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가정과 조건)




if (만약 ~라면)


이번 시간부터는 가정법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가정법에 쓰이는 대표적인 말이 ‘if'입니다. 이 때 'if는 ’만약 ~라면‘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가정법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 시간에는 ‘만약 ~라면’의 ‘if’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정법을 힘들어하는 이유 중 대부분이 ‘if'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지 않아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if (만약 ~라면) ?


가정법이란 무엇일까요?

가정법의 시제와 형태가 무엇이던지, 가정법이 나타내는 것은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현이 ‘if(만약 ~라면)'인 것입니다. 그런데 'if(만약 ~라면)’이 사실의 반대만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먼저 ‘if(만약 ~라면)’에 대해 정리해봅시다.



if (만약 ~라면)

1. 조건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on a picnic.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소풍을 갈 것이다.)


2. 가정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만약 내가 새라면, 나는 당신에게 날아갈텐데.)



가정법이 어려운 것은 조건과 가정을 구별하지 않고 쓰기 때문입니다. 이 두 문장의 차이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조건과 가정


1. 조건

조건문장에서는 사실일 가능성, 즉 실현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내일 날씨가 좋을 수도 있으니까요. 이렇게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에 사용된 'if(만약 ~라면)‘을 ’조건의 if'라고 합니다. 그리고 내용상 미래라도 현재시제를 사용합니다.


2. 가정

가정문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극단적인 문장을 들었지만 원칙은 변함이 없습니다. 가정의 ‘if(만약 ~라면)’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2)번 문장의 경우, 죽었다 깨어나도 새가 될수는 없습니다. 사실의 반대죠. 그러므로 가정입니다.



일단 조건의 if와 가정의 if가 구별이 되면 가정법은 쉬워집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간단한 문제를 통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문제 적용



※ 다음 if가 가정인지 조건인지 판단하세요.

(1) If you go abroad, enjoy other foods. (조건, 가정)

    (해외에 간다면, 다른 음식을 즐겨라.)

(2) If you went to the dead world, you could see your forefathers. (조건, 가정)

   (당신이 저승에 간다면, 조상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1)번은 실현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조건입니다. (2)번은 실현 불가능하므로 가정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가정법은 점점 형식이 파괴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세하게 외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조건과 가정을 나타내는 ‘if(만약 ~라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음 시간부터는 각 가정법에 대한 개별항목을 ‘시제’ 중심으로 공부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4) 2013.03.06

조동사 have p.p




이번에는 조동사에서 자주 쓰이는 ‘조동사 have p.p'구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표현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1. 과거의 추측


첫 번째는 과거의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들입니다.


(1) 조동사 have p.p

    may(might) have p.p  과거의 불확실한 추측

    must have p.p          과거에 (상당히) 확실한 추측 

    cannot have p.p.       과거에 (상당히) 확실한 부정적 추측 





예문


   ※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1) Dinosaurs may have had brown skin.

    (공룡들은 갈색 피부를 가졌었을지도 모른다.)

(2) T-Rex must have been fearsome.

     (T-Rex는 무시무시했었음에 틀림없다.)

(3) He cannot have passed the test.

    (그가 시험을 통과했을 리가 없어.)





2. 가정법 과거완료


두 번째, ‘조동사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에 쓰이는 표현들입니다. 주의할 것은 ‘would have p.p, could have p.p만이 가정법 과거완료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이 표현들은 if없이도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의미는 '과거 사실의 반대’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would have p.p  (~이었을텐데, 안그랬다.)

    could have p.p   (~할 수 있었을 텐데, 못했다.)





예문


ex) If I had been a bird, I would (could) have flied to you.

   (내가 새였다면, 당신에게 날아갔었을텐데...)

보시다시피 가정법 과거완료는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사람이 새가 될수는 없으니까요.



'if'없이도 가정법 과거완료


그리고 could have p.p는 if절 없이도 ‘과거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ex)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안좋았을 수도 있었어.) (그만하기 다행이야.)

보시는 것처럼 더 안좋지는 않았습니다. 단지,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것이죠.


그리고 might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라기 보다는 ‘과거의 추측’으로 쓰입니다. ‘may have p.p'와 같은 말이죠. 그래서 가정법 과거완료로는 점점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





3. 과거에 대한 유감,후회 표현


(1) should(ought to) have p.p  ~했어야 했는데. (안했다)

    need not have p.p            ~필요가 없었는데. (해버렸다)




should have p.p. 


이것은 ‘~했어야 했는데 안했다’는 의미로서, 과거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를 표현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I should have listened to your doctor.

    (나는 의사의 말을 들었어야 했어.)

이것은 의사 말을 ‘안 들어서 후회된다’는 의미입니다.


 


need not have p.p


need not have p.p는 ‘~할 필요가 없었는데 해버렸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그다지 유감이나 후회가 들어있지는 않습니다. 간단한 예문을 볼까요?


ex) You need not have done that.

     (그렇게 하실 필요는 없었는데...)

이정도라고 알아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  (6) 2013.03.08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4) 2013.03.06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추측의 must







추측의 must 


이번 시간에는 추측에 사용되는 must를 보겠습니다.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에는 현재와 과거에 대한 추측이 있습니다.


현재의 추측

must be ~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추측

must have p.p ~이었음에 틀림없다.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는,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는 may와 비교됩니다. 추측의 may는 ‘보통 ~일지도 몰라’라고 해석됩니다. 그리고 must가 추측을 나타낼 때는 ‘have to'를 쓸 수 없습니다.





현재의 추측 표현들 (실현 가능성)


그럼 현재의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들을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She may be an idiot to like the gigolo. (불확실한 추측)  (50%)

    (그녀는 멍청이일지도 몰라/ 그런 제비를 좋아하다니.)  

2. She must be an idiot to love the gigolo. (상당히 확실한 추측)  (80%)

    (그녀는 멍청이 임에 틀림없어/ 그런 제비를 사랑하다니.

3. She will be an idiot to marry the gigolo.  (90%)

    (그녀는 정말 멍청일거야/ 그런 제비와 결혼한다면.)

4. She is an idiot to live with the gigolo.  (100%)

    (그녀는 멍청이야/ 제비와 살다니.)




실현가능성 (현재의 추측)


추측의 must를 정확히 표현하자면 ‘(상당히 확실한) 추측’이라고 해야 합니다. 이 표현들을 실현가능성을 기준으로 도식화 해봤습니다.


may be < must be < will be < is (현재형)




과거의 추측 표현들 (실현가능성 )


과거의 추측도 마찬가지입니다. 

역시 예문을 통해 보겠습니다.


1. I may have been an idiot to like the gigolo.  (50%)

   (나는 멍청이였을 지몰라/ 그런 제비를 좋아했다니.)

2. I must have been an idot to love the gigolo.  (80%)

   (나는 멍청이였음에 틀림없어/ 그런 제비를 사랑했다니.)

3. I was an idiot to live with the gigolo.  

   (나는 멍청이였어/ 그런 제비와 살았다니.)  (100%)




실현가능성 (과거의 추측)


'will'의 과거인 ‘would'가 추측에 쓰이지 않는다는 것만 빼고는 현재의 추측과 같습니다. 실현가능성 역시 같습니다.


may have been < must have been < was (과거형)




‘확실한 추측’ must는 ‘상당히 확실한’ 추측에 불과합니다. 

이것만 주의하시면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럼 추측을 나타내는 must에 대한 설명은 이만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4) 2013.03.06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need, dare 용법  (0) 2013.03.05

must





must의 두 가지 용법


이번 시간에는 must에 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must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의무 : ~해야 한다.

(2) 추측 : ~임에 틀림없다.




(1) (2)번을 같이 설명하면 혼동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의무를 나타내는 must


우선 의무를 나타내는 must를 봅시다. must가 의무를 나타낼 때는 ‘~해야 한다’로 해석합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have to'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단, 'have to'는 ‘~해야 한다’로만 쓰이고 추측을 나타내는 ‘~임에 틀림없다’로는 쓰일 수 없습니다.


    ~해야 한다.

ex)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해야 한다


must가 ‘~해야한다’는 의미일 경우는, must 하나만 보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문제는 영어에 ‘~해야 한다’라는 조동사들이 여럿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동사들은 화자의 감정(뉘앙스)을 표현하기 때문에, 잘못 쓰면 듣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 온지 얼마 안되는 영어권 native들은 한국식 'must' 남발에 적응을 못합니다. 우리는 별 뜻 없이 ‘권유’로 말한 것이지만, 외국인이 듣기에는 ‘강요’로 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해야 한다’라는 조동사를 강제성을 기준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should        <     must      < have to

(ought to)                         (have got to)




(1) should (ought to)


아무 때나 쓸 수 있는 안전한 표현입니다. should는 호의어린 조언입니다. 전혀 강제성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해야한다’를 쓸 때에는 'should‘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 must


‘~해야한다’이지만 상당히 강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상대방에게 ‘너 그것 안하면 안돼 임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A, B의 대화를 가정해 봅시다. B의 어머니가 쓰러지셔서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A가 아직, 이것을 모르고 있는 B에게, 이 사실을 전하며 하는 말입니다.


A: What are you doing here?

    Your mom was in hospital.

    You MUST go there now!


이 쯤 되는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must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must를 함부로 사용한다면? 상당히 오버하고 과장하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겁니다.




(3) have to(have got to)


have to와 have got to 역시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have got to는 'have to'와 같은 뜻입니다. 그저 ‘have got to'는 구어적 표현이라는 정도만 다릅니다. 단어가 합쳐져서 일까요? 강제성이 가장 강한 것이 ’have to'입니다. ‘have to'는 정말 안하면 안되는 상황입니다. 


말하는 사람이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것입니다.

상습적으로 늦게 출근하는 직원 B에게 사장 A가 하는 말입니다.


A: You have to be on time on your work.


이 말은 아무리 조용히 해도 뉘앙스는 서로 다 알고 있습니다. ‘너 또 늦으면 짐싸야 한다...’ 아래 사람은 윗사람에게 쓸 수 없는 말입니다. 초면에, 아무리 웃으면서 ‘x자식’ 해봤자 상대방은 기분나빠합니다. ‘x자식’이 가지고 있는 뉘앙스를 서로 알기 때문입니다.




짤릴 가능성


그럼 다음에서 가장 짤릴 가능성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일까요.


(1) You should be on time on your work.

(2) You must be on time on your work.

(3) You have to be on time on your work.


분명히 3번입니다. (1)번은뜻 없습니다. ‘자네 좀 일찍 다니게나.’입니다. (2)번은 심각해졌습니다. 짤릴 가능성 80%를 넘어섰습니다. (3)번은 거의 막장입니다. 아마 한 번 더 늦으면 짤릴 것 같습니다.




이제 ‘~해야한다’ 표현들, ‘should, must, have to'에 대하여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에는 추측을 나타내는 must를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need, dare 용법  (0) 2013.03.05
have got to, may well, may as well, would sooner (예문)  (9) 2013.03.04

 

 had better

 

 

 

이번 시간에는 had better에 대한 용법을 보기로 하겠습니다. had better는 ‘~하는것이 더 낫다’라는 조동사입니다. 

 

had better 문법 규칙

우선 간단하게 문법 규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1) had better + 동사원형

   (2) had better의 부정 ⇒ had better not

 

 

 

 

설명

 

‘had better'는 두 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하나‘의 조동사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그리고 had better를 부정할 때는 ’had not better'라고 쓸 수 없습니다. ‘had better'가 하나의 조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had better not'이 되어야 합니다.

 

 

 

 

간단한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적용

 

(1) You had better (is, be) present at your desk on time.

    (출근 제시간에 하세요...)

(2) You (had not better, had better not) annoy me.

    (날 열받게 하지않는 것이 좋을 거야.)

 

(1)번에서는 동사원형인 'be‘가 와야합니다. 조동사 'had better'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하기 때문입니다. (2)번에서는 'had better not'이 와야 합니다. 'had better'가 한 단어이므로 사이에 ’not'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항상 ‘had better not'으로 쓰이니 이렇게 외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이상이 had better에 대한 간단한 문법 설명이었습니다. 

 

 

 

 

 

need, dare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로 쓰이는 need나 dare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 문법은 상당히 어렵지만 너무 자세히 공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지나치게 ‘암기식’이라서 시험에도 잘 나오지 않는 추세입니다. 실제 말하고 글을 쓰는 데 불편함이 없는 정도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need, dare 동사규칙


need, dare는 다음과 같은 동사규칙이 있습니다.

  

need dare

(1) 부정문, 의문문 ⇒ 조동사

(2) 평서문 ⇒ 본동사(정동사)




부정, 의문문 ⇒ 조동사


need, dare는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조동사로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need, dare: 조동사

(1) I need not go there.

    (나는 거기 갈 필요가 없어.)

(2) How dare you say such a word to me?

    (어떻게 감히 그런 말을 나에게 할 수 있어?)


(1)번에서 need는 부정문에서 조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므로 ‘not’ 다음에 동사원형 ‘go'가 왔습니다.

(2)번에서 dare는 의문문에서 조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역시 다음에 동사원형 ‘say'가 왔습니다.



평서문 ⇒ 본동사


그렇지만 need는 평서문에서 본동사로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dare는 평서문에서 잘 안 쓰이므로 예문은 생략하겠습니다.)

  need: 본동사

(1) I need you.

(2) I need to go there.




이 정도 아시면 실제 need나 dare를 사용하시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특별히 '문법을 위한 문법 시험‘이 아닌 이상 'need, dare'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그럼 이만 need, dar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Thanks!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합형 조동사 예문




조동사 규칙 적용


조합형 조동사들은 여러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하나의 조동사 역할을 하므로 '한 단어' 취급을 해야 합니다. 조합형 조동사를 분리해서 부정어를 붙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조합형 조동사 'may as well'에 부정부사 not을 붙일 때, 'may not as well'은 안됩니다. 반드시 'may as well not'이라고 해야합니다. 'may as well'이 한 단어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또한 조합형 조동사들 역시 조동사이기 때문에 다음에 동사 원형이 와야 합니다. 




have got to (have to의 구어형)


5. ~해야 한다.

   You have got to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해요/ 직장에.)





may well


6. ~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His mother may well be proud of him. He got accepted to Harvard.

   (그의 엄마는 그를 자랑스러워하는 것이 당연해. 그가 하버드 입학했거든.)




may as well


7. ~하는 것이 낫다.

   You may as well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 제시간에 오세요/ 직장에.)





 would sooner


8. 차라리 ~하겠다.

   I would sooner steal than starve.

   (나는 차라리 훔치겠다/ 굶주리느니.)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need, dare 용법  (0) 2013.03.05
may, may have p.p  (7) 2013.03.03
used to, be used to 구별  (8) 2013.03.03
ought to, had better, would rather, used to (예문)  (10) 2013.03.02

may의 용법




이번에 공부할 것은 조동사 may와 might입니다. 원래 조동사 might는 독립적인 용법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에서는 거의 might의 과거형 정도로만 쓰입니다. 그러니 따로 정리하지는 않겠습니다.


may의 두 가지 용법



(1) 허가나 허락을 나타내는 may


   이견이 없을 정도로 쉬운 용법입니다.

   ex) May I use your phone? (전화 좀 써도 될까?)

        Yes you may. (그러렴.)



뭐, 더 이상 설명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습니다. 바로 (2)번으로 넘어가겠습니다.



(2)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는 may



1. 현재의 추측 may be         (~일지도 모른다.)

   ex) He may be out. 

        (그는 외출했을 지도 몰라.)


2. 과거의 추측 may have p.p (~이었을 지도 모른다.)

   ex) Dinosaurs may have had brown skin. 

    (공룡들은 피부가 갈색이었을 지도 몰라.)




지금부터 하는 설명은 소위 시험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문법책도 이러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조동사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할 내용입니다. 생소하겠지만 잘 읽어 두시길 바랍니다.



주의!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에서, 추측을 나타내는 may be나 may have p.p는 혼자 쓰이지는 않습니다. 반드시 그러한 추측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이랍시고.


ex) He may be out.

    (그는 외출했을 지도 몰라.)

과 같이 한 문장만을 쓰지는 않습니다.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추측의 근거가 필요


위  문장이 의미를 가지려면 근거를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봅시다.

ex) I can not find him in the office. He may be out.

   (사무실에는 그가 없어. 밖에 나갔을지도 모르겠는데.)

이렇게 추측의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과거의 추측도 마찬가지입니다. 판단 근거가 제시되어야 문장이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판단 근거가 문장 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됩니다.

ex) Dinosaurs may have had brown skin.

    (공룡들은 피부가 갈색이었을 지도 몰라.)

이 문장은 추가적인 근거가 필요없습니다. 공룡의 피부색깔을 아무리 연구해봤자 과거의 불확실한 추측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확실성 수치


이렇듯 추측을 나타내는 may를 사용할 때는 ‘근거’와 함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뒤에서 다시 공부하겠지만 확실한 추측은 must be나 must have p.p를 사용합니다. 주의하실 것은 '확실한 추측‘에서 확실이라는 말에 현혹되시면 안 됩니다. 추측은 확실할 수가 없습니다. 즉 가능성 100%의 추측은 없다는 말입니다. 굳이 확실성을 수치화 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불확실한 추측             may   (가능성 50 %)

(상당히) 확실한 추측     must  (가능성 80% 이상)


이것은 제가 개인적으로 정한 수치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 언저리라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그럼 이상으로 ma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언제나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used to, be used to





used to, 헷갈리는 녀석들


이번 시간에는 used to에서 주의할 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used to 동사원형‘은 앞에서 공부했듯이 (핵심정리 57)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표현합니다. 의미는 ’하곤 했었다(지금은 안 한다))입니다.


    ‘used to’는 아주 헷갈리는 세 가지 주의할 표현들이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1) used to 동사원형 

    (과거에) ~하곤 했다(지금은 안한다.)

(2) be used to 동사원형 

    (~에 사용되다)

(3) be used to ~ing (명사) 

    (~에 익숙하다)




위의 표현들은 문법 시험에 단골로 출제되는 것들입니다. 각 형태와 그에 따른 의미를 정확히 알아 두셔야 합니다.


   문제


   ※ 다음에서 (  ) 안에서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He (used to, is used to) smoke.

(2) Bacteria is used to (make, making) cheese.

(3) My son is used to (go, going) to be early.




각 문제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설명


(1)번에서,

used to를 쓰면 ‘그는 (과거에) 담배를 피웠었다.’입니다. 말이 되죠. 그렇지만 'be used to'를 쓰면, ‘그는 담배피우는데 사용된다’라는 참으로 엽기적인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그러므로 'used to‘가 와야 합니다.





(2)번에서,

동사원형 make를 쓰면 ‘박테리아가 치즈를 만드는데 사용된다’라는 문장이 됩니다. 말이되죠. 그런데 making을 쓰면 ‘박테리아는 치즈를 만드는데 익숙하다’라는 뜻이 되어버립니다. 이건, 뭐 말이 안됩니다. make가 답입니다.





(3)번에서,

 동사원형 ‘go'를 쓰게 되면 ’내 아들은 일찍 자러가기 위해 사용된다‘라는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아들이 수면제라면 모를까 역시 엽기적입니다. 'going'을 쓰게되면 ’내 아들은 일찍 자는데 익숙하다‘라는 말이 됩니다. 말이 되죠? 그러므로 ’going'이 와야 합니다.



이렇듯 used to 동사원형, be used to 동사원형, be used to ~ing는 문장을 통해서 고를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하는 데 익숙하다’인 be used to ~ing는 ‘be accustomed to~ing'와 같은 의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used to와 관계된 공부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 예문들 (1-4)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합형 조동사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별 의미와 예문만 보겠습니다. 각 조동사별 용법은 별도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주의할 사항 2


반드시 기억해 두셔야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이 조합형 조동사들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온다는 것입니다. 

둘째, 한 단어 취급해야 합니다.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I would rather not steal.

(나는 훔치지 않겠다.)


would rather는 한 단어입니다. 그러므로 부정부사는 'would rather' 다음에 와야 합니다. 'would not rather'가 되면 안 됩니다. 그리고 'would rather'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동사원형 'steal'이 왔습니다.




can으로 유추


I can not steal.

(나는 훔칠 수 없어.)


이 예문에서, not의 위치와 steal의 형태를 보면 이해가 더 빠르실 겁니다. 부정부사 'not'은 조동사 다음에 위치하고, 'not'이 끼어 들었지만 'steal'은 동사원형입니다. 그럼 예문을 보겠습니다. 




조합형 조동사와 예문들 



ought to + 동사원형


1. (의무) ~해야 한다.

   You ought to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had better + 동사원형


2, ~하는 것이 낫다.

   You had better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would rather + 동사원형


3. 차라리 ~하겠다.

   I would rather steal than starve.

   (나는 차라리 훔치겠다/ 굶주리느니.)




used to + 동사원형


4. ~하곤 했었다. (지금은 안 한다.)

   My son used to play with Lego.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었다.)




다음에는 예문 5-8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 may have p.p  (7) 2013.03.03
used to, be used to 구별  (8) 2013.03.03
can, be able to  (8) 2013.03.01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7) 2013.02.28
can의 용법  (0) 2013.02.28

can, be able to의 구별




이번 시간에는 can과 be able to의 차이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둘 다 ‘~할 수있다’로 쓰이는 이 녀석들은 그렇게 의미차이가 심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잘못 쓰면 이상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can > be able to

우선 간단히 도식화 해보겠습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can은 'be able to'를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헷갈리면 ‘can’을 쓰는 것이 안전합니다. 



can, be able to 차이


그렇지만 공부니까 구체적으로 둘의 차이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can            모든 가능

be able to   동작의 가능




예문


동작의 가능

(1) He can run.

     (그는 뛸 수 있다. (당연한 거 아냐?))

(2) He is able to run.

     (그는 달릴 수 있어. (놀라운데...))


사실 can과 be able to의 차이는 미묘합니다. 이 예문들은 둘 다 ‘그는 달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can'을 쓰면 어쩐지 ’당연한 사실‘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에 대하여 ’be able to'를 쓰면 ‘못할 줄 알았는데 하네’라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2)번 같은 경우 ‘그가 사고를 당해서 못 뛸 줄 알았는데 뛴다’쯤 됩니다.




그런데 ‘~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be able to'를 쓸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상태’의 가능

(1) Even he can be gentle.        (o)

(2) Even he is able to be gentle. (x)

    (심지어 그도 가끔은 괜찮을 수 있어.)


위와 같은 문장에서는 가능이지만 ‘be able to'를 쓸 수 없습니다. ’gentle'은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라서 그렇습니다.


.



이제 ‘can'과 ’be able to'에 대한 감을 잡으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헷갈리면 can입니다




그럼 can에 대한 설명은 이만 마치고 다음에는 could를 보겠습니다. 


소중한 시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d to, be used to 구별  (8) 2013.03.03
ought to, had better, would rather, used to (예문)  (10) 2013.03.02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7) 2013.02.28
can의 용법  (0) 2013.02.28
would, used to  (8) 2013.02.27

can not have  p.p 





can not have p.p


이것은 과거에 대한 확실한 부정적 추측입니다. 우리 말로는 '~이었을 리가 없다'입니다. 이 말은 우리가 must에서 공부할 must have p.p(~이었음에 틀림없다)의 반대말입니다. 이 형태는 꽤 많이 쓰이므로 외워 두셔야 합니다.





can't have p.p에서 can의 형태 


그런데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틀림없이 'can't have p.p'는 과거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조동사 can'의 시제가 과거(could)가 아닌 현재형 (can)입니다. 그 이유는 역시 다음에 공부할 가정법 과거완료 때문입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에 ‘could have p.p'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과거에 대한 추측‘과 ’가정법 과거완료‘가 헷갈리게 됩니다.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can not have p.p'를 쓴 것 같습니다.




아무튼 우리는 'can not have p.p'와 ‘couldn't have p.p’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can't have p.p VS couldn't have p.p


cannot have p.p와 couldn't have p.p에 대한 예문을 봅시다.


(1) can not have p.p ~이었을 리가 없다.

   You can't have passed the test.  

   (너가 시험에 통과했을 리가 없어. (당연히 통과 못했다.))


(2) could not have p.p. ~할 수 없었을 텐데 (해버렸다.)

    You couldn't have passed the test. 

    (너는 시험에 통과 못했을텐데... (어떻게 통과해버렸지?))


이러한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해보면 


'can not have p.p‘는 과거 사실’, ‘could not have p.p'는 사실의 반대가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c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는 can과 be able to에 대한 구별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힘드셔도 포기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힘들지만 내일을 더 나을 겁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ought to, had better, would rather, used to (예문)  (10) 2013.03.02
can, be able to  (8) 2013.03.01
can의 용법  (0) 2013.02.28
would, used to  (8) 2013.02.27
would의 용법  (5) 2013.02.27

can의 용법





조동사의 동사 규칙


이번에는 조동사 can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조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규칙 두 가지를 다시 한번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조동사 + 동사원형

(2) 조동사 + 조동사 (x)


조동사 다음에는 무조건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그리고 조동사 두 개는 연속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will can 같은 것은 없다는 말이죠.




can의 대표 용법


이제 can의 대표적 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능력, 가능

    My baby can speak English fluently.

    (내 아기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어.)


(2) 강한 의심

    Can it be true?

    (그게 사실일까?)


(3) 추측 (~일 수도 있다)

    No, it can't be true.

   (아니야, 그럴리가 없어.)




설명


(1)번의 'can‘은 ~할 수 있다는 ’가능이나 능력‘을 나타냅니다. 아주 익숙한 의미입니다.

(2)번의 can은 ’강한 의심‘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규칙을 무턱대고 외우기 전에 조금만 생각해 봅시다.


뻥이 많이 심한 아빠가 말했습니다.

‘우리 아기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해’


이런 말을 들으면 보통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겁니다. 

‘에이, 말도 안돼.’ 

믿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이것을 ‘Can it be true?'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때는 거의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규칙만들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강한 의심‘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냥 상식으로 해결되는 것입니다. 굳이 외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이런 의심의 결과 ‘그럴 리가 없어’라고 말합니다. 그것이 ‘can't be~’입니다. 도저히 믿을 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정리하자면 can은 다음과 같은 용법이 있습니다.


1. 가능 (~할 수 있다.)

2. 강한 의심 (과연 ~일까? (가능성 거의 없음))

3. 강한 부정 (~일 리가 없다 (가능성 거의 제로))



소중한 시간 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 be able to  (8) 2013.03.01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7) 2013.02.28
would, used to  (8) 2013.02.27
would의 용법  (5) 2013.02.27
will의 용법  (0) 2013.02.27

would와 used to의 용법




would와 used to 


would와 used to 동사원형은 기본적으로 과거의 일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너무나 유명한 공식(!)도 등장합니다.


과거를 나타내는 조동사

would    불규칙

used to  동사원형규칙


아마 한국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하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아시고 계실 문법입니다. 그리고 상당히 많은 문법책도 이와 같은 규칙을 실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would = used to (?)


예문을 봅시다.

(1) I would go fishing.   (불규칙)

(2) I used to go fishing. (규칙)

    (나는 아버지와 낚시를 가곤했다.)


여러분은 의미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까? 

최소한 저는 구별할 수가 없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낚시를 하면 규칙적으로 하는 것입니까? 요일과 시간을 정해놓고 정확히 그 시간에 가면 used to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would를 써야 하나요?

이건 말도 안 됩니다. (1)번과 (2)번에서 would와 used to는 바꾸어 써도 됩니다.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would와 used to는 바꾸어 써도 상관없습니다.




would ≠ used to 


그럼 또 의문이 생깁니다. would와 used to는 언제나 바꾸어 쓸 수 있을까요? 

불행히도 그렇지 않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re used to be a pond here.

    ((과거에는) 여기에 연못이 있었다. (지금은 없다.))


이 문장에서는 would를 쓸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이 문장이 의미하는 것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연못이 왔다 갔다 움직일 수는 없으니까요. 




상당히 헷갈리실 겁니다. 



정리

그래서 이렇게 정리합시다.

would와 used to는 과거의 습관적 동작을 나타낸다.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바꾸어 쓸 수 있지만 상태일 경우에는 바꾸어 쓸 수 없다.




한 번 더 적용


한 번 더 예문을 보면서 적용해 봅시다. 

조금 어려운 예문을 준비해 봤습니다.


(1) We (would, used to) skip our classes.

    (우리는 수업을 땡치곤 했었다.)

(2) We (would, used to) work for the same company.

    (우리들은 같은 회사에서 일했었다.)


(1)번은 둘 다 됩니다. 수업 땡땡이치는 것을 시간 정해놓고 하지는 않으니까요. 이 경우는 과거의 동작입니다. 그렇지만 (2)번은 'used to‘만 써야 합니다. 회사에 근무를 했다 안했다 할 수는 없으니까요. 그래서 상태가 됩니다.




‘would’와 ‘used to’는 동작과 상태라고 알고 계셔야 합니다. 

규칙 불규칙으로는 실제 적용이 안 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7) 2013.02.28
can의 용법  (0) 2013.02.28
would의 용법  (5) 2013.02.27
will의 용법  (0) 2013.02.27
부사  (12) 2013.02.26

would





독립적인 would


would는 기본적으로는 will의 과거형입니다. 

그렇지만 현대로 들어오면서 'would' 고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그래서 'will의 과거형‘이라는 종속적인 항목보다는 ‘would'라는 독립적인 항목으로 다루겠습니다. 실제 영어를 사용하다보면 ’will'보다는 ‘would’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would'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would의 용법


(1) will의 과거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그는 말했다/ 내년에 스물이 될 거라고.)


(2) 의지 (소망)

    My love, I would like to come with you.

    (내 사랑, 당신과 함께 가고 싶소.)


(3) 고집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습관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어릴 때.)




설명


(1)번은 단순하게 미래시제 will의 과거형입니다. 과거 시제이므로 ‘will’의 과거형 'would'를 썼습니다.


(2)번에서 ‘would'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will'과 다른 점은 ‘would'는 정중한 표현이라는 것입니다. 너무나 유명한 '~하고 싶다’는 'would like to' 구문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과거조동사는 대부분 '보다 정중한’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3) 번에서 ‘would'는 고집을 나타냅니다. ’will'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렇지만 고집을 나타낼 때 만큼은 'would'보다 'will'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4)번은 ‘과거의 습관’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would'는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 ’used to'는 규칙적인 습관에 쓰인다고 배웠던 것입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would’는 ‘~하곤 했다’는 의미로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는 정도로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그럼 would'에 대해서는 이 정도로 정리하고 다음을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의 용법  (0) 2013.02.28
would, used to  (8) 2013.02.27
will의 용법  (0) 2013.02.27
부사  (12) 2013.02.26
동사 (verb)  (4) 2013.02.26

will의 용법





반드시 알아야할 조동사 어법


이번 시간부터는 각 조동사별로 중요한 용법들만을 별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를 공부하실 때 알아두셔야할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문법사항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을 쓴다. 무조건입니다. 조동사 다음에는 무조건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둘째, 조동사는 두 개연속 쓸 수 없다. 'will can'과 같이는 쓸 수 없다는 말입니다. 각 조동사별로 중요한 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그럼 설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조동사 will


이번 시간에는 will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기본적으로 will은 단순 미래를 나타내며 ‘~할 것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단순이란 ‘그냥 시간이 지나면 행위가 일어난다’라는 의미입니다. 다른 의미들은 이 ‘~할 것이다’에서 파생되는 것들입니다. 그러니 문맥을 통해서 익히시면 됩니다.





의지미래와 단순미래


 will에는 크게 단순미래와 의지가 있습니다. 우리 말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will

(1) 단순 미래    ‘할 것이다’

(2) 의지 미래    '하겠다.‘


잘 보면 의지미래 역시 ‘~할 것이다’라고 써도 됩니다. 둘 다 ‘미래에 어떤 행동을 한다’는 점은 같으니까요. 




예문


will

(1) 단순 미래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거야.)


(2) 의지 미래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3) 고집

My daughter will not listen to me.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 하질 않아.)




문맥에서 파악


(1) 단순 미래는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내년은 시간만 지나면 옵니다. 우리 의지와는 상관없는 미래입니다. 그래서 ‘단순미래’라고 합니다.


그런데 (2)번 ‘의지미래’는 어떻습니까? 사랑이란 것은 변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사랑’하려면 노력이 필요합니다. 시간만 지나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우리의 의지가 들어가는 미래이므로 ‘의지미래’라고 합니다.


(3)번은 고집입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고집이나 의지나 기본적인 의미는 같습니다. 단지 표현 방식일 뿐이죠. 긍정적이면 의지, 부정적이면 고집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동사 will은 그 외에도 의미가 많지만 이 세 가지에서 파생되는 것들입니다. 그러니 나머지 뜻들은 외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uld, used to  (8) 2013.02.27
would의 용법  (5) 2013.02.27
부사  (12) 2013.02.26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부사(ADVERBS. )




부사 예문


이번 시간에는 부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예문을 봅시다.


예문

The boy runs RAPIDLY. (그 소년은 빨리 달린다.)

He drives QUICKLY. (그는 빨리 운전한다.)

The bird sings BEAUTIFULLY. (새는 아름답게 노래한다.)

She gets up EARLY. (그녀는 일찍 일어난다.)




1. 동사 수식


설명

- 이들 단어들, rapidly, quickly, beautifully은 부사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동사를 수식하며, ‘어떻게’나 ‘언제’인지를 알려 줍니다.


- rapidly는 소년이 ‘어떻게’ 달리는지를 알려 줍니다. 그 소년은 ‘빨리’ 달립니다.

- quickly는 그가 '어떻게' 운전하는지를 알려 줍니다. 그는 ‘빨리’ 운전합니다.

- beautifully는 새가 ‘어떻게’ 노래하는지를 알려 줍니다. 새는 ‘아름답게’ 노래합니다.

- early는 그녀가 ‘언제’ 일어났는지를 보여 줍니다. 그녀는 '일찍' 일어났습니다.




2. 형용사, 부사 수식


설명

She is VERY beautiful. (그녀는 매우 아름답다.)

He studies PRETTY hard. (그는 아주 열심히 공부한다.)

- very, pretty는 부사입니다. 이들은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며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줍니다.

- very는 그녀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려 줍니다. 그녀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 pretty는 그가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는 지를 알려 줍니다. 그는 ‘아주 열심히’ 공부합니다.




정리


지금까지 살펴 보았듯이, 부사는 동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를 수식합니다.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분명하게 설명해 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uld의 용법  (5) 2013.02.27
will의 용법  (0) 2013.02.27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동사 (VERBS)





동사


이번 시간에는 동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예) The boy STRIKES the dog(소년이 개를 때린다.)

    The dog BARKS. (개가 짖는다.)

    The child SINGS a song. ( 그 아이는 노래를 부른다.)

    The cat RUNS.(고양이가 달린다.)

    The bird FLIES. (새가 .)




설명


- 이들 단어들, strikes, barks, sings, runs, flies,은 동사라고 불립니다. 이들 단어들은 주어가 무엇인가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strike는 소년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소녀는 개를 ‘때립니다.’

- barks는 개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개는 ‘짓습니다.’

- sings는 아이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아이는 ‘노래를 부릅니다.’

- runs는 고양이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냅니다. 고양이는 ‘달립니다.’

- flies는 새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낸다. 새는 ‘납니다.’




이렇게 동사는 주어가 ‘행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다른 동사들


조금 더 살펴 봅시다.

(1) The boy BEATS his young brother.

(2) The boy IS BEATEN by his old brother.

(3) The boy SLEEPS.


(1)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은 그의 동생을 ‘때리고’ 있습니다.

(2)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의 그의 형에게 '얻어맞고' 있습니다.

(3) 번에서 소년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년은 '자고' 있습니다.




정리


이렇듯, 동사는 주어가 어떤 것이 되거나, 어떤 것을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더 간단히 말하면 주어가 하는 행위가 동사입니다.




간단한 개념정리였습니다. 

내용에 관한 질문은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l의 용법  (0) 2013.02.27
부사  (12)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조동사의 의미 (can, could, will, be going to)  (11) 2013.02.23

조동사 예문정리 (7-12)





7. may


(1) 추측

He may be a fool.

(그는 바보일지도 몰라.)


(2) 허가

May I use you phone?

(전화 좀 써도 돼?)





8. might


may의 과거형

She said that she might like me.

(그녀는 말했다/ 그녀가 나를 좋아할지도 모른다고.)





9. must


(1) (의무) ~해야 한다.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 시간에 와야 합니다/ 직장에.)


(2) (추측) ~임에 없다.

He must be an idiot.

(그는 바보임에 틀림없어.)





10. dare


감히 ~하다

I dare not say a word to my wife.

(나는 감히 한 마디도 못한다/ 내 아내한테.)





11. need


~할 필요가 있다. (정동사와 구별)

You need not be afraid of your wife.

(당신은 아내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어요.)





12. do, does, did


(1) 의문, 부정문

I don't like you.

(나는 네가 싫어.)


(2) 대동사

I love you.

(난 너를 사랑해.)

So do I.

(나도 그래.)


(3) 동사강조

Do shut up, please!

(제발 좀 닥쳐 줄래!)




다음 시간부터는 각 조동사별로 중요한 것들을 공부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  (12) 2013.02.26
동사 (verb)  (4) 2013.02.26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조동사의 의미 (can, could, will, be going to)  (11) 2013.02.23
전치사 뜻 (for, during)  (7) 2013.02.23

조동사 예문




이번 시간에는 각 조동사별 예문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단순형조동사들을 보겠습니다.


1. will

(1) 단순 미래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거야.)


(2) 의지 미래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2. would

(1) will의 과거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그는 말했다/ 내년에 스물이 될 거라고.)


(2) 의지 (소망)

My love, I would like to come with you.

(내 사랑, 당신과 함께 가고 싶소.)


(3) 고집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습관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어릴 때.)





3. can


(1) 능력, 가능

I can speak English fluently.

(나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


(2) 추측 (~일 수도 있다)

You can't be fluent in English.

   (너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을 리가 없어.)




4. could


(1) can의 과거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그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2) 정중한 표현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좀 잠깐만 써도 될까요?)




5. shall


(1) 미래 (점점 안쓰이고 있슴)

I shall be twenty next year. (대부분 shall 대신에 will을 씁니다.)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것이다.)


(2) 제안

Shall we dance?

(춤 한 번 추실까요?)





6. should


(1) (형식상) shall의 과거)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해야 한다.

You should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한다/ 직장에.)





to be continued....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