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사(구) 의미 정리

 

 

전치사 의미 총정리  동영상 강의

 

 

 

위에서 정리한 전치사를 의미별로 분류해서 정리했습니다. 각 전치사마다 핵심 예문을 하나씩만 제시했습니다. 이미 분량이 충분이 많아서요.


1. 장소/방향 (Location & Direction)

  • above: ~위에
    The lamp hangs above the table.
    (램프가 테이블 위에 걸려 있다.)
  • across: ~을 가로질러
    He walked across the street.
    (그는 길을 가로질러 걸었다.)
  • along: ~을 따라
    They strolled along the beach.
    (그들은 해변을 따라 거닐었다.)
  • among: (셋 이상) 사이에
    She found a note among the papers.
    (그녀는 서류들 사이에서 쪽지를 찾았다.)
  • around: ~주변에
    We traveled around the city.
    (우리는 도시 주변을 돌아다녔다.)
  • at (장소): ~(특정 지점)에
    Meet me at the bus stop.
    (버스 정류장에서 만나자.)
  • behind: ~뒤에
    The garden is behind the house.
    (정원은 집 뒤에 있다.)
  • below: ~아래에
    The temperature fell below zero.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다.)
  • beneath: ~아래에 (아주 아래)
    The cat hid beneath the sofa.
    (고양이가 소파 아래에 숨었다.)
  • beside: ~옆에
    Sit beside me, please.
    (내 옆에 앉아 줘.)
  • between: (둘) 사이에
    The town is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sea.
    (도시는 산과 바다 사이에 있다.)
  • beyond: ~너머
    The castle is beyond the hills.
    (성은 언덕 너머에 있다.)
  • by (장소): ~옆에, 근처에
    There’s a café by the river.
    (강 옆에 카페가 있다.)
  • down: 아래로 (이동)
    She ran down the hill.
    (그녀는 언덕을 내려 달렸다.)
  • from (장소): ~로부터
    I got a gift from my friend.
    (나는 친구에게 선물을 받았다.)
  • in (장소): ~안에
    She is in her room.
    (그녀는 방 안에 있다.)
  • in back of: ~의 뒤쪽에
    There’s a small yard in back of the shop.
    (가게 뒤쪽에 작은 마당이 있다.)
  • in front of: ~의 앞에
    Park your car in front of the building.
    (건물 앞에 차를 주차하세요.)
  • inside: ~안쪽에
    The dog is inside the house.
    (개가 집 안에 있다.)
  • into: ~안으로 (이동)
    He jumped into the pool.
    (그는 수영장 안으로 뛰어들었다.)
  • near: 가까이에
    There’s a station near my house.
    (우리 집 근처에 역이 있다.)
  • next: ~의 옆/곁에
    The post office is next to the bank.
    (우체국은 은행 옆에 있다.)
  • off: (표면에서) 떨어져서
    She took the books off the shelf.
    (그녀는 책을 선반에서 내렸다.)
  • on (장소): ~(표면) 위에
    The pen is on the table.
    (펜이 테이블 위에 있다.)
  • on top of: ~의 맨 위에
    Put the box on top of the others.
    (상자를 다른 상자들 위에 올려놔.)
  • onto: ~위로 (이동)
    The cat jumped onto the chair.
    (고양이가 의자 위로 뛰어올랐다.)
  • out: 밖으로 (방향)
    He went out for a walk.
    (그는 산책하러 나갔다.)
  • out of: ~의 밖으로
    She walked out of the room.
    (그녀는 방 밖으로 걸어나갔다.)
  • outside: ~의 바깥쪽에
    Wait outside the classroom.
    (교실 밖에서 기다려.)
  • over: ~위에 (덮는 느낌)
    A cloud passed over the sun.
    (구름이 해 위를 지나갔다.)
  • past: ~을 지나
    He walked past the post office.
    (그는 우체국을 지나 걸었다.)
  • round: ~주위를 빙 돌아
    The ship sailed round the island.
    (배가 섬 주위를 돌아 항해했다.)
  • through: ~을 통과하여
    We drove through the tunnel.
    (우리는 터널을 지나 운전했다.)
  • throughout (공간): 도처에
    They searched throughout the house.
    (그들은 집 안 구석구석을 뒤졌다.)
  • to: ~로 (방향)
    I went to the market.
    (나는 시장에 갔다.)
  • toward: ~을 향하여
    He walked toward the door.
    (그는 문 쪽으로 걸어갔다.)
  • under: ~아래에
    The cat is under the table.
    (고양이가 테이블 아래에 있다.)
  • underneath: ~아래에 (바로 밑)
    She found a box underneath the bed.
    (그녀는 침대 아래에서 상자를 찾았다.)
  • up: ~위로 (이동)
    They climbed up the hill.
    (그들은 언덕을 올라갔다.)
  • upon: ~(격식) 위에
    He placed the book upon the shelf.
    (그는 책을 선반 위에 두었다.)
  • up to: ~까지 (장소 범위)
    Walk up to the gate and wait.
    (문까지 걸어가서 기다려라.)
  • within (장소): ~범위 안에
    Stay within the boundaries.
    (경계 안에 머무르세요.)

2. 시간 (Time)

  • after: ~후에
    I’ll call you after dinner.
    (저녁 식사 후에 전화할게.)
  • at (시간): ~(시각)에
    The meeting starts at 9 a.m.
    (회의는 오전 9시에 시작한다.)
  • before: ~전에
    Finish this before noon.
    (정오 전에 끝내라.)
  • by (시간): ~까지 (완료 시한)
    Submit the report by Friday.
    (보고서를 금요일까지 제출하세요.)
  • during: ~동안
    We traveled a lot during the summer.
    (우리는 여름 동안 여행을 많이 했다.)
  • for (기간): ~동안
    I waited for two hours.
    (나는 두 시간 동안 기다렸다.)
  • from (시간): ~부터
    Open from 9 to 6.
    (9시부터 6시까지 엶.)
  • in (시간): ~에; ~후에
    I was born in 1990. / I’ll finish in an hour.
    (나는 1990년에 태어났다. / 한 시간 후에 끝낼게.)
  • on (날짜/요일): ~(특정 날짜/요일)에
    The event is on Monday.
    (행사는 월요일에 열린다.)
  • since: ~이후로
    We’ve lived here since 2005.
    (우리는 2005년 이후로 여기에서 살고 있다.)
  • till / until: ~까지
    I worked till midnight. / Wait until I come back.
    (자정까지 일했다.) / (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라.)
  • throughout (시간): ~내내
    It rained throughout the night.
    (밤새 내내 비가 내렸다.)
  • within (시간): ~이내에
    Finish it within a week.
    (일주일 이내에 끝내라.)

3. 원인 / 목적 / 방법 (Cause, Purpose & Means)

  • because of: ~때문에
    We were late because of the traffic.
    (교통 체증 때문에 늦었다.)
  • for (목적): ~을 위하여
    I bought flowers for my mother.
    (나는 어머니를 위해 꽃을 샀다.)
  • by means of: ~에 의해서 (수단, 방법)
    They solved the problem by means of AI.
    (그들은 AI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4. 비교 / 대조 (Comparison & Contrast)

  • against: ~에 반대하여; ~에 맞서
    They protested against the policy.
    (그들은 정책에 반대하여 시위했다.)
  • as: ~처럼 (자격/비교)
    He works as a teacher.
    (그는 교사로 일한다.)
  • like: ~처럼
    She sings like an angel.
    (그녀는 천사처럼 노래한다.)
  • despite / in spite of: ~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rain, we went out. / In spite of his efforts, he failed.
    (비가 왔지만 우리는 나갔다.) /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실패했다.)
  • unlike: ~와 다르게
    Unlike his brother, he is shy.
    (그의 형과는 다르게, 그는 소심하다.)

5. 추가 / 제외 / 대신 (Addition, Exception & Substitution)

  • along with: ~와 함께
    He came along with his friend.
    (그는 친구와 함께 왔다.)
  • apart from: ~을 제외하고, ~은 별도로
    Apart from the price, I like everything here.
    (가격을 제외하면 여기가 다 좋다.)
  • but: ~을 제외하고
    Everyone but me was invited.
    (나 빼고 모두 초대됐다.)
  • except / except for / excepting: ~을 제외하고
    Take all except this one. / The trip was great except for the weather. / Excepting John, everyone agreed.
    (이것만 빼고 다 가져가라.) / (날씨만 빼면 여행은 최고였다.) / (존을 빼고 다들 동의했다.)
  • in addition to: ~뿐만 아니라, ~외에도
    In addition to English, she speaks French.
    (그녀는 영어뿐만 아니라 프랑스어도 한다.)
  • instead of: ~대신
    Let’s stay home instead of going out.
    (외출하는 대신 집에 있자.)
  • in place of: ~대신
    Use this tool in place of the old one.
    (오래된 것 대신 이 도구를 써라.)

6. 관련 / 참조 / 기타 (Reference & Others)

  • about: ~에 대하여
    We talked about the project.
    (우리는 그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했다.)
  • according to: ~에 따르면
    According to the news, it’s going to rain.
    (뉴스에 따르면 비가 온다고 한다.)
  • as for: ~에 관해서는
    As for me, I prefer coffee.
    (나로 말하자면, 커피를 선호한다.)
  • concerning / regarding: ~에 관하여
    No info concerning his whereabouts. / I have a question regarding the schedule.
    (그의 행방에 대한 정보가 없다.) / (스케줄에 관해 질문이 있다.)
  • of: ~의 (소유/부분)
    The pages of the book are torn.
    (그 책의 페이지가 찢어졌다.)
  • with: ~와 함께
    I went there with my sister.
    (나는 여동생과 함께 갔다.)
  • without: ~없이
    I can’t live without music.
    (음악 없이는 살 수 없다.)
  • in case of: ~의 경우에
    In case of fire, use the stairs.
    (화재가 발생하면 계단을 이용하세요.)
  • on top of: ~에 더하여(게다가)
    On top of being late, he forgot his keys.
    (늦은 데다가 열쇠까지 잊어버렸다.)
  • by (행위자/수단): ~에 의해, ~에 의해서
    The book was written by a famous author.
    (그 책은 유명 작가에 의해 쓰였다.)

추가 팁

  • 같은 전치사가 시간, 장소, 수단 등을 나타낼 때가 많습니다. 문맥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 실제 예문을 반복해서 접해 보면서 몸에 익히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상으로 전치사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이해하는 전치사" 책입니다. 의미를 중심으로 외우지 않고 전치사를 공부하기 위한 책입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의미 총정리  (7) 2025.04.20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현재완료 총정리

 

영문법 총정리 2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현재완료(Present Perfect) 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 강좌는 문법의 실전 응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초적인 설명은 다루지 않으니, 필요하신 분은 『영문법 개념정리』를 참고해 주세요.

 

동영상 강의가 제공된 항목은 링크를 포함하였습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꼭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학습 목차

  1. 현재완료의 형태
  2. 현재완료의 의미 (현재완료와 과거 비교)
  3. 현재완료의 네 가지 용법
  4. 현재완료와 since, for
  5.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는 표현
  6. have been to vs. have gone to

 

참고: 현재완료 직전정리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현재완료의 형태

 

현재완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have + 과거분사 (p.p.)
  • has + 과거분사 (p.p.)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2. 현재완료의 의미 (현재완료와 과거)

 (현재완료 vs. 과거)

  • 현재완료:
    과거의 행동이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거나 영향을 미칠 때 사용
    ex) I have been ill.
          (과거에 아파서 지금도 아픔)

  • 과거:
    과거에 일어난 일을 단순히 서술
    ex) I was ill.
          (과거에 아팠으며, 지금은 아닐 가능성 있음)

📌 요점: 현재완료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연결"이 핵심입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현재완료 (어법 001)

 

3. 현재완료의 네 가지 용법

(완료, 경험, 계속. 결과)

 

(완료, 경험, 계속, 결과)
중·고등학교 내신시험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각 용법은 자주 쓰이는 부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완료   (막 ~했다)                 (just, already, yet)

    I have just finished my report. 

    (나는 이제 막 숙제를 끝냈다.)

2. 경험   (~한적이 있다, 없다)    (ever, never, once, before)

   I have never finished a report. 

   (나는 숙제를 끝내지 않아본 적이 없다.))

3. 계속   (~해 오고 있다)          (for, since)

   I have been doing my report for 5 hours.

   (나는 다섯 시간동안 숙제를 계속 하고 있다.)

4. 결과   (~해버렸다)              (결과 부사는 없습니다.)

   I have sent my report by e-mail. 

   (나는 내 과제를 제출했다/ e-mail로)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완료, 경험, 계속, 결과’는 중·고등학교 내신에만 출제됩니다. 일반적으로 현재완료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이라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즉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4. 현재완료와 since, for

 

현재완료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계속을 나타내는 말들인 since, for 등과 함께 쓰입니다. 

  • since + 과거 시점 (문장)
    ex) I have lived in Seoul since I was born.
          (나는 서울에 살고 있다/ 내가 태어날 이후로)

  • for + 기간 (명사)
    ex) I have lived in Seoul for 22 years.
         (나는 서울에 살고 있다/ 22년 동안)

두 문장 다 과거에 시작한 동작이나 상태가 지금도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단지 접속사 since 다음에는 문장이 오고, 전치사 for 다음에는 명사가 온다는 것만 다릅니다.

5. 현재완료와 쓸 수 없는 말들

(과거부사, 과거연도, when)

 

현재완료는 ‘현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과거를 나타내는 말들과는 함께 쓰일 수 없습니다. 특히 ‘과거연도’도 과거를 나타낸다는 것을 잘 기억해 두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현재완료와 함께 쓰일 수 없는 말들입니다.

 
❌ 사용 불가한 표현들

(1) 과거부사     (ago, yesterday, last night, then 등)

(2) 과거 년도    (in 2010 등)

(3) when         (특정 과거 시점)

 

각 용법별로 예문을 하나씩만 들어 보겠습니다.

 

 

(1) I have visited my girl friend last night.  ❌
     I visited my girlfriend last night. ✅ (have visited ⇒ visited)

     (나는 여자 친구를 방문했다/ 어제 저녁에.)

(2) I have met my girl friend in 2010  
    I met my girlfriend in 2010. ✅ (have met ⇒ met)

    (나는 여자 친구를 만났다/ 2010년에.)

(3) When I have met my girl friend, I loved her at first sight.  
     When I met my girlfriend, I loved her. ✅ (have met ⇒ met)

    (내가 여자 친구를 만났을 때, 나는 첫눈에 사랑에 빠졌다.)

 

(1)번은 ‘last night’이 과거이므로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습니다.

(2)번은 ‘in 2010'이 지나거버린 연도이기 때문에 과거입니다.

(3)번 when은 ‘한 점’이므로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습니다.

핵심: 현재완료는 특정 과거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과는 함께 쓰지 않는다.

 

6. have been to, have gone to의 구별

 

(1) have been to  (갔다 왔다, 경험)

(2) has gone to   (가버리고 없다, 결과)

 

 

(1) I have been to U.S. to study. (경험)

    (나는 미국에 갔다 왔다/ 공부하려고)

(2) My son has gone to U.S. to study English. (결과)

    (내 아들은 미국에 가버리고 없다/ 영어 공부하려고)

 

 

(주의!)

has gone to는 1인칭과 2인칭에 쓸 수 없습니다. 살짝 맛이간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봅시다.

(1) I have gone to U.S.     (나는 미국에 가버리고 없다.) ❌

(2) You have gone to U.S. (너는 미국에 가버리고 없다) ❌

 

‘가버리고 없는’ 사람에게 말한다는 것은 ‘맛이간’ 일입니다. 그러므로 have gone to는 1인칭, 2인칭에 쓸 수 없습니다.

 

 

 

현재완료는 단순한 과거와 달리, 지금까지의 연속성이나 현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하는 시제입니다. 문법 시험뿐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므로, 핵심 용법과 표현을 정확히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강좌입니다.

 

2. 현재완료의 의미 (현재완료와 과거)

 

 

 

4. 현재완료와 since, for

 

 

 

5. 현재완료와 쓸 수 없는 말들

 

 

 

이상으로 현재 완료 총정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현재 완료 직전 정리" 책입니다. 현재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수동태 총정리  (10) 2013.03.18

현재분사, 과거분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보겠습니다. 

 

현재분사는 동사원형에 '~ing'를 붙여서 만듭니다. 현재분사는 '진행과 능동'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현재분사는 진행을 나타낸다.

 

현재분사는 be 동사와 결합하여, 현재나 과거의 특정 순간에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특히 진행형에 사용된 분사는 진행의 의미를 갖습니다.

 

(1) I am watching TV now.  ▶ 분사, 현재진행형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2) I was watching TV when you called me.  ▶ 분사, 과거 진행형

    TV를 보고 있었다/ 너가 전화했을 때

 

 

(1),(2)번에서 현재분사는, 현재와 과거의 특정 순간에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동사의 현재 분사 또한 진행의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앞, 뒤에서 수식합니다.

 

(1) The crying baby is my nephew. ▶ 지금 울고 있음

     울고 있는 아기는 내 조카다. 

(2) The baby crying desperately is my nephew.  ▶ 지금 울고 있음

    필사적으로 울고 있는 아기는 내 조카이다

 
(1),(2)번에서 자동사의 현재분사 crying은 아기가 '지금' 울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을 나타낸다.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자신이 한다'는 능동의 의미를 가집니다.

 

(1) The teacher is boring.  ▶ 선생님이 지루하게 한다.

     저 선생님은 지루하다.

(2) The boring teacher always makes me sleep.  ▶ 선생님이 지루하게 한다.

    저 지루한 선생님은 항상 나를 잠들게 한다. 

 

(1),(2)번에서 선생님은 (나를) 지루하게 합니다. 이렇듯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을 나타냅니다.

느낌을 강조하고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현재분사를 자주 사용합니다.

ex) This movie is exciting!
     이 영화는 흥미진진하다!
영화가 관객을 흥분시키는 능동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현재분사는 진행과 능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분사는 보통 동사원형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과거분사는 '완료와 수동'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3. 과거 분사는 완료를 나타낸다.

 

과거분사는 어떤 행위가 완료(~한, ~해버린)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1) Fallen apples lay on the ground.  ▶ fallen, 떨어져 버렸다.

    떨어진 사과들이 놓여있다/ 땅 위에. 

(2) Apples have fallen on the ground.  ▶ fallen, 떨어져 버렸다.

    사과들이 떨어졌다/ 땅 위에.

완료된 상황을 강조하고 간결히 표현하기 위해 과거분사가 자주 사용되기도 합니다.
ex) Mission completed!
     임무 완료!

 

 

4. 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을 나타낸다.

 

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당한, ~하게 된)의 의미를 갖습니다.

 

     과거분사는 수동태에 사용되어, '~당한, ~하게 된'의 뜻을 갖습니다.

(1) The house was destroyed by the storm.  ▶ 파괴당한 집

    그 집은 파괴당했다/ 폭풍에 의해서

 

    과거분사는 명사를 수식하여, '~당한, ~하게 된'의 뜻을 갖습니다.

(2) The destroyed house should be rebuilt.  ▶ 파괴당한 집

     그 파괴된 집은 다시 지어져야 한다.

피해 상황을 보다 강렬하고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거분사를 제목에 자주 활용하기도 합니다.
ex) Damaged roads closed after storm.
     ▶ 폭풍 후 파손된 도로 폐쇄

 

위에서 보듯이, 과거분사는 '완료나 수동'의 뜻을 갖습니다.

 이상으로 현재분사 과거분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분사 직전 정리"입니다. 분사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been to, have gone to, have been in  (5) 2025.04.04
현재완료 -의미-  (0) 2025.04.04
동명사 형태와 역할  (1) 2025.04.02
동사의 시제 (12시제)  (0) 2025.04.02
관계대명사 정리  (0) 2025.04.02

동명사 형태와 역할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을 공부하겠습니다. 

 

~ing는 동사와 명사의 성격을 갖습니다. 그런데 ~ing 형태로 끝나는 말들의 경우 동사인지 명사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painting을 봅시다. 이 단어가 ‘그림’을 뜻하는 명사인지, ‘그리다’는 동사에 -ing를 붙인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결국은 쓰임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1. 동사 역할 : 목적어를 취하는 ~ing

 

목적어를 취하는 것은 동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목적어인 명사를 취하는 ~ing는 동사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를 가지는 것은 동사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목적어인 명사(구)를 취하는 ~ing는 동사 역할을 합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명사(구)는 각각 앞에 있는 ~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atching과 updating은 동사적 성격을 가집니다.

(1) Watching YouTube videos all night.
     밤새도록 유튜브 영상을 보기

(2) Constantly updating social media.
     끊임없이 소셜미디어를 업데이트 하기

 

2. 동사 역할: 부사의 수식을 받는 ~ing는

 

동사는 부사의 수식을 받습니다. 따라서 ~ing가 부사(구)의 수식을 받으면 동사 역할을 합니다.

 

(1),(2)번에서 ~ing 표현들은 내용상, 바로 뒤에 나오는 부사(구)의 수식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driving, working은 동사적 성격을 갖습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부사(구)는 ~ing를 수식하므로, exercising과 talking은 동사적 성격을 가집니다.

(1) Exercising regularly helps maintain your health.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

(2) Talking openly about mental health is important.
      정신 건강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동명사: 주어 역할을 하는 ~ing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것은 명사입니다. 따라서 주어 자리에 있는 ~ing 형태는 동명사로, 명사적 성격을 지닙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ing 구문은 동사 앞 주어 자리에 있으므로 명사 역할을 합니다.


(1) Creating engaging content is challenging.   (동사 is의 주어)
      흥미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어렵다.

(2) Learning coding skills can open up new opportunities.   (조동사 can의 주어)
     코딩 기술을 배우는 것은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

 

4. 동명사: 목적어 역할

 

명사만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는 타동사의 목적어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나누어지는데, 둘 다 명사입니다.

 

(1)에서 cooking은 타동사 enjoy의 목적어입니다. (2)의 improving은 전치사 on의 목적어입니다. 따라서 cooking과 improving은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입니다.

(1) She enjoys cooking vegan meals.     (동사 enjoy의 목적어)
     그녀는 비건 식사를 요리하는 것을 즐긴다.

(2) We focused on improving productivity.    (전치사 on의 목적어)
     우리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했다.

 

 

이상으로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음 시간에는 좀 더 심화된 활용법을 다뤄 보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동명사 직전정리"입니다. 동명사에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완료 -의미-  (0) 2025.04.04
현재분사, 과거분사  (0) 2025.04.02
동사의 시제 (12시제)  (0) 2025.04.02
관계대명사 정리  (0) 2025.04.02
현재완료 용법 (1부)  (9) 2025.04.02
동사의 시제 (12시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의 시제를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시제란 사건이 언제 일어났는지를 동사의 형태로 나타낸 것입니다. 시제를 보는 관점은 학자마다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현대 영문법 경향에 따라 12시제를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보통은 현재, 과거, 미래, 현재 완료 정도면 충분합니다)

 

1.  기본 시제: 현재, 과거, 미래

 

우리가 사는 시간은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로 흐릅니다. 이를 시간 축 위에 놓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과거 → 현재 → 미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틀어 기본시제라고 합니다. 기본 시제는 영어에서 동사의 형태를 바꾸거나 조동사를 통해 나타냅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말하면 영어에서는 독립적인 '미래' 시제는 없습니다. 조동사를 사용하여 미래를 표혀할 뿐입니다.

과거 (finished) — 현재 (finish) — 미래 (will finish) 

 

2.  완료 시제: 사건의 ‘완료’ 및 ‘결과’ 강조

 

기본 시제는 각각 완료 시제를 갖고 있으며, 이는 조동사 have(has)와 동사의 과거분사(p.p.) 형태를 더하여 만듭니다.

 

과거완료(had p.p.) — 현재완료(have, has + p.p.) — 미래완료(will have p.p.)

 

완료 시제는 기본 시제보다 먼저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기본시제와 완료 시제를 발생 순서에 따라 하나의 선 위에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과거완료         과거           현재완료         현재           미래완료           미래 →

had p.p.        finished    have(has) p.p.  finish     will have p.p.  will finish

 

3.  진행 시제: 사건의 ‘진행’과 ‘임시성’ 표현

 

앞서 설명한 6가지 시제(기본 3가지 + 완료 3가지)는 각각 진행형을 갖습니다. 진행 시제는 be동사와 ~ing 형태를 결합하여 표현합니다.

 과거완료 진행형  had been finishing
 과거 진행형   were(was) finishing
 현재완료 진행형  have been finishing
 현재 진행형  are(am, is) finishing
 미래완료 진행형  will have been finishing
 미래 진행형    will be finishing


진행시제는 사건이 특정 시점에 진행 중이거나, 일시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1) 현재 진행형 (is/am/are finishing) - 지금 일어나고 있는 중인 사건
(2) 과거 진행형 (was/were finishing) - 과거 특정 순간 진행되고 있던 사건

 

최근에는 진행형을 사용하여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도 흔합니다. 특히 가까운 미래의 약속이나 예정된 일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ex) I'm finishing the report tomorrow.
     나는 내일 보고서를 끝낼 예정이다. (이미 예정된 일정 강조)

이처럼 진행 시제는 특정한 시간이나 일시적이고 변화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4. 영어에는 12 시제가 있다.

 

기본, 완료, 진행 시제를 합쳐서 12시제라고 합니다. 12 시제는 사건의 발생 순서에 따라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열할 수 있습니다. 각 시제를 finish라는 동사로 정리해 봅시다.

 

12 시제
finish 12 시제
 과거완료  had finished
 과거완료 진행형   had been finishing
 과거 진행형    were(was) finishing
 과거
 finished 
 현재완료    have(has) finished
 현재완료 진행형  have been finishing
 현재 진행형  are(am, is) finishing
 현재
 finish 
 미래완료    will have finished
 미래완료 진행형  will have been finishing
 미래 진행형  will be finishing
 미래  finish   

 

주의할 것은, 각 시제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기본시제와 완료 시제, 그리고 진행시제들은 서로 겹치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시제를 공부할 때는 시간상의 ‘겹침’을 염두에 두고 학습해야 합니다. 특히 다음 사항들에 유의하여 시제를 공부합시다.

  • 각 시제가 사용되는 실제적인 상황과 맥락을 함께 이해하기
  • 완료 시제는 시간보다는 먼저 발생한 일을 표현
  • 진행 시제는 일시적이거나 변하는 상황, 가까운 미래의 계획을 표현

 

이상으로 동사의 시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시제 직전 정리"입니다. 영어 시제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분사, 과거분사  (0) 2025.04.02
동명사 형태와 역할  (1) 2025.04.02
관계대명사 정리  (0) 2025.04.02
현재완료 용법 (1부)  (9) 2025.04.02
5형식 목적보어  (0) 2025.04.02

 

일치, agreement

 

 

    이번 시간에는 일치(agreement)를 살펴 보겠습니다. 

 

 

 

 

PART 1. 개념정리.

 

언어에서 일치(agreement)란 단어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말합니다. 영문법에서 일치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가 있습니다.

1. 인칭의 일치

2. 수의 일치

3. 성의 일치

4. 격의 일치

각 항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1. 인칭의 일치

 

영어의 인칭에는 1,2,3인칭 명사들이 있습니다. 인칭명사들이 주어 자리에 올 경우, 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변합니다.

 

(1) I am a boy. (1인칭 주어)

(2) You are a boy. (2인칭 주어)

(3) He is a boy. (3인칭 주어)

 

위 예문에서 보듯이, be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바뀌게 됩니다. 특히 3인칭 단수 주어 뒤에 일반동사가 올 경우, 현재형 동사에 '-s' 또는 '-es'가 붙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1) He walks home every day. (3인칭 단수 주어 → walks)
(2) They walk home every day. (3인칭 복수 주어 → walk)

 

2. 수의 일치

 

단수는 단수를, 복수는 복수를 나타내는 형태로 받는 것입니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단수와 복수를 엄격하게 구분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s)와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s)의 구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1) One boy → boy (단수 형태)
(2) Two boys → boys (복수 형태)

복수 형태를 갖지만 단수 취급을 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1) News is interesting.
→ (news는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 취급합니다.)
(2) Mathematics is difficult.
→ (mathematics등 학문 이름은 단수 취급합니다.)

 

3. 성의 일치

 

영어에는 성(gender)을 나타내는 말이 존재합니다. 특히 소유격 대명사를 쓸 때 주의해야 합니다. 당연히 남성명사는 남성으로, 여성명사는 여성으로 일치 시켜야합니다.

 

(1) The boy has his dog. (남성 명사 → his)

(2) The girl has her dog. (여성 명사 → her)

최근 경향 & 추가 팁
오늘날 영어권 국가에서는 성중립적 표현(gender-neutral language)을 선호합니다. 성별이 불분명하거나, 굳이 성별을 드러낼 필요가 없는 경우 복수형인 'they/their'를 단수 형태로 사용합니다. 실제 시험이나 실생활 영어에서도 빈번히 사용됩니다.

ex) Everyone has their own opinion.
→ (Everyone은 단수이지만, 성별 구별 없이 their를 자주 사용합니다.)

 

 

4. 격의 일치

명사와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형태가 바뀌어야 합니다. 주어 자리에 쓰일 때는 주격을, 목적어 자리에서는 목적격, 소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소유격 형태를 씁니다.

 

(1) I like you. (주격 I)

(2) You like me. (목적격 me)

(2) My darling. (소유격 my)

 

네 가지 일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어 동사의 일치입니다. 수식어 때문에 주어와 동사 떨어져 있는 경우, 주어·동사 사이에 일치가 잘못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x) The fact (that we ultimately die) doesn't weaken the pleasure of being present alive.

    (우리가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은, 현재 살아있다는 기쁨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the fact'가 주어이기 때문에 단수동사 ‘doesn't'를 썼습니다. ( )안에 있는 수식어절은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이상으로 일치에 대한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일치 직전정리"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필수적인 일치 문법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의 구별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는 둘 다 공통적으로 선행사(앞에 나오는 명사)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뒤에 오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최근에는 영어 시험에서는 이러한 문법 요소를 문맥에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적 역할뿐만 아니라 실제 해석과 실생활에서의 예문까지 꼼꼼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즉,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문장 자체가 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① 관계대명사 -주어역할-

You have just met the boy/            너는 방금 소년을 만났어/

who hacked the FBI.                     그런데 그 소년이 FBI를 해킹했어

 

관계대명사 'who'는 뒤 문장에서 'hacked'라는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 -부사 역할-

 

I visited the place/                      나는 그 장소를 방문했다/

where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거기서)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이 문장에서 관계부사 ‘where’는 뒤 문장의 동사구 'was killed'를 수식하는 장소부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와 달리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니 관계부사니 하는 명칭은 뒤에 있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관계 대명사’, 부사 역할을 하면 ‘관계부사’가 되는 것입니다.

 

 

관계부사의 해석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그런데’를 넣어서 이어가십시오. 선행사와 관계부사절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This is the day/                       그날이다/

when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그 날에)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최근 출제 경향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막연히 '감'에 기대지 말고, 정확히 구조를 분석해 내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문법적으로 이해한 후에는 자연스럽고 빠르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이 되는 이 해석 틀은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면화 되어갑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부사 직전정리" 책입니다. 관계부사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2-2]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수동태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자동사와 수동태

 

오늘 공부할 내용은 수동태입니다. 수동태로 바꾸는 기본적인 방법은 모두 아실 테니 생략하겠습니다. 대신 예문을 보면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능동태 : I love  you (화살표 표시)

타동사  목적어

수동태 : You are loved by me.

주어  수동태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바뀌는 과정을 봅시다. 타동사의 목적어가 수동태에서 주어 자리로 갑니다.

 

 

만약 문장에 목적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목적어가 없다는 것은 수동태 문장으로 바꿀 때 주어가 될 대상이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주어 없는 문장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규칙이 나옵니다.

 

‘자동사는 수동태로 고칠 수 없다.

 

그렇다면 수동태로 바꿀 수 없는 모든 자동사를 전부 다 외워야 할까요? 그것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고, 또한 불필요합니다. 우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는 동사들 중 시험에 자주 나오는 대표적인 단어 몇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2. 수동태로 고칠 수 없는 대표 자동사들

 

※ 다음은 시험에 빈번히 등장하는, 수동태로 쓸 수 없는 대표적인 자동사 9개입니다.

[happen, occur, take, place, appear, disappear, look, seem prove, turn out]

 

이 아홉 개 단어를 무작위로 외우는 것은 중노동입니다그래서 의미상 그룹 네 개로 묶어 보았습니다.

 

수동태가 안 되는 동사 9

1) 발생하다 : happen, occur, take, place

2) 나타나다 : appear, disappear

3) ~처럼 보이다 : look, seem

4) 판명되다 : prove, turn out (주의)

 

 

한결 외우기 편합니다

 

 

3. prove, turn out  수동태

위의 네 번째 그룹(prove, turn out)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수동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 단어들이 수동태로 쓰였다면 잘못된 문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prove와 turn out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습니다. 이 두 동사가 ‘~으로 판명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만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prove가 ‘증명하다’, turn out이 ‘생산하다’ 등의 의미일 때는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가 됩니다. 따라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The rumor proved to be true.

(그 소문은 사실로 판명되었다.)

 

이 경우에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으로 판명되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The evidence  proved  his  innocence.

(증거는 그가 결백함을 입증했다.)

 

이 문장에서 prove증명하다의 의미로 타동사로 쓰였습니다. 그리고 innocence는 목적어입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His innocence  was  proved  by  the  evidence.

 

이 부분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시험에서 실제로 자주 출제되는 것은 1~3번 그룹에 해당하는 동사들입니다. 4번은 굳이 완벽히 외우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수동태 직전정리"입니다. 수동태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명사 (material noun)  (8)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분사구문 총정리  (9) 2013.09.25
as if 가정법  (6) 2013.09.24
관계대명사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개념을 살펴 보겠습니다.
(예전에 썼던 글들을 2025년에 맞게 Renewal 중입니다)

 

 

관계대명사의는 보통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면서 문장을 이어 줍니다.

 

1. 선행사는 관계대명사가 설명하는 명사이다.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를 선행사라고 합니다관계대명사는 이 선행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줍니다.

 

(1) The man WHO visited our office has already left. ▶ 선행사: the man

      우리 사무실을 방문했던 그 남자는 이미 떠났다.

(2) She bought the smartphone WHICH you recommended. ▶ 선행사: the smartphone

     그녀는 네가 추천한 스마트폰을 샀다.

 

첫 번째 문장에서 ‘WHO', 앞에 있는 명사 man을 설명하는 대명사입니다. 이와 같은 'who'는 앞에 있는 명사 ’the ma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man'은 관계 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인데,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사는 ‘앞에 있는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which smartphone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있는 ball which의 선행사입니다

 

2.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앞 뒤 문장을 연결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하고,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1) I met the girl WHO speaks French. ▶ 접속사와 대명사 역할: WHO
     나는 프랑스어를 하는 그 소녀를 만났다.

(2) She found the book WHICH was missing. ▶ 접속사와 대명사 역할: WHICH
      그녀는 없어졌던 그 책을 찾았다.

첫 번째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O'는 두 문장 "I met the girl."과 "She speaks French."를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두 번째 문장에서 'she'를 대신하는 대명사의 역할도 합니다.

두 번째 문장의 관계대명사 'WHICH' 역시 두 문장 "She found the book."과 "The book was missing."을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the book'이라는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 대명사 직전 정리"입니다. 관계대명사에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만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 형태와 역할  (1) 2025.04.02
동사의 시제 (12시제)  (0) 2025.04.02
현재완료 용법 (1부)  (9) 2025.04.02
5형식 목적보어  (0) 2025.04.02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현재완료 용법 (1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현재 완료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현재 완료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have(has) + 과거분사

 

현재완료를 공부할 때 주의할 점은 무조건 외우지 말라는 것입니다. 의미와 용법도 모른 채로 ‘완료·경험·계속·결과’하고 외우는 것은 ‘문법을 위해서 문법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어야 유용한 문법 지식이 됩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간단한 문장 몇 개를 보면서 감을 잡아 봅시다.

 

 

1. 과거와 현재완료의 의미차이

 

(1) I bought a computer three weeks ago.

    (나는 컴퓨터를 3주 전에 샀다)

(2) You know what? I have bought a new computer.

    (그거 알아? 나 컴퓨터 새로 샀다)

 

(1)번은 단순과거(simple pasty)시제이고 (2)번은 현재완료입니다. 두 문장의 의미는 어떻게 다를까요?

 

첫 번째 문장(단순 과거)은 단지 과거 특정 시점에 발생한 사실을 전달할 뿐입니다. 현재와의 연결이나 현재 상태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이어지는 문장이 없으면 그 컴퓨터를 사서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 그저 과거의 사실만을 말하고 있습니다.

 

(2)번 문장은 최근에 벌어진 일로서 컴퓨터를 사서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화자가 새로운 컴퓨터를 산 사실을 듣는 사람은 모르고 있을 확률이 큽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He died.
    (그는 죽었다)

(4) He has died.
    (그는 최근에 죽었다)

 

(3)번은 ‘그가 죽었다’는 과거의 사실을 나타냅니다. (4)번 역시 ‘그가 죽었다’는 과거를 나타냅니다. 두 문장의 의미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죽어 있는 상태가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 두 문장은 각각 어느 경우에 써야 할까요?

 

(3)번은 그가 죽은 뒤 약간 시간이 경과 되었다는 말로, ‘아는 사람은 다 안다’라는 뉘앙스를 풍깁니다. 그렇지만 (4)번 현재완료는 ‘그가 아주 최근에 죽었고, 그가 죽은 것이 아직도 뉴스거리가 될 만하다’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어려운 것 같지만 간단히 정리할 수 있습니다.

 

과거시제: 현재와 관련이 없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다.

현재완료: 과거의 사건이 현재까지 계속된다. 현재에 뉴스가 될 만한 사건에 사용한다.

 

보시면 알겠지만 우리는 현재완료보다는 과거시제에 익숙하고, 과거시제를 더 자주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현재완료는 사건은 과거에 발생했지만 현재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우리 말에는 현재 완료가 없습니다)

 

 

2. 현재완료의 용법

 

현재완료의 의미에 대해서는 감을 잡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현재완료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현재완료의 용법은 보통 ‘완료·경험·계속·결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은 하고 있지만 현재완료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입니다. 현재완료라는 시제자체가 의미하는 것이 어떤 사건이 과거에 발생해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표현하니까요.

 

편의상 기존 방식대로 완료·경험·계속·결과로 구분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완료

 

① I have just watered my garden.

    (나는 막 물을 줬다/ 내 정원에)

①번은 이렇게 풀어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원이 건조하다 ⇒ 물을 줬다 ⇒ 물을 줘서 정원에는 지금 물기가 있다.

 

② She has already arrived at my house.

    (그녀는 이미 도착했다/ 내 집에)

②번은 이렇게 풀어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녀가 오지 않았다 ⇒ 그녀가 내 집에 도착했다 ⇒ 그녀가 지금 내 집에 있다.

 

완료에서 주의할 것은 ‘명칭’에 현혹되지 말라는 것입니다. 현재완료에서 ‘완료’라는 것은 어떤 사건이 끝났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떤 ‘사건이 완료된 후 효과가 계속된다’는 의미입니다.

 

 

(2) 경험

 

① I have tried raw fish before.

    (나는 회를 먹어본 적이 있다/ 전에)

①번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를 먹어본 적이 없었다 ⇒ 회를 먹었다 ⇒ 그 이후로는 회를 먹어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완료의 경험역시 어떤 상태나 동작이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특히 이 경우에는 의미가 ‘~한적이 있다’이므로 ‘경험’이라고 부르는 것뿐입니다.

 

ever, never, once, before는 자주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되어 ‘경험’을 나타냅니다.

 

③ Something bad have ever happened.

    (뭔가 나쁜 일이 일어났다)

④ She never been to the U.S.

    (그녀는 미국에 가본적이 없다)

 

주의할 것은 have been to, have gone to입니다. 둘은 같은 현재완료이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⑤ He has been to Europe.

    해석: 그는 유럽에 가본적이 있다.

    숨은 뜻: 그는 유럽에 갔다가 돌아 와서 여기 있는 상태가 계속된다.

⑥ He has gone to Europe.

    해석: 그는 유럽에 가버렸다.

    숨은 뜻: 그는 유럽에 가버리고 여기 없는 상태가 계속된다.

 

위에서 보듯이 'have been to'는 ‘어딘가에 갔다와서 여기 있다’를 의미하므로 ‘경험적 용법’이라고 부릅니다.

 

‘have gone to'는 ’어딘가로 가버리고 지금은 없다‘라는 의미로 ’결과‘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⑤,⑥에서 보듯이 현재완료는 모두 어떠한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됨을 의미합니다. ‘경험’이니, ‘결과’니 하는 것들은 의미에 맞게 붙인 명칭에 불과합니다. 그러니 숨은 뜻을 모른 채로, ‘완료·경험·계속·결과’로만 외우는 것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현재완료를 단순히 용어로만 기억하지 말고, 실제 상황에서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이 길어지는 관계로 1부에서는 완료, 경험적 용법에 관해서만 정리하겠습니다. 계속, 결과적 용법은 2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현재완료를 조금 더 공부하실분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현재완료 총정리

 

 

다음은 제가 쓴 현재완료 직전정리입니다. 현재 완료에서 반드시 알아야 될 사항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의 시제 (12시제)  (0) 2025.04.02
관계대명사 정리  (0) 2025.04.02
5형식 목적보어  (0) 2025.04.02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talk turkey, cold turkey, 진지하게 말하다  (0) 2015.01.09

5형식 목적보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5형식 목적보어를 보겠습니다.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는 다양한 형태가 올 수 있습니다.

목적어와 관계에 따라서 목적보어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각동사를 비롯한 5형식 동사는 어렵습니다.

가장 영어적인 동사이기에 잘 알아두어야 하나는 동사이기도 합니다.

 

1. 지각동사는 오감동사이다.

 

지각동사란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 맡고, 맛보는 오감을 통해 일어나는 동사입니다. 지각동사는 화자가 '의지를 가지고 행위에 개입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의지 동사 : 감각을 의도적으로 사용

(1) look, watch, listen to 등  
     I watched the child play on the riverside.
     (사고 날까봐 주의깊게 지켜보다)

      무의지 동사: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감각

(2) see, hear, feel, smell, taste 등   
      I saw the car crash into the tree.
      (차가 부딪치는 것을 보게 되었다.)

 

2. 지각동사는 동사를 목적보어로 취할 수 있다.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자리에는 동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에 따라, 목적보어로 쓰인 동사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할 때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ing(현재분사)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p.p. (과거분사)

 

예문을 보면서 익혀 봅시다.

(1) I heard her call my name. 

     그녀가 내 이름을 부른다.

(2) I heard my name called by her. 

     내 이름이 불린다.

(1)번에서는 목적어인 her가 내 이름을 부릅니다. 목적어가 목적보어를 하는 ‘능동’이므로 동사원형을 썼습니다. 이 경우 현재분사(calling)도 가능합니다.

(2)번에서는 목적어 my name은 ‘불리는 것’이므로 수동입니다. 그러므로 과거분사 called가 왔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가 올 경우,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서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 또는 p.p.(과거분사)를 씁니다.

 

3. 지각동사는 형용사를 목적보어로 취할 수 있다.

 

5형식 지각동사는 형용사를 목적보어로 취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목적보어 자리에 부사는 올 수 없다는 것입니다. 부사는 목적어인 명사를 수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1) Your smiles make me happy. 
     너의 미소는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
   
형용사 목적보어, happy


(2) Your tears make me sad.
    
너의 눈물은 나를 슬프게 한다.
    
형용사 목적보어, sad

 

간단히, 부사는 보어로 쓸 수 없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5형식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5형식 동사 직전정리입니다. 간략하게 문장의 5형식을 정리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합니다.

 

 

혹시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like, alike, likely

like, alike, likely

like, alike, likely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like, alike, likely"는 우리 말로 "~와 같은" 입니다. 그렇지만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용법도

 

이번 글에서는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like, alike, likely의 차이점과 정확한 사용법을 간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like, alike, likey 의미 정리

2. 전치사 like 의미와 용법

3. alike 의미와 용법

4. likely 의미와 용법

5. 추가 예문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like, alike, likey 의미 정리

먼저 각 단어별 의미와 용법을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휴대폰에서는 표 아래 스크롤 바를 이용하세요. 

 

단어 품사 의미 용법
like 전치사 ~와 같은 like + 명사
alike 형용사 비슷한 be + alike
부사 똑같이 동사 수식
likely 형용사 가능성이 큰 likely + 명사
형용사 ~할 것 같다 be likely to + 동사 (또는 that 절)

2. 전치사 like 의미와 용법

여기서 like는 전치사로서 "~와 같은" 입니다.

 

ex) My son is like me.

      (내 아들은 나를 닮았다.

Like는 전치사이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like 전치사


3. alike 의미와 용법

alike는 형용사와 부사로 사용됩니다.

 

3-1. alike 형용사

alike는 형용사로서 "비슷한" 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이때 alike는 주로 be동사 다음에서 쓰이고, 명사를 앞에서 수식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alike 다음에는 명사가 바로 올 수 없습니다.

 

ex) My son and I are alike.
      (내 아들과 나는 닮았다.)

 

  • 틀림: alike son
             alike는 명사 앞에 올 수 없습니다.
  • 옳음: My son and I are alike.
             be alike는 가능합니다.
alike 형용사: 비슷한

3-2. alike 부사

부사로 쓰인 alike는 동사를 수식하며 "똑같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ex) I treat my son and daughter alike.

     (나는 내 아들과 딸을 똑같이 대우한다)

alike 부사: 똑같이

4.  likely 의미와 용법

likely는 형용사로서 "가능성이 큰, ~할 것 같은"의 뜻을 갖습니다.

 

4-1. likely: 가능성이 큰, ~할 것 같은

"likely + 명사" 형태로 "가능성이 큰"의 뜻을 갖습니다. 

 

ex) This is the most likely solution. 

     (이것이 가장 가능성이 큰 해결책이다.)

alike


4-2. likely (that): ~할 것 같다.

"be likely to, be likely that"의 형태로 "~할 것 같다"는 뜻을 갖습니다.

 

ex) My son is likely to be a good husband.

     (내 아들은 좋은 남편이 될 것 같다.)

likely


5. 추가 예문들

like (전치사)
She sings like an angel. (그녀는 천사처럼 노래한다.)
He behaves like a child. (그는 아이처럼 행동한다.)

alike (형용사)
The twins are very much alike.
(그 쌍둥이들은 아주 많이 닮았다.)

All the houses look alike.
(모든 집이 비슷해 보인다.)

alike (부사)
The policy affects everyone alike.
(이 정책은 모두에게 똑같이 영향을 준다.)

likely (형용사)
It's likely to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가능성이 크다.)

He's likely to win the match.
(그는 그 경기에서 이길 가능성이 크다.)

6. 연습 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like alike likely 연습문제.pdf
0.16MB
like alike likely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like, alike, likel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17 by Song SSam

 

 

제가 쓴 혼동되는 어휘를 설명한 책입니다. 독해에서 빈번하게 보는 헷갈리는 단어들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ce, from 차이  (5) 2025.04.04
since, for (현재완료의 계속)  (2) 2025.04.04
rise, raise 의미 차이  (3) 2013.09.30
cause, reason 의미차이  (2) 2013.05.31
enough to 용법  (4) 2013.05.28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접속사 b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ut은 주로 반대, 대조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전치사로도 쓰입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므로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1. but: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

등위접속사 but은 앞에서 언급한 내용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but의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쓰이는 용법입니다.

 

ex) He is young, but he is wise. 

      그는 젊지만, 현명하다.

 

ex) I tried to understand him, but I can't. 

       나는 그를 이해하려고 했지만, 할 수 없었다.

 

 

 2. but: '제외하고(except)'의 의미로 사용

but은 전치사로도 쓰이며, 이 경우 '~을 제외하고'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all-, every-, any-로 시작하는 단어와 함께 쓰입니다. 

 

예시 

ex) I like every subject but math. 

       나는 수학을 제외하고 모든 과목을 좋아한다. 

       (= I like every subject except math.) 

 

ex) You can have all but her. 

       너는 그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가질 수 있다. 

       (= You can have everything except her.)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신사만 빼고 무엇이든 될 수 있다. 

       (= He can be anything except a gentleman.) 

 

여기서의 butexcept(제외하고)와 같은 의미로 쓰이며,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가 뒤에 옵니다. 

 

⚠️ 주의사항 

'anything but''결코 ~이 아닌(never)'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결코 신사가 될 수 없다.) 

 

 

 3. but: 'only(오직)'의 의미로 사용

부정어와 함께 쓰인 but'오직(only)'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 but 앞에는 부정어가 위치하며, '부정어 + but = only'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부정어 

Nobody -,  no one - , none -, nothing -, nowhere - 

 

예시 

ex) I want nothing but love from you. 

       나는 너에게서 사랑만을 원한다. 

       (= I want only love from you.) 

 

ex) He has lived nowhere but Seoul. 

       그는 오직 서울에서만 살아왔다. 

       (= He has lived only in Seoul.) 

 

이 경우, but 앞의 부정어와 함께 only(오직)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상으로 등위접속사 및 전치사로서의 b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접속사 직전 정리"입니다. 접속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교보문고에서 바로 확인하고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2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 그리고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 보어로 이루어집니다. 2형식 동사는 주격 보어를 필요로 하며, be 유형과 become 유형이 있습니다.

 

 

1.  2형식 동사에는 be동사 유형과 become 유형이 있다

2형식 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

be 유형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음을, become 유형은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ex) He IS thin.

      그는 말랐다.

→  상태 변화 없음 (마름 → 마름)

 

ex)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  상태 변화 있음 (안마름 → 마름)

 

 

2.  2형식 주격보어로는 명사 또는 형용사가 온다

주격보어는 주어를 설명하거나 정의한다

2형식 문장의 주격보어는 명사 또는 형용사로, 주어를 설명하거나 정의합니다. 주격보어가 명사일 경우 주어와 보어는 동일하고, 형용사일 경우 보어는 주어를 수식합니다.

 

ex) My friend IS a student.

      내 친구는 학생이다.

→  주어(my friend) = 보어(a student)

 

ex) My friend IS happy.

      내 친구는 행복하다.

→  주어(my friend) ≠ 보어(happy)

 

3.  보어 자리에 부사는 올 수 없다

보어 자리는 형용사 또는 명사로만 채울 수 있다

2형식 문장에서 보어는 주어를 설명하므로 형용사나 명사가 와야 합니다. 부사는 보어 자리에 올 수 없습니다.

ex) You LOOK beautiful.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  beautifully (X), 보어 자리에 형용사 beautiful (O)

ex) This medicine TASTES bitter.

      이 약은 쓴 맛이 난다.

→  bitterly (X), 보어 자리에 형용사 bitter (O)

 

 

4. 2형식은 ‘완전자동사+유사보어’도 가능하다

완전 자동사 뒤에 유사보어를 사용하여 2형식 문장으로 확장 가능

완전 자동사는 원래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유사보어를 사용하여 2형식 문장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유사보어란 보어는 아니지만 "보어

 

ex) He DIED rich.

      그는 부자로 죽었다.

→  완전 자동사 died 뒤에 형용사 유사보어 rich

 

ex) He DIED a millionaire.

      그는 백만장자로 죽었다.

→  완전 자동사 died 뒤에 명사 유사보어 a millionaire

 

 

▶▶ 같이 알아두기 ◀◀

 

2형식 동사 be유형 vs become유형

 

1. be유형 (상태 유지)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런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 hold good: 유효하다
  •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 lie thick: 두텁게 쌓여 있다
  •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유형 (상태 변화)

전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지금은 그렇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 become fat: 뚱뚱해지다
  • come true: 사실이 되다
  • fall short: 부족하다
  •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 go wild: 난폭하게 되다
  • run dry: 마르게 되다
  • turn sour: 시게 되다

 

다음 제가 쓴 "문장의 5형식 직전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일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1형식은 주어와 동사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문장 형식입니다. 이를 보통 ‘S+V’라고도 하며,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1. 1형식 동사는 ‘완전 자동사’다

1형식 동사는 보어와 목적어 없이도 의미를 전달한다

1형식 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이루어지며, 보어나 목적어가 없습니다. 이러한 동사를 ‘완전 자동사’라고 부릅니다.

ex) I GO.

      나는 간다.

→  GO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합니다.

 

ex) She SINGS.

      그녀는 노래한다.

→  SINGS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합니다.

 

 

2. 완전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로 만들 수 없다

 

능동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됩니다. 하지만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ex) (타동사) I LOVE you. → You are loved by me. (O)

      (타동사) 나는 너를 사랑한다. → 너는 나에 의해 사랑받는다.

→  타동사는 수동태로 변환 가능

 

ex) (자동사) She SLEEPS. → ? was slept. (X)

      (자동사) 그녀는 잔다. → ? 잤다. (불가능)

→   자동사는 수동태로 변환 불가

 

3. 완전 자동사는 과거분사로 쓸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수동의 의미를 지닌 과거분사로 사용할 수 없다

 

완전 자동사는 능동의 현재분사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A DYING man.

      죽어가는 남자.

→   능동 의미의 현재분사 사용 가능

 

ex) A DIED man. (X)

      죽게 된 남자. (불가능)

→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 사용 불가

 

 

4. 완전 자동사는 부사와 결합되어 의미가 확장된다

부사를 통해 구체적인 의미를 더할 수 있다

 

보어나 목적어가 없는 완전 자동사는 부사나 부사구를 통해 의미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ex) He DRIVES.

      그는 운전한다.

→  단순히 운전하는 사실

 

ex) He DRIVES fast.

      그는 빨리 운전한다.

→  ‘빨리’라는 부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의미

 

ex) He DRIVES with the maximum speed.

      그는 최고 속도로 운전한다.

→  부사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의미

 

 

4. 완전 자동사는 ‘와서 존재하고 가다’이다

완전 자동사는 ‘오다’, ‘존재하다’, ‘가다’의 세 가지 의미로 나뉜다

 

1형식의 완전 자동사는 ‘오다’, ‘존재하다’, ‘가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를 ‘와서 존재하고 간다’로 외우면 쉽습니다.

ex) I CAME.

      나는 왔다.

→  ‘오다’의 의미

 

ex) I LIVE.

      나는 산다.

→  ‘존재하다’의 의미

 

ex) I’ll GO.

      나는 갈 것이다.

→  ‘가다’의 의미

 

 

▶▶ 같이 알아두기 ◀◀

 

완전 자동사 3그룹

 

1. ‘오다’ 그룹

ex) come, appear, arrive, emerge, arise, happen, occur, take place

 

2. ‘존재하다’ 그룹

ex) be, exist, live, lie, stay, sit, stand, walk, run, jump, rest, breathe, sleep

 

3. ‘가다’ 그룹

ex) go, disappear, leave, die, end

 

 

다음은 제가 쓴 "문장의 5형식 직전정리" 책의 일부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하는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문장의 5형식

 

영어 문장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려면 ‘문장의 5형식’을 알아야 합니다. 영어 문법의 기초가 되는 이 ‘5형식’은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5형식을 정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영어 문장의 기본 틀, ‘5형식’이란?
2. 영어 문장 5형식의 종류와 예시 
3. 품사란 같은 성격의 말들의 모임이다 
4. 문장성분이란 단어가 문장에서 맡는 역할이다 
5. ‘구’와 ‘절’은 주어와 동사의 유무로 구별한다 
6. 꼭 기억해야 할 문법 약어 정리
7. 영어 문장 5형식 FAQ
8. 연습문제 다운로드


1. 영어 문장의 기본 틀, ‘5형식’이란?

영어 문장은 크게 보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것을 ‘문장의 5형식’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형식’이라는 것은 문장의 골격, 즉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을 이해하고 쓰는 데 있어서, 5형식만큼 유용한 도구는 별로 없습니다.

 

5형식을 이해하려면 문법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형식 공부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법 용어를 알아봅시다.


2. 영어 문장 5형식의 종류와 예시

5형식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간략히 형태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 1형식: S V (주어 동사)
  • 2형식: S V C (주어 동사 보어)
  • 3형식: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 4형식: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 5형식: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ex) My daughter sleeps.

   → S V (주어 동사)

ex) My daughter is lovely.

    S V C (주어 동사 보어)

ex) My daughter eats an ice cream.

    S V O (주어 동사 목적어)

ex) My daughter gives me happiness.

    S V I.O D.O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ex) My daughter calls me dad.

     S V O O.C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3. 품사란 같은 성격의 말들의 모임이다

품사는 문장에서 쓰임이 같은 말끼리 모아놓은 것입니다. 품사는 모두 ‘-사’로 끝납니다.

 

ex) A cat runs.

   →  동사: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ex) The cat runs after a butterfly.

   →  명사: 사람이나 동물, 그리고 사물의 이름입니다.

ex) The butterfly has a beautiful color.

   →  형용사: 명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ex) It flies smoothly.

   →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ex) The butterfly is on the flower.

   →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4. 문장성분이란 단어가 문장에서 맡는 역할이다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기준으로 품사를 분류한 것입니다. 문장성분은 모두 ‘-어’로 끝납니다.

ex) I love her.

   →  주어는 동작의 주체를 나타냅니다.

ex) She loves me, too.

   →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ex) We both love dogs.

   →  목적어는 주어가 행한 동작의 대상입니다.

ex) Dogs make us happy.

   →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줍니다.

ex) Dogs are wonderful animals.

   →  수식어는 꾸미는 역할을 하는 말입니다.


5. ‘구’와 ‘절’은 주어와 동사의 유무로 구별한다

주어와 동사가 없는 단어의 모임은 구, 주어와 동사가 있는 문장을 절이라고 합니다.

  • : 주어와 동사가 없는 단어의 모임
       ex) on the flower, to run, driving a car
  • : 주어와 동사가 있는 단어의 모임
       ex) when you come, because he was late

 


6. 꼭 기억해야 할 문법 약어 정리

문법 약어

5형식으로 분류할 때 편의상 다음과 같은 문법 약어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S (Subject, 주어)
    → ‘~은(는), ~이(가)’로 해석
ex) I love dogs. (나는)

 

V (Verb, 동사)
   → 동작이나 상태 그대로 해석
ex) She runs fast. (달린다)

 

O (Object, 목적어)
   → ‘~을(를), ~에게’로 해석
ex) I love dogs. (개를)

 

C (Complement, 보어)
   → ‘~이다, ~되다’로 해석
ex) He became a teacher. (선생님이 되었다)

 

* 서술어라고 해야 맞지만, 서술어로 쓰는 모든 말의 품사가 동사이기 때문에 서술어 대신 동사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씁니다.


7. 영어 문장 5형식 FAQ

Q. 영어 5형식을 꼭 알아야 하나요?
     네. 영어 문장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르게 쓰기 위해서는 5형식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Q. 가장 많이 쓰이는 형식은 무엇인가요?
     일상 영어에서는 3형식(S V O)이 가장 자주 쓰입니다.

Q. 품사와 문장성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품사는 단어 자체의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고, 문장성분은 단어가 문장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나타냅니다.


8.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문장의 5형식 연습문제.pdf
0.29MB
문장의 5향식 연습문제 정답.pdf
0.30MB

 

 

 

이상으로 문장의 5형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우리의 생각은 말이나 글의 문장으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문장은 말하는 방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조건문, 명령문, 감탄문으로 나뉩니다. 문장의 종류란 결국 말하는 방식입니다.

 

1. 평서문

평서문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고 주장한다

사실을 그대로 말하는 문장을 평서문이라고 합니다. 평서문이란 ‘사실을 평범하게 서술한다’라는 의미입니다.

 

ex) The e-bay SELLS everything.

      e-bay는 모든 것을 판다.

→  SELLS는 e-bay가 무엇인지 서술하고

 

ex) Han Earl READS a comic-book.

      한얼이가 만화책을 읽는다.

→  READS는 Han-Earl을 서술합니다.

 

 

2. 의문문

의문문은 질문하는 문장이다

상대방에게서 답을 얻기 위해 묻는 문장을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ex) Are you a student?

     너는 학생이니?

→  학생인지 묻고

 

ex) What is your dream?

     무엇이 되고 싶니?

→  무엇을 원하는지 묻습니다.

 

 

3. 조건문

조건문은 어떤 일에 필요한 조건을 나타낸다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합니다.

 

ex) I will be angry IF he SELLS my bicycle.

      그가 내 자전거를 판다면 나는 화낼 것이다.

→  화를 내는 데 필요한 조건 ‘그가 상자를 팔면’

 

ex) IF he PLAYS fairly, I will like him.

      그가 정당하게 경기한다면, 나는 그를 좋아할 것이다.

→  그를 좋아할 조건은 ‘그가 공정히 경기하면’

 

 

4. 명령문

명령문은 시키는 문장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을 명령문이라고 합니다. 명령문은 명령하는 대상이 정해져 있으므로 주로 주어 없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ex) GO out of the room.

      방 밖으로 나가라.

 

ex) PLAY with me, Jin-ha.

      나랑 놀자, 진하야.

 

5. 감탄문

감탄문은 느낌이나 감정을 나타낸다

말하는 사람의 강한 느낌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문장을 감탄문이라고 합니다.

 

ex) AH, Life is wonderful!

      아, 삶은 놀랍다!

 

ex) HOW wonderful life is!

      얼마나 놀라운 삶인가!

 

ex) WHAT a wonderful life!

      놀라운 삶!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문장의 5형식'을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문장의 5형식'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8.26

talk turkey, cold turke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용구 ‘talk turkey'를 보겠습니다.



1. talk turkey


영어를 공부하다보면 종종 관용구라는 벽에 부딪칩니다. 비영어권 사람들에게는 감이 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용구들을 공부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뜻을 외우고 자주 써야 합니다. 오늘 살펴볼 관용구 'talk turkey'는 관용구 중에서도 어려운 것입니다.


관용구에서는 보통 문법을 따질 수 없습니다. ‘talk turkey'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자동사 'talk' 다음에는 전치사 없이 명사가 바로 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talk turkey' 다음에는 명사 ’turkey'가 와서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talk turkey'는 비격식체로서 ‘진지하게 말하다’, ‘심각하게 말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talk turkey : 진지하게 말하다, 심각하게 말하다.

                   (to talk business; to talk frankly)



2. talk turkey 유래


이 표현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초기 북미 정착민들과 인디언들 사이에서 사냥감을 나누면서 생긴 말이라는 설이 우세합니다. Diction.com에 나온 내용을 재구성해 보겠습니다.


사냥이 끝나고 사냥감을 나누면서...

백인: “I'll take the turkey and you the buzzard, or you take the buzzard and I the turkey?”

         내가 칠면조를 가지고 너는 말똥가리는 가질래, 

         아니면 너가 말똥가리를 가지고 내가 칠면조를 가질까?.

인디언: What? "Talk turky to me!"

          뭐라고? 좀 분명히 말해봐!


'talk turkey'가 들어간 예문들을 봅시다.

(1) It's time to talk turkey. We have to be serious.

    이제 진지하게 말할 때야. 좀 심각해 져야해.

(2) Whenever I try to talk turkey, he tries to joke around.

    내가 심각하게 이야기할 때마다, 그는 농담으로 넘기려고 한다.

(3) My boss wants me to talk turkey.

    내 상사는 내가 본론을 말하길 바란다.



3. cold turkey


cold turkey도 자주 쓰이는 관용구이니, 같이 알아 두길 바랍니다.


■ cold turkey: (약 등을) 갑자기 끊다

(immediate, complete withdrawal from something, especially an addictive substance)

① I have to go cold turkey on alcohol.

    나는 술을 딱 끊어야만 한다.

② She stopped smoking cold turkey.

    그녀는 담배를 갑자기 끊었다.

 


이상으로 ‘talk turke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 목적보어  (0) 2025.04.02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because, because of, for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  (2) 2015.01.01
조동사 must  (0) 2014.12.28
조동사 may  (0) 2014.12.27

because, because of, for : ~ 때문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보겠습니다.



‘because, because of, for’는 ‘~때문에’라는 뜻으로, 이유를 나타냅니다셋은 의미차이는 없고 품사와 쓰이는 위치만 다릅니다.

 

1. because는 종속 접속사이다.


종속접속사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위치는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종속접속사 because가 이끄는 절은 문장의 처음과 끝 어디에나 쓸 수 있습니다. 또한 because는 접속사이므로 다음에 문장(주어+동사)가 옵니다.

 

(1), (2)번은 둘 다 옳고 의미차이도 없는 문장입니다.

(1) I was tired,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O) 문장+(because+주어+동사)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마일을 걸어야 했기 때문이다.

(2)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O) (Because+주어+동사)+문장

   내가 20마일을 걸어야 했기 때문에, 나는 피곤했다.

 

2. ‘because of’ 다음에는 명사가 온다.


because of because와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because of’가 전치사 of를 포함하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1)번에서는 뒤에 명사인 ‘his fatness'가 왔으므로 전치사 ‘because of’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뒤에 ’he is fat'이라는 절이 왔으므로 접속사 because를 썼습니다.

(1) He can't even walk because of his fatness. because of+명사

(2) He can't even walk because he is fat. because+주어+동사

    그는 비만이라서 걷지도 못하다.

 

3. for는 등위 접속사이다.

for는 등위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 처음에 올 수 없습니다. 항상 문장 뒤에 와야 합니다. 또한 for 앞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1) I was tired, for I had to walk 20 miles. (O) 문장+for ~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 마일을 걸었기 때문이다.

(2) For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x) for ~ + 문장




이상으로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talk turkey, cold turkey, 진지하게 말하다  (0) 2015.01.09
조동사 must  (0) 2014.12.28
조동사 may  (0) 2014.12.27
혼합 가정법 용법 정리  (0) 2014.12.23

조동사 mus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must를 보겠습니다. 



must는 의무와 추측의 뜻을 가집니다. must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표현들 사이의 차이점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must는 의무를 나타낸다.


must는 상당한 강제성을 포함하며, ‘반드시 해야 하는 의무를 나타냅니다 -(1) must가 주는 부정적 뉘앙스 때문에 자주 have to를 쓰기도 합니다 –(2).


(1)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강제적인 의무

    당신은 출근을 제시간에 해야 합니다.

(2) She has to wait another week. must보다 부드러운 표현

  -> She has got to wait ~. have got to have to의 구어체

그녀는 또 일주일을 기다려야 한다.

 

의무를 나타내는 must의 부정은 ‘don’ have to’‘need not’을 씁니다. 의미는 ‘~할 필요가 없다입니다.

(3) You don’t have to apologize to her. 너는 그녀에게 사과할 필요가 없다.

= You need not apologize to her. need not 동사원형

 

의무를 나타내는 must의 부정은 ‘don’ have to’‘need not’을 씁니다. 의미는 ‘~할 필요가 없다입니다.

(4) I had to make a decision. 나는 결정을 내렸어야 했다.

 

 

2. ‘must be’, ‘must have p.p.’는 확실한 추측을 나타낸다.


‘must be ~’은 현재의 상당히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며 ‘~임에 틀림없다는 뜻입니다. ‘must have p.p.’는 과거의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며 ‘~이었음에 틀림없었다가 됩니다. 


(1) She must be an idiot to love the gigolo. 현재의 추측 (80% 이상)

그런 제비를 사랑하다니 그녀는 멍청이임에 틀림없어.

(2) I must have been an idiot to believe the playboy. 과거의 추측 (80% 이상)

그런 바람둥이를 믿었다니, 나는 멍청이었음에 틀림없어.

 

(주의)

확실성을 도식화 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may be(50%) < must be(80%) < will be(90%) < is (100%)



이상으로 조동사 mu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