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형식 개념정리

5형식 개념정리

5형식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문장의 5형식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5형식 문장패턴은 영어학습에 아주 유용한 도구이므로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문법 용어가 많이 등장하다 보니 국어 수업같은 느낌이 들겁니다. 쉽게 설명해드리고 싶지만 어쩔 수 없는 점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 여러분이 공부하실 것은 ‘문법의 원칙’입니다. 원칙은 기본이 되고 변치 않는 것입니다. 이 원칙을 확실하게 세워두시지 않으면 문법 실력을 쌓을 수 없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5형식 문장 패턴

2. 필수 문법 용어 정리

    - 품사

    - 문장 성분

    - 구와 절

3. 5형식에 자주 쓰이는 문법 약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Quiz

다음 약어의 뜻을 해석할 수 있는 분들은 이 글을 보실 필요 없습니다. 살포시 뒤로 가기를 눌러 주세요.
많이 봤지만 아직은 분명히 정리가 안 되신 분들은 주의깊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S V
S V C
S V O
S V I.O D.O
S V O O.C

1. 5형식 문장 패턴

영어 문장 5형식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또야, 으~"라는 말이 들리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문장의 5형식은 영어 학습이라는 여행길에서 나침반 같은 존재입니다. 챙겨두면 언제고 필요할 때마다 길을 알려 주는 든든한 친구입니다.

 

 1형식  S  V  (주어 동사)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일단 이 패턴은 외워두십시오.

한국에서 영어시험을 보는 한 반드시 외워두셔야 합니다.

토익이나 토플 등 영작 시험에서도 아주 유용합니다. 

문장의 5형식: 영어 학습의 나침반


2. 필수 문법 용어 정리

그렇지만 위 공식을 그대로 외우기만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이 짧은 공식들 속에는 대부분의 문장규칙이 녹아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규칙의 대부분은 문법용어들입니다.

 

사실, 5형식 패턴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문법 용어에 대한 개념정리가 안되어서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5형식 문장패턴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문법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은 문장형식 공부에 필요한 문법용어들입니다. 이 용어들을 확실하게 정리하지 않으면 문법 실력을 쌓아 갈 수 없습니다. 이해하신 다음 확실하게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그럼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문장 5형식을 이해하기 위한 정도로만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영문법: 대부분은 문법 용어

5형식 문법용어


문장의 5형식 학습에 필요한 문법 용어들입니다. 

 

2-1. 품사

품사는 성격이 같은 말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영어 품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문장의 5형식 설명을 위해 필요한 품사만 선택해서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 동사: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 명사: 사람이나 동물, 그리고 사물의 이름입니다.
  • 형용사: 명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이러한품사들은 전부 ‘-사’는 말로 끝납니다. 기억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품사: 품사는 성격이 같은 말들을 모아놓은 것

품사


2-2. 문장성분

문장 성분은 각 품사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문장 성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각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주어: 동작의 주체를 나타냅니다.
  • 서술어: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 목적어: 주어가 행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입니다.
  • 보어: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말입니다.

 

문장성분들은 전부 ‘-어’로 끝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하실 것이 있습니다. 영어 5형식에서는 서술어라는 용어 대신에 ‘동사’를 사용합니다. 품사인 동사가 그대로 서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굳이 다른 용어를 쓰지 않습니다.

문장성분


3. 구와 절

그리고 구와 절에 대한 정의를 알아 두셔야 합니다.

  • 구: 주어 동사가 없는 단어들의 모임입니다.
  • 절: 접속사가 이끄는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입니다

구와 절

 

다시 한 번 영어 문장 5형식 패턴을 보겠습니다.

 

 1형식  S  V  (주어 동사)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이제 오른 쪽에 있는 문법 용어들은 이해하셨을 겁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는 우선은 ‘목적어’라고 이해해 두시면 됩니다.


3. 5형식에 자주 쓰이는 문법 약어

다음은 표의 왼쪽에 있는 영어 약어들의 원래말을 정리한 것입니다. 

S → subject,  

V verb,  

O object,  

C  complement

약어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기억하면서 표를 다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원래말  우리말  우리말 해석
 S  subject  주어  은,는,이,가를 붙여 해석
 V  verb  동사  동사의미 그대로 해석
 O  object  목적어  ~을(를), ~에게로 해석
 C  complement  보어  ~이다, ~되다로 해석

그리고 글 처음에 제시했던 Quiz에 대한 다시 한 번 답해 보세요.

  • S  V
  • S  V  C
  • S  V  O
  • S  V  I.O  D.O
  • S  V  O   O.C

잘 답하셨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아직도 살짝 헷갈리신다면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설명이 길어졌습니다. 그렇지만 하나도 뺄 것이 없습니다. 다른 문법사항들은 시간이 흐르면 바뀔 수 있는 규칙들입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설명한 문법사항들은 토대가 되는 원칙들입니다. 시간이 걸리셔도 여러 번 반복해서 정확한 용어를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영어 문장의 5형식 패턴을 꼭 외워야 하나요?
A: 네, 반드시 외워야 합니다. 5형식 문장 패턴은 영어 학습의 기본 원칙입니다. 시험은 물론 말과 글에도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므로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Q2: 문장 성분에서 '서술어' 대신 '동사'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영어 5형식 문장에서는 품사로서의 동사가 그대로 서술어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따로 '서술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동사'라고 표현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5형식 개념정리 연습문제.pdf
0.16MB
5형식 개념정리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그렇잖아도 긴 글에 사족을 붙입니다. 


 

이 부분은 힘들어도 확실하게 여러분 것으로 만들어 두셔야 합니다.이 문법 용어를 소흘히 하면 문법 전체가 어렵게 됩니다.
처음에는 용어와 약어 때문에 유별나게 어려워 보이지만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이해하신 다음에는 꼭 외우셔야 합니다.용어를 외우시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여러분들은 이 긴 글을, 끝까지 보시는 대단한 분들입니다.

그렇기에 여러분들의 시간을 헛되이 하지 않겠습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부터는 본격적으로 개별 문장 5형식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update on 2025-05-05 by Song SSam

 

to 부정사 + 전치사

to 부정사 + 전치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이 아주 두려워하는 'to 부정사 뒤에 오는 전치사'에 대해 확실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와 필수 표현들을 예문과 함께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법은 한국인들이 특히나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는 당연한데 영어로 쓸 때만 문제가 되는 것이라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지나치게 어려워서인지 웬만한 영어 시험에서는 잘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들도 어렵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고급 영어 실력을 갖길 워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넘어야 할 벽이기도 합니다. 영어를 뛰어나게 잘하기 위해서는 "영어식 사고방식"에 익숙해야 하기 때문이죠. (중3 딸네미가 1학기 중간고사 준비 중에 하도 걱정스럽게 이 용법을 질문했습니다. 시험에 안 나온다고 그렇게 달래도 딸 자식 이기는 아빠가 어디 있나요. 결국 글을 정리하고 말았습니다. ㅠㅠ)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2. 자주 틀리는 명사 "to 부정사 + 전치사 " 10가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to 부정사 다음에 전치사가 필요한 이유

먼저 다음 예문을 살펴 봅시다. to 부정사와 그 다음에 오는 전치사 with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넘어야 할 "to 부정사 + 전치사"란 "to eat with"과 같은 형태를 말합니다.

 

(1)    I need a spoon to eat with.

(1-1)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1-2)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

 

영어를 전공한 이후로 강산이 세 번도 넘게 바꼈습니다. 그런데 해석을 (1-1)번같이 하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 전문 번역가도 "나는 가지고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라고 번역을 하면 고개를 갸우뚱 거릴 것입니다.  "나는 먹을 숟가락이 필요하다"는 해석이 우리 뇌에 착 감겨 들립니다. 적어도 한국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극히 정상적으로 들리는 "먹을 숟가락"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 어지럽겠지만 조금만 참고 봐 주시기 바랍니다.

 

(1) 번 문장 "I need a spoon to eat with."는 원래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나왔습니다.

 

(2) I eat with a spoon.

      나는 숟가락을 가지고 먹는다.

 

(2)번 문장에서 전치사를 빼면 다음과 같은 "불가사리"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3) I eat a spoon.  (X)

     나는 숟가락을 먹는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그렇지 숟가락을 씹어먹을 수야 없습니다. 고려시대 출몰했다는 민간괴담 속의 불가사리가 아닌 다음에야 말입니다.

 

이제 "I eat with a spoon." 문장을 need와 to 부정사를 이용해서 다시 써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4) I eat with a spoon.

→  I need a spoon to eat with.

 

어떻습니까? to 부정사 다음에 논리적으로 with가 와야하는 이유를 아시겠죠? 우리 보통 사람들은 "spoon"을 먹는 것이 아니라, "spoon"을 가지고 먹습니다.

 

이렇듯, to 부정사 뒤에 전치사를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문법학자들이 "to 부정사 + 전치사"라고 잽싸게 이름붙인 것입니다. (아마 일본쪽 영문학자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쪽으로는 도가튼 사람들이라서요.)

 

이렇게 친절한 설명을 들어도 여전히 골치가 아플 것입니다. 머리로는 알겠지만 뱃속이 불편한 찝찝한 느낌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어려워서 시험에 잘 나오지 않을 뿐더러, 나온다고 해도 몇 가지 뻔한 예들만 돌려쓰기로 출제됩니다. 그러니 다음에 정리하는 표현 정도만 알아도 "영어를 굉장히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알았지, 우리 딸?)

spoon to eat


다음 표현들은 어쩌다 시험에 나오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자주 쓰이는 "to 부정사 + 전치사" 표현들입니다. to 부정사 다음에 오는 전치사에 주의해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 a house to live in (살 집)
  •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 a tool to open with (열 도구)
  •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기왕 정리하는 김에 설명까지 하겠습니다. 괜히 어설프게 설명했다가 모 중 3 여학생에게 의구심만 잔뜩 불러일으킬 것 같아서요.

 

a house to live in (살 집)

→  집 "안에" 들어가 사는 것이므로 전치사 in 필요.

주의!
a place to live 표현에서는 in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장소(땅) 안에 들어가서 살지는 않습니다.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의자 "위에" 앉는 것이므로 전치사 on 필요


a friend to talk to (with) (이야기할 친구)

→ 친구"에게" 이야기 하거나 (to), 친구와 "함께" 이야기 하므로 전치사 with


money to buy with (구입할 돈)

→ 돈을 "가지고" 구입하므로 전시사 with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종이 "위에" 쓰므로 전치사 on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펜을 "가지고" 쓰므로 전치사 with


a topic to write about (쓸 주제)

→ 주제에 "대하여" 쓰므로 전치사 about


a tool to mend with (수리할 도구)

→ 도구를 "가지고" 수리하므로 전치사 with


 a religion to turn to (의지할 종교)

→ 종교"에" 의지하므로 전치사 to

 

 

이 정도로 정리하면 "to 부정사 + 전치사" 때문에 골치 아플 일을 없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부정사 전치사 연습문제.pdf
0.16MB

 

to 부정사 전치사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Gladiator"에서 나온 "러셀 크로"의 그 유명한 포효가 생각납니다.

"Are you satifsfied, my darling daughter?"

 

이상으로 'to 부정사 + 전치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7 12:33 by Song SSam  

 

 

 

 

수동태 전치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y, with를 쓰지않는 수동태 표현을 보겠습니다.




수동태 전치사 표현 동영상 강의

내용정리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be known ~


POINT


수동태 표현에 by 이외의 전치사를 쓰는 표현들 중 다음에 주의한다.


be known to ~    ~에 알려지다

be known as ~    ~로서 알려지다

be known by ~    ~에 의해서 알다

be known for ~    ~ 때문에 알려지다.

 

used to               동사원형~하곤 했다

be used to           동사원형~에 사용되다

be used to           ~ing~에 익숙하다




Check up


※ 괄호 안에 알맞은 전치사를 고르시오.

1. Yu-na is known [by / to] the world.

   연아는 세계에 알려졌다.


2. Do you want to be known [by / as] office chatterbox?

너는 사무실 수다쟁이로 알려지길 원하니?


3. We are proud to be known [by / as] the company we keep.

우리는 자부심을 가진다/ 우리가 사귀는 친구에 의해 알려지는 것에 대해서.


4. Apple is known [by / for] I-phone.

Apple은 I-phon으로 알려졌다.

 

정답

1. to    2. as    3. by    4. for

 


QUIZ


※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전치사를 고르시오.

1. Nigerian musicians will soon be known [by / to] the world.

   나이지리아인 음악가들은 곧 세계에 알려질 것이다.


2. Volvo wants to be known [by / for] safety.

   Volvo는 안전함으로 알려지길 원한다.


3. I used [by / to] smoke a packet a day but I stopped two years ago.

   나는 하루에 한 갑씩 담배를 피우곤 했다. 그러나 나는 2년 전에 끊었다.


4. Spy cameras are used [by / to] target student protesters

   감시 카메라들이 학생 시위자들을 목표로 사용된다.


5. Tom is used [by / to] sleeping on the plane when he takes a long flight.

   톰은 비행기에서 자는데 익숙하다/ 긴 비행을 할 때.

 

정답

1. to    2. for    3. to    4. to    5. to


그럼 이상으로 수동태 전치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송성태 영문법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 that, such that 구별  (14) 2013.10.02
불가산명사와 동사  (0) 2013.10.01
관계대명사 what  (13) 2013.09.14
분사 (능동, 수동)  (5) 2013.09.14
비인칭 주어 it (형식주어)  (0) 2013.09.14

전치사 with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with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동영상 강의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by, with의 구별

2. with의 기본 의미

3. with 관용어구


1. by, with의 구별


by의 용법에서 설명했듯이, by는 수동태에서 행위자(생물)를 나타내고, with는 무생물인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냅니다.


(1) The fire was put out by firefighters with water.

    (화재가 진압되었다/ 소방관들에 의해서/ 물로)


(2) The house was built by workers with bricks.

    (그 집은 지어졌다/ 일꾼들에 의해서/ 벽돌로)


(1)번에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옵니다. 그리고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번도 (1)번과 마찬가지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 with의 기본 의미


전치사를 공부할 때는 모든 의미를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 의미만 확실하게 정리해 두고 나머지는 문맥에서 찾아내면 됩니다. 전치사 with는 다음 두 가지 기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와 함께 (=together with)


1) I live with my family.

   (나는 산다/ 내 가족들과 함께)


2) She has been with her friends for hours.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있다/ 몇 시간 동안)



(2) ~을 가지고 (=having)


1) He is the man with a large head.

   (그는 남자이다/ 큰 머리를 가진)


2) She entered with a sword in her hand.

   (그녀는 들어왔다/ 손에 검을 가지고)


3) He went to America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English.

   (그는 미국으로 갔다/ 영어를 공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3. with 관용어구


(1) be filled with 

    ~으로 가득차다 (=be full of)

(2) be (angry, annoyed, pleased, satisfied) with ~ 

    ~에 화나다, 기쁘다, 만족하다

(3) agree(disagree) with ~ 

    ~에 동의하다, 반대하다

(4) argue(discuss, fight, quarrel) with ~ 

    ~과 논쟁하다, 토론하다, 싸우다, 언쟁하다.

(5) in accordance with ~ 

    ~에 따라서

(6) with the purpose(intention) of ~ 

    ~라는 목적(의도)를 가지고

(7) provide(supply) A with B 

    A(사람)에게 B(물건)를 주다

(8) inspire A with enthusiasm (fear, hope, love, etc.) 

    A에게 열정(두려움, 희망, 사랑 등을) 주다.

(9) What is the matter with you? 무슨 일이니?

    No matter with me. (문제 없어)

(10) be acquainted with~ 

     ~의 (얼굴을) 알다

(11) compare with ~ 

     ~과 비교하다




내용이 많죠?

전치사는 문장에서 아주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니 많을 수밖에 없죠. 


특히 with 관용어구들을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시간 전치사 by에서 뵙겠습니다.

안녕~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가정법  (6) 2013.09.24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전치사 (PREPOSITION)




전치사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전치사의 정의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전치사라고 하면 어렵게 생각하시는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전치사의 정의는 상당히 다양하지만 이 책에서는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정의하겠습니다. 




전치사 예문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 The boy was NEAR the house.  (소년이 집 근처에 있었다.)

    The deer are IN the park.         (사슴들이 공원 안에 있다.)

    The church is ON the hill.         (교회가 언덕 위에 있다.)


설명

- 이들 단어들, near, in, on 등은 전치사라고 불립니다.

- near는 집에 대한 소년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in은 공원에 대한 사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on은 언덕에 대한 교회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전치사의 정의


이렇게 전치사는 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여서, 그들과 다른 명사나 대명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명사나 대명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말이 어려울 수 있으니, ‘단어들을 연결해주는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전치사의 정의입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서 단어들을 연결해 주는 말입니다. 이 말을 줄여서 ‘전치사는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 문법 용어로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 spider is ON the wall.   (거미가 벽 위에 있다.)


여기서 전치사 on 다음에 있는 명사 ‘the wall'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됩니다.




이번시간에 배운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hile, during


during, while의 구별 (핵심정리 048)  동영상 강의




~동안: while, during(for)


이번에도 접속사와 전치사 중에서 헷갈리는 것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것은 while과 during(for)에 관한 구별입니다. 이 세 단어들은 우리말로 옮기면 모두 ‘~동안’이 됩니다. 하지만 쓰임과 의미가 다르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while, during


while과 during(for)을 먼저 보겠습니다. while과 during(for)은 구별이 쉽습니다. 

품사가 다르기 때문이죠. 

품사를 가볍게 정리해 볼까요?


while은 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절’이 와야합니다.

그렇지만 during(for)는 전치사입니다. 그러므로 ‘단어(명사)’가 와야 합니다. 


형식적인 구별이라 아주 간단합니다. 




적용


(1) My students fell asleep (while, during(for)) I taught something.

(2) My students fell asleep (while, during(for)) my teaching.


둘 다 의미는 같습니다. ‘내 학생들은 잠들었다/ 내가 가르치는 동안에.’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간단히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볼까요?


(1)번은 while을 써야합니다. 뒤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왔기 때문입니다. (2)번은 during입니다. 다음에 명사인 ‘my teaching'이 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while과 during(for)를 구별하는 것은 쉽습니다. 품사가 다르기 때문이죠. 



[정리]


while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을 쓰고 

during는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를 쓰면 됩니다. 


둘 다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상으로 '~동안'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lthough(though) despite





although, despite


 이번에는 although와 despite를 공부해보겠습니다. although와 despite역시 의미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둘 다 ‘비록 ~이지만’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although는 접속사, despite는 전치사라는 것만 다릅니다. 역시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접속사 전치사 문장규칙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접속사 다음에는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오고, 전치사 다음에는 ‘명사’가 옵니다.




예문


(1) (Although, Despite) we did our best, we lost the game.

(2) (Although, Despite) our best trial, we lost the game.


두 문장 다, ‘우리가 최선을 다했지만, 경기에 졌다’라는 뜻입니다. 


(1)번을 보면 ( )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접속사 although를 써야 합니다. (2)번에서는 ( ) 다음에 ‘our best trial'이른 명사가 왔습니다. 그러므로 전치사를 despite를 써야 합니다.




although와 despite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셨을 겁니다.


다음으로 넘어가기에 앞서 한 가지만 더 말씀 드리겠습니다.



although, though


although와 though의 차이에 관한 것입니다. 영어를 가르치다보면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although와 though'의 의미차이는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although는 격식을 갖춘 말이나 글에, though는 구어에서 더 자주 쓰인다는 것만 다릅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글에서도 though가 점점 더 자주 등장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는 헷갈리면 though라고 알고 계셔도 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because, because of

 

 

because, because of

because, because of 구별

이번 시간에는 "because, because of"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의미는 차이가 없지만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뒤에 오는 말이 달라집니다.

주의해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의 내용

1. 접속사와 전치사 문장규칙

2. because, because of

3. 규칙 적용

4.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접속사와 전치사 문장규칙

 이번에는, 의미는 같지만 혼동되는 접속사와 전치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접속사와 전치사에 대한 문장 규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접속사는 잘 아시는 것처럼 이어주는 말입니다.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전치사 역시 이어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전치사는 단어와 단어만을 이어 줍니다. 이것을 일반화 시키면 다음과 같은 문법규칙이 나옵니다.

 

 

이 규칙을 풀어보면, 접속사 다음에는 문장이 오고 전치사 다음에는 단어가 온다쯤 되겠습니다. 그럼 혼동되는 접속사와 전치사들을 보겠습니다.

2. because, because of

자주 혼동들 하시는데 because와 because of는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접속사인가, 전치사인가 하는 점만이 다릅니다. 

because는 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에 주어 동사가 있는 문장이 와야합니다. 그런데 because of는 전치사 of가 있으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전치사는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다음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실제 적용을 해봅시다.

 

3. 규칙 적용

① He can't even walk (because, because of) his fatness.

② He can't even walk (because, because of) he is fat.

 

이 두 문장은 의미가 같습니다. ‘그는 걷지도 못하다/ 비만이라서’나는 뜻입니다. 알맞은 단어를 골라 봅시다. ①번에서는 뒤에 단어인 ‘his fatness'가 왔습니다. 명사가 왔으므로 전치사 because of를 써야 합니다. ②번에서는 뒤에 ’he is fat'이라는 문장이 왔습니다. 절이 왔으므로 접속사 because를 써야 합니다.

 


4. 연습 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학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because because of 구별 문제.pdf
0.27MB
because because of 구별 - 정답.pdf
0.28MB

 


 

다음은 쓴 접속사 직전 정리입니다. 접속사에 관한 핵심 사항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