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의미 총정리

조동사 의미 총정리

영어 조동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조동사(modals)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는 문장의 뉘앙스를 바꾸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의도치 않은 오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조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확실히 익혀 봅시다.

 

각 조동사들은 모두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의미들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의미 하나만 정리해두고 문장을 통해서 익히면 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이 아주 깁니다. 커피 한 잔과 함께 찬찬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쓰는 저도 있으니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 😄👍)

 

그럼 시작합시다!


영어에는 30개 남짓한 조동사들이 있습니다. 찾아보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학자가 아니라면 그렇게 할 이유도 필요도 없습니다. 이 조동사들로도 충분합니다.

 

설명을 위해서 조동사들을 "단순형, 조합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단순형"은 말 그대로 단어 하나로 구성된 조동사들입니다. "조합형"은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것들입니다.

단순형, 조합형


1. 단순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동사"하면 떠오르는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말들입니다. "조동사 + 동사원형"이라고 알고 있는 표현들입니다. 단순형 조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1. 단순형 조동사 의미 정리

will: ~할 것이다 would: ~할 것이다 can: ~할 수 있다 could: ~할 수 있었다 shall: ~일 것이다 should: ~해야 한다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might: ~일지도 모른다 must: ~해야 한다 dare: 감히 ~하다 need: ~할 필요가 없다 do, does, did: 정말로

1-2. 단순형 조동사 활용

단순형 조동사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뜻만 정리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많이 보던 것들이라 크게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will ~할 것이다 She will arrive soon.
would ~할 것이다 / ~하곤 했다 I would help if I could.
can ~할 수 있다 I can play guitar.
could ~할 수 있었다 / ~할 수도 있다 She could swim fast.
shall ~일 것이다 We shall see.
should ~해야 한다 You should rest more.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It may rain today.
might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arrive late.
must ~해야 한다 You must stop now.
dare 감히 ~하다 How dare you say that?
need ~할 필요가 없다 You need not worry.
do, does, did 정말로 I do love you.

 

이들 조동사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 원형 와야 합니다. 또한 조동사 "do"는 시제와 인칭 변화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단순형 조동사들


2.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와 예문

조합형 조동사는 여러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한 단어처럼 쓰입니다. 조합형 조동사는 한 단어처럼 활용되므로 중간에 부정어 등을 끼워 넣을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은 잘못된 것들입니다.

  • 잘못된 표현
    had not better
    may not as well

  • 옳은 표현
    had better not
    may as well not

 

2-1. 조합형 조동사 의미 정리

다음은 대표적인 조합형 조동사들입니다.

ought to: ~해야 한다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used to: ~하곤 했었다 have(has) to: ~해야 한다 have got to: ~해야 한다 be able to: ~할 수 있다 be going to: ~할 것이다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2-2. 조합형 조동사 활용

조합형 조동사들은 한 단어처럼 알아 두어야 합니다. 모두가 워낙 많이 쓰는 것들이니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조합형 조동사 대표 의미 예문
ought to ~해야 한다 You ought to study harder.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You had better leave now.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I'd rather stay home.
used to ~하곤 했었다 He used to swim every morning.
have(has) to ~해야 한다 She has to finish the work.
have got to ~해야 한다 I've got to leave early today.
be able to ~할 수 있다 He will be able to attend.
be going to ~할 것이다 I'm going to visit Paris.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You may well be confused.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We may as well wait here.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I'd sooner resign than accept this.

 

조합형 조동사

3. 조합형 조동사와 일반 숙어의 차이

조합형 조동사는 언뜻 보기에는 "숙어" 표현들과 형태가 같습니다. 그렇지만 숙어와는 달리 조합형 조동사들은 독립적으로 동사가 될 수 없습니다.

 

3-1. 숙어는 동사로 사용  가능

예를 들어, "make fun of"라는 숙어는 다음 예문에서 처럼 문장에서 동사로 쓸 수 있습니다.

  • She made fun of me.
    → "made fun of"는 목적어(me)를 취하는 타동사 역할

3-2. 조동사는 동사로 사용 불가능

그런데 복합조동사 "may as well"은 어떤가요? 

  • She may as well me. (잘못된 문장)
    "may as well"은 동사 역할을 할 수 없음

"may as well"은 반드시 동사 앞에서만 쓰일 수 있습니다.

  • She may as well apologize.
    "may as well"은 동사 apologize를 보조

 복합 조동사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조동사인 것입니다.

복합형 조동사 + 동사

 

외웁시다!

현실적으로 조합형 조동사들을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단 외워야 합니다. 고급영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니 철저하게 암기한 다음 활용하셔야합니다. 'should, must, had better, have to, have got to' 편에서 설명하겠지만 조동사 잘못 사용하면 인간관계 망칠 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속마음)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had better"와 "may as well"은 둘 다 "~하는 것이 낫다"인데 차이점이 있나요?

A1. 네, 차이가 있습니다. "had better"는 강한 권고나 경고에 가깝습니다. 하지 않으면 나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Q2. "ought to"와 "should"는 의미가 같은데 언제 구별해서 써야 하나요?

A2. 두 표현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ought to"는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should"는 일상 대화에서 더 흔하게 쓰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pdf
0.16MB
조동사 의미 총정리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이상으로 조동사 의미 총정리를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7 07:22 by Song SSam

 

had better 사용법

had better 의미

had better의 정확한 사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상당히 위험한) 표현인 "had better"를 보겠습니다. 많은 학습자들은 이 말이  부드러운 권유 표현이라고 착각합니다. "had better"가 흔히 "~하는 것이 더 낫다"라고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표현은 매우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뉘앙스를 가진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조동사 had better의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 그리고 should, must와의 미묘한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겠습니다.

 

조동사 had better의 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조동사 had better 용법 보기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had better의 강압적인 뉘앙스

2. should vs had better 올바른 선택

3. 한눈에 보는 had better 정리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had better의 강압적인 뉘앙스

had better는 부드러운 권유 표현이 아닙니다!

 

had better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하는 것이 더 낫다"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should(~해야 한다)보다 덜 강력한 권유의 의미라고 오해합니다. 선택의 여지를 줘서 상대방을 배려한다는 느낌이 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had better는 오히려 must나 have to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권위적인 명령의 느낌을 담고 있습니다.

 

예문을 살펴볼까요?

(1) You had better be present at your desk on time.
      (정시에 출근하는 게 좋을 거야.

(2) You had better not annoy me.
     (날 화나게 하지 않는 게 좋을 거야.)

 

언뜻 보면 평범한 권유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had better가 가진 숨겨진 뉘앙스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1)*번 문장은 인사권을 가진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출근 제대로 하라고 경고하는 뉘앙스입니다.
크게 소리 지를 필요가 없습니다. 갑과 을의 관계가 확실하니까요.

 

(2)번은 총을 든 강도가 피해자에게 하는 조용한 위협입니다. 이 말은 더욱 선택의 여지가 없는, 권위적이고 협박에 가까운 명령입니다.

숨은 뉘앙스

영어에서 had better는 이런 상황에서 자주 쓰입니다. 자체가 부정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 그러니 친구나 동료 같은 동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면, 바로 불쾌감을 주는 표현이 됩니다.

 

처음 만난 한국사람에게, 아무리 부드러운 목소리로 ‘dog 새끼’해봤자입니다. 바로 싸대기가 날라듭니다. 말하는 태도의 문제가 아닙니다. ‘X새끼’라는 말 자체가 지닌 부정적 뉘앙스 때문입니다.

 

‘had better'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권위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동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had better'라고 말하면 당장, ‘니가 뭔데?’라는 반응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You had better not use 'had better'.

 

그러므로 had better를 가장 잘 쓰는 방법은?

쓰지 않는 것입니다.

함부로 쓰지 마세요.


2. should vs had better 올바른 선택

그렇다면 상대방에게 친절하게 조언하고 싶을 때 어떤 표현을 써야 할까요? 바로 should입니다.

  • You should finish this now.
    (지금 끝내는 게 좋겠어.)

우리말로 옮기면 "강한 의무" 같지만 should는 사실 가벼운 조언의 뉘앙스입니다. 듣는 사람이 전혀 불쾌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had better와 같은 강압적이고 권위적 뉘앙스가 없습니다.

 

그러니 평범한 조언이나 친절한 권유는 반드시 should로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 You should use "should" in giving advice.
    (조언을 할 경우에는 "should"를 쓰세요.)

조동사 should를 들이파고 싶은 분이라면 다음 게시물 강추합니다.

영어 조동사 should 완벽 정리


3. 한눈에 보는 had better 정리

역시 한국 사람은 표입니다. 그래서 학습 내용을 표로 정리해 봤습니다. 

표현 뉘앙스 적합한 상황
had better 강압적, 권위적, 명령적 상사 → 부하, 위협적 상황 등
should 부드럽고 친절한 권유 친구, 동료 등 동등한 관계에서 사용 가능
must / have to 강력한 의무·필요 (상황적 압박) 규칙, 법적 책임, 강력한 필요 상황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had better 연습문제.pdf
0.26MB
had better 연습문제 정답.pdf
0.29MB

 

 

그럼 이상으로 had bet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025년 4월 15일 업데이트 by Song SSam

조동사 예문들 (1-4)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합형 조동사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별 의미와 예문만 보겠습니다. 각 조동사별 용법은 별도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주의할 사항 2


반드시 기억해 두셔야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이 조합형 조동사들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온다는 것입니다. 

둘째, 한 단어 취급해야 합니다.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I would rather not steal.

(나는 훔치지 않겠다.)


would rather는 한 단어입니다. 그러므로 부정부사는 'would rather' 다음에 와야 합니다. 'would not rather'가 되면 안 됩니다. 그리고 'would rather'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동사원형 'steal'이 왔습니다.




can으로 유추


I can not steal.

(나는 훔칠 수 없어.)


이 예문에서, not의 위치와 steal의 형태를 보면 이해가 더 빠르실 겁니다. 부정부사 'not'은 조동사 다음에 위치하고, 'not'이 끼어 들었지만 'steal'은 동사원형입니다. 그럼 예문을 보겠습니다. 




조합형 조동사와 예문들 



ought to + 동사원형


1. (의무) ~해야 한다.

   You ought to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had better + 동사원형


2, ~하는 것이 낫다.

   You had better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 제시간에 와야합니다/ 직장에.)




would rather + 동사원형


3. 차라리 ~하겠다.

   I would rather steal than starve.

   (나는 차라리 훔치겠다/ 굶주리느니.)




used to + 동사원형


4. ~하곤 했었다. (지금은 안 한다.)

   My son used to play with Lego.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었다.)




다음에는 예문 5-8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 may have p.p  (7) 2013.03.03
used to, be used to 구별  (8) 2013.03.03
can, be able to  (8) 2013.03.01
can not have pp, could not have pp  (7) 2013.02.28
can의 용법  (0) 2013.02.28

소심한 자식... 


 그 외국인이 왜 그랬는지는 지금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단지 나중에 영어를 더 공부하면서 ‘had better’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입니다.

 
몇몇 외국인 친구들이 그러더군요. 한국인들이 고압적이라고. 그 이유를 물어봤더니, 한국인들은 너무 자주 must와 had better를 쓴다고 하더군요.


 ‘must’는 이해가 갔습니다. 개인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걔네들에게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것은 강요처럼 들렸나 봅니다.


 그런데 ‘had better’는요?' '~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완곡한 표현이잖아요? 그렇지 않습니다. ‘had better’는 힘의 차이가 전제된 상황에서 쓰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죠?


BOSS

한얼 아빠, 요즘 자주 늦는군요. 출근 제 때 하는 것이 좋겠어요.
(You had better be on time.)


한얼 아빠

...


정중한 형식이지만 내용은 분명합니다.


 
내가 Boss야, 너 제대로 안하면 짤린다.


 ‘had better’는 주로 이런 상황에 쓰더군요. 기분이 나쁠 것도 같습니다. 모르는 사람이 아무리 정중하게 씩 웃으면서 ‘x 새끼’하면 열 받는 거랑 비슷한 이치죠. 요컨데 말이 그 말 자체의 뉘앙스가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해야 한다’라고 일반적으로 말할 경우라면 어떻게 할까요?


should를 씁시다.



‘should’를 쓰면 됩니다. 외국인들은 ‘should’는 아주 편하게 받아들이더군요.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똑 같은 ‘~해야 한다’인데 걔네들에게는 뉘앙스가 다른가 봅니다. 아마 이쯤 되겠죠.


엄마가 아들에게.

You should eat your breakfast.


이렇게 몸으로 배운 것들은 잊혀지지 않습니다. 조금 아프지만요. ‘should’를 씁시다. ‘must’, ‘had better’는 가능하면 쓰지 맙시다.


 



 


’had better, must’ 그리고 ‘should’


 
 대학시절 5월의 어느 날이었습니다. 맑은 하늘과는 달리 시국은 엄중할 때 였습니다. 대중음악보다는 민중가요가 울려 퍼지고 있을 때였으니까요. 
 
 ‘님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지는 학교 정문에서 친구를 기다리고 있을 때였습니다. 니콘 fm-2를 목에 건 외국인이 정문으로 오고 있었습니다. 순간 기대가 되었습니다. 저 번의 ‘Can you speak Korean? 사건 이후로 영어 speaking 공부를 좀 했거든요. 

 ‘제발 말을 걸어라...’


 외국인은 제게 말을 걸었습니다. 한국말로요.


‘학생회관이 어디인가요?’


도대체 외국인들이 왜 그리 한국말을 잘 하는 건지 원.

 외국인에게 일부러 영어로 설명해 주었습니다. 길 안내는 영어로 할 정도가 되었거든요. 영어를 할 줄 아는(?) 친절하고 잘 생긴 한국인을 발견하고서 그 외국인 남자는 안도하는 표정이었습니다. 
 
 기회를 놓치지 않고 ‘Come with me.’라고 말하며 그를 안내하기 시작했습니다.


 ‘미안해 친구야!.’
 

 조금 되는 영어를 학대하면서 꽤 오랜 시간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괜찮은 분위기였습니다. 

 시위현장은 그날 따라 살벌했습니다. 바람에 날린 먼지에 노란 최루탄 가루가 남아있을 정도였으니까요. 외국인은 필름을 갈면서 열심히 기계식 카메라 셔터를 누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문제의 사건이 터졌습니다. 

 시위대 한 명이 우리를 가리키더군요. 아마 촬영하는 것이 거슬렸나 봅니다. 그 외국인은 분위기 파악을 못 한 채 계속 촬영 중이었고요. 제게 연신 ‘Thanks’를 날리면서요.

 제가 한 마디 했습니다.
  
 

“You had better not take the picture.”

 

 순간 카메라에서 눈을 뗀 녀석의 표정이 싸하게 굳더군요. 너무나 돌변한 반응에 당황한 저를 노려보던 그 친구가 했던 한 마디가 기억납니다.


 “I’d better go alo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