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의미 총정리

조동사 의미 총정리

영어 조동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조동사(modals)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는 문장의 뉘앙스를 바꾸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의도치 않은 오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조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확실히 익혀 봅시다.

 

각 조동사들은 모두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의미들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의미 하나만 정리해두고 문장을 통해서 익히면 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이 아주 깁니다. 커피 한 잔과 함께 찬찬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쓰는 저도 있으니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 😄👍)

 

그럼 시작합시다!


영어에는 30개 남짓한 조동사들이 있습니다. 찾아보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학자가 아니라면 그렇게 할 이유도 필요도 없습니다. 이 조동사들로도 충분합니다.

 

설명을 위해서 조동사들을 "단순형, 조합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단순형"은 말 그대로 단어 하나로 구성된 조동사들입니다. "조합형"은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것들입니다.

단순형, 조합형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동사"하면 떠오르는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말들입니다. "조동사 + 동사원형"이라고 알고 있는 표현들입니다. 단순형 조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1. 단순형 조동사 의미 정리

will: ~할 것이다 would: ~할 것이다 can: ~할 수 있다 could: ~할 수 있었다 shall: ~일 것이다 should: ~해야 한다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might: ~일지도 모른다 must: ~해야 한다 dare: 감히 ~하다 need: ~할 필요가 없다 do, does, did: 정말로

1-2. 단순형 조동사 활용

단순형 조동사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뜻만 정리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많이 보던 것들이라 크게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will ~할 것이다 She will arrive soon.
would ~할 것이다 / ~하곤 했다 I would help if I could.
can ~할 수 있다 I can play guitar.
could ~할 수 있었다 / ~할 수도 있다 She could swim fast.
shall ~일 것이다 We shall see.
should ~해야 한다 You should rest more.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It may rain today.
might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arrive late.
must ~해야 한다 You must stop now.
dare 감히 ~하다 How dare you say that?
need ~할 필요가 없다 You need not worry.
do, does, did 정말로 I do love you.

 

이들 조동사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 원형 와야 합니다. 또한 조동사 "do"는 시제와 인칭 변화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단순형 조동사들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합형 조동사는 여러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한 단어처럼 쓰입니다. 조합형 조동사는 한 단어처럼 활용되므로 중간에 부정어 등을 끼워 넣을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은 잘못된 것들입니다.

  • 잘못된 표현
    had not better
    may not as well

  • 옳은 표현
    had better not
    may as well not

 

2-1. 조합형 조동사 의미 정리

다음은 대표적인 조합형 조동사들입니다.

ought to: ~해야 한다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used to: ~하곤 했었다 have(has) to: ~해야 한다 have got to: ~해야 한다 be able to: ~할 수 있다 be going to: ~할 것이다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2-2. 조합형 조동사 활용

조합형 조동사들은 한 단어처럼 알아 두어야 합니다. 모두가 워낙 많이 쓰는 것들이니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ought to ~해야 한다 You ought to study harder.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You had better leave now.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I'd rather stay home.
used to ~하곤 했었다 He used to swim every morning.
have(has) to ~해야 한다 She has to finish the work.
have got to ~해야 한다 I've got to leave early today.
be able to ~할 수 있다 He will be able to attend.
be going to ~할 것이다 I'm going to visit Paris.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You may well be confused.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e may as well wait here.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I'd sooner resign than accept this.

 

조합형 조동사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조합형 조동사는 언뜻 보기에는 "숙어" 표현들과 형태가 같습니다. 그렇지만 숙어와는 달리 조합형 조동사들은 독립적으로 동사가 될 수 없습니다.

 

3-1. 숙어는 동사로 사용  가능

예를 들어, "make fun of"라는 숙어는 다음 예문에서 처럼 문장에서 동사로 쓸 수 있습니다.

  • She made fun of me.
    → "made fun of"는 목적어(me)를 취하는 타동사 역할

3-2. 조동사는 동사로 사용 불가능

그런데 복합조동사 "may as well"은 어떤가요? 

  • She may as well me. (잘못된 문장)
    "may as well"은 동사 역할을 할 수 없음

"may as well"은 반드시 동사 앞에서만 쓰일 수 있습니다.

  • She may as well apologize.
    "may as well"은 동사 apologize를 보조

 복합 조동사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조동사인 것입니다.

복합형 조동사 + 동사

 

외웁시다!

현실적으로 조합형 조동사들을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단 외워야 합니다. 고급영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니 철저하게 암기한 다음 활용하셔야합니다. 'should, must, had better, have to, have got to' 편에서 설명하겠지만 조동사 잘못 사용하면 인간관계 망칠 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속마음)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had better"와 "may as well"은 둘 다 "~하는 것이 낫다"인데 차이점이 있나요?

A1. 네, 차이가 있습니다. "had better"는 강한 권고나 경고에 가깝습니다. 하지 않으면 나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Q2. "ought to"와 "should"는 의미가 같은데 언제 구별해서 써야 하나요?

A2. 두 표현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ought to"는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should"는 일상 대화에서 더 흔하게 쓰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pdf
0.16MB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이상으로 조동사 의미 총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7 07:22 by Song SSam

 

must





must의 두 가지 용법


이번 시간에는 must에 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must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의무 : ~해야 한다.

(2) 추측 : ~임에 틀림없다.




(1) (2)번을 같이 설명하면 혼동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의무를 나타내는 must


우선 의무를 나타내는 must를 봅시다. must가 의무를 나타낼 때는 ‘~해야 한다’로 해석합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have to'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단, 'have to'는 ‘~해야 한다’로만 쓰이고 추측을 나타내는 ‘~임에 틀림없다’로는 쓰일 수 없습니다.


    ~해야 한다.

ex)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해야 한다


must가 ‘~해야한다’는 의미일 경우는, must 하나만 보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문제는 영어에 ‘~해야 한다’라는 조동사들이 여럿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동사들은 화자의 감정(뉘앙스)을 표현하기 때문에, 잘못 쓰면 듣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 온지 얼마 안되는 영어권 native들은 한국식 'must' 남발에 적응을 못합니다. 우리는 별 뜻 없이 ‘권유’로 말한 것이지만, 외국인이 듣기에는 ‘강요’로 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해야 한다’라는 조동사를 강제성을 기준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should        <     must      < have to

(ought to)                         (have got to)




(1) should (ought to)


아무 때나 쓸 수 있는 안전한 표현입니다. should는 호의어린 조언입니다. 전혀 강제성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해야한다’를 쓸 때에는 'should‘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 must


‘~해야한다’이지만 상당히 강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상대방에게 ‘너 그것 안하면 안돼 임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A, B의 대화를 가정해 봅시다. B의 어머니가 쓰러지셔서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A가 아직, 이것을 모르고 있는 B에게, 이 사실을 전하며 하는 말입니다.


A: What are you doing here?

    Your mom was in hospital.

    You MUST go there now!


이 쯤 되는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must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must를 함부로 사용한다면? 상당히 오버하고 과장하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겁니다.




(3) have to(have got to)


have to와 have got to 역시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have got to는 'have to'와 같은 뜻입니다. 그저 ‘have got to'는 구어적 표현이라는 정도만 다릅니다. 단어가 합쳐져서 일까요? 강제성이 가장 강한 것이 ’have to'입니다. ‘have to'는 정말 안하면 안되는 상황입니다. 


말하는 사람이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것입니다.

상습적으로 늦게 출근하는 직원 B에게 사장 A가 하는 말입니다.


A: You have to be on time on your work.


이 말은 아무리 조용히 해도 뉘앙스는 서로 다 알고 있습니다. ‘너 또 늦으면 짐싸야 한다...’ 아래 사람은 윗사람에게 쓸 수 없는 말입니다. 초면에, 아무리 웃으면서 ‘x자식’ 해봤자 상대방은 기분나빠합니다. ‘x자식’이 가지고 있는 뉘앙스를 서로 알기 때문입니다.




짤릴 가능성


그럼 다음에서 가장 짤릴 가능성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일까요.


(1) You should be on time on your work.

(2) You must be on time on your work.

(3) You have to be on time on your work.


분명히 3번입니다. (1)번은뜻 없습니다. ‘자네 좀 일찍 다니게나.’입니다. (2)번은 심각해졌습니다. 짤릴 가능성 80%를 넘어섰습니다. (3)번은 거의 막장입니다. 아마 한 번 더 늦으면 짤릴 것 같습니다.




이제 ‘~해야한다’ 표현들, ‘should, must, have to'에 대하여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에는 추측을 나타내는 must를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need, dare 용법  (0) 2013.03.05
have got to, may well, may as well, would sooner (예문)  (9) 2013.03.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