석할 때는 동사를 먼저 찾아라’라는 말까지 등장합니다.




4. 주어부터 찾으세요.


하지만 EX 2)의 문장에서 동사를 먼저 찾아봅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식에 익숙한 우리의 눈은 자연스럽게 첫 단어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어떤 사람도 문장중간부터 읽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당연한 사실을 무시하고 동사부터 찾는 것은 ‘수레를 말 앞에 놓는 것입니다.' 아무리 급해도 그렇지 수레가 말을 끌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강의는 영어의 자연스러운 어순에 맞추어서, 주어에 대한 학습으로 시작합니다. 




to be continued in part 3



주어와 동사 찾기, 이제 조금 쉬워졌죠? ^^



분사의 역할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이번 시간에는 분사(participle)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1. 분사의 역할


분사는 동사의 변형이므로 기본적으로 동사의 성격을 가집니다. 그리고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분사는 동사의 역할을 하면서, 반드시 문장 안에서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만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동사역할, 형용사 역할


The Dark Knight DRIVING Bat mobile disappeared into the dark night.

(Dark Knight은 Bat Mobile를 운전하면서 사라졌다/ 어두운 밤 속으로.


(1) 동사역할

    Dark Knight은 무엇을 운전하고 있습니까? Bat Mobile입니다.

위 문장에서 현재분사 driving은 동사의 역할을 합니다. ‘Bat mobile'을 목적어로 취하기 때문입니다.


(2) 형용사 역할

Bat Mobile을 운전하는 것은 누구입니까? Dark Knight입니다.

재분사 driving은 Dark Knight'라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형용사 역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2. 분사의 종류


분사에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있습니다.

현재분사는 '동사원형 + ing', 과거분사는 주로 동사에 -ed나 -en을 붙여서 만듭니다.




3.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의미


현재분사는 의미상의 주어가 행위를 하는 능동의 의미를, 과거분사는 의미상의 주어가 행위를 당하는 수동의 의미를 갖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현재분사


1. Look at the dancing girl.

   (보아라/ 저 춤추는 소녀를)


2. He was laughing loudly.

   (그는 웃고 있었다/ 크게)


1번에서 춤추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소녀(girl)입니다. 소녀는 춤을 추고 있으므로 능동입니다. 그래서 현재분사 dancing을 썼습니다.


2번에서 춤추고 웃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He)입니다. 그는 웃고 있으므로 능동입니다. 그래서 현재분사 laughing을 썼습니다.




과거분사


1. Look at the excited audiences by her dancing.

   (보아라/ 흥분된 관중들을/ 그녀의 춤에 의해서)


2. They were surprised by his loud laugh)

   (그들은 놀라게 되었다/ 그의 큰 웃음에 의해서)


1번에서 군중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군중들은 흥분되었습니다. 춤에 의해서 흥분되었으므로 수동입니다. 그래서 과거분사 excited를 썼습니다.


2번에서 그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그들은 놀라게 되었습니다. 그의 큰 웃음에 의해서 놀라게 되었으므로 수동입니다. 그래서 과거분사 surprised를 썼습니다.


.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

2. 현재분사는 능동,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가진다.


Thanks!




3형식 동사 (주의할 타동사)




목적어의 해석 (1)


3형식 타동사들은 목적어를 취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목적어는 우리말로 누구를(whom), 무엇을(what)이라고 해석합니다. 즉, 우리 말의 목적격 조사 '~을/~를'을 붙여서 해석하게 됩니다.


상당히 많은 영어의 타동사들은 우리말과 같이 목적어에 '~을/~를'을 붙여서 해석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like you.

   (나는 너를 좋아한다)


2. I like ice-cream.

   (나는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






목적어의 해석 (2)


그렇지만 또 상당히 많은 타동사들은 목적어에 우리말의 목적격 조사 '~을/~를'이 붙지 않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3. You should obey your wife.

   (당신은 복종해야 한다/ 당신의 아내에게)


3번에서 obey는 '~에 복종하다'이며 wife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그렇지만 목적어 wife는 우리 말로 옮길 때 '~을/~를'을 붙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타동사들은 우리들에게 상당히 어려운 것들이니 잘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은 이렇게 주의해야할 3형식 타동사들과 그 예문들입니다.


주의해야할 3형식 타동사들


(address, answer, attend, contact, cost, enter, inhabit, obey, survive)


이 동사들은 타동사이므로 다음에 전치사가 올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을/ ~를'을 붙여서 해석하지 않습니다. 




address, answer, attend


1. address :  ~에게 연설하다

ex) The candidate addressed a group of supporters.

    (그 후보는 연설했/ 지지자 그룹에게)


2. answer :  ~에 답하다

ex) I answered the question correctly.

    (나는 질문에 대답했다/ 올바르게)


3. attend :  ~에 참석하다

ex) Only one man attended his funeral.

    (오직 한 사람만이 참석했다/ 그의 장례식에)




contact, cost, enter


4. contact :  ~과 접촉하다

ex) If you need any help, contact me any time.

    (만약 도움이 필요하면, 나와 접촉해라/ 언제든)


5. cost :  비용이 들게하다

ex) The divorce cost him everything.

    (이혼은 그에게 들게 했다/ 모든 것을)

    (속뜻: 그는 이혼으로 모든 것을 잃었다)


6. enter :  들어가다

ex) I entered the college in 1989.

    (나는 대학에 들어갔다/ 1989년에)




inhabit, obey, survive


7. inhabit :  ~에 살다, 거주하다

ex) Most people like to inhabit the big cities.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는 것을 좋아한다/ 큰 도시에)


8. obey :  ~에 복종하다

ex) We should obey our conscience.

    (우리는 복종해야 한다/ 우리의 양심에)


9. survive :  ~에 살아남다, 더 오래 살다

ex) She survived the tsunami.

    (그녀는 살아남았다/ 쓰나미에)

ex) She survived her husband.

    (그녀는 더 오래 살았다/ 그녀 남편보다)




그럼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7) 2013.05.21
현재분사 과거분사 구별  (2) 2013.05.21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5) 2013.05.18
목적어 (object)  (6) 2013.05.16
주어 (subject)  (2) 2013.05.16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오늘 공부할 타동사들입니다.

(attend, believe, enter, reach, leave)


타동사들은 자동사로 쓰여서

1. 다음에 전치사가 올 수 있고, 

2, 의미가 달라집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1. 

 attend

 (타동사)

 참석하다

 

 attend to

 (자동사)

 ~에 주의하다

 2.

 believe

 (타동사)

 믿다

 

 believe in

 (자동사)

 ~의 존재를 믿다

 3. 

 enter

 (타동사)

 (구체적인 장소에) 들어가다

 

 enter into

 (자동사)

 (추상적인 것을) 시작하다

 4.

 leave

 (타동사)

 (남겨두고) 떠나다

  leave for

 (자동사)

 ~을 향해 떠나다
  leave from  (자동사) ~으로부터 떠나다
 5. reach (타동사) ~에 도착하다, 도달하다
  reach for (자동사)

 (~을 향해) 손을 뻗다


  

각 동사별 예문을 보겠습니다.


attend


1. attend  (타동사)  참석하다

   I attended the lecture.

   (나는 그 강연에 참석했다)


1-1. attend (자동사) 주의를 기울이다

   I attended to the lecture.

   (나는 그 강연에 주의를 기울였다)



believe


2. believe  (타동사)  ~을 믿다

   I believe you.

   (나는 너를 믿는다


2-1. believe in  (자동사)  ~의 존재를 믿다

   I believe in ghosts.

   (나는 유령의 존재를 믿는다)




enter


3-1 enter  (타동사)  (구체적인 장소에) 들어가다

     I entered the college.

     (나는 대학에 들어갔)


3-2 enter into  (자동사)  (추상적인 것을) 시작하다

    I entered into the college life.

    (나는 대학생활을 시작했다)




leave


4-1. leave   (타동사)  떠나다

    She left me.

    (그녀는 나를 떠났다)


4-2. leave from  (자동사)  ~으로부터 떠나다

    She left from me.

    (그녀는 나로부터 떠났다)


4-3.  leave for  (자동사)  ~을 향해 떠나다

    She left for another guy.

    (그녀는 떠나버렸다/ 다른 남자에게로)





See you later!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분사 과거분사 구별  (2) 2013.05.21
3형식 동사 (주의할 타동사)  (10) 2013.05.20
목적어 (object)  (6) 2013.05.16
주어 (subject)  (2) 2013.05.16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목적어 (object) 




이번 시간에는 목적어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목적어의 정의

2. 목적어의 종류

3. 목적어의 확장



1. 정의


영어에서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를 받는 대상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threw the book.

   (나는 책을 던졌다)


2. I hit him.

   (나는 그를 때렸다)


1번에서 book은 '던지다(threw)'라는 행위의 대상이므로 목적어입니다.

2번에서 him은 ‘때리다(hit)'라는 행위의 대상이므로 목적어입니다. 특히 2번과 같이 인칭대명사가 목적어 자리에 올 경우에는 반드시 목적격을 써 주어야 합니다.




2. 종류


목적어에는 직접 목적어 (Direct Object)와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가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threw the book.

2. I hit him.

3. I gave him the book.

   (나는 그에게 주었다/ 책을)


1,2번에서 (the book, him)은 직접목적어입니다. 

그렇지만 3번에서 gave(주다)라는 동사는 직접목적어(the book)을 받는 사람이 필용합니다. 여기서 목적어를 받는 사람(recipient)을 간접목적어라고 합니다.


3형식 동사는 1,2번과 같이 직접목적어만 있으면 문장이 성립하므로 ‘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3. 확장


영어에서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나 명사상당어구 등입니다.

1. 명사(구)

2. 대명사

3. to 부정사

4. 동명사

5. 명사절(that절, 의문사(wh-)절, if절, whether절)




각 유형별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r face showed embarrassment.

 기본형 명사 목적어

 2. Her face showed it. (it = embarrassment)

 (대명사)

 3. Her face showed to be embarrassed.

 (to 부정사)

 4. Her face showed being embarrassed. 

 (동명사)

 5. Her face showed that she was embarrassed.

 (that절)

 6. Her face showed how much she was embarrassed.

 (의문사절)

 7. Her face showed whether she was embarrassed or not. 

 (whether 절)




 확장


1-5. 그녀의 얼굴은 당혹감을 보여주었다.

6. 그녀의 얼굴은 보여주었다/ 그녀가 얼마나 당혹했는지를

7. 그녀의 얼굴을 보여주었다/ 그녀가 당혹했는지 아닌지를.


위에서 보는 것처럼 목적어를 바꿈으로서 비슷한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어야 살아있는 문법이 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주어(SUBJECT) 






주어가 될 수 있는 말들


영어 독해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어의 주어들은 다음과 같은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명사(구)

(2) 대명사

(3) To 부정사

(4) 동명사

(5) 명사절




주어 찾기의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 학습자들은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는데 빈번하게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명사나 대명사는 다 알지만 문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문법 지식의 암기만으로 그친다.

둘째, 단순한 문장을 통해서 익힌다.




수준 높은 문장을 다룹시다.


(1) I love you.

이런 문장을 이용하여 주어 동사를 찾는 것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끝나야 합니다. 여러분, 이렇게 간단한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았다고 자랑할 수 있습니까?


영어를 잘하려면 다음과 같은 수준높은(?) 문장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이렇게 수준 높은 문장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만 ‘문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영어가 됩니다.  우리의 목표입니다.




이 강좌 이름은 THE SUBJECT입니다. 

다음시간부터 본격적으로 주어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겠습니다.


이어지는 강의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5) 2013.05.18
목적어 (object)  (6) 2013.05.16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2) 2013.05.11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이번 시간에는 주의할 타동사들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같은 그룹에 속하는 내용이지만 시간 관계상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part 1  자동사의 타동사화

part 2  주의할 타동사들


part 3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part 4   헷갈리는 동사들




1. 자동사의 타동사화


영어에서 자동사는 자주 타동사로 사용됩니다.


우선 간단한 영작을 해 봅시다.

‘나는 그와 논쟁을 해서 그가 그것을 하도록 했다.’


아마 대부분 다음과 같은 영작이 나올 겁니다.

1. I argued with him and made him do that.


흠잡을데 없는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영어식 사고와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살짝 고쳐보겠습니다.

2. I argued him into doing that.


같은 의미지만 훨씬 간결해졌습니다. argue라는 자동사를 타동사로 사용해서 보다 영어다운 문장이 되었습니다. 




그럼 조금 더 예문을 보면서 ‘영어의 맛’을 느껴봅시다.


argue, get up


1. argue : 자동사  논쟁하다

             타동사  논쟁해서 ~하도록 하다


자동사  I hate to argue with him.

          (나는 그와 논쟁하는 것이 싫어)

타동사  It's impossible to argue him out of his decision.

          (그것은 불가능해/ 그와 논쟁해서 결정을 못하게 하는 것은)



2. get up : 자동사  일어나다

              타동사  일으키다


자동사  You should get up yourself.

          (스스로 일어나)

타동사  Or, I'll get you up.

          (아님, 내가 일으켜 세운다.)




involve, overwork


3. involve : 자동사   참여하다

               타동사  참여시키다


자동사  I don't like to involve in their argument.

          (나는 관여하기 싫어/ 그들의 언쟁에0

타동사  Don't involve me in their quarrel.

          (날 관여시키지 마/ 그들의 말 싸움에)



4. overwork : 자동사  과로하다

                 타동사  과로시키다, 과로하게 하다


자동사  Don't overwork.

          (과로하지 마라)

타동사  Overworking yourself doesn't work.

          (널 혹사시키는 것은 효과가 없다)




run, walk


5. run : 자동사  달리다

          타동사  달리게 하다


자동사  My pet dog runs beside me.

          (내 애완견은 달린다/ 나와 함께)

타동사  I like to run him with me.

          (나는 그를 뛰게하는 것을 좋아한다/ 나와 함께)



6. walk : 자동사  걷다

           타동사  걷게하다


자동사  She walked home alone.

          (그녀는 집으로 걸어갔다/ 혼자서)

타동사  She didn't like me to walk her home.

          (그녀는 좋아하지 않았다/ 내가 그녀를 집에 바래다 주는 것을)




water


7. water : 자동사  물이 흐르다

             타동사  물을 주다


자동사  Why does my eyes water?

          (왜 내 눈에서 눈물이 흐르지?)

타동사  Her thought waters my eyes.

          (그녀 생각이 눈물나게 한다)




아주 유용한 표현들이니 예문을 잘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적어 (object)  (6) 2013.05.16
주어 (subject)  (2) 2013.05.16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2) 2013.05.11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이번시간부터 4 시간에 걸쳐 3형식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첫 번째 3형식 동사부터 공부하겠습니다.


3형식 동사는 타동사


3형식 동사는 기본적으로 타동사입니다. 타동사는 자동사와는 달리 주어의 행위가 다른 대상(목적어)에게 전달됩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1) I slept.

    (나는 잤다)

(2) I hit him.

    (나는 그를 때렸다)


1번에서 slept라는 동사의 행위는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동사입니다.

2번에서 hit라는 행위는 그(him)에게 전해집니다. 그래서 hit는 타동사가 됩니다.




2. 완전타동사, 불완전 타동사


그리고 3형식에 쓰이는 타동사를 특히 ‘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완전 타동사란 무엇일까요?


예문을 봅시다.


3.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이들에게 지어줬다/ 작은 정원을)


4. The boys elected him captain.

   (소년들이 그를 선출했다/ 주장으로)




예문 설명


3번에서 동사 built는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를 받는 간접목적어(my children)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4번에서 동사 elect는 목적어 him을 설명하는 목적보어 captain을 추가로 필요합니다.


이렇게 목적어외에 간접목적어나 목적보어가 필요한 타동사를 불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I hit him'에서 hit는 직접목적어만 있으면 문장이 성립합니다. 그래서 hit와 같은 3형식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3형식 동사는 완전타동사이다.

 

꼭 기억하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 (subject)  (2) 2013.05.16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4형식 수동태



수동태 총정리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4형식 수동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원칙적으로 4형식 문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수동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1. 간접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

2. 직접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




1. 수여동사 award


(1) 능동태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했다/ 금메달을)


(2) 간접 목적어 수동태

    My son was award a gold medal by teachers.        (O)

    (내 아들에게 금메달이 수여 되었다/ 선생님들에 의해서)


(3) 직접 목적어 수동태

    A gold medal was awarded to my son by teachers. (O)

   (금메달이 내 아들에게 주어졌다/ 선생님들에 의해서)


위에서 보는 것처럼 award는 2,3과 같이 두 개의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둘 다 의미가 통하는 문장들입니다.




그렇지만 다음은 어떨까요?


2. 수여동사 build


(1) 능동태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이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2) 간접 목적어 수동태

    My children were built a small garden by me.    (x)

    (내 아이들은 만들어 졌다/ 작은 정원이/ 나에 의해서)


(3) 직접 목적어 수동태

    A small garden was built for my children by me. (O)

    (작은 정원이 만들어 졌다/ 내 아이들을 위해서/ 나에 의해)


보시면 알겠지만 (2)번, 즉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는 말이 안됩니다. 내 아들이 만들어질수는 없으니까요.




외우지 마세요!


이렇게 4형식 동사들에서는 간접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동사들은 따로 외워야 할까요? 


전혀 그럴 필요없습니다. 

시험에도 잘 안나옵니다. 


그리고 해석만 하면 ‘상식적’으로 판할 수 있습니다.




하나만 더 볼까요?


3. 수여동사 cook


(1) 능동태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에게 라면을 요리해 주었다)


(2) 간접목적어 수동태

    I was cooked ramen by me. (x)

    (내가 요리되다?)


(3) 직접목적어 수동태

    Ramen was cooked for me by my wife.

    (라면이 요리되었다/ 나를 위해서) (O)


2번은 말이 안 됩니다. 내가 요리될 수는 없으니까요.




이렇게 해석만 하면 알 수 있습니다. 

외우려고 하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2) 2013.05.11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진행형  (3) 2013.05.05

과거완료 진행형 





이번 시간에는 과거 완료 진행형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정리


1. 과거 완료와 마찬가지로 과거 이전에 발생했던 일을 나타냅니다.

2. 그리고 과거 이전에 발생했던 동작이 과거까지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예문


1. When she stopped crying, she had been crying for 3 hours.

   (울음을 멈추었을 때, 그녀는 3 시간째 울고 있었다)


2. I took a rest because I had been working for 10 hours.

   (나는 휴식을 취했다/ 왜냐하면 열 시간 동안 일했기 때문이다.)


3. I took a rest because I had been working since 9 A.M.

  (나는 휴식을 취했다/ 왜냐하면 9 시 이후로 계속 일했기 때문이다.)




예문 설명


1번에서,

운 것이 멈춘 것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멈춘 것이 과거이므로 운것은 과거 이전, 과거 완료가 됩니다. 그런데 동작의 계속이므로 과거 완료 진행형을 썼습니다.


2번에서,

일한 것이 휴식을 취한 것보다 먼저 발생했습니다. 휴식을 취한 것이 과거이므로 일한 것은 과거 이전, 과거 완료가 됩니다. 동작의 계속이므로 과거 완료 진행형을 썼습니다. 그리고 일정기간 (3시간 동안) 계속되는 사건이기 때문에 for를 썼습니다.


3번에서,

3번도 2번과 마찬가지 이유에서 과거 완료 진행형입니다. 단지 특정한 시점 (9 A.M.)이 왔기 때문에 since를 쓴 것이 다릅니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과거 완료 진행형은 과거 이전에 발생했던 동작이 과거까지 계속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잘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2) 2013.05.11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진행형  (3) 2013.05.05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4형식 3형식 전환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고쳐보겠습니다.

각 전치사 그룹별로 보겠습니다.


(4형식 문장 해석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핵심정리 125)



1. to group (to whom 그룹)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to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뒤로 돌리는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to를 써 줍니다.




to group 예문 (1-3)


(1) award

 4형식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3형식  Teachers awarded a gold medal to my son.
    (선생님들이 금메달을 수여했다/ 내 아들에게)


(2) deny

 4형식  I can't deny my daughter anything.
 3형식

 I can't deny anything to my daughter.

    (나는 어떤 것도 거부할 수 없다/ 내 딸에게)


(3) feed

 4형식  We fed our children milk in bottle.
 3형식  We fed milk in bottle to our children.
 

  (우리는 우유를 먹였다/ 우리 애들에게)




to group 예문 (4-5)


(4) owe

 4형식  I owe my wife many things.
 3형식  I owe many things to my wife.
 

  (나는 많은 신세를 지고 있다/ 내 아내에게)


(5) throw

 4형식  My son threw his sister a pillow.
 3형식  My son threw a pillow to his sister.
 

  (내 아들은 베개를 던졌다/ 동생에게)




2. for group (for whom 그룹)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for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뒤로 돌리는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for를 써 줍니다.




for group 예문 (1-3)


(1) build  A B (A를 위해 B를 지어주다)

 4형식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3형식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childre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어 주었다/ 내 아이들에게)


(2) cook A B (A를 위해 B를 요리해 주다)

 4형식  My wife cooked me ramen.
 3형식  My wife cooked ramen for me.
 

  (내 아내는 라면을 요리해 주었다/ 나를 위해)


(3) design A B (A를 위해 B를 디자인하다)

 4형식  I designed my daughter a toy house.
 3형식  I designed a toy house for my daughter.
 

  (나는 장난감 집을 만들어 주었다/ 내 딸에게)




for group 예문 (4-5)


(4) find A B (A를 위해 B를 찾아주다)

 4형식  My son found his sister a missing doll.
 3형식  My son found a missing doll for his sister.
 

  (내 아들은 잃어버렸던 인형을 찾아주었다/ 동생을 위해)


(5) save A B (A를 B에서 구해주다)

 4형식  I save my wife the trouble by cleaning.
 3형식  I save the trouble for my wife by cleaning.
 

  (나는 아내의 수고를 덜어준다/ 청소함에 의해서)




3.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등


of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쓰는 경우입니다. 

(주의할 것은 ask를 제외하고는 3형식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of group 예문


(1) ask A B (A에게 B를 묻다, 요청하다)

 4형식  My son asked me a favor.
 3형식  My son asked a favor of me.
 

  (내 아들이 내게 부탁을 했다)



(2) beg A B (A에게 B를 부탁하다)

 4형식

 My son and I begged my wife mercy.

 3형식  My son and I begged mercy of my wife.
 

  (나와 내 아들은 자비를 구했다/ 내 아내의)




4.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4형식으로만 사용됩니다. 전치사를 써서 3형식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4번(no group) 그룹에 대한 예문은 핵심정리 125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4형식 문장전환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중요한 내용입니다. 화이팅!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과거진행형  (3) 2013.05.05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과거 진행형




이번 시간에는 과거 진행형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의미


과거 진행형에서 기억해 두셔야 할 것입니다.

과거 진행형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진행중이었던 동작을 나타낸다.




예문


1. I was jogging at 3 this afternoon.

   (나는 조깅하고 있었다/ 오늘 오후 3시에)


2. I was babysitting my daughter last weekend.

   (나는 내 딸을 돌보고 있었다/ 지난 주말에)


3. I was having breakfast when you called.

   (나는 아침을 먹고 있었다/ 너가 전화했을 때)




설명


1,2,3번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이나 기간에 진행중인 사건을 나타냅니다.


1번은 오늘 오후 세 시라는 특정한 순간에 진행중인 사건입니다. 세 시에 나는 조깅하고 있었습니다.

2번은 지난 주말이라는 특정한 기간에 진행중인 사건입니다. 지난 주말에 나는 ‘딸을 돌보고 있었습니다.’

3번은 ‘너가 전화 했을 때’ 진행중인 사건입니다. 너가 전화했을 때 ‘나는 아침을 먹고 있었습니다.’



이렇듯 과거 진행형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진행중이었던 사건을 나타냅니다.




Thanks for watching and reading.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과거 시제 (simple past)




이번 시간에는 과거 시제(simple past)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서 과거 시제는 보통 동사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그리고 과거 시제는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들 -ago, yesterday, last night, then- 등과 함께 쓰입니다.


과거 시제에서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과거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2. 과거는 단순 과거시제로 표현한다.



1. 과거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was born in 1990.

   (나는 태어났다/ 1990년에)

2. I studied at Korea University for 5 years.

   (나는 고려대학교에서 공부했다/ 5년 동안)

3. I used to make short films at University.

   (나는 단편 영화를 만들었었다/ 대학에서) (지금은 안 만든다)


1번은 과거의 한 시점(1990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2번은 과거의 일정한 기간(5년)에 걸쳐 발생한 사건입니다.

3번은 과거에 습관적으로 발생했던 사건입니다.




과거시제 의미


여기서 보듯이 과거 시제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것은 바로,

과거는 이미 끝나 버린 사건, 즉 현재에는 계속되지 않는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과거는 현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2. 과거는 과거이다.


역시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My father passed in 1990.

    (내 아버지는 돌아 가셨다/ 1990년에)

(2) Newton deceased in 1727.

    (뉴튼은 사망했다/ 1727년에)

(3) Dinosaurs disappeared quarter billion years ago.

    (공룡들은 사라졌다/ 2억 5천년 전에)


1,2,3 번은 발생한 시기가 다릅니다. 그러나 전부 단순 과거로 써야 하며 과거 완료를 써서는 안됩니다. 1분 전이던, 1년 전이던, 1만년 전이던 과거는 단순 과거로 표시합니다.


당연히 역사적 사실도 과거완료가 아닌 과거로 표시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활용도가 높습니다.

 

꼭 기억하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진행형  (3)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현재 진행형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현재와 현재진형의 차이

2. 일시적으로 진행중인 동작

3. 가벼운 비난 (negative comment)

4. 미래 대용

5. 진행형 불가동사


현재 진행형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의 현재형 (am, are, is) + 동사원형 ~ing 

   


1. 현재형과 현재 진행형의 의미 차이


예문을 먼저 보겠습니다.

(1) I watch TV.

    (나는 TV를 본다)

(2) I am watching TV.

    (나는 TV를 보고 있는 중이다)



(1) 번과 같이 현재형을 쓰면, 습관적이고 지속적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뉘앙스를 가집니다.

    I watch TV.

  I like to watch TV.

   (나는 TV보는 것을 좋아해)


(2) 번과 같이 현재 진행형을 쓰면 지금 이 순간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A: What are you doing now?

   (지금 뭐하고 있니?)

B: I am watching TV.

   (TV 보고 있어)


위에서 보듯이, 현재형은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을, 현재 진행형은 지금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2. 일시적인 기간 동안 진행중인 동작


예문을 봅시다.


(1) He acts rudely.

    (그는 무례하게 행동한다)

(2) He is acting rudely these days.

    (그는 무례하게 행동한다/ 요즘에)


(1)번 현재형은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입니다.

   He acts rudely.

⇒ 그는 (평소에) 행동이 무례합니다.


(2)번 현재 진행형은 일시적인 동작입니다.

   He is acting rudely these days.

⇒ 그는 요즘에 무례하게 행동합니다.

(속뜻: 그는 이전에는 무례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무례한 행동이 오래 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현재형은 역시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을 의미하고, 진행형은 일시적인 동작을 의미합니다.




3.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


예문을 봅시다


(1) You are always watching TV.

    (너는 항상 TV만 봐)

(2) My son is spending much time on computer games.

    (내 아들은 많은 시간을 쓴다/ 컴퓨터 게임에)


(1) (always) 같은 말과 함께 쓰면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을 표현합니다.

    You are always watching TV.

   ‘넌 항상 TV만 보는 구나(좀 심하지 않니?)’라는 의미입니다.


(2) (always)같은 말이 없어도 진행형은 (가벼운) 비난을 의미합니다.

    My son is spending much time on computer games.

   ‘내 아들이 많은 시간을 컴퓨터 오락에 쓰고 있어 못 마땅하다’는 뉘앙스입니다.


이렇게 현재 진행형은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4. 미래표현


상황을 설정해 보았습니다.


‘아들이 숙제해야 하는데 computer game만 하고 있습니다. 보다 못한 엄마가 한 소리 합니다.’


Mom: You are supposed to do your homework.

        (너, 숙제해야 되지 않니?)

Son: I am doing my homework.

      (곧 할께요)


사실 지금 숙제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가까운 미래에 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현재 진행형을 썼습니다.




미래표현 추가 예문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기장: All passengers. Fasten your seat belt, please.

       (승객 여러분. 안전 벨트를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plane is taking off soon.

       (비행기가 지금 이륙할 예정입니다)


비행기 이륙은 공식적인 시간표에 맞추어 행해집니다. 

이렇게 확실한 미래는 현재진행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5. 진행형 불가동사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은 진행형을 쓸 수 없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know the answer.

    (나는 답을 안다)

(2) I am knowing the answer.  (x)

    (나는 답을 아는 중이다?)


(1),(2)번은 의미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진행형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진행형을 쓸 수 없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진행형 불가동사 (존재, 상태, 소유 동사) (1분정리 008)

 진행형 불가 동사 (어법 004)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진행형  (3) 2013.05.05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현재 시제 (present tense)




이번 시간에는 현재 시제(단순 현재시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현재시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현재 시제의 의미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3.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1. 의미


현재 시제는 당연히 현재의 사건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반드시 알아 두셔야 할 것은,


“현재 시제는 지속적인 사건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예문 1


1. I watch TV. (현재)

   (나는 TV를 본다)


1번 문장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1) I (usually) watch TV at free time.

      (나는 ‘대개’ TV를 본다/ 한가한 시간에는)

(1-2) I am watching TV now.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1번 ‘I watch TV'라는 문장은 위에서 보는 것처럼 (1-1)습관이나  (1-2) 순간 진행중인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없이 현재형을 쓰게되면 지속적인 동작인지, 순간적인 동작인지 헷갈리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단순 현재시제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현재의 사건’을 나타낸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예문 2-3



2. I don't drink. (나는 술 안 마셔)

3. I teach.        (나는 가르친다)


현재형이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을 의미하므로,

2번은 ‘나는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이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3번은 ‘직업이 가르치는 사람이다’라는 의미입니다.




현재형과 빈도(횟수) 부사


보통 현재형은 다음과 같이 빈도(횟수)부사와 같이 사용됩니다.


4. I never drink

   (나는 절대 술을 마시지 않는다.)

5. I frequently log on my blog.

   (나는 자주 접속한다/ 내 블로그에)

6. I always listen to my wife.

   (나는 항상 내 아내 말을 잘 듣는다)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현재 시제가 변하지 않고 지속되는 사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표현들은 ‘항상 현재형’으로 표현합니다.


1. 현재의 습관적인 동작

2. 불변의 진리

3. 속담, 격언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예문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usually prepare breakfast.         (습관적인 동작)

   (내가 보통 아침을 요리한다)

2.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불변의 진리)

   (지구가 태양을 돈다)

3. The steady wins the race.

   (꾸준한 사람이 경주에서 이긴다)   (속담이나 격언)


1번은 

반복적인 동작입니다.

지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2번은 

불변의 진리입니다.

과거에도 지구는 태양을 돌았고 현재에도 돌고, 미래에도 돌 것입니다. 언제나 변하지 않은 사건이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3번도 마찬가지입니다.

격언이라는 것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변함없이 통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현재형을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을 씁니다. 



시간 조건의 부사절 예문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과제를 다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2.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hiking.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하이킹 갈 것이다)


1번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의 일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는 미래 조동사 will을 썼습니다. 그렇지만 when절이 시간을 나타내고, play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절입니다. 시간 부사절이므로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2번은 역시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주절에는 ‘will g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if절이 조건을 나타내고, 동사 go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조건 부사절이므로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시간, 조건절에 대한 추가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1분 정리 002)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어법 002)



의미차이 없으면 간단하게...


이렇게 규칙을 만들어 놓으니 어렵게 보입니다.


실제로 시간, 조건절에 will을 한 번 써 봅시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1-1) When I will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내 일을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두 문장은 의미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의미 차이가 없는데 굳이 복잡한 표현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규칙은 단지 더 수월하게(?) 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 뿐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현재시제는 변하지 않는, 지속적인 사건이다.

2. 현재의 반복적인 동작, 불변의 진리, 격언등은 항상 현재형을 쓴다.

3.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형이 미래를 대신한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4형식 예문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1. to group


 to group  (to whom 그룹)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to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to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간접 목적어에게’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to group 예문


예문은 5개만 들겠습니다.


(1) award A B (A에게 B를 수여하다)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해했다/ 금메달을)


(2) deny A B (A에게 B를 거부하다)

    I can't deny my daughter anything.

    (나는 내 딸에게 거부할 수 없다/ 어떤 것도)


(3) feed A B (A에게 B를 먹이다)

    We fed our children milk in bottle.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먹였다/ 병에 든 우유를)


(4) owe A B (A에게 B를 빚지다)

    I owe my wife many things.

    (나는 내 아내에게 빚지고 있다/ 많은 것을)


(5) throw A B(A에게 B를 던지다)

    My son threw his sister a pillow.

    (아들이 동생에게 던졌다/ 베개를)




2. for group 


 for group  (for whom 그룹)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for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for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간접 목적어를 위해’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2. for group 예문


예문은 다섯 개만 들겠습니다.


(1) build A B (A를 위해 B를 짓다)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아이들에게 만들어 줬다/ 작은 정원을)


(2) cook A B (A를 위해 B를 요리해 주다)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를 위해 요리해 주었다/ 라면을)


(3) design A B(A를 위해 B를 디자인하다)

    I designed my daughter a toy house.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4) find A B (A를 위해 B를 찾아주다)

    My son found his sister a missing doll.

    (내 아들은 여동생에게 찾아 주었다/ 잃어버렸던 인형을)


(5) save A B (A를 B에서 구해주다)

    I save my wife the trouble by cleaning.

    (나는 내 아내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청소함으로써)




3. of group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등


of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쓰는 경우입니다. ‘간접목적어의’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합니다.


주의할 것은 ask를 제외하고는 3형식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of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sk A B (A에게 B를 묻다, 요청하다)

    My son asked me a favor.

    (내 아들이 나에게 부탁을 했다)


(2) beg A B (A에게 B를 부탁하다)

    My son and I begged my wife mercy.

    (아들과 나는 아내에게 자비를 부탁했다)




4 no group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4형식으로만 사용됩니다. 전치사를 써서 3형식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no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llow A B (A에게 B를 허용하다)

    My wife allows me one drink a day.

    (내 아내는 내게 하루 한 잔을 허용한다)


(2) bet A B (A에게 B를 걸다)

    Don't bet your children everything.

    (당신의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걸지 마라)


(3) charge A B (A에게 B를 청구하다)

    I can't charge my wife anything.

    (나는 내 아내에게 어떤 것도 청구할 수 없다)


(4) cost A B (A에게 B를 들게하다)

    The new smart phone cost me much.

    (새 스마트폰은 나에게 많은 돈이 들게 했다)


(5) spare (A에게 B를 덜어주다)

    My son spares me house chore.

    (내 아들은 내 집안일을 덜어준다)


(6) wish (A에게 B를 바라다)

    I wish you good luck.

    (나는 너에게 행운을 바란다)




이상으로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4형식을 쓸까? 3형식을 쓸까?




이번 시간부터 4형식을 3형식으로 바꾸는 것을 세 시간에 걸쳐 설명하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4형식을 쓸까? 3형식을 쓸까?

2. 4형식 예문들

3. 4형식을 3형식으로


첫 번째부터 공부해 보겠습니다.


간결함의 원칙


4형식을 3형식으로 바꾼다...

의식하지 않고 쓰는 말이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영어 네이티브들이 4형식 문장을 말한 다음, 그것을 다시 3형식으로 바꾸지는 않을 겁니다. 4형식이 필요할 때는 4형식으로, 3형식이 필요할 때는 3형식으로 말할 뿐입니다.


문장 선택 기준은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간결함’입니다. 영어는 간결함을 선호하는 언어입니다. 그래서 길고 덩치 큰 말들은 일단 뒤로 보냅니다. 영어에 가주어 가목적어가 발달한 것도 이러한 경향을 보여 줍니다.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1. 4형식을 쓰는 경우


(1) I asked / my dad/ questions for gardening. (4형식)

    (나는 내 아빠에게 물어 보았다/ 정원가꾸기에 대한 질문을)

(2) I asked /questions for gardening/ of my dad. (3형식)

    (나는 정원 가꾸기 질문을 물어보았다/ 아빠에게)


(1)번은 4형식 문장입니다. (2)번은 직접목적어를 먼저 쓴 3형식 문장입니다.


어느 것이 더 나은 문장일까요?




소리내서 읽어봅시다


좋은 문장인지 판단하는 훌륭한 기준이 있습니다. 

소리내서 읽어보는 것’입니다.

소리내서 매끄럽게 읽히면 좋은 문장입니다.


(1)번은 이렇게 읽힙니다.

   I asked my dad/ ...... questions for gardening.

(2)번은 이렇게 읽힙니다.

   I asked questions for gardening/ ...... of my dad.


1번이 약간 더 읽기 편합니다. 그렇지만 직접목적어가 ‘가벼운(짧은)’ 경우에는 (1)(2)번에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어떨까요?


덩치큰 직접목적어


(3) My dad brought me seed /that he bought at the store.

    (아빠가 나에게 씨를 가져왔다/ 그가 가게에서 산)

(4) My dad brought seeds/ that he bought at the store/ to me.

    (아빠가 씨를 가져왔다/ 그가 가게에서 산/ 나에게) 


(3)번은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My dad brought me seeds/ ...... that he bought at the store.

(4)번은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My dad brought seeds/ ...... that he bought at the store/ ...... to me.


어떻습니까? 

3번이 훨씬 읽기 편합니다.




4형식을 쓰는 경우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직접목적어의 덩치가 크면(길면) 4형식으로 써라.’


직접목적어가 길 때는 뒤로 보내서 간결하게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렇지만 3형식으로만 써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직접목적어가 대명사


(5) I brought my son them.

(6) I brought them to my son

    (나는 그것들을 가져다 주었다/ 내 아들에게)


한 번 소리내어 읽어 봅시다.


(5)번은 어색합니다.

영어에서는 4형식에서 직접목적어로 대명사를 잘(거의) 쓰지 않습니다. 구글을 검색해 봐도 (5)번과 같은 형태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러므로 4형식에서는 직접목적어로 대명사는 잘 쓰지 않는다’라고 알아 두셔도 됩니다. 이 경우에는 (6)번과 같이 3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직접목적어가 길면 4형식을 쓴다.

(2) 4형식에서 직접목적어는 대명사를 쓰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3형식으로 쓴다)


그럼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4형식 문장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수여동사 (Dative Verbs)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1.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칭찬을)

 

이 문장에서 보듯이 give라는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my son)과 행위(a praise)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행위를 받는 사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한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수여동사들

 

1. to group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2. for group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write

 

 

3.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4.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주: hire는 4형식으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어느 분의 예리하신 지적덕분에 수정합니다.) (^ ^)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수여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고 해석됩니다.

 

 

간단한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4형식 문장 예문들

 

(1) I brought my son seeds.

    (나는 내 아들에게 가져다 주었다/ 씨앗을)

(2)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3) My son asked me questions for gardening.

    (내 아들은 나에게 물어봤다/ 몇 가지 질문을)

(4) The small garden cost my son a little effort.

    (그 작은 정원은 내 아들에게 들게했다/ 약간의 노력을)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이 4형식 문장들에서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my son, me' 가 행위를 받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으로 해석됩니다.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 ‘사물’입니다.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위 예문들에서 직접목적어는 표에서 각각, seeds, a small garden, some questions, a little effort가 됩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 말로 ‘~을, ~를‘로 해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위치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예문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1)번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 내 아들을 위해서)

 

 

 

 

이렇게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 전환은 핵심정리 124에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전환이 가능하게 많이 연습해 보세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