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사 타동사 구별 강의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의 기본 동사 유형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적어가 없으면 자동사, 목적어가 있으면 타동사"라고 기계적으로 분류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만만치가 않습니다. 

 

먼저 간단한 퀴즈 문장을 봅시다.

  • I walk my dog everyday.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있는 분들은 이 글이 필요없습니댜. 이미 상당한 영어 실력을 갖추신 분들로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은 글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장담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기본 정의

2. 자동사 예문

3. 타동사 예문

4.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5. 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기본 정의

영어 시간에 흔히 들었던 자동사와 타동사의 정의입니다.

  •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자동사 타동사 구별

 

대부분의 정의가 그렇듯이 깔끔하게 이해가 되는 것 같지만 막상 문장에 적용할 수가 없습니다. 문장에서 자동사와 타동사가 꼬리표를 붙이고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자동사와 타동사를 다음과 같이 쉽게 풀이해 보았습니다.

자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타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자동사 타동사 정의


2. 자동사 예문

자동사는 동작의 주체만 있으면 됩니다. 동작의 주체, 즉 주어의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접했던 동사들이 자동사에 해당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 I walk.
    나는 걷는다.

  • She sleeps.
    그녀는 잔다.

이 두 문장에서는 주어가 하는 행위가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즉 행위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를 자동사라고 합니다.

자동사: 동작이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자동사의 정의 예문


3. 타동사 예문

타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내용이 불충분합니다. 동작이 전해지는 대상이 필요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 I love her.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 killed the mosquito.
    그는 그 모기를 죽였다.

예문에서 동사 love나 kill은 주어의 동작이 전해질 대상(목적어)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동작이 전해질 대상이 필요한 동사를 타동사고 합니다.

타동사: 동작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타동사의 정의 예문


4.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영어에서 자동사들은 타동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Quiz. 문장에 대한 답이 나오는 곳이기도 하니 잘 보시기 바랍니다.

 

(1) walk (걷다, 걷게하다)

 ex) I walk my dog everyday.

      나는 내 개를 매일 산책시킨다.

→   산책시키는 대상이 필요.

 

(2) run

ex) I ran my dog to the door.

     나는 내개를 문까지 달리게 했다.

→  달리게 하는 대상이 필요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용

 

위 문장들은 상당히 어렵지만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것들입니다. 특히 자동사, 타동사를 엄격하게 구별하는 한국인들이 어려워하는 패턴들입니다. 그렇지만 영어를 영어답게 만드는 문장들이므로 잘 익혀 두어야 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자동사가 타동사를 전부 외워야 하나요?

모든 자동사를 외울 수도 없고 외울 필요도 없습니다. 헷갈리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영어사전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Q2. 자동사가 타동사가 시험에 자주 나오나요?

자동사, 타동사의 구별은 시험에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자동사가 타동사로 쓰이기도 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6. 연습 문제 다운 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pdf
0.16MB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그럼 이상으로 자동사,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d on 2025-05-02 by Song SSam

 

 

자동사 타동사 차이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코웃음 칠 정도로 많이 들어본 말들이지만 그렇게 만만한 개념들이 아닙니다. 영어를 공부하면 할수록 자신이 없어지는 것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입니다. 그러니 이번 기회에 두 문법 개념들을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3.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4.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자동사와 타동사, 어렵게 이해하기

공부를 일부러 어렵게 하려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유독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만큼은 참으로 어렵게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만 그랬던 걸까요? 대부분의 문법책에 실린 자동사와 타동사의 정의를 보면, 어렵게 공부하게 되는 이유를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대부분) 문법책에서 자동사와 타동사를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불친절한 정의

  • 자동사(in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
  • 타동사(transitive verb):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이러한 설명을 들으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감탄하듯 고개를 끄덕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를 충분히 이해했다고 생각하며, 금세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하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들이 머리를 스칩니다. 목적어가 정확히 무엇일까? 문장에서 목적어를 어떻게 구별하지?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어떤 것이 있지?

 

이 정의는 깔끔하고 투명하게 명백해 보이지만, 결코 친절한 설명은 아닙니다. 단지 이 정의만으로는 막막한 영어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앞서 잠시 언급했듯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은 영어를 오래 공부한 사람에게조차 어렵습니다. 영어를 전공한 지 수십 년이 지난 저도 자신이 없어 사전을 찾아볼 정도니까요. 그만큼 자동사와 타동사를 정확히 구별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자동사 타동사?


2. 자동사와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자동사와 타동사를 친절하고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추상적인 정의보다는 실제 동사의 의미와 쓰임에 맞춘 실용적인 정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면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개념이니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요. (농담입니다. 마음껏 가져가서 활용하세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봅시다.

 

친절한 설명

  • 자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다.
  • 타동사: 동작(행위)이 다른 대상에게 전해진다.

자동사부터 살펴 봅시다.

 

2-1. 자동사 쉽게 이해하기

  • I walk. 나는 걷는다.
  • I sleep. 나는 잔다.

내가 걸으면 되고, 내가 자면 됩니다.

동작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필요 없습니다.

 

달리 말하면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친절한 정의

자동사(intransitive): 동작이 전해지지 않는 동사

 

자동사는 "동작의 대상이 필요하지 않는 동사"입니다. 그 행위나 동작을 위한 대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동작의 대상을 목적어라고 합니다!  

 

결국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자동사: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였습니다.

단지 친절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자동사를 이해하면 타동사는 거저 먹기입니다.

자동사의 정의


2-2. 타동사 쉽게 이해하기

 

타동사 예문을 봅시다.

  • I love her.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 killed the tiger. (그는 호랑이를 죽였다.)

자동사들과는 달리 타동사는 혼자서 행위나 동작을 할  수 없습니다.

 

Love,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사랑할 대상이 필요합니다.

 

Kill, 역시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죽일(!) 대상이 필요합니다.

 

love kill에서 보앗들이 타동사에서는 주어의 행위가 대상에게 전달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타동사의 정의

 

행위가 전해지는 동사 => 행위의 대상이 필요한 동사.

행위의 대상을 문법 용어로 목적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타동사(transitive): 동작이나 행위가 대상에게 전해지는 동사
                         →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역시 완벽한 정의입니다.

이제는 이해가 됩니다.

 

이와 같은 사고 과저을 거쳐서 우리가 잘 아는 자동사, 타동사의 정의가 나옵니다.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3. 자동사와 타동사 차이 핵심정리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자동사 타동사
목적어 필요성 목적어 필요 없음 목적어 반드시 필요
행위 전달 여부 전달되지 않음 전달됨
예문 I walk.
I sleep.
I love you.
He killed the tiger.

4.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pdf
0.16MB
자동사 타동사 구별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4월 19일 by Song SSam

자동사 타동사 규책

자동사 타동사 규칙

자동사와 타동사 규칙

영문법의 기초이자 영어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개념을 확실히 이해해 봅시다. 자동사와 타동사를 정확히 이해하면 영어 공부가 더욱 쉬워집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자동사 + 전치사

2. 자동사는 수동태 불가

3. 타동사의 활용

4. 4형식 수동태 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자동사 + 전치사

동사 look은 "~처럼 보이다"는 뜻으로 자동사입니다. 그러므로 look 다음에 명사를 쓸 수 없습니다. 그런데 다음 예문들에서는 look 다음에 전치사와 명사가 왔습니다.

(1) She looks at me.

    (그녀는 나를 본다.)

(2) She looks for me.

    (그녀는 나를 찾는다.)

(3) She looks into the purse.

    (그녀는 지갑을 들여다본다.)

자동사 look 다음에 전치사를 쓴 이유가 무엇일까요?

 

자동사들은 원칙적으로 목적어(명사)를 취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자동사 다음에 전치사를 쓰면 위 문장들에서와 같이 목적어(명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자동사 + 전치사 + 목적어

 

2. 자동사는 수동태 불가

수동태의 주어는 능동태의 목적어에서 옵니다. 그런데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에서 주어로 쓸 수 있는 말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잘못된 예)

  • I am looked by her. (X)

    ‘look at’처럼 전치사를 동반한 자동사는 "look at" 통째로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자동사 look 자체만으로는 절대 수동태가 불가능합니다.

참고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수동태 (핵심정리 007)

 

3. 타동사의 활용 (능동태 vs 수동태)

  • 규칙 1: 타동사는 능동태일 경우 반드시 ‘목적어 명사’와 함께 써야 합니다.
  • 규칙 2:  타동사를 수동태로 고친 경우에 'be + 타동사의 p.p' 다음에는 원칙적으로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타동사의 활용 규칙을 확인해 봅시다.

  • 규칙 1 예문
    He spent (all money). (능동태)

  • 규칙 2 예문
    All money was spent ( ) by him. (수동태)

"규칙 1 예문" 에서는 능동태 spent 다음에 목적어(명사) 'all money'가 왔습니다. (2)번에서는 타동사가 spent가 수동태로 쓰였기 때문에 다음에 ‘목적어(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타동사 spent 활용

 

4. 4형식 수동태 예문

그렇지만 4형식 동사는 이 규칙의 예외입니다. 4형식 동사는 목적어가 두 개이기 때문에 수동태 형태가 두 가지로 가능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My wife gave me a car. (능동태)      (4형식 동사 give)

     (내 아내가 나에게 차를 주었다.)

4형식 수동태 예문

  • I was given a car by my wife.          (me를 수동태의 주어로)
  • A car was given to me by my wife.   ( a car를 수동태의 주어로)

give는 4형식 동사이므로 목적어가 두 개입니다. 그러므로 두 개의 수동태가 나옵니다. 그래서 예문과 같은 두 가지 형태의 수동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 이렇게 헷갈리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그러니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에는 명사가 올 수 없다고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자동사 타동사 규칙 문제.pdf
0.18MB
자동사 타동사 규칙 문제 정답.pdf
0.17MB

 

 

그럼 이상으로 자동사 타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오늘 공부할 타동사들입니다.

(attend, believe, enter, reach, leave)


타동사들은 자동사로 쓰여서

1. 다음에 전치사가 올 수 있고, 

2, 의미가 달라집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1. 

 attend

 (타동사)

 참석하다

 

 attend to

 (자동사)

 ~에 주의하다

 2.

 believe

 (타동사)

 믿다

 

 believe in

 (자동사)

 ~의 존재를 믿다

 3. 

 enter

 (타동사)

 (구체적인 장소에) 들어가다

 

 enter into

 (자동사)

 (추상적인 것을) 시작하다

 4.

 leave

 (타동사)

 (남겨두고) 떠나다

  leave for

 (자동사)

 ~을 향해 떠나다
  leave from  (자동사) ~으로부터 떠나다
 5. reach (타동사) ~에 도착하다, 도달하다
  reach for (자동사)

 (~을 향해) 손을 뻗다


  

각 동사별 예문을 보겠습니다.


attend


1. attend  (타동사)  참석하다

   I attended the lecture.

   (나는 그 강연에 참석했다)


1-1. attend (자동사) 주의를 기울이다

   I attended to the lecture.

   (나는 그 강연에 주의를 기울였다)



believe


2. believe  (타동사)  ~을 믿다

   I believe you.

   (나는 너를 믿는다


2-1. believe in  (자동사)  ~의 존재를 믿다

   I believe in ghosts.

   (나는 유령의 존재를 믿는다)




enter


3-1 enter  (타동사)  (구체적인 장소에) 들어가다

     I entered the college.

     (나는 대학에 들어갔)


3-2 enter into  (자동사)  (추상적인 것을) 시작하다

    I entered into the college life.

    (나는 대학생활을 시작했다)




leave


4-1. leave   (타동사)  떠나다

    She left me.

    (그녀는 나를 떠났다)


4-2. leave from  (자동사)  ~으로부터 떠나다

    She left from me.

    (그녀는 나로부터 떠났다)


4-3.  leave for  (자동사)  ~을 향해 떠나다

    She left for another guy.

    (그녀는 떠나버렸다/ 다른 남자에게로)





See you later!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분사 과거분사 구별  (2) 2013.05.21
3형식 동사 (주의할 타동사)  (10) 2013.05.20
목적어 (object)  (6) 2013.05.16
주어 (subject)  (2) 2013.05.16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이번시간부터 4 시간에 걸쳐 3형식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첫 번째 3형식 동사부터 공부하겠습니다.


3형식 동사는 타동사


3형식 동사는 기본적으로 타동사입니다. 타동사는 자동사와는 달리 주어의 행위가 다른 대상(목적어)에게 전달됩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1) I slept.

    (나는 잤다)

(2) I hit him.

    (나는 그를 때렸다)


1번에서 slept라는 동사의 행위는 다른 대상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동사입니다.

2번에서 hit라는 행위는 그(him)에게 전해집니다. 그래서 hit는 타동사가 됩니다.




2. 완전타동사, 불완전 타동사


그리고 3형식에 쓰이는 타동사를 특히 ‘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완전 타동사란 무엇일까요?


예문을 봅시다.


3.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이들에게 지어줬다/ 작은 정원을)


4. The boys elected him captain.

   (소년들이 그를 선출했다/ 주장으로)




예문 설명


3번에서 동사 built는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를 받는 간접목적어(my children)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4번에서 동사 elect는 목적어 him을 설명하는 목적보어 captain을 추가로 필요합니다.


이렇게 목적어외에 간접목적어나 목적보어가 필요한 타동사를 불완전 타동사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I hit him'에서 hit는 직접목적어만 있으면 문장이 성립합니다. 그래서 hit와 같은 3형식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3형식 동사는 완전타동사이다.

 

꼭 기억하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 (subject)  (2) 2013.05.16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4형식 수동태  (20) 2013.05.10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