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에 카오스가 있었습니다. 카오스는 ‘어지럽고 무질서해서 혼란한 상태’입니다. ‘혼돈’이라고도 합니다. 카오스는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이 혼돈은 단순히 무질서가 아니라, 무언가가 시작되기 직전의 거대한 가능성이 숨 쉬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러분의 방을 둘러봅시다. 주인이 빠져나간 옷들은 침대 위에 널브러져 있습니다. 할 일 없는 필기구들은 책상 위를 굴러다닙니다. 책들은 방바닥에 나뒹굴며 발 디딜 틈도 없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틀림없이 혼돈 상태지만 주인의 손길을 거치면 질서가 탄생합니다.

 

 

출퇴근 시간, 지하철 안에는 사람들이 콩나물 시루처럼 빽빽이 들어차 있습니다. 도로 위에는 옴짝달싹 못하는 차들이 경적만 울려댑니다. 또 하나의 카오스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혼돈의 와중에도 일터를 찾아 일상에 질서를 부여합니다.

 

카오스는 그리스 말로 비어 있는 ‘틈새(chasm: 캐즘)’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카오스가 단순히 비어 있는 상태만은 아닙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사물을 만들 수 있는 재료들이 흩어져 있습니다. 태양, 달, 별 등, 세상의 씨앗이 될 재료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카오스는 말하자면, 거대한 창조의 원료 창고와도 같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서는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신화 속에서 카오스는 단순히 혼란의 끝이 아니라, 질서의 시작이었습니다. 창조는 항상 혼돈 속에서 태어난다는 상징입니다.

카오스 후손


Chaotic (케이아틱: 혼돈상태의, 어지러운)

‘chao(카오스)+tic(형용사)’으로 ‘카오스적인’을 뜻합니다. 카오스적인 방을 만드는 것은 그 주인입니다.

 

Chasm (캐즘: 아주 깊은 틈새)

‘chasm(하품하다)’입니다. ‘하품할 때 생기는 입 속의 텅 빈 공간’을 어원으로 해서 ‘틈새’를 뜻합니다. 지구가 하품하는 것 같은 지진은 거대한 틈새(chasm)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즉시 카오스 상태가 됩니다.

 

Gas (개스: 기체, 가스)

‘gas’도 카오스에서 나왔습니다. 언뜻 보면 gas는 카오스와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17세기 한 벨기에 의사는 고체나 액체가 아닌, 보이지 않는 물질을 발견합니다. 그는 이 투명한 물체의 상태가 카오스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chaos에서 ‘ch’를 ‘g’로 바꾸고 ‘o’를 뺀 다음 ‘gas(기체)’라고 이름 짓습니다.

 

Gasoline (개설린: 가솔린)

미국에서는 ‘개스(gas)’가 때로 ‘가솔린(gasoline)’으로 쓰입니다. 분명 액체인 가솔린을 기체인 가스로 쓰는 까닭에 헷갈립니다. 카오스에서 나온 말답게 혼돈을 일으킵니다. 가솔린은 ‘가스가 되기 쉬운’이라는 뜻입니다. 가솔린은 엔진 내부에서 기체(gas)가 되어 공기와 섞여 불이 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솔린을 ‘개스(gas)’라고 합니다.

Chaos Theory (캐이어스 씨어리: 카오스 이론)

 

1961년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브라질에 있는 한 마리 나비의 날갯짓이 텍사스에서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라는 논문을 발표합니다. 이 논문을 한 줄로 요약하면, ‘한 마리 나비의 날갯짓이 5,600km나 떨어진 곳에 토네이도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 카오스 이론이 나왔습니다. 이 이론은 날씨나 주식시장 같은 복잡한 현상들로부터 규칙성을 찾게 해 주었습니다. 영화 ‘쥐라기 공원’이나 ‘나비효과’ 등은, 카오스 이론에 기초한 영화들입니다.

카오스 친구


Entropy (엔트로피: 무질서 정도)

엔트로피는 ‘무질서도’를 의미합니다. ‘모든 반응은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말입니다. 즉, 엔트로피는 혼돈의 카오스를 사랑합니다. 방 정리해 봤자 금방 어지럽게 만들어 버리는 범인입니다.

 

Apple (애플: 사과)

달고 향기로운 사과는 곧잘 카오스를 만듭니다. 영어에는 ‘the Apple of Discord ’라는 유명한 표현이 있습니다. ‘불화의 사과’라는 뜻입니다. 고작 ‘불화의 사과’ 하나 때문에 트로이 전쟁이 일어났고 그리스와 트로이는 카오스가 되었습니다.

에덴동산의 사과 (선악과)도 카오스를 가져왔습니다. 아담과 이브는 사과 하나 잘못 따먹고 벌거벗은 채로 낙원에서 쫓겨났습니다. 낙원 밖은 순진한 이들에게 혼돈의 카오스였습니다.

 

요즘은 애플사(Apple)가 불화(discord)를 조장합니다. 애플에서 신제품이 나오면 찬성파와 반대파 사이에 한 바탕 카오스가 발생합니다. 불화의 사과가 맞습니다.

 

Chaos: ‘텅 빈 틈새’에서 나온 말로 무질서나 혼돈을 뜻합니다.

 

다음은 제가 쓴 "신들의 선물" 책입니다. 신화에서 나온 영단어와 그 유래를 밝혀 쓴 책입니다. 신화를 몰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 암기법 -파생어 공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8배속 VOCA 수능편 첫 시간입니다.

8배속 VOCA는 송샘이 쓴 수능 영단어 책입니다. 



송샘 8배속 VOCA 보러 가기


오늘 공부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생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8배속 VOCA 표제어 학습

 

1. 파생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어휘력을 쉽게 키울 수 있습니다. 접두어나 접두어를 익히면 새로운 단어를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대표적인 동사형 어미 ‘-ize'를 봅시다. 대부분의 동사형 어미는 ’~하게 하다(make)'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ize' 또한 같은 ‘~하게 하다를 의미합니다.

 

이제 기본단어 visual을 봅시다. visual시각의, 보는을 의미합니다. 이제 visual에 동사형 어미 ‘-ize'를 붙여 보겠습니다.

 

(1) 동사화

visual(시각의) + ize(만들다) visualize (시각적으로 만들다)

visualize의 의미를 추측해 봅시다. visualize를 그대로 풀이하면 '시각적으로 만들다입니다. 여기에서 시각화 하다, 마음 속에 그려보다라는 의미가 나오게 됩니다.

 

visualize : 시각화 하다, 마음속에 그려보다


visualize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ex) Try to visualize yourself thin.

     (너 자신이 날씬하다고 마음속으로 그려봐.)

 

(2) 명사화

파생어 ‘-ize'’-ation'을 붙여 명사로 만듭니다. ‘만들다는 접미어 ‘-ize'의 명사형이므로 만듦이라는 의미입니다. 조금 더 폼나게 쓰면 ‘~()’가 됩니다. visualize를 명사형으로 만들어 봅시다.


visualize + ation visualization


visualize 끝에 있는 모음 '-e'‘-ation'에 있는 ’a'와 겹치므로 생략합니다. 그 결과 visualization 같은 명사형이 만들어 집니다. 의미는 시각화가 됩니다.

 

visualization: 시각화

어떻습니까? 파생어를 통한 어휘 학습, 쉽지 않습니까?

기본단어 visual만 알면 간단하게 어휘를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파생어에 대한 동영상 한 번 봅시다. 





2. 8배속 VOCA 표제어 학습


다음은 8배속 VOCA에 나와 있는 표제어들입니다. 여기에 동사형 어미 ‘-ize', 명사형 어미’-ation'을 붙여 보겠습니다.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수능은 물론 내신을 위해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합니다. 


동사형은 "~하게 만들다"명사형은 "~화()"가 됩니다. 직접 의미를 만들어 봅시다. 단순하게 외우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단어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기본형

기본형 + ize

명사형 -ation

illegal

illegalize

illegalization

industrial

industrialize

industrialization

public

publicize

publicization

category

categorize

categorization

formular

formularize

formularization

sober

soberize

soberization

artificial

artificialize

artificialization

individual

individualize

individualization

hybrid

hybridize

hybridization

fertile

fertilize

fertilization

sympathy

sympathize

 

victim

victimize

victimization

normal

normalize

normalization

 

anesthetize

anesthetization

system

systematize

systematization

trivial

trivialize

trivialization

symbol

symbolize

symbolization

equal

equalize

equalization

mini

minimize

minimization

subsidy

subsidize

subsidization

visual

visualize

visualization

author

authorize

authorization

mobil

mobilize

mobilization

item

itemize

itemization

verbal

verbalize

verbalization

stable

stabilize

stabilization

commercial

commercialize

commercialization

hypothesis

hypothesize

hypothesization

tranquil

tranquilize

tranquilization

civil

civilize

civilization

municipal

municipalize

municipalization

drama

dramatize

dramatization

secular

secularize

secularization

material

materialize

materialization

fossil

fossilize

fossilization

tropical

tropicalize

tropicalization

organ

organize

organization

rational

rationalize

rationalization

volatile

volatilize

volatilization

medieval

medievalize

medievalization

posture

posturize

posturization

immune

immunize

immunization

moral

demoralize

demoralization

person

depersonalize

depersonalization

urban

urbanize

urbanization

parallel

parallelize

parallelization

revolution

revolutionize

revolutionization

synthesis

synthesize

synthesization

masculine

masculinize

masculinization

internal

internalize

internalization

emphasis

emphasize

emphasization

special

specialize

specialization

vital

vitalize

vitalization

ritual

ritualize

ritualization

monopoly

monopolize

monopolization

random

randomize

randomization

colony

colonize

colonization

 

 

이상으로 수능 영단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샘 8배속 VOCA 보러 가기

수능 영어 단어장 추천 - 8배속 VOCA-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능 영어 단어장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제가 쓴 ‘8배속 VOCA' 소개글 이기도 합니다.


 


수능 영어 단어장을 선택할 때는 다음 세 가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1. 수능 필수 단어일 것

2. 내용이 간결할 것

3. 예문이 간결할 것

 

각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 봅시다.



1. 수능 필수 단어일 것


2014년에 실시된 수능에서 영어 만점자는 3%가 넘었습니다. 속칭 물 수능이었습니다. 만점자가 속출함에 따라 영어 실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교육부의 방침은 확고합니다.

 

쉬운 수능



사교육 경감이라는 목표를 위해 영어는 쉽게 출제하겠다는 것입니다.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하겠다는 계획도 추진 중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필수 기본단어를 먼저 공부해야 합니다. 영어 시험이 쉽다는 것은 여어 단어가 쉽다는 말과 같기 때문입니다. 어려운 단어를 힘들게 공부하는 것보다는 필수 단어를 철저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필수 단어란 고교 기본 단어를 말합니다. 보기에 있는 단어들을 말합니다.


2, 3, 1 필수 단어

hesitate, anxious 등  (중학교 단어 상당히 어렵습니다!)


2 필수 단어

confident, derive, despair, awkward

 

토플이나 기타 시험용 단어

boggle, ardent, intrepid, excogitate, dejection, floundering


토플이나 기타 단어는 대학가서 공부해도 됩니다. 특별히 그 시험을 치를 이유가 없으면 말이죠. 주어진 시간을 자신이 볼 시험에 맞게 효율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다음 리스트에는 수능 필수 단어들이 실려 있습니다. 교과서나 문제집 등, 어디에선가 많이 본 단어들일 것입니다. 이 단어들을 확실하게 외워야 합니다. 여러분들의 단어실력을 체크해 보세요.


수능 필수 어휘 1206개

unit 1 word test part (1-2-3).hwp


8배속 voca word list.pdf

(출처: 8배속 VOCA)

 


2. 내용이 간결할 것


대부분의 영어 단어장들은 친절합니다. 기본 표제어와 관련된 많은 어휘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 분명히 이러한 단어들을 전부(!) 공부한다면 도움이 됩니다. 안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정보가 학습자들의 의욕을 꺾고 맙니다. 과유불급입니다. 필수 단어와 그에 관한 정리면 충분합니다. 필수 단어를 먼저 공부하고, 여력이 되면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능 보는데 토플 단어장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 필수 단어의 변화형(파생어)은 확실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영어에서 품사를 알아야 해석이 매끄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생어는 단어 실력을 늘릴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파생어 동영상을 한 번 보면 공부의 필요성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파생어 동영상

 


3. 예문이 간결할 것


단어를 공부할 때 많은 학생들이 예문을 보지 않습니다. 단어 공부에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막상 단어장을 구입하고는 표제어만 공부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예문이 간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구색 맞추기 용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예문들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간결한 맞춤 예문들은 정말로 도움이 됩니다. 단어 이해는 물론 기억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표제어를 위해 직접 만든 맞춤 예문들 입니다.

 

(1) 표제어: frugality

    ex) Tighten your belt and live a life of frugality.

       너의 허리띠를 졸라매고 검소한 삶을 살아라.

 

(2) 표제어: reference

    ex) The Internet is an excellent sea of reference.

       인터넷은 훌륭한 참고의 바다이다.

 

(3) 표제어: disrupt

    ex) Computer games disrupt your study.

       컴퓨터 게임은 너의 공부를 방해한다.

 

(예문 출처: 8배속 VOCA)

 

어떻습니까?

예문만 봐도 단어의 의미가 쉽게 들어오지 않습니까? 예문은 단어를 외우는데는 물론, 영어 독해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반드시 예문을 공부합시다.

 

더 많은 예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첨부된 맞춤 예문 리스트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수능 필수 어휘 예문들 


8배속 VOCA -part 1-.hwp

(출처: 8배속 VOCA)

 

 

본문에 나온 8배속 VOCA는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수능 영어 단어장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have a crush on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ve a crush'를 보겠습니다.



1. have a crush


‘'have a crush'는 전치사 'on'과 함께 쓰여서, ’~에 홀딱 반하다, 홀리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crush는 ‘깨다, 부수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break보다 의미가 더 강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깨부수다’는 crush가 ‘have a crush'에서는 ’홀딱 반하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have a crush'는 기원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구문입니다. 'mash(남녀가 노닥거리는 것)’에서 나왔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발음이 너무 달라 그렇게 와 닿지는 않습니다.


딱 떨어지는 설명이 없으므로 약간 상상력을 가미해 보겠습니다. 누군가에게 반했을 때를 생각해 봅시다. 반한 사람 앞에서라면 체면도 버립니다. 자신이 망가지고 부서지는 것을 마다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have a crush(구겨지다, 망가지다)’는 것이 ‘누군가에게 홀딱 반하다’로 쓰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have a crush'가 들어가는 예문을 봅시다.


(1) She has a crush on new me.

     그녀는 나에게 홀딱 반했어.


(2) I had a crush on Jane at first sight.

    나는 제인에게 첫 눈에 반했어.

 

2. crush의 종류 


crush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www.wikihow,com 참조)

 (1) The Friendly Crush

애정이 아닌 강한 우정입니다. 그 친구와 같이 있고 싶어 안달이 나는 상태입니다. Friendly Crush는 이성 친구는 물론 동성 친구에게서도 발생합니다. 베스트 프렌드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려는 것은 인지상정입니다. 그러므로 ‘Friendly Crush'는 지극이 정상적인 감정입니다.

 

(2) The Admiration Crush

누군가를 우상화하고 숭배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 ‘푹 빠져 있는’ 상태입니다. 숭배의 대상은 화장실도 안 갈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같이 지내다 보면, 그 사람도 보통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보통은 성장해 가면서 사라지는 감정입니다.


(3) Passing Crush

일시적으로 누군가에게 빠지는 것을 말합니다. 순간 빠져드는 봄바람 같은 상태입니다. 짝이 있어도 다른 사람에게 설레는 감정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가만 놔두면 지나가는 가벼운 감정의 열병을 ‘Passing Crush'라고 합니다.

 

(4) The Romantic Crush

가장 crush다운 crush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에 홀딱 반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 생각만 나고, 그 사람과만 함께 하고픈 감정입니다. 본인의 의지로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crush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 flie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no flies'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불쌍한 파리.


‘fly(파리)’는 그 지저분하기 그지 없는 곤충입니다. 또한 인간의 짜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곤충이기도 합니다. 바퀴벌레, 모기와 함께.

 

파리는 인간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반응속도를 가졌습니다. 전자 레인지에 넣고 돌려도 죽지않는다고 하니 말 다했습니다. 그 놀라운 감각 센서로 전자파가 덜한 지역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파리가 달라붙은 물건 -특히 음식-은 불결함을 연상시킵니다. 그런 탓에 식품점이나 백화점에서는 파리를 막으려고 별 짓을 다합니다. 회전문에, 에어커튼은 기본입니다. 식품코너에서 끈끈이나 에프킬*를 쓸 수도 없으니 말입니다.


파리의 알에서 생긴 구더기는 더 심한 혐오를 받습니다. 구더기가 사는 환경과 그 모양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동․식물이 썩는 부패 현장에는 어김없이 구더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구더기는 생태계는 물론 인간에게도(!) 아주 유익합니다. 동식물이 썩지 않는다면 지구는 시체나 사체로 가득 찬 행성이 되었을 것입니다. 또한 과거의 의사들은 환자의 썩은 상처를 치료하는데 구더기를 사용했습니다. 구더기는 화학물질을 분비해서 썩은 살만 녹여서 골라 먹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는 고마움보다는 박멸의 대상입니다. 


불쌍한 녀석.

 

빈틈 없어. 


어쨌든 ‘no flies'는 인간의 이러한 파리 선입견이 그대로 드러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세 가지 기본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no flies

1. 깨끗하다 → 깨끗하기 때문에 더러운 파리가 꼬이지 않는다.

2. 빠르다 → 그 반응 속도 빠른 파리를 다 잡아 버린다.

3. 빈틈없다 → 깨끗하고 빨라서 파리조차 달라붙을 틈이 없다. (파리보다 더 빠르니 원...)


'no flies'는 주로 3번의 뜻으로 쓰이며, 칭찬하는 말입니다. 


'no flies'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He is new to this job, but there are no flies on him.

     그는 이 일이 처음이야, 그런데 빈틈이 없어.


(2) There are no flies on Tom. He works very fast and very well.

     Tom은 빈틈이 없어. 그는 일을 빨리, 잘해.

 

옥의 티


파리가 들어간 또 다른 표현으로 ‘fly in the ointment'가 있습니다. 이 표현은 파리의 부정적인 이미지 그대로입니다. 여기서 'ointment'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약용 ’연고‘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과거에 의식이나 행사 때 쓰던 크림이나 기름을 말합니다. 중요한 행사에 쓸 크림에 파리가 앉았으니 좋게 보이지 않습니다. 파리가 침 발랐다고 못쓰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찝찝합니다. 파리가 없으면 더 좋았을 것을...

 

이러한 기분을 나타내는 것이 ’fly in the ointment'입니다. 의미는 ‘옥의 티’라는 뜻이죠.

 

ex) I'm looking forward to seeing the party. But the only fly in the ointment is to sit next to my ex-wife.

    나는 파티가 기대된다. 그런데 유일한 옥에 티는 내 전처와 나란히 앉는 다는 거야.

 


그럼 이상으로 'no flies‘에 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have a whale of a tim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ve a whale of a time'을 보겠습니다.



Whale → Big


고래하면 연상되는 이미지는 ‘크다(big)'입니다. 실제로 'blue whale (대왕고래)’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가장 큰 동물입니다. 몸길이는 보통 24~26m이며, 몸무게는 약 120t 이라고 합니다. 가장 큰 대왕고래는 최대 몸길이가 33m나 된다고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blue whale'

에 ‘blue (푸른)’이 들어가지만 대왕고래는 ‘흰 긴수염 고래’라고도 불립니다.

 

이렇게 거대한 고래의 크기 때문에, ‘a whale of ~'은 ’a very large amount of ~(엄청난)‘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크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덕분에 ‘super fine'이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여기에서 나온 표현이 ‘have a whale of a time'입니다. 의역하면 ’끝내주는 시간을 보내다‘는 뜻이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We had a whale of a time on Christmas.

    우리는 크리스마스에 끝내주는 시간을 보냈어.

 

(2) They are having a whale of a time in Karaoke.

    그들은 노래방에서 끝내주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a whale of → very big, very impressive


'a whale of ~'은 또한 다른 명사와 결합하여 ‘엄청나게 큰, 굉장한’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3) The king has a whale of a castle.

    왕은 엄청나게 큰 성을 가지고 있다.

 

(4) You did a whale of a job.

    당신은 엄청난 일을 했다.

 

(5) There is a whale of a difference between them.

    그들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이상으로 ‘a whale of ~’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Dumb Jock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dumb jock을 보겠습니다.



돌 대가리


Jock은 남성의 성기(penis)를 나타내는 속어로 쓰였습니다. 이 말에서, 격투기 등 신체접촉이 심한 스포츠에서 남자 선수들이 착용하던 jock strap(국부 보호대)라는 표현이 나왔습니다. 주로 남성에 쓰이는 말이지만, jock은 현재 미국 대중문화에서 일반화된, 운동선수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입니다. Jock은 보통 ‘운동은 잘하지만 난폭하고 지능은 떨어지는 선수’를 비하하는 말입니다.


‘dumb jock’은 운동 선수에 대한 대중의 편견이 집약된 말입니다. 우리말로 심하게 표현하면, ‘운동만 잘 하는 돌대가리’라는 뜻쯤 되겠습니다.



'dumb jock'에는 두 가지 시선이 담겨있습니다.

 

두 가지 시선


첫째는 말 그대로의 의미입니다. 미국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운동선수들은 아무래도 학업에 전념할 여건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 대체로 지식관련 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전국 단위 시합에 참가하는 선수가 공부를 잘 하기는 사실 불가능합니다. 그렇다 보니 운동선수들은 ‘dumb jock (돌대가리)’라고 비아냥거림을 당합니다.


둘째는 질투와 시기 어린 시선입니다. 미국에서 고교, 또는 대학 운동선수들의 지위는 특별합니다. 프로 스포츠의 규모가 세계 최대․최고인 미국이다 보니, 운동선수는 ‘돈과 명예’를 보장 받습니다. 더욱이 인기도 많다 보니 다른 사람들에게 시기를 많이 받습니다. 이렇게, 보통사람들의 시기가 담긴 말이 또한 ‘dumb jock'입니다.



예문


'dumb jock'이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A: Tim is really dumb, unattractive and simple.  (벤은 정말 멍청하고, 매력도 없고 단순해)

    He is really a dumb jock.  (그는 진짜 돌대가리야)

   

B: But every girl wants to go out with him.  (하지만 모든 여자들이 그와 데이트 하고 싶어해)

   Every man wants be like him.  (모든 남자들은 그와 같이 되고 싶어해)


A: What! Then I also want be a dumb jock.  (뭐라고! 그렇다면 나도 돌대가리가 되고 싶어)


athlete, nerd


운동선수를 나타내는 더 유명한 단어로 athlete가 있습니다. athlete는 몸과 머리가 근육질인 'dumb jock'과는 다릅니다. ‘운동도 잘하고 공부도 잘하는 엄친아’를 athlete라고 합니다. 특히 영국의 경우, 운동선수들은 공부도 잘합니다. 영국에서는 운동만 잘한다고 졸업장을 주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dumb jock'이 ‘운동만 하고 머리가 나쁜 녀석’을 뜻한다면, nerd는 정반대입니다. ‘머리는 뛰어 나지만 운동 능력은 꽝’이 'nerd'입니다. 속어로 ‘덕후’ 쯤 되겠습니다. 미국에서 인기 절정인 시트콤 ‘Big Bang' 이론에는 ’칼텍 nerd'들이 등장합니다. 평균 IQ는 170 이상들이지만, 운동능력은 ‘1.70’쯤 됩니다. 더욱이 여학생들에게 인기는 전혀 없습니다.


선택하라면 ‘dumb jock'이 낫겠군요.


 

그럼 이상으로 'dumb jock'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spill the bean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pill the beans을 보겠습니다.


 그리스 투표


‘spill the bean'은 ’비밀을 누설하다‘는 뜻입니다. 무심코, 또는 의도적으로 비밀을 말했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콩을 엎지르다‘와 ’비밀‘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가 봅시다.


고대 그리스에는 콩을 이용해서 투표를 했습니다. 하얀 콩은 ‘찬성’을, 까만 콩은 ‘반대’를 나타냈습니다. 투표자는 준비된 하얀 콩과 까만 콩을 투표함(?)에 넣었습니다. 투표는 익명으로 진행되었고 결과는 투표가 끝날 때까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모든 사람이 투표를 한 후에 콩의 수가 많은 쪽으로 결정을 했겠지요.


그런데 투표가 끝나기 전에 투표함을 쏟아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하얀 콩과 까만 콩의 비율을 알 수 있으니 투표 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었을 겁니다. ‘spill the beans'하는 것은 말 그대로 공개되지 말아야 할 내용을 밝혀 버리는 것입니다.


그럴 듯 합니다. 그렇지만 ‘spill the bean’ 란 표현은 20세기에 와서 처음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 투표 기원설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이 아닙니다.


'spill the bean'의 유래는 ‘spill'이라는 동사 자체에서 찾아야 합니다. spill은 구어에서 ’비밀을 누설하다, 말을 퍼뜨리다(divulge)‘는 뜻으로 쓰입니다. 사실 beans 없이 spill만 가지고도 ’비밀을 누설하다‘라는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


아무튼 'spill the bean‘이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There'll be a surprise party for John. 존을 위해서 깜짝 파티를 할거야.

    Don't spill the beans, please. 말하지 마.


(2) She threatened to spill the beans about her affair with me.

    그녀는 위협했다/ 나와의 불륜을 밝혀 버리겠다고.

 

변형들


'spill the bean'에는 변형들이 있습니다. 콩 대신 다른 것을 쓸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bean(콩)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도 가능합니다.

 

‘spill the soup', 'spill the guts'


역시 간단한 예문을 봅시다.

 

(3) Don't tell her any secret. 그녀에게 비밀 말 하지마.

    She easily spills her guts. 그녀는 쉽게 비밀을 털어 놓아버려.



이상으로 'spill the bean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Big Wig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ig wig을 보겠습니다.


 

big wig의 유래


big wig은 ‘중요한 사람(= an important person)을 뜻합니다. ’큰 가발‘을 뜻하는 ’big wig'이 어떻게 '중요한 사람이 되었을까요? 유행의 첨단인 프랑스 파리로 가 봅시다.

 

부르봉 왕조의 루이 13세(1601-1643)는 커다란 고민이 있었습니다. 아주 젊은 나이에 대머리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대머리는 남자들에게 큰 상처입니다. 막강 프랑스의 루이 13세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루이 13세는 얼마 안 남은 머리를 완전히 밀어버리고 가발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왕의 불편한 마음도 모르는 프랑스 귀족들은 왕의 '패션‘을 따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16세기 중엽에는 왕실이 가발의 물결로 넘치게 되었습니다. 태양왕이었던 루이 14세 치하에 이르자, 가발은 프랑스 국경을 넘어 유럽 귀족과 품위있는 사람의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유럽 귀족의 경쟁심 덕에 가발의 높이는 높아만 갔습니다. 급기야 지지대가 없이는 가발을 쓸 수도 없을 정도가 되고 말았습니다.

 

가발은 비쌀 뿐만 아니라 보관하기도 힘들었습니다. 보통 사람이 크고 멋진 가발을 장만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돈깨나 있고, 힘깨나 있는 귀족이나 명망가들만이 멋진 가발을 쓸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big wig'이 ’중요한 사람‘을 뜻할 거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예문


'big wig'이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He is a big wig in political world.

     그는 정치계의 거물이다.

 

(2) Several big wigs are coming to the ceremony.

     몇몇 거물들이 행사에 올 것이다.

 

big wig과 같은 의미를 지닌 구어로 ‘big shot’이 있습니다.

 

(3) She is a big shot in the film industry.

    그녀는 영화 산업의 거물이다.

 

(4) I want to be a big shot in the broadcasting.

    나는 방송계의 거물이 되고 싶다.

 


이상으로 big wig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t's not the beard that makes the philosoph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재미있는 속담을 하나 보겠습니다.



수염이 있다고 철학자?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습니다.


ex) It's not the beard that makes the philosopher.

    직역: 턱수염이 아니다/ 철학자를 만드는 것은.

    의역: 턱수염이 있다고 철학자는 아니다.


보통 철학(philosophy)하면 서양 철학을 떠올립니다. 서양철학하면 ‘그리스 철학’, 그리스 철학하면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 텔레스’를 떠 올립니다. 이들 철학자들은 예외없이 근사한 턱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고대에는 수염이 남성성의 상징이자, 지혜와 원숙함의 상징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철학사에 남긴 커다란 영향 때문에, 철학자는 턱수염을 기를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데카르트 이후의 철학자들은 대부분 말끔하게 면도한 모습입니다) 그렇지만 ‘턱수염이 있다고 철학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명백히 오류입니다. 관계없는 두 사건을 인과관계로 묶었기 때문입니다. 


가짜 원인의 오류


'수염과 철학자는'는 다음과 같이 잘못 생각하는 것입니다.


(1) 내가 tv를 보면 국가대표팀이 져. 나 때문에 지는 거야.

             (A)              (B)

(1)번 문장은 ‘가짜 원인 오류’입니다. (1)번에서 (A), (B) 두 사건은 동시에 발생합니다. 그렇지만 (A) 때문에 (B)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2) It's not the beard that makes the philosopher.

    턱수염이 있다고 철학자는 아니다.

(2)번 마찬가지입니다. 턱수염이 철학자를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철학자들이 턱수염을 기르고 있었을 뿐입니다.


(2)번 문장의 뜻하는 바는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마라’는 것입니다. 턱수염이 있다고 철학자가 아니듯이, ‘겉모습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겉모습에 속지 마라. 


(2)번과 같은 표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2) It's not the beard that makes the philosopher.

    턱수염이 철학자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3) Appearances are deceptive.

    외모는 잘 속인다. (외모는 믿을 수 없다)

(4)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

    표지를 보고 책을 판단하지 마라.

(5) Don't judge somebody by their appearances.

    사람을 그들의 외모로 판단하지 마라.


외모지상주의가 판치는 세상이라 그렇게 와 닿지는 않습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도 있으니까요. 그렇지만 여전히 수염보다는 사람이 중요합니다. 책 표지보다는 책 내용이 중요합니다. 살아 보면 아는 것들입니다.



이상으로 ‘It's not the beard that makes the philosop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blew the tes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lew the test'를 보겠습니다.



blew the test


'blow it'은 특히 미국 영어에서 ‘실수하다’라는 의미의 속어입니다. 여기서 유래된 표현이 ‘blew the test'입니다.


'blew the test'는 ‘시험을 망치다’는 뜻입니다. blow가 어떻게 ‘실수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습니다. 그렇지만 blow의 뜻에 기초해서 추측할 수는 있습니다.

첫째, 촛불을 불어서 끄듯이 모든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꺼 버리는 것입니다. 둘째, 말 그대로 ‘불어서 날려 버리는 것’입니다. 기회나 가능성을 날려 버리면 완전히 망치는 것이 됩니다.



 예문


'blew the test'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A: why the long face?

    왜 우울한 얼굴이야?

B: I blew my English test.

    나 영어 시험 망쳤거든.

A: Cheer up! It's nothing.

    기운 내! 별거 아냐.


또한 test 자리에 다양한 시험이 올 수도 있습니다.


(1) I blew my mid term exam.

    나는 중간 시험을 망쳤다.

(2) I blew my final exam.

    나는 기말 시험을 망쳤다.

(3) I blew my interview.

    나는 인터뷰를 망쳤다.


'blew the test'는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4) I blew the test.

   → I messed up the test.

    → I failed the test.


다음은 ‘기회를 날리다’는 뜻으로 쓰인 'blow' 예문입니다.


ex) You had your chance but you blew it yourself.

     넌 기회를 가졌지만 너 스스로 날려 버린 거야.




이상으로 ‘blew the te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end, finish, conclude, close, complete, terminat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끝내다’는 단어들을 보겠습니다.



살펴볼 단어들은 end, finish, conclude, close, complete, terminate 등입니다.



1. end, finish


우선 end·finish의 차이를 봅시다.

end, finish는 둘 다 어떤 것이 ‘끝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두 단어를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1) The film ended with a happy ending.

     그 영화는 해피 엔딩으로 끝났다.

(2) The play finished with a solo piece.

     그 연극은 독창곡으로 끝났다.


그렇지만 두 단어는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갖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바꾸어 쓰지 않습니다.


end는 보통 ‘진행 중이던 중요한 것이 끝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end는 ‘분명하고 만족스러운 결론으로 끝나는 것’을 나타냅니다.


(1) Finally, the medieval dark age ended in 16th century.

     마침내, 중세의 암흑기는 16세기에 끝났다.

(2) They ended the long and cruel war at once.

     그들은 길고 잔인한 전쟁을 단번에 끝냈다.


finish에도 ‘희망한대로 끝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finish는 주로 ‘어떤 일을 기간 내에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1) I can finish this work by next week.

     나는 이 일을 다음 주까지 끝낼 수 있다.

(2) He finished his new novel in three years.

     그는 자신의 새 소설을 3년 만에 끝냈다.


2. conclude


conclude는 어떤 결론에 도달해서, 정식으로 끝내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종결하다’ 쯤 됩니다.


(1) The commission concluded its investigation on the accident.

위원회는 사고에 대한 조사를 종결했다.

(2) He concluded his remark by pointing out the danger of smoking.

그는 흡연의 위험을 지적하는 것으로 자신의 언급을 마쳤다.



3. close

close는 ‘열려 있는 문을 닫듯이 딱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1) It's time to close our meeting.

     이제 회의를 끝낼 시간이다.

(2) The policed closed the case on the murder.

    경찰은 그 살인 사건에 대한 조사를 끝냈다.

 

4. complete


completes는 ‘부족한 것을 채워서 완전하게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1) She's just completed her doctoral course.

     그녀는 얼마 전에 박사 과정을 끝냈다.

(2) They completed the project finally.

     그들은 마침내 그 사업을 완수했다.



5. terminate

terminate는 ‘정해진 한도나 한계에 도달하면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terminate는 주로 격식을 차린 상황에 쓰입니다.

(1) Your driver license will be in December.

     당신은 운전 면허는 12월에 끝납니다.

(2) The peace agreement was terminated immediately.

    평화 혐의는 즉시 끝났다.

 


이상으로 ‘끝나다’는 단어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doctor, physician, surgeon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의사’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보겠습니다.


 

살펴볼 단어는 ‘doctor, physician, surgeon'입니다.

이 말들은 모두 ‘의사’를 나타내지만 약간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해 봅시다.

 

1. doctor, physician


'doctor‘는 의업에 종사는 전문가를 칭하는 가장 일상적인 말입니다.

 

physician 역시 의사를 뜻하지만 특히 ’내과 의사‘를 나타냅니다. 영국에서는 physician은 구식이 되어 잘 쓰이지 않습니다. 이 단어 대신에 doctor를 씁니다. 미국에서는 doctor, physician'을 가리지 않고 씁니다. 단지 physician이 격식을 차린(formal) 말일 뿐입니다.

 

(1) My doctor told me to stop smoking.

     내 의사가 담배를 끊으라고 말했다.

(2) He practices as a physician.

     그는 의사로 개업 중이다.

 

미국에서는 doctor를 doc(구어)으로 쓰기도 합니다.

 

(3) Listen doc, I don't like to stop smoking.

    의사 선생님, 담배 끊기 싫어요.

(4) I need to see my doc.

    의사 선생님 좀 만나야 겠어.

 

(주의) 

doctor는 박사학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Doctor of Philosophy'의 줄임말입니다. 'Doctor of Philosophy'는 줄여서 PhD라고 씁니다. 의학박사는 특히 MD(Doctor of Medicine)라고 합니다. Ph.D.나 MD같은 학위명은 이름 다음에 쓰입니다.

 

(1) Carl Sagan PhD.

     칼 세이건 박사

(2) Paul Larson MD.

     의학박사 폴 라슨

 

doctor만 쓸 경우에는 사람 이름 앞에 씁니다.


(3) Dr. Sagan

    Sagan 박사

(4) Doctor Larson.

    Larson 박사

 


2. surgeon


surgeon은 외과 전문의(외과의사)를 의미합니다. 외과의사란 수술을 하도록 훈련받은 전문의를 말합니다. surgeon에 대응하는 내과의사는 physician을 씁니다.


(1) He is a heart surgeon.

     그는 심장 전문의이다.

(2) The surgeon removed her broken bone.

     그 의사는 그녀의 부러진 뼈를 제거했다.

 


이상으로 ‘의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female, feminine, womanly, womanish 여성적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여성적인’이라는 단어들을 보겠습니다.



비교할 단어들은 'female, feminine, womanly, womanish 등입니다. 

각 단어별로 의미를 봅시다.

 

1. female (여성의, 암컷의)


female은 다음과 같은 사전적 의미를 갖습니다.

female : 1. 여성(여자인) 

            2. 암컷의


female은 male(수컷의, 남성의)과 상대적인 말입니다. female은 주로 생물학적인 성(性)을 가리키며, 인간은 물론 동·식물에도 사용됩니다.

 

(1) 사람에게 쓰이는 경우

a female student (여학생)

a female employee (여직원)

a female child (여아)

 

(2) 동·식물에 쓰이는 경우

a female beaver (암컷 비버)

a female cat (암고양이)

a female flower (암꽃)

 


2. feminine (여성의, 여성다운)


feminine은 다음과 같은 사전적 의미를 갖습니다.

feminine : 1. 여성스러운 

               2. (문법) 여성을 가리키는

feminine은 masculine(남성의, 남성다운)에 상대적인 말입니다. 여성을 나타내는 다른 말과 달리, 이 말은 특히 문법에서 ‘여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1) The dress makes her look very feminine.

     그 드레스는 그녀를 매우 여성스럽게 보이게 한다.

(2) 'table' is a feminine noun in France.

     'table'은 불어에서 여성명사이다.

 


3. womanly (여성스러운)


womanly는 다음과 같은 사전적 의미를 갖습니다.

womanly : 여자다운, 여성스러운


womanly는 manly(사내다운)과 상대적인 말입니다. 이 단어는 성숙한 여성(여성·아내·어머니)이 가지는 미덕--을 나타냅니다. 보통은 남성의 공격적인 특성이 아닌, 애정·동정 등을 나타냅니다.

 

(1) womanly virtues.  

    여성적 미덕

(2) My daughter grew to be womanly.

    내 딸은 크더니 여성스러워 졌다.

 


4. womanish (여자 같은)


womanly는 다음과 같은 사전적 의미를 갖습니다.

womanish : (남자가) 여자 같은, 여자에게 더 어울리는

 

이 말은 ‘남자가 여자 같은 짓을 한다’같이 경멸적으로 쓰입니다.

(1) He has womanish tears.

    그는 여자같이 잘 운다.

(2) He likes to read a womanish novel.

    그는 여자들이나 읽는 소설을 좋아한다.

 


이상으로 ‘여성적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pupil, student, scholar, disciple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학생을 뜻하는 단어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다음 영어 단어들은 모두 ‘배우는 사람(학생)’을 뜻합니다. 그렇지만 당연히 단어마다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각 단어별로 살펴 봅시다.



1. pupil (학생, 생도)


pupil은 보통 ‘나이가 어리거나 (초등학생)’, 전공학과의 대학생에게 쓰입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초등학생을 pupil이라고 합니다.


(1) The elementary school has many pupils.

     그 초등학교는 많은 학생들이 있다.

(2) She is an art pupil

     그녀는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이다.

(3) A pupil of Picasso painted this picture.

     피카소 문하생이 이 그림을 그렸다.



2. student (학생, 연구자)


student는 모든 학교(초․중․고․대)에서 공부하는 학생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로 고등교육기관에 다니는 학생들을 가리킵니다. 미국에서는 고등학생도 student로 표현합니다.


(1) My son is a college student.

    내 아들은 대학생이다.

(2) He was a student at Harvard, where he was a pupil of professor Neilson.

    그는 하버드에서 공부했고, 닐슨 교수의 제자였다.



3. scholar (학자, 생도)


scholar는 주로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나타냅니다. 또한 scholar는 초등학교나 주일 학교 등의 생도를 뜻하기도 합니다.

 

(1) He was a respected scholar in the science.

     그는 과학에서 존경받는 학자였다.

(2) I was a Sunday-school pupil.

     나는 주일학교에서 공부했었다.



4. disciple (제자, 사도)


disciple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의 뜻으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그 보다는 종교적 또는 정치적 가르침을 따르는 제자나 신봉자를 뜻합니다.


(1) Christ and 12 disciples.

     예수와 12 사도.

(2) He was the disciple of Darwin.

     그는 다윈의 신봉자이다.

 


이상으로 학생을 뜻하는 단어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llegal, illegitimate, illicit, unlawful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llegal, illegitimate, illicit, unlawful을 보겠습니다.



이들 단어들은 공통적으로 ‘법에 어긋나는’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각 단어마다 고유한 의미가 있습니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illegal


illegal의 사전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illegal : 형. 불법적인

               (forbidden by law)


illegal은 적용되는 범위가 제한적인 말로, ‘법이 금지하는 것’에만 사용됩니다. illegal이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It is illegal to smoke in the library.

    도서관에서 담배 피우는 것은 불법이다.

(2) He was arrested for an illegal trading.

    그는 불법 거래로 체포되었다.



2. illegitimate


illegitimate는 다음과 같은 사전적 정의를 갖습니다.


illegitimate : 형. 불법의, 타당하지 않은, 사생의

                      (forbidden by law)


illegitimate는 적용범위가 illegal보다 넓어서, 법과 관련이 없는 대상에도 적용됩니다. illegitimate는 기본적으로 ‘법으로 인정되지 않는(not authorized by law)’입니다. 또한 ‘타당하지 않는(illogical)’이라는 의미도 갖습니다. 원래 illegitimate의 어원은 '사생의, 서출의'라는 뜻이었습니다. ‘사생아’는 과거에는 ‘법적 권리’가 없었습니다. 여기에서 ‘적법하지 않는, 타당하지 않은’이라는 의미가 생겨났습니다.


(1) He was fired for illegitimate use of company property.

    그는 회사 자산을 불법으로 유용해서 해고당했다.

(2) Your inference is illegitimate.

    너의 추론은 타당하지 않다.



3. illicit


illicit는 다음과 같은 사전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illicit: 형. 불법의, 사회 통념에 어긋나는

             (not permitted by law)


illicit는 불법적일 뿐만 아니라 ‘강한 비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illicit한 행동은 ‘불법적’일뿐만 아니라, ‘사회 통념’과도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1) He was arrested for selling illicit copies of software.

     그는 불법 소프트웨어 복사본을 팔아서 체포되었다.

(2) She had an illicit affair with her boss.

     그녀는 상사와 부정을 저질렀다.



4. unlawful


unlawful은 다음과 같은 사전적 정의를 갖습니다.


unlawful : 형. (격식) 불법의

                  (not allowed by law)


unlawful은 법은 물론 도덕규범에 어긋나는 일에도 쓰입니다. 단지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 말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법을 위반하는 경우라는 unlawful 대신에 illegal을 씁니다. 그리고 도덕을 위반하는 경우라면 illicit을 씁니다. 그러나 국법이 아닌 종교법에는 illegal 대신 unlawful을 씁니다.


(1) The sale of cigarette to minors is unlawful.

    담배를 미성년자에게 파는 것은 불법이다.

(2) It is unlawful for a Moslem to eat pork.

    회교도가 돼지고기를 먹는 것은 옳지 않다.

    (실정법이 아닌 종교법을 위반 하는 것)



이상으로 illegal, illegitimate, illicit, unlawful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play hooky, 땡땡이 치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lay hooky'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1. play hooky 의미


hooky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hooky : 명. (학교나 직장을) 꾀부려 빼먹는 것

           동. 꾀부려 쉬다, 슬쩍 훔치다.

           (To stay away from work and duty, or esp from school without an excuse; be truant)


그러므로 'play hooky'는 ‘땡땡이를 치다, 수업을 빼먹다’라는 뜻을 갖습니다.

play hooky : 수업을 빼먹다


'play hook'가 들어간 예문들을 살펴 봅시다.


(1) The weather is so fine that I feel like playing hooky.

     날씨가 너무 좋아서 수업을 땡땡이 치고 싶다.


(2) We played hooky and went to the rock concert.

     우리는 수업을 빼먹고 록 콘서트에 갔다.



2. play hooky 유래

관용구 ‘play hooky’는 네덜란드어 hooekje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네덜란드어 hookje는 숨바꼭질(hid and seek)을 뜻합니다. New Amsterdam(옛 New York)에는 당연히 네덜란드인들이 많이 정착을 했습니다. 이 정착민들의 아이들이 즐겨하던 놀이 hookje에서 'hooky'가 유래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 애들은 수업을 빼먹고 ‘hooekje'를 하고 놀았나 봅니다. 여기서 나온 표현이 'play hooky’입니다.


수업 땡땡이에 일가견이 있었던 Tom Sawyer. Mark Twain이 쓴 'Tom Sawyer'에도 이 표현이 등장합니다.


"He moped to school gloomy and sad, and took his flogging, along with Joe Harper, for playing hooky the day before." (Mark Twain, Tom Sawyer)


“그는 자전거를 타고 우울하고 슬프게 학교에 갔다, 그리고는 Joe Haper와 함께 매를 맞았다/ 전날 땡땡이 친 것에 대해서. (마크 트웨인, 톰 소여)



3. play hooky 동의어


'play hooky'와 같은 뜻을 지난 표현에는 ‘skip class', 'ditch class'등이 있습니다.


play hooky : 땡땡이 치다

                 = skip class

                 = ditch class

                 = play truant


ex) I decided to play hooky from school today.

     = I decided to skip class today.

     = I decided to ditch class today.

     = I decided to play truant today.

        (나는 오늘 땡땡이 치기로 마음 먹었다)

 


이상으로 play hook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have a big head, 너무 잘난 척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ve a big head’를 보겠습니다.

 

1. have a big head : 의미

잘난척하다, 우쭐해 하다


형용사 ‘big(크다)’이 붙는 단어들은 보통 긍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big man, big house, big bonus, big boss, 기타 등등.


그런데 ‘big head'는 그렇게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 말에서 ’큰 머리‘는 절대 찬사가 아닙니다. 여자는 물론 남자도 머리가 크다는 말을 들으면 좋아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에서 ’big head'는 두뇌(brain)라기 보다는 외모를 흠잡는데 쓰입니다.


영어에서도 big head는 부정적인 비난의 표현입니다. 단지 외모에 쓰이지 않는 다는 것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He got a big head'는, 머리가 큰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말은 ‘똑똑하고 잘난척하는 것’을 비난하는 것입니다. 'have a big head'는 보통 다음과 같은 뜻을 갖습니다.


■ have a big head : to think oneself as superior.

    (자신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다)

  → 잘난척 하다, 우쭐해 하다

 

2. have a big head : 유래와 예문

‘big head’가 이러한 의미를 가지게 된 것에는 사람들의 무지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과거에는 머리 크기와 그 사람의 지능이 비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단순․명쾌한 논리였습니다.


머리가 크다 -> 두뇌가 크다 -> 똑똑하다.


big head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큰 머리(big head)’를 가지고 있으니 거기에 걸맞게 똑똑할 것이라는 잘못된 추론의 결과입니다.


요즘에는 머리 크기와 지능에서 비례관계를 찾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 표현-big head-‘은 ‘잘난 척 하는 사람을 비꼴 때’ 지금도 사용됩니다. big head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He has such a big-head. He always talks mighty about his fantastic grade.

     그는 되게 잘난척한다. 그는 항상 자신의 환상적인 학점을 떠벌인다.

 

(2) I don't want to be a big head, but I got a A in math.

     잘난척 하고 싶지는 않지만, 나는 수학에서 A를 받았다.

 

3. widen the door.

   문좀 넓혀라. 


big head를 가진 사람을 비난하는 표현도 있습니다. 'to widen the door (문을 넓히다)‘라는 표현입니다. 워낙 머리가 커서 들고나기 힘드니 문을 넓혀야 한다고 비꼬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ex) He got such a big head, so widen the door.

      그는 정말 잘난척 해, 그러니 문 좀 넓혀라.

 

이상으로 have a big hea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n a jam, 곤경에 처하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n a jam'을 보겠습니다.



1. in a jam


'in a jam'은 ‘곤경에 빠져있는, 궁지에 몰려있는’이라는 표현입니다. ‘in a jam'은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1) I am in a jam.

    나는 큰 일 났어.

(2) He got himself into a jam.

    그는 어려움을 자초했어.


여기서 jam은 과일에 발라먹는 끈적끈적한 그 jam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맛있는 jam이 ‘어려움’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을까요?


아마 jam이 가진 끈적끈적함 때문일 것 같습니다. 끈끈이 주걱에 빠진 곤충들이 꼼짝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끈적끈적한 jam 속에 빠진다면 쉽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2. jam이 들어간 표현들


어려움과 관련된, 자주 쓰이는 jam 표현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a traffic jam (교통 체증)

    My car was caught in an endless traffic jam.

    내 차는 끝없는 교통 체증에 걸렸다.


(2) a paper jam (종이 걸림)

    There's a paper jam in the copy machine.

    복사기에 종이가 걸렸다.


(3) be in a jam (어려움에 처하다)

    He found himself in a jam.

    그는 어려움에 처한 자신을 발견했다.


3. in a jam과 동의어들


'in a jam'은 위에서 보았듯이 ‘곤경에 빠지다’는 뜻입니다. 'in a jam'과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in a jam

= in a bind

= in a tight corner

= in a mess

= in a tight spot


각 표현들이 들어간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he fox was in a bind.

    그 여우는 곤경에 처했다.

(2) Don't drive me into a tight corner.

    날 궁지에 몰아 넣지 마라.

(3) He was in a mess with money.

    그는 돈 때문에 궁지에 처해 있다.

(4) Terrorism puts democracy in a tight spot.

    테러는 민주주의를 위험한 상황으로 몬다.



이상으로 jam과 관련된 표현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 hope you will get out of any jam.

어떤 어려움이라도 벗어나길 바랍니다.

영어 동음이의어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음이의어를 보겠습니다.


영어에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이를 동음이의어(homonym)라고 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동음이의어들을 정리해 두었으니 잘 알아두길 바랍니다.

 

동음이의어 (1-5)


1. air (공기) - heir (상속인) [εər]

(1) The air is fresh and balmy.

    공기가 신선하고 상쾌하다.

(2) She is the sole heir to the property.

    그녀가 그 재산에 대한 유일한 상속인이다.


2. ark (방주) - arc (호, 아치모양) [aːrk]

(1) The ark was floating upon the water.

    방주는 물 위에 떠 있었다.

     (2) It formed the arc of a large circle.

     그것은 커다란 원의 호를 만들었다.


3. berry (산딸기) - bury (묻다) [béri]

(1) The berry was large and sweet.

    그 산딸기는 크고 달콤했다.

(2) He came to bury his friend.

    그는 친구를 묻기 위해서 왔다.


4. blew (불었다) - blue (파란) [bluː]

(1) The wind blew towards the shore.

    바람이 해변을 향해서 불었다.

(2) She wore a light blue dress.

    그녀는 밝고 파란 옷을 입었다.


5. bow (인사) - bough (가지) [bau]

(1) The boy made a polite bow.

    그 소년은 정중하게 인사를 했다.

(2) I could not break the bough.

    나는 그 가지를 부러뜨릴 수 없었다.

 

동음이의어 (6-10)


6. bare (벗은) - bear (곰) [bεər]

(1) His feet was bare.

    그의 발은 맨발이었다.

(2) The grizzly bear is very violent.

    회색곰은 난폭하다.


7. brake (브레이크) - break (깨다) [breik]

(1) The car braked and stopped.

    차가 브레이크를 걸고 멈췄다.

(2) It is not easy to break bad habits.

    나쁜 습관들을 깨는 것은 쉽지 않다.


8. base (비열한) - bass (베이스, 저음) [beis]

(1) Though base, he is a good bass singer.

    비록 비열하지만, 그는 훌륭한 베이스 가수다.


9. cell (감방) - sell (팔다) [sel]

(1) The thief was imprisoned in a narrow cell.

    그 도둑은 좁음 감방에 투옥되었다.

(2) We sell cars.

    우리는 차를 판다.


10. seller (판매자) - cellar (지하실) [sélər]

(1) The car seller deceived the purchaser.

    그 차 판매원은 고객을 속였다.

(2) Wine bottles are kept in the cellar.

    와인 병들은 지하실에 보관된다. 



이상으로 동음이의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