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포크너의 곰 (William Falkner, The Bear)



참 잘 된 번역


 문학작품은 간접 경험입니다. 훌륭한 문학작품은 삶에 대해 새롭고 심오한 깨달음을 줍니다. 하지만 우리가 얻는 깨달음은 작가의 희생을 댓가로 한 것입니다. 일급 작가는 일상을 돌아볼 여유가 없는 우리를 대신해 글 감옥에 갇힙니다. 그들은 그 좁은 세상에서 자신의 영혼을 학대합니다. 그들은 그렇게 얻은 인생에 대한 통찰력을 우리에게 전해 줍니다. 훌륭한 문학작품은 우리의 본성에 직접 호소하기 때문에 보편적입니다.

 

외국어 문학 작품은 번역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번역은 어쩔 수 없이 원작을 일정부분 훼손합니다. 시를 산문으로 옮기면 풍부함이 사라지고, 사투리를 표준말로 옮기면 맛깔스러움이 사라지듯이, 외국어를 자국어로 번역하면 풍부함과 맛깔스러움이 줄어듭니다. 여기에 번역가의 능력이나 지나친 의욕이 원글을 훼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훌륭한 번역가는 원작자 다음으로 중요한 존재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번역가지만, 번역가는 숙명적으로 그림자입니다. 번역가가 앞에 나서는 순간 원작이 빛을 잃기 때문입니다. 번역가는 작가의 한 걸음 뒤에서, 자신을 감추고 작가를 살려야 합니다. 번역이 잘 되면 원작자가 칭송을 받습니다. 번역이 허섭한 경우에만 번역가가 욕을 먹습니다. 음지에서 일하고 음지를 지향해야 하는 것이 번역가의 숙명입니다.


문학동네에서 번역한 곰(The Bear)은 훌륭합니다. 내용만큼이나 신비하고 심오한 Faulkner의 문장들을 깔끔하고 정갈하게 번역했습니다. 영어를 업으로 삼는 사람에게도 포크너의 글은 어렵습니다. 포크너가, 글을 분명하게 쓰는 것에는 의도적으로 관심이 없는 작가이기 때문입니다. 포크너에게 세상은 어지럽고 복잡합니다. 그러므로 세상을 담는 글도 어지럽고 복잡합니다. 둘째 가는 어지러운 영어 글을-첫 번째는 제임스 조이스입니다- 이렇게 깔끔하게 번역한 민은영 역자에게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민은영 역자와는 스쳤던 인연이 있습니다. 멋모르던 대학 시절에 만나 공부한 인연입니다. 작가의 외모와 목소리가 주는 선입견을 넘어설 만큼의 대화도 나누지 못한 인연이었습니다. 곰(The Bear)이라는 훌륭한 책을 통해 민은영 역자를 다시 만나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역시 스쳐만 지나갔던 영문학의 걸작을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은영양, 힘들겠지만 훌륭한 번역 계속해야 한다!!)




윌리엄 포크너의 곰 (Faulkner, The Bear)


윌리엄 포크너는 1949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헤밍웨이와 더불어 미국 소설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린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입니다. 현재 포크너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포크너의 작품은 난해합니다. 그는 쉼표를 너무 사랑하고 마침표를 무지 싫어하던 작가였습니다. 도대체가 주어·서술어를 찾기 힘든 긴 문장들을 읽다보면 포크너가 의도한 내용적 몽환지경에 빠지게 됩니다. 제임스 조이스가 의식의 흐름으로 노렸던 내면적 깨달음을 포크너는 끝없는 문장의 흐름으로 추구하고 있습니다.


곰(the bear)은 1942년에 발표된 포크너의 소설입니다. 5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남북전쟁 (1861-1865) 이후의 남부 사회를 배경으로 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쓰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사라져 가는 ‘남부’에 대한 향수를 담고 있습니다. 미첼여사의 남부는 매력적인 주인공들이 ‘연기’하는 로망스의 배경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포크너의 남부는 세상의 축소판입니다. 곰으로 대표되는 자연, 소년으로 대표되는 인간, 그리고 소유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의 삼중주입니다.


'곰(The Bear)'은 수렵액션(Hunting Action) 소설이 아닙니다. 실제로 곰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곰(Old Ben)’을 사냥할 생각이 별로 없습니다. 매년 상당한 규모로 모여서 곰 사냥을 떠나기는 하지만 웬지 의식에 가깝습니다. 주인공 소년은 Old Ben을 불멸이라고 여기며, 직접 마주하고도 총을 쏘지 않습니다.


The Bear에 나오는 곰은 ‘Old Ben'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Old Ben은 단순히 크고 사나운 야생동물이 아닙니다. 이 곰은 오랜 시간 인간을 위협하면서도 함께 해 왔던 숲(자연)의 정령입니다.


'곰(Old Ben)‘을 진정으로 사냥하려고 하는 존재는 분(Boon)이라는 인물과 라이언(Lion)이라는 맹견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라이언이라는 개는 웬지 Old Ben을 거두기 위해 숲이 보낸 또 하나의 정령으로 보입니다. ’곰‘이 죽은 다음에 ’라이언‘도 숨을 거두기 때문입니다. 또한 라이언은 ’Sam'을 제외하고는 인간이 만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라이언은 인간에게 복종하는 보통 사육견들과는 다릅니다.


‘곰(The Bear)은 소년이 성장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4부에서 소년은 농장(plantation)을 포기하고 삼촌에게 넘겨줍니다. 땅이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은 소년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땅의 소유가 인간을 타락시켰다고 믿는 소년은 유산을 포기하고 목수 일을 하며 살아갑니다. 이는 성서에 나오는 간단한 가르침을 실천한 것입니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마라.’ 소년은 노예노동에 기반한 땅(농장)이 주는 불로소득을 거부하고 노동을 해서 살려고 합니다. 소년은 물질에 구속되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자유를 선택합니다. 정규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소년이 자연 속에서 깨달음과 통찰력을 얻어가는 것입니다.


‘자연적인 모든 것은 좋고, 인위적인 모든 것은 나쁘다’는 루소의 말이 떠오릅니다.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1897-1962)

 

assume, presum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ssume, presume'을 보겠습니다.



‘assume, presume'은 둘 다 ’추측하다(suppose)'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단어들은 서로 바뀌어 쓰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단어들의 뉘앙스는 각각 다릅니다. 한 번 살펴봅시다.



1. assume : 가정하다


assume은 가정을 나타냅니다. assume으로 추측하는 내용은 사실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사실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 (1)번에서는 사실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1) I assumed that she came from Vietnam.

    (나는 그가 베트남 출신이라고 추측했다)


    assume은 보통 that절과 함께 쓰입니다.

(2) Let's assume for a moment that the economy recovered.

    (잠시 가정해 보자/ 경기가 회복되었다고)


(1), (2)번에서는 assume 대신에 presume을 쓸 수도 있습니다.


assume은 ‘추측하다’와는 다른 뜻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ssume은 ‘~을 떠 맡다’, ‘~인체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3) ~떠 맡다

   ex) He assumed the role of dictator.

        (그는 독재자의 역할을 떠 맡았다)


(4) ~인체 하다

   ex) She assumed an air of concern.

        (그녀는 걱정하는 척 했다)



2. presume : 추정하다


presume은,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사실일 것으로 확신하는 것입니다.


(1) He is presumed to be dead in the battle.

    (그는 그 전투에서 사망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presume 다음에는 주로 that이 생략된 절이 옵니다.

(2) We presume he heard the news.

    (우리는 그가 그 소식을 들었다고 추정한다)




이상으로 추정하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타임지 해석



Americas Hamburger Helper.


 타임지 원문




타임지 직역


McDonalds 는 새로운 의미를 주고 있다/ 우리는 당신들을 위해 모든 것을 하고 있습니다라는 말에/ 투자함에 의해서/ 사람들과 그들의 이웃에.

 

1. 연기가 걷혔을 때/ 폭도들이 태운 후에/ 남부 중앙 LA 4월에, 수백 개의 사업체들이, 그들 중 많은 것들은 흑인들이 소유한 것이었는데, 파괴되었다. 그러나 단 하나의 McDonalds 레스토랑도 불타지 않았다. 몇 시간 내에/ 통행금지가 해제된 후에, 모든 남부 중앙 LAMcDonalds 가게들은 돌아와서 영업을 했다, (그리고) 먹였다/ 소방수들, 경찰 그리고 주 방위군들을/ (집이) 불에 타버린 시민들 뿐만 아니라. St. Thomas Aquinas 초등학교는, 300명의 배고픈 학생들과 다 타버린 시설뿐인, 점심을 주문했다/ 그리고 그들(점심)을 공짜로 얻었다/ 배달은 덤으로.

 

2. Edward H. Rensi에게, McDonalds U.S.A의 회장이자 최고경영자인, 무슨 일이 일어났고 일어나지 않았는지에 대한 설명은 간단했다. 우리 가게들은 거기서 소유됩니다/ 흑인 사업가들에 의해서/ (그런데 그 흑인 사업가들은) 흑인 관리인들을 고용합니다/ (그런데 그 흑인 관리인들은) 흑인 종업원들을 고용합니다/ (그런데 그 흑인 종업원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봉사합니다/ 지역사회에서, 그들이 한국인이건, 흑인이건, 백인이건.



위트가 담긴 영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위트가 담긴 영어를 읽고 영어의 향기를 느껴 봅시다. 



원문


071.

One has not the right /to betray even a traitor. Traitors must be fought, not betrayed.

 

072.

Mediocrity is a hand-rail.

 

073.

Many are stubborn /in pursuit of the path they have chosen, few in pursuit of the goal.

 

074.

We seek our happiness outside ourselves, and in the opinion of men /we know to be flatterers, insincere, unjust, full of envy, caprice and prejudice.

 

075.

By a small sample /we may judge of the whole piece.

 

076.

Those who do not feel pain /seldom think that it is felt.

 

077.

The dearer a thing is, the cheaper as a general rule we sell it.


078.

Beggars should be abolished. It annoys one to give to them, and it annoys one /not to give to them.

 

079.

No man does anything /from a single motive.

 

080.

To do great work, a man must be very idle /as well as very industrious.

 


우리말 해석


71.

사람은 권리를 갖지 않는다/ 심지어 배반자라도 배반할 권리를. 배반자들을 맞서 싸워야 한다, 배반할 것이 아니라.


72.

1. 평범함은 난간이다

2. 평범함은 자신이 상처입지 않으려고 보호하는 행위이다.


73.

많은 사람들은 완고하다/ 길을 추구하는 데는/ 자신이 선택한, (하지만)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74.

1. 우리는 우리의 행복을 우리의 밖에서 찾는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다/ 우리가 알기에/ 아첨이고, 솔직하지 않고, 부당하고, 시기에 가득 차 있고, 변덕스럽고 선입견에 가득 차 있는.


75.

작은 견본만 가지고/ 우리들을 전체를 판단한다.


76.

고통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은 좀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고통이라 것이 있다고.


77.

어떤 물건을 소중히 여기면 여길수록, 보통은 더욱 값싸게 그것을 팔게 된다.


78.

거지들은 없어져야 한다. 거지는 그들에게 돈을 주는 사람을 짜증나게 한다, 그리고 거지는 돈을 주지 않는 사람도 짜증나게 한다.


79.

사람은 어떤 일을 하지 않는다/ 단 하나의 동기를 가지고는.


80.

위대한 일을 하기 위해서, 사람은 반드시 빈둥거릴 줄도 알아야 한다/ 아주 근면할 뿐 아니라.



live and breathe, live and let live, 

live dangerously, live dow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live가 들어간 관용구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live가 들어간 관용구들 중에서 자주 쓰이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ive and breathe A

2. live and let live

3. live dangerously

4. live down A, live A down

5. live for A

6. live it up

7. live up to A

8. live with A


더 많은 것들이 있지만, 이 정도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관용구들은 구성 단어들을 보고 의미를 알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관용구라는 명칭답게, 단어들만 보고는 의미를 짐작할 수 없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1-4번까지 의미를 살펴 보겠습니다.



1. live and breath A : ~에 대단히 열광하다.


위 구문을 직역하면 'A에 살고, A를 숨쉰다‘는 뜻입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A가 없으면 못 산다‘쯤 됩니다. A가 없으면 살 수 없으니, ’A에 열광하다‘가 됩니다.


(1) I just live and breathe soccer.

    (나는 그저 축구와 함께 살고 숨 쉰다)

    (→ 나는 축구에 미쳐있다)


(2) I'm not good at Math. Since I don't live and breath it.

    (나는 수학을 잘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것에 그렇게 흥미가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2. live and let live : 자기 식대로 살아가다


이 표현을 직역하면 ‘살고 살게하다’입니다. 의미를 덧붙이면 ‘나는 나대로 살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대로 살게한다’입니다. 즉, ‘서로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다’는 뜻입니다.


(1) He firmly believe in live and let live.

    (그는 사람은 자기 방식대로 살아야 한다고 믿는다)


(2) the principle of live-and-let-live

    (공존공영의 원칙)



3. live dangerously : 위험하게 살다


단어가 가진 의미 거의 그대로 쓰입니다. 자신의 행동에 관련된 위험성을 생각하지 않고 사는 것을 뜻합니다.


(1) To achieve greatly, you must live dangerously.

    (크게 성취하려면, 당신은 위험하게 살아 보아야 한다)


(2) She is attracted to the men living dangerously.

    (그녀는 위험하게 사는 남자들에게 끌린다)



4. live down A, live A down : A를 만회하다


단어들만 봐서는 의미를 알기 힘든 관용구입니다. ‘A를 아래에 (묻어두고) 산다’는 의미에서 'A을 잊다, 혹은 A를 만회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것 같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익혀 봅시다.


(1) She did everything to live her past down.

    (그녀는 모든 것을 다했다/ 과거를 만회하기 위해서)


(2) This is a great shame and I'll never live it down.

    (정말 수치스럽다/ 나는 결코 이것을 잊지 못할 거야)




이상으로 live 관용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complex, complicated, intricate, involve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복잡한’을 보겠습니다.



‘복잡한’이란 ‘여러 가지가 얽혀 있어 갈피를 잡기 어려운 것’을 말합니다. 영어에서 복잡함을 나타내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plex, complicated, intricate, involved


위 단어들은 기본적으로 ‘복잡한’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그렇지만 단어마다 복잡한 정도와 그 뉘앙스가 다릅니다.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complex : 복잡한


전문지식이 필요할 정도로 복잡한 것을 말합니다. 여러 부분들이 연관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쉽지 않을 상황에 쓰입니다. 주로 요소들의 수가 많아서 복잡한 것을 말합니다.


(1) Computers are complex machinery.

     (컴퓨터는 복잡한 기계이다)


(2) This problem so complex that it is hard to deal with.

     (이 문제는 아주 복잡해서 다루기 힘들다)



2. complicated : 복잡한, 난해한


complicated는 complex보다 더 복잡한 것을 뜻합니다. 구성요소의 관계가 너무나 밀접해서 이해나 해결이 어려운 상황을 나타냅니다. 즉,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힘든’ 것을 나타냅니다.


(1) It is a very complicated mathematical formula.

     (그것은 매우 복잡한 수학 공식이다)


(2) These Lego blocks are to complicated to put together.

     (이 레고 블록들은 너무 복잡해서 조립할 수 없다)



3. intricate : 복잡한


intricate는 여러 부분이나 내용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가닥을 잡기 힘든 것을 뜻합니다.


(1) It was an intricate maze.

     (그것은 복잡한 미로였다)


(2) The plot was so intricate.

     (그 줄거리는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4. involved : 복잡한


involved는 여러 부분들이 아무렇게나 섞여 있는 것을 뜻합니다. 질서나 체계 없이 어지럽게 섞여 있어서 상황을 가늠할 수 없을 때 쓰입니다. 우리말로는 ‘난맥’이라고 할 수 있는 복잡함을 나타냅니다.


(1) an involved sentence : 복잡한 글


(2) an involved plot : 복잡한 줄거리

 


이상으로 '복잡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different, disparate, distinct, divergent, diverse, variou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다른’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다른 


‘다른’이란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영어에는 ’다른‘이라는 의미를 지닌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different, disparate, distinct, divergent, diverse, various


정리하고 보니 ‘di-'로 시작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어근 'di-’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나온 말로 ‘two 또는 apart"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개' 또는 ‘거리가 먼’이라는 뜻이죠. 그러므로 어근 ‘di-'가 들어간 말들도 ’다른‘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각 단어별로 살펴 봅시다.



1. different : 다른, 차이가 나는


어떤 것이 다른 것과 같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다른’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1) Two different persons saw the same thing.

     (두 명의 다른 사람들이 똑 같은 것을 보았다)


(2) We h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matter.

     (우리들은 그 문제에 대해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2. disparate : 이질적인, 전혀 다른


disparate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을 뜻합니다. 두 대상 사이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질적인 것이 disparate입니다.


(1) Bringing together these disparate groups is almost impossible.

     (이 이질적인 집단들을 조화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2) They have disparate ideas.

     (그들은 이질적인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3. distinct : 뚜렷한, 분명한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다른 것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대상에 distinct를 씁니다 .


(1) There comes a distinct smell of rose.

     (분명히 장미 냄새가 난다)


(2) Being humorous gave him a distinct advantage.

     (유머스럽다는 것이 그에게 뚜렷한 장점을 주었다)



4. divergent : 일탈한, 다른


divergent는 동사 'diverge'의 형용사입니다. diverge는 ‘갈라지다, 분기하다’는 뜻입니다. 한 나무 줄기에서 다른 가지들이 갈라져 나와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갈라진 가지들처럼 간격이 멀어져서 화해나 타협이 불가능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1) My husband and I hold divergent opinions about everything.

     (내 남편과 나는 모든 것들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2) The management and the labor have divergent interests.

     (경영진과 노동자들은 이해관계가 다르다)



5. diverse : 뚜렷하게 다른


다름이 크다는 것, 즉 뚜렷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1) The U.S.A is composed of diverse ethnic cultures.

     (미국은 뚜렷하게 다른 민족들의 문화로 구성되어 있다)


(2) Diverse opinions should be encouraged.

     (다양한 의견들이 권장되어야 한다)



6. various : 여러 가지의, 각양각색의


종류가 많고 다양한 것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1) Smart phones come in various sizes and shapes.

     (스마트폰은 각양각색의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다)

 

(2) The old man lived through various hardship.

     (그 노인은 갖은 고생을 겪으며 살았다)

 


이상으로 ‘다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ssemble, collect, congregate, gather, must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모으다’를 공부 하겠습니다.



‘사람이나 물건을 한데 합치는 것’을 ‘모으다’라고 합니다. 영어에는 ‘모으다’라는 의미를 가진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단어들이 있습니다.

 

모으다

assemble, collect, congregate, gather, muster

 

이 단어들은 모두 ‘사람이나 물건이 한 그룹이 되도록 합치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철자가 다르니 당연히 내포하는 의미가 다릅니다. 많이 쓰이는 단어 순서로 살펴 보겠습니다.

 

1. gather : 모으다, 모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말입니다. 나중 일은 생각하지 않고 일단 ‘끌어 모으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1) He gathered everyone he could contact.

    (그는 모든 사람을 모았다/ 그가 접촉할 수 있는)


(2) Fans gathered around the star.

    (팬들이 그 스타 주위로 모였다)


gather는 추상적인 대상에도 쓰입니다.


(3) We gathered as many ideas as possible.

    (우리는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들을 모았다)

 


2. collect : 모으다, 수집하다


collect는 뚜렷한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모으는 것을 말합니다. gather와는 달리 ‘쳬계적인 분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두 예문을 봅시다.


(1) book gatherer : 책 모으는 사람

(2) book collector : 책 수집가

 

'book gatherer'의 방에는 책이 마구 널려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렇지만 'book collector'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서재를 가지고 있을 것 같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His hobby is to collect stamps.

    (그의 취미는 우표 수집이다)

 

(4)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ny donators.

    (혈액 샘플들은 수집되었다/ 많은 기증자들로부터)

 


3. assemble : 모으다, 조립하다


assemble 역시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모으는 것입니다.


사람에게 쓰일 경우 assemble은, 그 특별한 목적을 위해 모여서 단체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1) We assembled in the auditorium for the ceremony.

    (우리는 강당에 모였다/ 그 행사를 위해서)


(2) The company has assembled a world-class programmers.

    (그 회사는 세계 수준의 프로그래머들을 모아 두었다)


assemble이 물건에도 사용됩니다, 이 경우 assemble은 모든 물건들을 단일한 구조물로 결합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3) The factory assembles car parts.

    (그 공장은 차 부품들을 조립한다)


(4) the assembly department

    (조립부)

 


4. congregate : (대규모로) 모이다


congregate는 대규모로 모여서 무리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1) Animals congregate during a storm.

    (동물들은 함께 모인다/ 폭풍우가 칠 때)


(2) People congregated in the narrow lobby.

    (사람들이 모여 있다/ 좁은 로비에)

 


5. muster : 소집하다


muster는 철저한 과정을 거쳐 모으는 것입니다.

 

(1) The government will muster the army soon.

    (정부가 곧 군대를 소집할 것이다)

 

(2) He mustered all his courage.

    (그는 모든 용기를 냈다)



이상으로 ‘모으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sk, demand, inquire, questi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묻다‘를 공부하겠습니다.



‘묻다’라는 것은 상대방으로부터 소식이나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영어에는 ‘묻다’를 뜻하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ask, demand, inquire, question


각 단어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ask : 묻다, 물어보다.


다른 사람에게 무엇인가를 물어 볼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말입니다. 자기가 모르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입니다.


(1) 'Do you love me?' I asked her.

     (‘나 사랑해?’ 내가 그녀에게 물었다)


(2) Can I ask a question?

     (질문해도 돼요?)


ask는 또한 상대방에게 무엇인가를 해달라고 부탁하거나 요청할 때도 사용됩니다.


(3) He asked her to marry him.

     (그는 그녀에게 결혼해 달라고 요청했다)

 

(4) Can I ask a favor?

     (부탁하나 해도 돼?)

 

2. demand : (강력하게) 요구하다


demand는 권위를 가지고 강하게 요구하는 것입니다. 보통 단호하고 긴급하게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1) Angrily, she demanded my explanation.

     (화가나서, 그녀는 나의 설명을 요구했다)


(2) He demanded the payment of the debt immediately.

     (그녀는 즉시 빛의 상환을 요구했다)



3. inquire : (정확한 대상을) 묻다


inquire는 ask와 같이 무엇인가에 대해 물어보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ask보다 격식을 갖춘, 딱딱한 상황에 사용됩니다. 또한 물어보는 대상이 구체적이고 확실합니다.


(1) I inquired the time of her departure.

     (나는 그녀의 출발 시간을 물어 보았다)


(2) She inquired about him.

     (그녀는 그에 대해 물어 보았다)



4. question : (공식적으로) 질문하다, 심문하다


question은 질문을 거듭하는 것으로, 증인들을 심문하는데 사용됩니다. 상대를 의심하고 계속 질문한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1) The detective questioned him about the murder.

     (형사는 그를 심문했다/ 살인 사건에 대하여)


(2) I never thought to question our love.

     (나는 결코 우리의 사랑을 의심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상으로 ‘묻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last, final, terminal, ultimat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마지막, 최후의’를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마지막 또는 최후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last, final, terminal, ultimate


이 단어들은 ‘여러 개중에서 마지막’을 뜻합니다. 각 단어별로 의미차이를 살펴 보겠습니다.



1. last : (연속된 여러 개 중에서) 마지막의


last는 비슷한 것이 연속될 때 마지막에 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마지막 순서’라는 뜻이죠. last 다음에는 더 이상 오는 것이 없습니다. 사람이나 물건 또는 활동에 쓰일 수 있습니다.


(1) He was the last one to arrive.

    (그가 마지막으로 도착했다)


(2) We caught the last bus going home.

    (우리는 마지막 버스를 탔다/ 집으로 가는)


(3) This is the last method we can try.

    (이것이 마지막 수단이다/ 우리가 시도할 수 있는)



2. final : 최종의, 결정적인


final 역시 마지막에 오는 것을 뜻하며, 최종적인 결론이나 결말을 의미합니다. final은 사물에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1) The negotiation is in it final stages.

    (협상은 마지막 단계에 와 있다)


(2) It's the final product of the experiment.

    (그것은 그 실험의 마지막 산물이다)


last, final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last는 단순히 ‘순서상으로 마지막’을 뜻합니다. 이에 대하여 final은 ‘바뀌지 않을 최종적인’을 뜻합니다.


(3) My decision is final. (final ≠ last)

    (내 결정은 변경할 수 없다)


(3)번에서 final은 last와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last는 ‘변경할 수 없는’의 의미는 없습니다.


그러나 단순하게 순서를 나타낼 경우에는 last와 final을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4) This will be my final offer

    ≒ This will be my last offer.

(4)번에서 final은 ‘마지막에 오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순서를 나타낼 때는 final 대신에 last를 쓸 수도 있습니다.



3. ultimate : 궁극적인


ultimate는 ‘가장 먼(most distant)' 것을 의미합니다. 어원적으로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는 궁극적인 지점을 가리킵니다.


(1) He tried to find the ultimate truth.

    (그는 궁극적인 진리를 찾으려고 했다)


(2) I'll tak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whatever happens.

    (내가 궁극적인 책임을 질 것이다/ 무슨 일이 발생하던지)


(3) His ultimate face will be exile.

    (그의 궁극적인 운명은 추방이 될 것이다)



4. terminal : 말기의, 끝의


terminal은 말단이나 한계를 의미합니다. 더 이상 연장되거나 성장할 수 없는 끝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1) He has terminal cancer.

    (그는 말기 암에 걸렸다)


(2) The train reached the terminal point of the railroad.

    (기차는 철도의 마지막 지점에 도착했다)

 

(3) The terminal branch of the tree became dry.

    (그 나무의 끝이 말라 버렸다)




이상으로 '마지막, 최후‘를 뜻하는 단어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dispassionate, fair, impartial, just, objective, unbiase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공평한’을 살펴 보겠습니다.

 

‘공평한’이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고르다’는 뜻입니다. 영어에서 ‘공평한’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dispassionate, fair, impartial, just, objective, unbiased


위 단어들은 모두 의견이나 판단이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단어들마다 뉘앙스가 약간씩 다릅니다. 단어별로 살펴 봅시다.



1. fair : 공정한, 공평한


공평함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말입니다. 편견이나 사심이 개입되지 않고, 어느 편이나 똑같이 다루는 것입니다.


(1) He is always fair even to people he doesn't like.

    (그는 항상 공평하다/ 심지어 그가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조차)


(2) The workers demanded for a fairer distribution of wealth.

    (노동자들은 요구했다/ 더 공정한 부의 분배를)



2. just : 공정한, 정의로운


just는 보통 개인의 성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 보다는 법률이나 윤리상으로 정당하고 타당한 것을 말합니다.


(1) The judge is always just in his decision.

    (그 판사는 항상 올바르다/ 그의 결정에 있어서)


(2) The politicians got their just punishment for the crime.

(그 정치가들은 정당한 처벌을 받았다/ 그 범죄에 대해서)



3. impartial : 공정한

어느 쪽에 대해서나 편견(prejudice)을 갖지 않고 공평한 것을 말합니다. fair와 거의 비슷한 뜻으로 쓰입니다. partial(편파적인)에 부정 접두어 ‘im-'을 붙여 만든 단어입니다.


(1) There must be a fair and impartial investigation for the accident.

    (공평하고 공정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 그 사고에 대해서)


(2) The jury have to hand down an impartial judgement.

    (배심원들은 공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4. unbiased : 선입견 없는, 편파적이지 않는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이라는 뜻입니다. impartial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의미가 더 강합니다. ‘중립적(neutral)’으로 공평한 것을 말 합니다 .


(1) Scholars must be unbiased.

    (학자들은 편견이 없어야 한다)


(2) I want, fair and unbiased report.

    (나는 공평하고 편견없는 보고를 원한다)



5. dispassionate :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이성적인


감정에 영향 받지 않는 이성적이고 침착한 것을 뜻합니다. ‘냉정한’이라는 의미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1) A critic ought be dispassionate.

    (비평가는 감정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2) Sherlock Holmes is a dispassionate observer.

    (셜록 홈즈는 냉정한 관찰자 였다)



6. objective : 객관적인


감정과 이해를 배제하고 대상을 보는 것입니다. 사실에 기초해서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관적’과 반대되는 말입니다.


(1) The research group published an objective analysis.

    (그 조사팀은 객관적인 분석을 발표했다)


(2) Objective opinions are being ignored.

    (객관적인 의견들이 무시당하고 있다)

 


이상으로 ‘공평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delusion, illusion, hallucination, mirag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환상’을 보겠습니다.



환상은 현실에 기초하지 않은 헛된 생각이나 공상을 말합니다. 영어에는 환상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delusion, illusion, hallucination, mirage


위 단어들은 모두 ‘현실에 대한 착각’에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착각은 병적인 수준에 이르기도 합니다. 각 단어들을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delusion : 망상


delusion 역시 ‘환상’에서 출발하지만, 근거가 없는 주관적인 믿음 입니다. 그리고 이 근거없는 믿음을 확신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실에 부합되지 않는 망상을 고수하면 광신도나 정신병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delusion은 당사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도 해악을 끼칩니다.


(1) The king has the delusion that all food is poisoned.

    (그 왕은 망상을 가지고 있다/ 모든 음식에 독이 들어 있다고)


(2) He has the delusion that he is an alien.

    (그는 자신이 외계인이라는 망상을 가지고 있다)



2. illusion : 환상, 착각


delusion은 사실적인 근거가 없는 ‘환상’입니다. 이에 대하여, illusion은 사실에 기초한 환상입니다.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다르게 지각하거나 착각해서 생기는 환상이 illusion입니다.


병적인 뉘앙스를 가졌던 delusion과는 달리, illusion은 정신착란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사실을 착각하는 것 뿐입니다. 예를 들어, 밤에 나무를 보고 유령을 봤다고 착각하는 것은 illusion입니다. 그렇지만 유령의 존재를 확신하고 이를 두려워하는 것은 delusion입니다.


똑같은 착각이지만 illusion은, 착각을 일으킬 사질적인 대상이 존재합니다. 단지 그것을 다른 대상으로 지각했을 뿐입니다. 그러나 delusion은 현실적인 근거가 없이 그렇게 믿는 것입니다. 외계인을 보았다고 생각하면 착각입니다. 그러나 자신을 외계인이라고 믿는 사람은 ‘delusion'에 빠진 것입니다.


(1) Roomful of mirrors give an illusion of space.

    (방에 가득 찬 거울들은 공간에 대한 착각을 준다)


(2) He had the illusion that he had seen an alien.

    (그는 착각했다/ 그가 외계인을 보았다고)


(3) Magicians use optical illusions.

    (마술사들은 착시를 이용한다)



3. hallucination : 환각


감각기관이나 신경에 이상이 생겨서, 실재하지 않는 것을 보거나 듣는 것입니다. 고열에 시달려 환각을 보거나, 환청을 듣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hallucination은 착각을 일으킬 사실적인 대상이 없어도 발생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밤에 나무를 보고 유령으로 착각하는 것은 illusion입니다. 그러나 아무 것도 없는 방안에서 유령을 보는 것은 ‘hallucination'입니다.


(1) High fever caused me hallucination.

    (고열이 내게 환각을 일으켰다)


(2) He saw the hallucination of his deceased father.

    (그는 죽은 아버지의 환각을 보았다)


(3) I'm not sure the figure was real or just a hallucination.

    (확신하지 못하겠다/ 그 물체가 진짜였는지 환각이었는지)



4. mirage : 신기루


대기 속에서 빛의 굴절에 의해서 발생하는 시각적 현상입니다. 환각이나 망상은 개인적인 것이지만, 신기루는 집단적일 수도 있습니다. 신기루라는 물리적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신기루는 비유적으로 사용되어서, 부질없는 꿈이나 망상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1) His idea of true love was a mirage.

    (진실한 사랑에 대한 그의 생각은 신기루였다)


(2) The hope to find the treasure island was a mirage.

    (보물섬을 찾으려는 희망은 신기루였다)




이상으로 환상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altercation, bicker, feud, quarrel, spat, squabble, wrangl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말다툼을 보겠습니다. 


말다툼이란 ‘말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다툼’을 의미합니다. 영어에는 말다툼을 뜻하는 많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altercation, bicker, feud, quarrel, spat, squabble, wrangle


위 단어들은 모두 ‘말다툼, 언쟁’을 뜻합니다. 각 단어별로 의미를 살펴 보겠습니다.



1. quarrel: 말다툼, 언쟁


말다툼의 대표선수 격인 단어입니다. 사소한 말다툼에서부터 격렬한 언쟁까지를 모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격분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과격한 언쟁을 말합니다. 언쟁의 결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친밀한 관계가 단절될 수도 있습니다.


(1) The divorce started from a little domestic quarrel.

    (그 이혼은 사소한 부부싸움의 결과였다)


(2) They quarreled over money.

    (그들은 돈 문제로 말다툼 했다)



2. altercation : 말다툼, 언쟁


'quarrel'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말로 격식을 차린 ‘딱딱한 말’입니다. 사소한 말다툼보다는 주먹이 왔다갔다 하는 험악한 말다툼을 나타냅니다.


(1) The players had a severe altercation over the umpire's decision.

    (선수들은 심한 말다툼을 했다/ 심판의 결정에 대하여)


(2) I was involved in the altercation with the guard.

    (나는 경비원과 말싸움에 말려 들었다)

 

3. bicker: (사소한) 말다툼


 사소한 일로 서로 다투는 것입니다. 상대에게 툭툭 쏘아대면서 하는 말싸움입니다.


(1) The children never meet without bickering.

    (그 아이들은 만났다면 싸운다)


(2) I'm sick of bickering with you.

    (너랑 말싸움 하는데 질렸다)

 

4. feud : (오랜 동안의) 불화나 반목


말다툼이란 보통 개인 간에 벌어집니다. 그렇지만 feud는 집단들 사이의 오랜 적의나 반목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fued에는 보통 폭행이 함께 합니다. feud가 개인에게 쓰일 경우에는 심한 증오를 나타냅니다.

 

(1) The two families have had a bitter feud.

    (그 두 집안들은 심하게 반목하고 있다)

 

(2) He was at feud with his brother over the inheritance.

    (그는 형과 심한 불화를 겪고 있다/ 유산을 두고)

 

5. spat : (비격식체) 옥신각신, 승강이


spat는 주로 미국에서 쓰이는 구어체입니다. 보통 인간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우발적이고 사소한 말다툼을 말합니다.


(1) I had a spat with an old lady.

   (나는 한 노인과 말싸움을 했다)


(2) They always have spats, like children.

   (그들은 항상 말 싸움을 한다, 아이들처럼)

 

6. squabble : 옥신각신하다


squabble은 하찮은 일로 옥신각신하는 것입니다.

 

(1) We are squabbling over what to order in the restaurant.

    (우리는 옥신각신했다/ 레스토랑에서 무엇을 주문할 지)


(2) My boys are squabbling over the toys.

    (내 아이들이 장난감 가지고 싸운다)



7. wrangle : (복잡하고 오래 된) 논쟁


자신의 의견을 강력히 주장하는 떠들썩한 논쟁을 말합니다.


(1) They continue to wrangle over the financial problems.

    (그들은 계속해서 돈 문제로 논쟁하고 있다)


(2) The accident brought about four years legal wrangle.

    (그 사고는 4년간의 법적 논쟁을 초래했다)

 


말싸움 해봤자 감정만 상하고 문제를 해결되지 않습니다.

Relax...

 

이상으로 말싸움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open a can of worm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open a can of worms'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open a can of worms


'open a can of worms'는 ‘일을 복잡하게 만들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긁어 부스럼을 만들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추측해 볼 수는 있습니다.


worm(지렁이)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낚시꾼들이 즐겨 쓰는 미끼입니다. 특히 살아있는 지렁이는 훌륭한 미끼입니다. 물속에서도 꿈틀거려서 물고기들을 더 효과적으로 유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끼통에서 지렁이를 꺼낼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 미끼통 속에는 보통 수십·수백 마리의 지렁이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자칫 통 뚜껑을 열어 두기라도 하면, 지렁이들이 기어 나와 여기저기 꿈틀거리고 돌아다니게 됩니다. 대책이 안서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나온 표현이 'open a can of worms'입니다. 지렁이 통을 열어 두어서 문제가 커졌다는 뜻입니다.


사실 이 표현은 원래 상황과는 다르게 쓰입니다. ‘지렁이 통을 여는 것’이 일부러 문제를 복잡하게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실수로 뚜껑을 열어 두었는데, 지렁이들이 기어 나온 것 뿐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긁어 부스럼을 만들다’는 뉘앙스로 쓰입니다. 의도성이 들어 있습니다.



예문


예문을 봅시다.


Wife: Honey, we should do a big clean up.

Husband: Don't open a can of worms, please.


아내: 자기야, 우리 대청소 하자.

남편: 긁어 부스럼 만들지마, 제발.


'open a can of worms'는 위와 같은 일상적인 상황뿐 아니라, 정치·경제 영역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ex) In my opinion, the police investigation might open a can of worms. Lots of politicians will go to prison.

(내 의견으로는, 경찰 조사는 문제를 사태를 더 악화 시킬 거야. 많은 정치인들이 감옥에 갈 거야)



다른 표현들


‘긁어 부스럼을 만들다’는 다른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orrow trouble

≒ open Pandora's box

≒ stir up hornet's nest

≒ wake a sleeping wolf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You should not borrow trouble.

≒ Don't open Pandora's box.

≒ Dont' stir up hornet's nest.

≒ Don't wake a sleeping wolf.



이상으로 긁어 부스럼을 마시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get the sack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get the sack'을 보겠습니다.



‘get the sack’ 

짐싸!


‘get the sack’은 ‘해고를 당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직장인들에게 가장 무서운 말입니다. 그런데 ‘짤리는 것’과 ‘(마대)자루’가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요즘 영화를 생각해 봅시다. 등장인물이 다니던 직장에서 짤리면 개인 소지품을 챙깁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보통은 종이상자(box)에 담아 차에 싣고 나옵니다.


산업 혁명이전의 유럽으로 가 봅시다. 당시의 기술자들은 마대자루(sack)에 필요한 공구들을 넣어서 짊어지고 다녔습니다. 가내 수공업이 중심이었던 시기라 일거리는 주로 일회성 노가다였습니다. 다리를 고치거나, 성벽을 고치거나 하는 일이었습니다.


일거리가 생기면, 그곳에 공구들을 놓고 일했습니다. 마대자루(sack)는 일터에 보관해 두었습니다. 일이 끝나거나 일손이 필요 없을 때 고용주는 마대자루(sack)를 돌려 주었습니다. 나가라는 뜻이었죠.


여기서 생긴 표현이 'get the sack'입니다. 요즘 식으로 하면 ‘get the box'쯤 될 것 같습니다. 짤려서 짐싸기는 마찬가지입니다만.


우리 나라에서는 ‘짐 싸다’, ‘보따리 싸다’라는 말이 ‘해고 당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담는 도구는 달라졌지만 ‘담아서 나온다’는 것은 같습니다.

 


예문들


‘get the sack'이 쓰인 예문을 봅시다.


(1) A: Jim got the sack when he slapped his boss on the face.

    B: He's done it for everyone.


    A: Jim은 해고 당했어/ 상사의 따귀를 갈겼거든.

    B: 그가 모든 사람을 대신해서 해버렸군.


(2) Business showings turned out very bad. We may have to get sack.

    (사업 실적이 아주 안 좋아. 어쩌면 보따리 싸야겠어)




한 번 짤렸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힘들지만, 마음을 추스르고 또 살아 가야죠. 실패란 희망을 버리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말들도 있습니다.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

(그래, 내일은 또 올 거야)

 

그럼 안녕!

make a monkey out of A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ake a monkey out of ~'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사전의 원숭이


'make a monkey out of A‘는 ’A를 바보 취급하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원숭이가 가진 우스꽝스러운 이미지를 빌리고 있습니다.


다음(Daum) 국어 사전에는 다음과 같은 예문이 나옵니다.


"그는 거울 앞에서 원숭이같이 위아래 이빨을 붙이고 거울을 보며 바보스럽게 웃어 보았다."

-by Daum-


원숭이를 바보 취급해 놓았습니다. 



서양도 크게 상황을 다르지 않습니다. 



탈무드의 원숭이


탈무드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옵니다.


 "When Noah came to plant a vineyard (Gen. 9:20), Satan appeared before him and asked, 'What are you planting?' 'A vineyard,' Noah replied. 'What is its nature?' Satan continued. 'Its fruits are sweet whether fresh or dry, and wine is made of them, which gladdens the heart,' Noah answered. 'Come now, let us two form a partnership in this vineyard,' Satan proposed. 'Very well,' said Noah.


 What did Satan do? He brought a sheep and slew it under the vine; then he brought in turn a lion, a pig and a monkey, slew each of them and let their blood drip into the vineyard and drench the soil.


 Thus he hinted that before a person drinks wine he is simple like a sheep and quiet like a lamb before his shearers. When he has drunk in moderation, he is strong like a lion and feels as though there is none to equal him in the world. When he has drunk more than enough, he becomes like a pig, wallowing in filth. When he is intoxicated he becomes like a monkey, dancing about, uttering obscenities before all, and unaware of what he is doing."


“노아가 포도나무를 심을 때, 사탄이 그 앞에 나타나서 물었다, ”무엇을 심고 있는가?“. ‘포도나무다,' 노아가 대답 했다. ’어떠한 것인가?‘ 사탄이 계속해서 물었다. ’그 과일은 신선하건 말리건 달콤하지, 그리고 포도주를 만들 수 있어, 그것을 마시면 마음이 즐거워 지지,‘ 노아가 대답했다. ’그래, 우리 협력해서 포도나무를 심어 보자,‘ 사탄이 제안했다. ’매우 좋지,‘ 노아가 말했다.


 사탄이 무엇을 했을까? 그는 양을 데려와서 포도 나무 아래서 죽였다; 그리고 그는 다시 사자, 돼지 그리고 원숭이를 데려와, 차례로 그것들을 죽여 포도나무에 뿌리고 흙을 적셨다.


 그가 암시하는 것은, 술을 마시기전에 사람은, 목동(사람들)앞에서 양처럼 소박하고 조용하다는 것이다. 사람이 적당히 술을 마시면, 그는 사자처럼 강해져서 세상에 맞서지 못할 것이 없다. 그가 지나치게 마시면, 그는 돼지처럼 되어, 오물 속에서 뒹굴게 된다. 술이 취해버리면 원숭이처럼 되어서,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하고, 음란한 말을 지껄면서도,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모른다.



make a monkey out of ~

바보취급 하다


적은 예들이지만, 동양과 서양에서 원숭이에 대한 평가는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원숭이는 우스꽝스럽고 바보같은 대접을 받습니다. 끽끽 소리내면서, 남의 동작이나 따라하고, 정신 사납게 행동하는 동물이라는 이미지입니다.


인간과 침팬지는 유전자 구성이 거의 99%정도 유사합니다. 원숭이들이 유전적으로 열등한 동물은 결코 아닙니다. 어쩌면 유전적으로 우리 인간들의 조상일 수도 있는 원숭이를 경멸하고 무시하는 것은, 출세 좀 했다고 생물학적 근본을 잊어버리는 싸가지 없는 행동일 수도 있습니다. (같은 사람들도 무시하는 것을 보면, 원숭이를 무시하는 것쯤은 이해가 갑니다만...)


아무튼 원숭이에 대한 이러한 편견이 만들어낸 표현이 ‘make a monkey out of A'입니다. ’원숭이로 만들었다‘는 의미에서 ’바보 취급을 하다‘라는 의미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Wife: You forgot to lock the gas valve!

       Can't you do anything right?


Husband: Stop making a monkey out of me!

             I just forgot one time!


아내: 가스밸브 안 잠궜지!

       제대로 하는 일이 없어?


남편: 바보 취급 좀 그만 해!

       한 번 깜빡했을 뿐이라고!



Monkey business.

(수상해...)


원숭이에 대한 인간들의 편견을 보여주는 다른 표현 ‘monkey business'를 봅시다. 이 표현은 ’협잡, 바보같은 짓, 수상쩍은 짓‘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역시 원숭이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에 기댄 표현입니다.


A: My husband is acting too nicely.

    I'm sure there's some monkey business going on.


A: 남편이 요즘 너무 잘해.

    확실히 뭔가 수상쩍어.



언어라는 것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보니, 당연히 인간 중심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특정 동물들을 비하하는 표현을 보면 씁쓸합니다. 어쨌든, 'make a monkey out A'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요지, 요약 유형 해결 전략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요지, 요약 문제를 보겠습니다. 



요지, 요약


외국어 영역에서 보통 요지 2문제, 요약 1문제가 출제됩니다. 글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했는지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요지

주어진 지문을 읽고 선지에서 알맞은 답을 고르는 것입니다. 요지의 정의가 심층적인 이해인 만큼 선지도 상당히 깁니다. 선지는 한국어로 제시됩니다.


요약

주어진 지문을 읽고 요약으로 제시된 영어 문장 속에 알맞은 말을 선지에서 고르는 것입니다. 선지는 영어로 주어집니다.


출제 목적

요지와 요약의 정의 속에 문제에 대한 실마리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요지와 요약의 정의를 봅시다.


※ 요지 : 주어진 글에 대한 충분한 근거와 사례를 통한 독자의 이해 정도.

※ 요약 : 요지를 일정한 글자 수로 정리 한 것.


요지를 글로 정리한 것이 요약이다.



해결 전략


Step 1 핵심어, 주장, 근거 찾기

요지, 요약 유형은 핵심어, 주장이 해결의 열쇠입니다. 단지, 요지·요약의 정의상 ‘근거’를 반드시 찾아야 합니다. 실전 문제에서는 핵심어, 주장 정도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지만 그렇게 바람직하지는 않습니다. 근거를 정리해야만 올바른 요지·요약이 된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Step 2 요지·요약 찾기

요지란 글을 읽고 이해한 내용을 머리 속에 정리한 것이고, 요약이란 그 머리 속에 있는 내용을 일정한 글자 수 이내에서 글로 정리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요지와 요약은 같습니다. 요지를 글로 정리한 것이 요약입니다.


요약 공식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약 : 근거+주장, 주장+근거

근거이기 때문에 주장이다.

(또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근거이기 때문이다.



Step 3 선지에서 고르기

주장과 근거를 바탕으로 요약이 정리 되어 있으면 선지에서 고르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주의할 것은 근거가 확실하지 못하면 오답의 함정에 걸리기 쉽다는 것입니다. 요약에서는 근거가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요지, 요약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임지 해석  (0) 2014.09.22
위트가 담긴 영어  (0) 2014.09.21
영어 역역 빈칸 추론  (0) 2014.08.14
빈칸 변형문제 (인터넷 수능)  (0) 2014.05.20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2) 2014.02.03

영어 영역 빈칸 추론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역역 빈칸 문제를 보겠습니다.



빈칸은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문제입니다. 빈칸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하면 1등급은 나올 수가 없습니다.


2014년 EBS 수능 완성 변형 문제를 보면서 빈칸 추론을 해결해 봅시다. 빈칸 문제를 푸는 해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글의 주장을 찾아야 합니다. 주장을 찾은 다음에 빈칸에 대입하면 됩니다.


직접 풀어 봅시다.


EBS 수능완성 변형문제

 

① strengthens their ability

② destroys their capacity

③ influences upon the skill

④ does nothing for the faculty

⑤ weakens their capability

 

 

① deciding a person's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② reading how much a person has interest in something

③ preventing people from finding out a person's intention

④ confirming that we are easily distracted to wrong cues

⑤ revealing that the human gestures are full of meanings

 


정답과 해설

 

1번 정답과 해설


1번 정답 ⑤


해설

TV를 봤던 애들은, 같은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해서 장면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TV가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능력을 약화시킨다는 증거이다. 정답은 ⑤번이다.


1번 선지 해석

① 그들의 능력을 강화시킨다

② 그들의 능력을 파괴한다

③ 기술에 영향을 끼친다

④ 능력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⑤ 그들의 능력을 약화 시킨다

 


1번 정답과 해설


2번 정답 ②


해설

배꼽의 방향은 그 사람의 관심과 의도를 알려준다. 정답은 ②번이다. ⑤번은 오답이다. 너무나 막연하기 때문이다.

 

2번 선지 해석

① 어떤 사람의 육체적·정신적 건강 수준을 결정하는데

② 어떤 사람이 얼마나 관심을 가졌는지 읽어 내는데

③ 어떤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는데

④ 우리가 잘못된 단서에 쉽게 끌린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⑤ 인간의 몸짓들에는 의미가 풍부하다는 것을 밝히는데



그럼 안녕~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트가 담긴 영어  (0) 2014.09.21
요지, 요약 해결 전략  (0) 2014.08.15
빈칸 변형문제 (인터넷 수능)  (0) 2014.05.20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2) 2014.02.03
pun (언어 유희)  (1) 2013.11.24

lie, falsehood, fib, story, untruth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거짓말’에 대하여 살펴 봅시다.



살아가면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우리들은 여러 종류의 거짓말을 합니다. 사소한 거짓말에서부터 사기성 거짓말, 그리고 선의의 거짓말까지. 영어에도 거짓말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꽤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주 쓰이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lie, falsehood, fib, story, untruth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lie : 거짓말하다


lie는 ‘거짓말하다’의 대표 단어입니다. lie는 거짓말인 줄 알고서 하는 거짓말입니다. 남을 속이려고 하는 것으로, 악질적이고 도덕적인 비난을 받을 만한 것입니다.


'white lie(선의의 거짓말)‘을 빼고는, lie는 질이 나쁜 거짓말입니다. lie는 우리말에서 일상적으로 쓰는 ’거짓말‘과 달리 아주 악질적이고 용서가 안 되는 거짓말입니다.


예를 들어,

"You are telling a lie."라는 말은 상대에 대한 심한 도덕적인 비난을 내포합니다. 심한 경우 절교까지 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만큼 lie는, 우리말에서와 달리, 아주 조심해서 써야합니다.


(1) You're telling a lie.

    (당신은 거짓을 말하고 있습니다)

    (나쁜 놈아!)


거짓말 중에서도 가장 심한 거짓말은, ‘이빨 사이로 하는 거짓말’입니다. 이빨 사이로는 말은커녕, 발음도 힘듭니다. 그런데 이빨 사이로 거짓말까지 하다뇨? 굉장한 노력을 들여서 뻔뻔스럽게 거짓말하는 것입니다.


(2) Politicians lie through their teeth.

    (정치가들은 참 뻔뻔스럽게 거짓말을 한다)

 


2. falsehood : 거짓, 거짓말 하기


falsehood 역시 남을 속이기 위해, 사실을 감추거나 꾸며서 말하는 것입니다. falsehood도 거짓말이므로 바람하지 않지만, lie보다는 도덕적 비난이 덜(?) 합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lie에는, 가벼운 철자와는 달리, 무거운 도덕적 비난이 담겨 있습니다.


(1) I hate to say a falsehood.

    (나는 거짓을 말하는 것이 싫다)


(2) He told a falsehood not to hurt her feeling.

    (그는 거짓을 말했다/ 그녀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고)

 

3. fib : 사소한 거짓말 (비격식체)


fib는 사소한 거짓말입니다. 주로, 어린애들이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하는 사소한 거짓말이 fib입니다.


(1) Children tell fibs to escape from situations.

    (아이들은 사소한 거짓말을 한다/ 상황을 벗어나기 위하여)


(2) Don't fib! What did you do last night?

    (거짓말마! 엊저녁에 뭐했어?)



4. story : 거짓말


story는 꾸며낸 이야기입니다. 어린이들의 동화는 사실이 아니지만, 거짓말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허구’라는 의미로 쓰이는 것이 story입니다.


(1) The child is telling a story again.

    (저 놈, 또 이야기를 꾸며 내는군)


(2) What she had told me turned out to be a story.

    (그녀가 나에게 말했던 것은 드러났다/ 거짓말로)



5. untruth : 사실이 아닌것, 거짓말


untruth 역시 사실이 아닌 거짓말입니다. 그렇지만, untruth에는, lie와는 달리, 도덕적 비난의 뉘앙스가 담겨져 있지 않습니다. 단지 ‘사실이 아니다’라는 것만 말합니다.


우리말에서 ‘거짓말이야’라는 말은, 화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을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저 ‘사실이 아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우리말에 가장 가까운 의미를 가진 말이 ‘untruth’입니다.


(1) You are telling an untruth.

    (당신은 명백한 거짓을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이 나쁜놈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2) We should distinguish a lie from an truth.

    (우리는 거짓말을 진실이 아닌 것과 구별해야 한다)

 


이상으로 거짓말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ettle the score, old scor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core'의 특이한 뜻을 보겠습니다.


 

score : 새기다


score는 일반적으로 ‘점수’를 나타내는 쉬운 단어입니다. 그런데 이 score가 이상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score에 포함된 괴이한(?) 의미들입니다.


1. score: 20개

2. old score : 오래된 원한

3. settle the score: 보복하다


참 이해하기 힘든 의미들입니다. 어떻게 score가 이런 해괴한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어원을 알면 score에 숨은 뜻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 번 봅시다.


종이를 사용하기 전에 서양에서는 계산이나 기록을 위해 'tally stick(부신)‘이 쓰였습니다. tally stick이란 평범한 막대기였습니다. 여기에 물건 값이나 돈을 빌려 준 기록을 새겨 놓았습니다. (tally stick은 요즘으로 치면 거래 영수증 쯤 되겠습니다)


거래 당사자들은 tally stick에, 칼로, 해당하는 만큼의 홈(notch)을 새겼습니다. 칼로 새기는 이러한 행위가 scoring이었습니다. 그리고 scoring의 어원은, 짐작할 수 있듯이, scora였습니다. socra는 북유럽에서 기원한 말로 ‘칼자국을 내다’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tally stick을, 그림에서와 같이 둘로 쪼개서 거래 당사자들이 나눠 가졌습니다. 일종의 영수증이죠. 거래를 청산할 때가 되면, 양 당사자들은 둘로 쪼개진 tally stick을 맞춰 보면서 필요한 금액을 지불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아는 ‘score(점수)’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tally stick에 새기는 행위를 나타내는 score에서, 원래의 의미는 사라지고, ‘점수’라는 의미만 남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score는 점차 널리 퍼져서 스포츠를 비롯한 사회 전반에서 쓰이게 되었습니다.




score의 어원을 살펴 보았으니, 각 항목별로 의미를 설명해 봅시다.



1. score : 20개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score는 (칼로) 나무에 새기는 행위를 뜻했습니다. 그런데 ‘스물’이란 의미는 어떻게 생겨났을 까요? 역시 새기는 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중세 시대에 시장을 가기 위해서는 성 안으로 들어가야 했습니다. 그리고 성 문으로 가기 전에는, 곳곳에 위치한 통행료 징수소(toll gate)에서 '통행료라고 써놓고 세금으로 읽는다‘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한두 마리도 아닌, 수백 수천 마리 가축의 머리수를 일일이 표시하는 것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더욱이 말도 안 통하는 동물들 아닙니까? 그래서 가축을 팔러 toll gate를 통과하는 몰이꾼들은, 20마리씩 묶어서 tally stick에 표시했습니다. 이렇게 ‘스무’ 마리씩 묶어서 표시한 tally를 score라고 불렀습니다.


score가 20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 역사적 배경이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Scores of fans broke into the studio.

    (수 십명의 팬들이 스튜디오로 난입했다)


(2) Four score and seven years ago our fathers brought forth on this continent, a new nation.

    (87년 전에, 우리의 아버지들은 이 대륙에 탄생시켰습니다, 새로운 나라를)

 

 

2. old score : 오래된 원한


시간이 흐르면서, score는 원래의 뜻과는 달라진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빚을 져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겁니다. 돈을 빌릴 때는 빌려주는 사람이 구세주 같지만, 갚을 때가 되면 악마처럼 보입니다. 그만큼 빚은 사람을 심정적으로 압박합니다. 그렇다 보니 채권자를 원수로 보고, 채무를 ‘원한’으로 본 것도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old score는 여기서 나온 말입니다. 직역을 하면 ‘오래된 빚’이지만, 의역을 하면 ‘해묵은 원한’이 됩니다.


(1) Finally, I paid old score with him.

    (마침내, 나는 그에게 해묵을 원한을 갚았다)


(2) Don't rake up an old score.

    (옛 원한을 들추지 마라)

 


3. settle the score : 보복하다


settle이 해결하다는 뜻이므로, 'settle the score'는 '원한을 해결하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보복하다, 복수하다‘라는 의미가 나왔습니다. 그렇지만 피 튀기는 복수뿐 아니라 ’설욕‘ 으로도 사용됩니다.


(1) Hamlet found out the killer and decided to settle the score.

    (햄릿은 살인자를 알아냈다/ 그리고 복수하기로 결심했다)


(2) We settled the score with the Yankees yesteday.

    (어제 양키즈에 설욕했어)

 


이상으로 scor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