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형식 문장 수동태 만들기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들어 봅시다. 


목적어가 두 개인 4형식 문장은, 보통 간접목적어(사람)를 주어로 수동태를 만듭니다. 그렇지만 직접목적어도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전치사 to, for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to를 사용하는 4형식 동사들은 수동태가 두 개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들은 전치사 to를 사용해서 간접목적어를 직접목적어 뒤로 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동사들은 두 개의 수동태를 갖습니다.


(2)-(4) (1)번에서 나온 수동태들입니다.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1)번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3),(4)번은 직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수동태 문장들입니다. (3)번보다는 전치사 to를 사용한 (4)번이 훨씬 더 자주 사용됩니다.


(1) Dad gave me a car. 

     (아빠가 내게 차를 주었다)

(2) I was given a car by dad. 

     (나는 아빠에게 차를 받았다)

(3) A car was given me by dad. (?)

(4) A car was given to me by dad. (o) 

     (아빠에게 차를 받았다)

 

to를 쓰는 4형식 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kick, lend, offer,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each, tell, throw, write

 

 

 2. for를 사용하는 4형식 동사들은 수동태가 한 개다.


일부 4형식 동사들은 전치사 for를 사용하여 간접목적어를 직접목적어 뒤로 보냅니다. 이러한 동사들은 직접목적어만 수동태의 주어로 쓰입니다.


(2)-(4)번은 (1)번에서 나온 수동태 문장들입니다. 간접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인 (2)번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해석해 보면, ‘내가 요리되다라는 이상한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3)번도 잘못된 문장입니다. 간접목적어였던 사람 앞에 for를 쓰는 (4)번이 옳은 문장입니다.


(1) Kelly baked me delicious cookies.  

     (켈리는 내게 맛있는 쿠키를 구어 주었다)

(2) I was baked delicious cookies by Kelly.  (x) 

     (내가 구어지다?)

(3) Delicious cookies were baked me by Kelly. (x) 

(4) Delicious cookies were baked for me by Kelly. (o) 

 

for 를 쓰는 4형식 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ake, build, buy, cook, design, find, get, make, order, reach, sing, write



이상으로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들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  (1) 2014.10.09
to 부정사 목적어 역할  (2) 2014.10.08
타동사와 수동태  (0) 2014.10.05
유사 수동태  (0) 2014.10.03
수동태의 행위자 (by+행위자)  (0) 2014.10.02

타동사와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타동사와 수동태를 보겠습니다. 



타동사나 타동사구들은 대부분 수동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동태로 쓸 수 없는 타동사()들도 있습니다. 비영어권 영어학습자들에게 아주 어려운 부분이니, 잘 보아야 합니다.



1. 동작을 나타내는 타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있다.


수동태는 주어가 어떤 행위를 당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위(동작)를 나타내는 동사들만 수동태로 쓸 수 있습니다. (많은 영어의 동사들은 동작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 주어는 동사의 행위를 받고 있으므로 수동태로 쓸 수 있습니다. 

(1) She slapped me in my cheek.  

      (그녀가 내 뺨을 쳤다)  능동태

(2) I was slapped in my cheek by her.  

     (나는 그녀에게 뺨을 얻어 맞았다)  수동태

 


2.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은 수동태로 쓸 수 없다.


상태를 나타내는 타동사들은 능동태로만 써야 합니다.  상태동사들은 주어에 영향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2)번에서 주어는 동사 resemble의 행위를 받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1) MY son resembles me.  

     (내 아들은 나를 닮았다) 능동태

(2) I was resembled by my son. (x)


알아두어야 할 상태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oast(자랑하다)  contain(포함하다)  cost(비용이 들다)  fit(어울리다)  have(가지다)  hold(유지하다)   lack(부족하다)   weigh (무게가 나가다)

 


3. 분리할 수 있는 타동사구들은 수동태로 쓸 수 있다.


‘turn down’과 같은 타동사구는 ‘ turn me down’과 같이 분리가 됩니다. 이러한 타동사구들은 보통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1) She turned me down at first. 

     (그녀는 처음에 나를 거절했다)  능동태

(2) I was turned down at first by her. (o) 

     (나는 처음에는 그녀에 의해 거절 당했다)  수동태



4. 분리할 수 없는 타동사구들은 대부분 수동태로 쓸 수 없다.


타동사구 ‘come across(우연히 만나다)’, ‘come someone across’와 같이 분리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타동사구들은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1) I came across a fascinating book. 

     (나는 멋진 책을 발견했다)  능동

(2) A fascinating book was come across by me. (x)


(주의)

이 동사들 중에서 look after, look into 등은 수동태가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 Disabled children are looked after by specialists.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전문가들에 의해서 돌봄을 받는다)

(2) The suspect is being looked into thoroughly. 

     (그 사건은 지금 철저히 조사되고 있다)



이상으로 타동사와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목적어 역할  (2) 2014.10.08
4형식 문장 수동태 만들기  (1) 2014.10.06
유사 수동태  (0) 2014.10.03
수동태의 행위자 (by+행위자)  (0) 2014.10.02
능동태 수동태  (1) 2014.10.01

유사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유사 수동태를 공부하겠습니다.



‘be(get)+과거분사가 모두 수동태는 아닙니다. 형태와 의미에 기초하여 수동태가 아닌 문장들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1. 상태를 나타내는 ‘be+과거분사는 수동태가 아니다.


수동태는 주어가 행위를 당하는 것 즉, 동작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수동태가 아닙니다.


(1)번은 행위자가 생략된 수동태처럼 보입니다. (2)번은 생략된 주어 someone을 더하여 능동태로 만든 것입니다. 그런데 (2)번은 아예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의회를 들어서 워싱턴에 위치시킬 수는 없습니다. 능동태로 바꿀 수 없으므로 (1)번은 수동태가 아닌 상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1) The Congress is located in Washington.  

      (의회는 워싱턴에 위치에 있다)

(2) Someone locates the Congress in Washington.  (x)

 

‘be+과거분사가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동태가 아닙니다. 이 경우에 p.p는 동사가 아니라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문장은 수동태가 아닌 능동태입니다.

 

다음 ‘be+과거분사들도 수동태가 아닙니다. 과거분사가 동사 본래의 의미를 잃어 버리고 형용사로 쓰였습니다.

be bound to ~      ~해야 한다                be based on ~       ~에 기초하다

be engaged to ~  ~에 약혼하다              be supposed to ~  ~하기로 되어 있다

be used to ~ing  ~에 익숙하다

 


2. ‘get+과거분사가 상태를 나타낼 때는 수동태가 아니다.


get은 본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동사입니다. 그러나 특정한 과거분사와 함께 쓰일 경우에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getbecome의 의미를 갖는 능동태입니다.

ex) He got bored with her.  (능동태)

  = He became bored with her.

      (그는 그녀에게 질리게 되었다)  


능동으로 쓰이는 ‘get+과거분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get alarmed        놀라게 되다            get bored         질리다                  

get complicated  복잡해 지다            get depressed  우울해 지다       

get excited         흥분하다                get interested   흥미를 갖다

get lost              길을 잃다               get tired           지치다                      

get worried         걱정하게 되다



이상으로 유사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문장 수동태 만들기  (1) 2014.10.06
타동사와 수동태  (0) 2014.10.05
수동태의 행위자 (by+행위자)  (0) 2014.10.02
능동태 수동태  (1) 2014.10.01
get 수동태  (0) 2014.09.30

수동태 by 행위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동태와 행위자를 보겠습니다. 

 

수동태의 행위자는 보통 ‘by+명사의 형태로 나타냅니다그렇지만 필요에 따라 수동태의 행위자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영어에서는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생략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언제 행위자를 쓰고언제 생략하는지 정확하게 알아 둡시다.


1. 행위자를 모를 경우에는 생략한다.


행위자를 알 수 없으므로, 당연히 쓸 수 없습니다. (1)번에서는 도둑이 누군지 알 수 없습니다.  (2)번에서도 누가 우주를 창조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by 행위자를 생략합니다.


(1) His laptop was stolen in the library. 

     (그는 노트북 컴퓨터를 도서관에서 도둑 맞았다.)

(2) Universe was created 15 billion years ago. 

    (우주는 150억년 전에 만들어 졌다.)

 


2. 행위자를 밝히고 싶지 않을 때는 생략한다.


책임이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행위자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1)번 능동태에서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드러나 있습니다. (2)번에서는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실수를 인정하고 싶지 않을 때, (2)번과 같이 행위자를 생략합니다.


(1) I made mistakes.  

     (제 잘못입니다.)

(2) Mistakes were made. (by me 생략)

     (실수가 있었습니다.) 

 


3. 행위자를 추측할 수 있을 때는 생략한다.


문맥이나 상황을 통해 행위자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합니다


(1) Rice is harvested in autumn. (by farmers 생략)

     (쌀은 가을에 수확된다.) 

(2) My car has to be examined. (by mechanics 생략)

     (내 차는 검사를 받아야 한다.)  

(3) It is well known that the earth is round. (by everyone 생략)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위 문장들에는 모두 행위자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1)번에서 쌀을 수확하는 사람은 농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번에서 차를 검사하는 사람은 기술자입니다. (3)번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4. 행위자보다 행위가 더 중요할 때는 행위자를 생략한다.


실험보고서 같은 경우에는, 실험 자체가 더 중요합니다. 행위자는 당연히 연구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행위자를 생략합니다.


 ex) The calcium oxide is observed to act as a Lewis base. ( by researches 생략)

(칼슘 산화물은 루이스 염기처럼 행동하는 것이 관찰된다.)

 

5. 수동태에서 행위자는 ‘by+명사(사람)’로 쓴다.


행위자가 새롭거나 중요한 정보일 때는 반드시 써 주어야 합니다.


(1) The champion was defeated by an obscure challenger. 

     (챔피언이 무명의 도전자에게 패했다.)

(2) This bed was slept in by the Great Lincoln.

     (이 침대에서 그 위대한 링컨이 잤다.)


(1)번에서 챔피언이 무명의 도전자에게 패한 것은 분명히 뉴스거리입니다. 행위자기 중요하므로 써 주었습니다. (2)번에서도 행위자는 중요한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이상으로 수동태의 행위자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동사와 수동태  (0) 2014.10.05
유사 수동태  (0) 2014.10.03
능동태 수동태  (1) 2014.10.01
get 수동태  (0) 2014.09.30
상태 동사 (static verbs)  (4) 2014.09.29

능동태와 수동태



수동태는 영어 학습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영어로 작문을 할 때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수동태의 의미와 수동태가 사용되는 상황을 잘 익혀 둡시다.

 

1. 능동태와 수동태는 주어동사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능동태에서는 주어가 행위의 주체가 됩니다. 수동태에서는 이와 반대로, 주어가 동사의 행위의 대상이 됩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능동태는 주어가 행위를 하는 것이고, 수동태는 주어가 행위를 당하는 것입니다.


(1) Bell invented the first phone.  능동태

    (벨이 첫 번째 전화기를 발명했다

(2) The first phone was invented by Bell.  수동태

    (첫 번째 전화기는 벨에 의해 발명되었다

 

<주의>

다음 예문들에서 보듯이, 영어에는 행위(동작)를 나타내지 않는 동사들도 있습니다. 이 경우, ‘행위를 당하다’라는 말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be+과거분사‘ 형태를 취하면, 동사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수동태라고 합니다.

(3) Many things are known about the moon.

(많은 것들이 달에 대해 알려져 있다) (know, 상태 동사)

(4) He is understood by his friends.

  (그는 친구들에 의해 이해받고 있다) understand, 상태동사.



2. 수동태는 고유한 쓰임이 있다.


영어 문장의 기본형은 능동태입니다. 수동태는 능동태에서 나온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수동태는 능동태와는 다른 두 가지 중요한 쓰임이 있습니다.

 

첫 째, 수동태는 글에서 자주 쓰입니다

특히 기사나 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수동태가 자주 사용됩니다. 사람 주어가 아닌 사물 주어로 시작해서 객관적인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두 예문 중에서, 사람 주어로 시작한 (1)번 능동태 문장보다는, 사물주어로 시작한 (2)번 수동태 문장이 더 객관적으로 보입니다.

(1) A scientist discovered a new cancer cure. 

    (한 과학자가 새로운 암 치료제를 발견했다)

(2) A new cancer cure was discovered by a scientist. 

    (암 치료제가 한 과학자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둘째, 익숙한 정보를 문장 처음(주어 자리)에 둘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익숙한 정보를 앞에 두고 새로운 정보를 뒤로 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동태는 영어의 이러한 정보처리 경향에 알맞습니다.


예문 (3)에서 주어 자리에 있는 'a man'은 새로운 정보입니다. 처음 나왔기 때문입니다. (4)번에서는 익숙한 주어(I)를 주어 자리에 두고 새로운 정보 ‘a man'은 뒤로 보냈습니다.


(3) A man attacked me on the street. 

    (한 남자가 거리에서 나를 공격했다)

(4) I was attacked by a man on the street by a man. 

    (나는 거리에서 한 남자에 의해 공격당했다)


(3)번과 (4)번은 둘 다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익숙한 정보를 먼저 제시하는 영어의 경향을 생각하면 (4)번이 더 바람직한 문장입니다.




이상으로 능동태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사 수동태  (0) 2014.10.03
수동태의 행위자 (by+행위자)  (0) 2014.10.02
get 수동태  (0) 2014.09.30
상태 동사 (static verbs)  (4) 2014.09.29
현재분사 과거분사 의미 구별  (3) 2014.09.11

get 수동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get 수동태’를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수동태는 흔히 ‘be+과거분사’로 표시됩니다. 그런데, 수동태에서 be동사 대신에 get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get 수동태’라고 합니다.



1. get 수동태는 'get+과거분사‘ 형태를 갖는다.


get 수동태의 형태는 ‘get+과거분사’입니다. 그리고 be 수동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를 갖습니다.


    be 수동태

(1) John was fired. (과거 수동태)

(2) John is being fired. (진행 수동태)

(3) John has been fired. (완료 수동태)

(4) John will be fired. (미래 수동태)

(5) John will have been fired by next month. (미래 완료 수동태)


be 수동태에서 be 대신에 get을 쓰면, 그에 대응하는 수동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get 수동태

(1) John get fired. (과거 수동태)

(2) John is getting fired. (진행 수동태)

(3) John has gotten fired. (완료 수동태)

(4) John will got fired. (미래 수동태)

(5) John will have got fired by next month. (미래 완료 수동태)



2. get 수동태는 주어가 행위를 초래했을 때 쓰인다.


get 수동태는 be 수동태에 비하여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get 수동태는, 주어가 자신에게 안 좋은 상황을 초래했을 때 사용합니다.


    안 좋은 상황에 쓰이는 get

(1) My phone got broken. (내 전화가 고장 났다)

(2) He got arrested by the police. (그는 경찰에 체포 되었다)

(3) She got bitten by a snake. (그녀는 뱀에 물렸다)


(1)번은 ‘부주의하게 쓰거나 해서, 내가 전화를 고장나게 했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2)번은 ’자신이 경찰에 체포되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그리고 (3)번은 ’뱀을 건들거나 해서 뱀에게 물렸다‘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get 수동태는 주어에게 좋은 상황에도 쓰입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주어가 그 상황을 만들었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좋은 상황에도 쓰이는 get

(1) She got promoted last week. (그녀는 지난 주에 승진 했다)

(2) He got invited for the party. (그는 파티에 초대 받았다)


(1)번은 ‘그녀가 승진할만한 무엇인가를 해서’ 승진하게 되었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2)번도‘누군가에게 부탁하거나 해서’ 초대를 받았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3.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get 수동태로 쓸 수 없다.


get은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과는 수동태를 만들 수 없습니다. ‘know, understand, comprehend'와 같은 인지동사들은 상태를 나타내므로 'get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1) The answer got known to everyone. (x)

  → The answer was known to everyone. (o)


(2) The situation got understood by members. (x)

  → The situation was understood by members. (o)



이상으로 get 수동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상태 동사 (static verb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상태 동사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1. 상태동사란?


영어의 동사는 크게 동작동사(dynamic verbs)와 상태동사(stative verbs)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동작동사는 말 그대로 어떤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상태동사란 행위보다는 상태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영어의 상태 동사는 의미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 인지를 나타내는 동사 : know, understand, hope, need, want 등

■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 : like, love, hate 등

■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 live, contain, own, resemble 등

 


2. 상태동사의 특징


상태동사들은 의미와 문법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특징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중요한 것들 몇 가지를 살펴 보겠습니다.


(1) 상태동사는 지속하는 기간이 분명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

상태동사들은 일정한 시간동안 변하지 않고 계속되는 상태나 조건을 의미합니다. 다음 두 문장을 비교해 봅시다.


① He kicked the dog. (동작동사 kick)

    (그가 개를 찼다)

② He likes a dog. (상태동사 like)

    (그는 개를 좋아한다)


①번은 지속적인 상태가 아닙니다. 수식하는 부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는 있지만 (1)번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한 번 찼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②번에서 ‘like’라는 상태는 계속 됩니다. 순간 좋아했다가 다음 순간에는 안 좋아했다가 할 수는 없습니다.


(2) 현재완료에서 계속을 나타낸다.

상태동사들은 분명한 끝점을 갖지 않습니다. 완료라는 것은 시작점과 끝점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데 상태동사는 특정한 끝점이 없으므로 완료의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상태동사가 현재완료에 쓰일 경우에는 주로 계속의 의미를 갖습니다.

 

① I have known him for 20 years.

    (나는 그를 20년 동안 알고 지내왔다)

② She has never loved anybody in her life.

    (그녀는 누구도 사랑하지 않았다)


(3) 진행형에 쓰일 수 없다.

진행형은 순간적으로 진행중인 동작입니다. 그런데 상태동사들은 순간적인 아닌 계속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상태동사를 진행형에 쓰면 논리적인 모순이 발생합니다.


① I am understanding the problem. (x)

  → I understand the problem. (o)


② She is liking me. (x)

  → She likes me. (o)



이상으로 상태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동태 수동태  (1) 2014.10.01
get 수동태  (0) 2014.09.30
현재분사 과거분사 의미 구별  (3) 2014.09.11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주어 can  (0) 2014.09.06
강조용법의 do  (2) 2014.09.04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의미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현재분사과 과거분사의 의미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쓰다보니 평어체가 되었습니다.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형태와 의미 구별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의미를 구별해야 한다.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현재분사: 능동 → 주어가 ~하는

▪ 과거분사: 수동 → 주어가 ~당하는


현재분사인지 과거분사인지 결정할 때는 의미상 주어를 찾아야 한다. 의미상 주어가 행위를 하면 능동이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의미상 주어가 행위를 당하면 수동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의미상 주어란 동사의 행위의 주체를 말한다.


(1) 현재분사: 능동

① I know the man standing by the gate. ▶ 남자가 서 있다 → 능동

    (나는 그 남자를 안다/ 문 옆에 서 있는)

A man carrying a large bag got off the bus. ▶ 남자가 운반한다 → 능동

    (큰 가방을 든 남자가 버스에서 내렸다)


(2) 과거분사: 수동

① I have a heart broken with sorrow. ▶ 부서진 마음 → 수동

    (나는 마음이 부서졌다/ 슬픔으로)

The man carried to the hospital became conscious. ▶ 실려간 남자 → 수동

    (병원으로 실려간 남자가 의식을 찾았다)



문제풀이

 

※ 다음 괄호 안에서 문맥에 맞는 단어를 고르시오.


① The (crying, cried) baby searched for its mom.

    (그 우는 아이는 엄마를 찾았다)

② He got a (breaking, broken) arm from the accident.

   (그는 팔이 부러졌다/ 사고로부터)

③ (Flying, flown) Spiderman rescued people.

    (날으는 스파이더맨이 사람들을 구했다)

④ The (burning, burned) toast tastes terrible.

    (타버린 토스트는 맛이 끔찍했다)


정답

① crying (아기가 우는 능동)

② broken (팔이 부러지게 되는 수동)

③ flying (스파이더맨이 나는 능동)

④ burned (토스트가 타버리는 수동)



이상으로 현재분사 과거분사 의미구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수동태  (0) 2014.09.30
상태 동사 (static verbs)  (4) 2014.09.29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주어 can  (0) 2014.09.06
강조용법의 do  (2) 2014.09.04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  (1) 2014.09.03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주어 c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주어 can' 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쓰다 보니 평어체가 되었습니다.

이해하시기를...


so that 주어 can


'so that 주어 can' 절은 목적을 나타내며, 의미는 ‘~할 수 있도록’이 된다. 이때 that은 생략할 수도 있다. can 대신에 may를 쓰는 경우도 있으나, 현대영어에서는 can을 더 많이 쓴다.


(1) We study the future so (that) we can prepare for tomorrow.

   = We study the future so (that) we may prepare for tomorrow.

      (우리는 미래를 공부한다/ 우리가 내일을 대비할 수 있도록)


'so that 주어 can'절은 to 부정사를 이용하여 바꾸어 쓸 수도 있다.


(2) She stay in America so she can study English. (절)

   = She stays in America to study English. (to 부정사구)

   = She stays in American in order to study English. (in order to 구문)

      (그녀는 미국에 머물고 있다/ 영어를 공부하기 위해서)


주의

     so와 that이 떨어져 있으면 ‘원인과 결과’를 뜻하게 된다.

ex) She studied so hard that she could enter the top college.

     (그녀는 아주 열심히 공부해서 최고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문제풀이


연습문제

다음 두 문장을 so (that)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써 보자.


① You’d better take a plane.

    You can get there early.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You'd better take a plane so (that) you can get there early.)

    (너는 비행기를 타는 것이 낫다/ 거기에 일찍 도착할 수 있도록)


② You’d better be silent.

    They wont hear u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You’d better be silent so (that) they won't hear us.

   (조용히 하는 것이 낫다/ 그들이 우리를 듣지 못하도록)


※ 주어진 단어를 이용하여 대화를 완성해 봅시다.


    (I, see, can, you, to, so)

A: Hey, Mike! You’re early. (안녕, 마이크!, 빨리 왔네!)

B: Yeah. I’ve come early ______________________. (그래, 일찍 왔어/ 널 보기 위해서)

    (so that I can see you.)

 



이상으로 so that 주어 c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태 동사 (static verbs)  (4) 2014.09.29
현재분사 과거분사 의미 구별  (3) 2014.09.11
강조용법의 do  (2) 2014.09.04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  (1) 2014.09.03
긍정 의문문  (0) 2014.07.03

4. 강조용법의 d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강조를 나타내는 do를 공부하겠습니다. 



강조를 나타내는 do


평서문에서 동사를 강조할 때는 do(does)를 동사 앞에 씁니다. 이 때 do는 우리말로는 ‘정말로, 진짜로’라고 해석합니다.


강조 용법의 do에서 주의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평서문에서 'do(did) + 동사원형‘이면 강조이다.

② 인칭과 시제를 맞춘다. 현재이면 do(does), 과거이면 did를 쓴다.

③ do(did)는 조동사 역할을 하므로, 다음에는 동사 원형이 온다.


(1) I do love you. (현재의 강조)

    (나는 당신을 ‘정말로’ 사랑한다)


(2) He does tell a lie. (현재의 강조, 3인칭)

    (그는 정말로 거짓말을 한다)


(3) I did love you. (과거의 강조)

    (나는 당신을 ‘정말로’ 사랑했다)


(4) He thinks I don’t like him, but I do like him.

    (그는 내가 자기를 싫어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나는 그를 좋아한다)


(5) I never did meet her. (부정문에서 강조)

    (나는 정말로 그녀를 만나지 않았다)



문제 풀이


※ 주어진 단어를 이용하여, 우리말에 맞게 대화를 완성해 봅시다.


(1) A: 와, 너 오늘 정말 멋져 보인다!

        = Wow! You ________________________!

                         (look, today, great, do)

    B: Thanks.


(2) A: Dad, you dont play football anymore, do you?

     B: 지금은 안한다, 그렇지만 젊었을 때는 정말로 했었지.

         No, but I _________________ when I was younger.

                       (play, did, a lot)

정답

(1) do look great today.

(2) did play a lot

 


이상으로 강조를 나타내는 d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


간접의문문이란 의문문이 문장의 일부-주어·목적어·보어-가 되는 것이다. 보통 간접의문문은, 의문문이 목적어 자리에 있을 때 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의문문이 문장 중간에 있으면 간접 의문문이라고 보아도 된다.


간접의문문에서 중요한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1) 간접의문문의 어순 : 의문사+주어+동사 (의주동)

(2) 의문사 도치

 

(1) 문장의 어순


→ 의문사+주어+동사 (의주동)

일반적인 의문문은, ‘동사+주어’ 어순을 갖지만 간접 의문문은 ‘주어+동사’의 어순을 갖는다.


① 일반 의문문

    Who do you love? (의문사+동사+주어)

 

② 간접 의문문

  → 의문문이 문장의 목적어 역할

a. Tell me who you love. (의문사+주어+동사)

   (말해줘/ 너가 누구를 사랑하는지)

b. I wonder what a your mom is like. (의주동)

   (나는 궁금하다/ 너의 엄마가 어떤 분일지)


C. Tell me when you are going to leave. (의주동)

    (말해줘/ 언제 너가 떠날 지)


연습문제


두 문장을 보기(ex)와 같이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해 보자.


ex) When are you going to study abroad? Tell me.

  = Tell me when you are going to study abroad.

     (나에게 말해줘/ 언제 너가 외국에 공부하러 갈지)

  → 의문사 when이 이끄는 절은 4형식 동사 tell의 직접목적어 자리에 있다. 그러므로 간접의문문이 된다.


① What will the English exam be like?

    Students wonder.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tudents wonder what the English exam will be like.)

   (학생들은 궁금해 한다/ 기말 시험이 어떠할지를)

 

② Where does she live?

    Do you know?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 you know where she lives?)

   (너는 아니/ 그녀가 어디 사는지를)

 

(2) 의문사 도치 간접의문문


간접의문문 앞에 사고동사(think, believe, imagine, guess, suppose 등)가 있을 경우에는 의문사가 문장 처음으로 도치된다.

 

What do you think the future will bring? (o)

→ Do you think what the future will bring? (x)

    (미래가 무엇을 가져올 거라고 생각하니?)

 

Why do you believe he loves you?

  → Do you believe why he loves you? (x)



이상으로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주어 can  (0) 2014.09.06
강조용법의 do  (2) 2014.09.04
긍정 의문문  (0) 2014.07.03
연결동사 (Linking Verbs)  (2) 2014.07.02
the same 의미 정리  (0) 2014.06.27

도치구문에서의 일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도치구문에서 일치를 보겠습니다.



어려운 도치


영어를 좀 한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치구문은 어렵습니다. 뭐라고 확실하게 규칙을 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에서는 무리하게 규칙을 정하기보다는, 실제로 도치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영어 문장은 일반적으로 ‘주어+동사’의 어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영어 문장은 보통 ‘주어’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주어는 명사나 명사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영어 문장은 일반적으로 ‘명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닙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도치문장이란, 명사로 시작하지 않는 문장이 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부사나 부사구로 시작하면 도치 문장이 됩니다.



1. There is(are) A, Here is(are) A.


도치 문장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There is A, Here is A' 구문입니다. 너무나 오랫동안, 그리고 자주 쓰이다 보니 도치란 것조차 인식하지 못할 정도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렇지만 'there, here'는 부사이므로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다음에 오는 A에 따라 be동사가 결정됩니다.


(1) There is a book. (Here is a book)

(2) There are books. (Here are books)


(1)번에서는 a book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is'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books가 복수이므로 복수 동사 ‘are'를 썼습니다.



2. 부사로 시작되면 도치를 생각하라.


(1)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가 첫 머리에 올 때.

부사는 문장 내에서 이동이 자유롭습니다. 그리고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들은 문장 첫머리에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① Today we are going to see a movie.

    (오늘 우리들은 영화 보러 갈거야)

①번 문장에서와 같이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들(today, yesterday 등)은 문장 첫머리에 와도 도치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문장 첫 머리에 와도 도치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② In these days he lives alone. (주어 + 동사)

   (요즘, 그는 혼자 살고 있다)


(2)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가 첫 머리에 올 때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가 첫 머리에 올 때는 도치가 발생합니다.


be동사와 조동사는 그대로 주어 앞으로 갑니다.

Under the table is a cat. (be동사 + 주어)

  = A cat is under the table.

On the rope is a cat walking. (조동사 + 주어)

  = A cat walk is walking on the rope.


일반 동사일 때는 do(did)가 주어 앞으로 도치 됩니다.

On the desk does a book lie. (현재: does + 주어 + 동사)

  = A book lies on the desk.

On the desk did a book lie. (과거: did + 주어 + 동사)

  = A book lay on the desk.


도치구문에서 동사는 뒤에 있는 주어에 일치시킵니다.


(3) 부정부사나가 문장 첫 머리에 올 때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문장 첫 머리에 올 때는 동사를 주어 앞으로 도치시킵니다.


Rarely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girl.

  = I have rarely seen such a beautiful girl.

    (나는 그렇게 아름다운 소녀를 거의 보지 못했다)

 

Seldom does he realize that he is happy.

  = He seldom realizes that he is happy.

    (나는 좀처럼 깨닫지 못했다/ 내가 행복했다는 것을)



위에서 보았듯이, 부사가 문장 첫머리에 왔을 때는 도치를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도치된 문장에서 동사는 뒤에 있는 주어와 일치시킵니다.

 

이상으로 도치구문에서의 일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포인트 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절 수 일치 쉽게 이해하기  (0) 2025.04.29
일치, agreement  (0) 2025.04.02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0) 2014.08.21
주어 동사의 일치  (0) 2014.08.20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식어구(절)의 일치를 보겠습니다.



1. 수식어구의 종류


영어에서 수식어구는 크게 형용사계열과 부사계열이 있습니다. 형용사계열은 명사를 수식하고, 부사 계열은 동사·형용사·부사를 수식합니다. 주의할 것은 형용사계열인지 부사계열인지는 문맥에서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1) The flower with red color has a strong scent.

    (빨간 색 꽃은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2) He likes to paint his room with red color.

    (그는 방을 빨갛게 칠하는 것을 좋아한다)


(1), (2)에서는 'with red color'라는 똑 같은 전치사구가 나옵니다. 그런데 (1)번 문장에서 ‘with red color'는 ’the flower'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그렇지만 (3)번에서 이 전치사구는 ‘paint'라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가 됩니다.


이렇게 수식어구의 품사는 문맥을 통해서 결정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이 있을 때의 일치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1) The singer has many voices.

(1-1) The singer with many voices has many fans.

       (여러 목소리를 가진 그 가수는 팬들이 많다)


(1-1) 예문에서는 수식어구가 주어 동사 사이에 왔습니다. 그렇지만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핵심주어인 'the singer'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has를 썼습니다.


수식어구뿐만 아니라, 수식어절도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끼치지 못합니다.


(1-2) The singer who has many voices has many fans.

       마찬가지로, 주어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has를 썼습니다.

  


3. 수식어구의 종류


(1) 수식어구

    수식어구에는 전치사구, to부정사구, 분사구 등이 있습니다.

① The ability to learn fast is vital.(to 부정사 → 형용사)

② The ability of learning fast is vital.(전치사구 → 형용사)

③ The fast learning ability is vital(분사 → 형용사)

    (빨리 배우는 능력은 중요하다)


(2) 수식어절

    수식어절에는 관계사절, 동격절 등이 있습니다.

① The people who learns fast succeed.

    (빨리 배우는 사람들이 성공한다)

② The fact that he learns something fast helps him to succeed.

    (그가 무엇인가를 빨리 배운다는 사실이 그가 성공하게 돕는다)

 

위의 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수식어구와 상관없이, 주어가 단수이면 단수동사를, 주어가 복수이면 복수 동사를 씁니다.

 


이상으로 주어 동사의 일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포인트 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절 수 일치 쉽게 이해하기  (0) 2025.04.29
일치, agreement  (0) 2025.04.02
도치구문에서의 일치  (5) 2014.08.24
주어 동사의 일치  (0) 2014.08.20

주어 동사의 일치 (001)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어·동사의 일치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주어·동사의 일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주어가 3인칭 현재이고 단수일 때는 동사에 ‘-(e)s’를 붙인다.

2. 동명사구, 부정사구, That절, What절 등은 길이에 상관없이, 하나일 경우에는 단수 취급한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주어가 3인칭 단수, 현재일 때


→ 주어가 3인칭 현재이고 단수일 때는 동사에 ‘-(e)s’를 붙인다.

이 규칙은, 초등학교 때부터 봐온 것이라 쉽게들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영작을 해보면 참 많이들 틀립니다. 심지어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이 규칙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영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장규칙이므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간단한 예를 봅시다.

 

(1) 다음에서 ‘be’동사를 인칭에 맞게 쓰시오. (동사의 시제는 현재)

    I        , You        , He       , She       , They       ,


(2) 다음에서 ‘do’동사를 인칭에 맞게 쓰시오.

    I       , You       , He       , She       , They       ,

 

설마 이 문제를 어려워 할 사람은 없겠죠?

 

    이 규칙은 문장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적용됩니다.

(3) He has a girl friend.      (3인칭 he → is)

(4) She loves him.             (3인칭 she → is)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이므로 동사에 -(e)s를 붙였습니다.



2번 규칙을 봅시다.



2. 주어가 and로 연결 되어 있을 때


→ 동명사구, 부정사구, That절, What절 등은 길이에 상관없이, 하나일 경우에는 단수 취급한다.


어려워 보이는 규칙이지만 사실 단순합니다. ‘하나이면 단수취급한다’는 말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Observing well is important in science.     (동명사 주어 → 단수)

(2) To observe well is important in science.   (부정사 주어 → 단수)

    (잘 관찰하는 것이 과학에서 중요하다)


(1),(2)번에서는 주어 자리에 동명사구, to부정사구 왔습니다. 그리고 준동사구가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길이에 상관없이 단수동사(is)를 썼습니다.


(3) That one has to observe well is important in science.    (That절 주어 → 단수)

(3)번에서는 주어자리에 that절이 왔습니다. 절이 하나이므로 마찬가지로 단수동사(is)를 썼습니다.


이렇게 주어 자리에 구나 절이 하나가 있으면, 길이에 상관없이 단수 취급합니다.


그런데 구나 절들이 and로 연결되어 있으면 어떻게 할까요?

 

일반적으로 복수 취급합니다.


   → 구나 절이 and로 연결될 때는 일반적으로 복수 취급한다.

(4) Observing well and recording correctly are important in science.

    (잘 관찰하고 제대로 기록하는 것들이 과학에서 중요하다)

(5) What one observes and what one records are important in science.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들이 과학에서 중요하다)


(4),(5)번에서 보듯이, 구나 절이 and로 연결되면 ‘일반적으로’ 복수 취급합니다. 그러나 and로 연결된 구들이 의미상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 단수 취급할 수도 있습니다.


(6) To teach and to learn is the greatest pleasure. (단수 동사 is)


(6-1) To teach and learn is the greatest pleasure.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가장 커다란 즐거움이다)

 

(6)번에서는 주어 자리에 두 개의 부정사구가 and로 연결되어 있지만 단수 취급했습니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의미상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렇게 의미상 밀접한 관계일 때는 and로 연결되었더라도 단수를 쓸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는 (6-1)과 같이 and 다음에 to를 생략해주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그러나 복수형 동사 are를 써도 틀리지는 않습니다. 두 개가 별개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까요.



지금까지 주어·동사에서 중요한 일치를 공부해 보았습니다. 자주 쓰이는 부분이니 잘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포인트 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절 수 일치 쉽게 이해하기  (0) 2025.04.29
일치, agreement  (0) 2025.04.02
도치구문에서의 일치  (5) 2014.08.24
수식어구와 절에서의 일치  (0) 2014.08.21

문법 용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문법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잘 읽어 봅시다. 



영문법 용어 24-35


24. 고유명사란 무엇인가? (14)

     A: 단 하나뿐인 사람이나 사물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25. 보통명사란 무엇인가? (15)

     A: 보통 명사는 특정한 종류 전체를 나타내는 명사이다.

 

26. ‘John, Alice’는 고유명사인가 보통명사인가? 그리고 이유는?

     A: 고유명사이다.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27. ‘house, child’는 고유명사인가 보통명사인가? 그리고 이유는?

     A: 보통명사이다. 특정한 종류 전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28. 명사는 수가 몇 가지 있나? (17)

     A: 단수와 복수, 두 가지가 있다.


29. 복수명사를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20)

     A: 단수 명사에 -s나 -es를 붙인다.

 

30. 성의 수는 몇 가지나 있나? (22)

     A: 남성, 여성 두 가지가 있다.

 

31. 남성은 무엇은 의미하는가? 여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3)

     A: 남성은 남자(he)를 나타내고, 여성은 여자(she)를 나타낸다.

 

32. 성이 없는 명사에 사용되는 용어는 무엇인가? (24)

     A: 중성이라고 한다.


33. 양성을 뜻하는 명사에 사용되는 용어는 무엇인가? (25)

     A: 양성 명사라고 한다.

 

34. ‘boy, girl, prince, princess’는 성이 무엇인가? 그리고 이유는?

     A: ‘boy, prince’ 남성이다. 남자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girl, princess'는 여성이다. 여자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35. ‘friend, bird, house, car’의 성은 무엇인가?

     A: 'friend, bird'는 양성 명사이다. ‘암컷, 수컷’에 모두 사용되기 때문이다. 'house, car'는 중성이다. 남성도 여성도 아니기 때문이다.

 


영문법 용어 36-47


36. 명사와 대명사에는 몇 가지 격이 있나? (26)

     A: 격에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 세 가지가 있다.

 

37. 문장에서 주격은 어디에 위치하나? (27)

     A: 주격은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온다.

 

38. 주격을 알아내기 위해 어떤 질문이 사용되나?

     A: 누가(who)에 대한 질문을 사용한다.

 

39. 문장에서 목적어는 어디에 위치하나? (28)

     A: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온다.

 

40. 목적어를 알아내기 위해 어떤 질문이 사용되나?

     A: 무엇을(what)로 시작하는 질문을 사용한다.

 

41. 소유격은 무엇을 보여주나? (29)

     A: 소유격은 소유를 나타낸다.

 

42. 소유격을 알아내기 위해 어떤 질문이 사용되나?

A: 누구의(whose)로 시작하는 질문을 사용한다.

 

43. ‘Will brought his sister's doll.’이라는 문장에서 명사의 격은 무엇인가?

     A: Will→주격, his→소유격, sister's→소유격, his sister's doll→목적격

 

44. 형용사는 몇 가지 급이 있나? (34)

     A: 원급, 비교급, 최상급 세 가지가 있다.

 

45. 원급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35)

     A: 형용사의 원래 형태를 의미한다.


46. 비교급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어떤 속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47. 최상급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어떤 속성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럼 다음 시간에 또...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수동태 총정리  (10) 2013.03.18

 

긍정 의문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긍정 의문문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긍정의문문의 정의

2. 긍정의문문과 뉘앙스

 

1. 긍정 의문문의 정의

 

긍정 의문문이란, 긍정의 답을 예상하고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긍정의문문은 긍정의 내용을 지닌 평서문을 의문문 형식으로 바꾼 것입니다.

 

(1) 긍정 평서문을 긍정 의문문으로

   긍정의 진술

① I have some money. 나는 돈이 있다

 

   긍정 의문문

①-1. Do you have any money? 너 돈 있니?

 

긍정의문문은 중립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1)에서는 단순히 ‘돈이 있는가’를 물어봅니다. 질문하는 사람은, 상대가 돈이 있고 없고에 대한 판단을 내리지 않습니다. 이렇게 긍정의문문은 단순하게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긍정 의문문에 대한 답은 ‘Yes/No’로 할 수 있습니다.

①-2. A: I have some money. 나는 돈이 있다

       B: Yes I do. (No I don't)

 

(2) 긍정의문문과 부사

긍정의문문에서는 부사의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I have some money. 나는 돈이 있다

①-1. Do you have any money? 너 돈 있니?

①번 긍정평서문에서는 'some‘이 쓰였습니다. 그렇지만 긍정의문문인 ①-1에서는 'any'를 써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some은 긍정문에, any는 의문문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긍정 평서문과 긍정의문문에서 부사가 바뀌는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② He has done it already. (그는 그것을 벌써 했다)

→ Has he done it yet? (그가 그것을 벌써 했니?)

 

③ She sometime visits him?

→ Does she ever visit him?

 

 

2. 긍정의문문과 뉘앙스

 

(1) 긍정 예상

긍정의문문은 내용이 중립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말하면, Yes/No가 나올 확률이 50:50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문장에서는 화자가 긍정의 답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① Do you have some money? (돈 좀 있니?)

② Has he done it already? (그가 벌써 다 했니?)

③ Does she sometimes visit him? (그녀가 가끔 그를 방문하니?)

 

의문문에 긍정부사들(some, alreay)들이 쓰이면 긍정적인 답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1)번에서는 의문문에 some이 쓰였으므로, 상대가 돈이 있을 거라는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2) 부정 예상

긍정의문문이 부정적인 답을 기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Do you really want to do it? (너 정말 그걸 하고 싶니?)

 

위 예문은 긍정 의문문 형식이지만 부정적인 답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실제 질문자가 예상하는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Surely you don't want to do it. (분명히 너는 그것을 하는 것을 바라지 않아)

 

이상으로 긍정 의문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조용법의 do  (2) 2014.09.04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  (1) 2014.09.03
연결동사 (Linking Verbs)  (2) 2014.07.02
the same 의미 정리  (0) 2014.06.27
수사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2) 2014.06.26

연결동사 (Linking Verb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연결동사를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동사의 정의

2. 연결동사의 유형

 

1. 연결동사(Linking Verbs)의 정의


동사는 구체적인 행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strike는 ‘치다’라는 특정한 행위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어떤 동사들은 구체적인 행위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들 동사들은 주어와 다른 말들을 연결하는 목적으로만 사됩니다. 이러한 동사들을 연결동사(Linking Verbs) 또는 연결사(Copula)라고 합니다.


다음은 연결동사가 사용된 문장들입니다.


 (1) You are beautiful.

 당신은 아름다워.

 (2) I became wise.

 나는 현명해 졌다.

 (3) She grew fat.

 그녀는 살이 쪘다.

 (4) He seems a nice person.

 그는 좋은 사람처럼 보인다.


(1)-(4) 문장은 모두 ‘A는 B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주어인 A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각 동사들-are, became, grew, seems-은 특별한 행위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단지 주어를 보어와 연결하여 설명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이러한 동사들을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2. 연결동사의 유형


연결동사는 크게 보아 'be, become'의 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be 동사 유형 - 상태 유지

    ‘be 동사’ 유형은 주어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들입니다.

 ① He is kind. 

 그는 친절하다. (친절 → 친절)

 ② He continues tough.

 그는 터프하다

 ③ The contract holds good. 

 그 계약은 유효하다.

 ④ Fallen leaves lie thick.

 낙엽들이 두텁게 쌓여 있다.

 ⑤ He remains calm. 

 그는 침착함을 유지한다.

 ⑥ She stays young. 

 그녀는 젊음을 유지한다.

 ⑦ This silk feels nice.

 이 비단은 느낌이 좋다.

 ⑧ The roses smell sweet.

 장미들의 향기가 달콤하다.

 ⑨ Your voice sounds strange.

 너의 목소리가 이상하게 들린다.

 ⑩ This meat tastes salty.

 이 고기는 짠 맛이 난다.

 ⑪ She appears normal. 

 그녀는 정상처럼 보인다.

 ⑫ You look beautiful.

 당신은 아름다워 보인다.

 ⑬ He seems innocent.

 그는 순진하게 보인다.

 ⑭ His theory proved right.

 그의 이론은 옳다고 판명되었다.

 ⑮ The man turned out guilty. 

 그 남자는 유죄로 판명되었다.


(2) become 동사 유형 - 상태 변화

    ‘become 동사’ 유형은 주어의 상태가 변하는 것들입니다.

 ① She became fat. 

 그녀는 뚱뚱해 졌다. (안 뚱뚱 → 뚱뚱)

 ② The rumor came true. 

 그 소문은 사실이 되었다.

 ③ The fuel fell short. 

 연료가 부족해 졌다.

 ④ He grew wiser. 

 그는 더 현명해 졌다.

 ⑤ We got rich. 

 우리는 부자가 되었다.

 ⑥ The dog went wild. 

 그 개는 난폭해 졌다.

 ⑦ The well has run dry. 

 우물이 말랐다.

 ⑧ The milk turned sour.

 우유가 시어졌다.



이상으로 연결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의문문과 의문사 도치  (1) 2014.09.03
긍정 의문문  (0) 2014.07.03
the same 의미 정리  (0) 2014.06.27
수사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2) 2014.06.26
as 용법 정리  (10) 2014.06.25

the same 의미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ame을 공부하겠습니다.



same은 형용사, 대명사, 부사로 쓰이며, ‘똑 같은’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same은 거의 항상 정관사 'the'와 함께 쓰입니다. same을 각 품사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형용사


형용사 same은 ‘어떤 것이 다른 것과 같다(똑 같다)’는 뜻을 가집니다.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same 명사, the same 명사 as, the same 명사 that


(1) the same 명사

① Identical twins are the same.

   (일란성 쌍둥이들은 똑 같다)

② There are two errors on the same page.

    (두 개의 오류가 있다/ 같은 페이지에)


(2) the same 명사 as

① It's really just the same day as any other day.

    (정말 똑같은 날이다/ 다른 날과)

② He has the same computer as I do.

    (그는 똑같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내가 가진 것과)


(3) the same 명사 that

① She is the still same girl that went the elementary school.

    (그녀는 여전히 똑같은 소녀이다/ 그 초등학교를 다녔던)

② That was the same year that I graduated from college.

    (그해는 같은 해이다/ 내가 대학을 졸업한 것과)



2. 대명사


대명사로 쓰이는 same은 ‘~와 똑 같은 것’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1) I would do the same if I were young again.

    (나는 똑같이 할 것이다/ 내가 다시 젊어진다 해도)

(2) Just do the same as him!

    (그와 똑같이만 해라!)

(3) I'll drink the one the same as yours.

    (나도 똑같은 것으로 마실께요/ 당신이 마시는 것과)



3. 부사


부사로 쓰이는 same은 ‘똑 같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1) We treat our son exactly the same with our daughter.

    (우리는 아들을 정확히 똑 같이 대한다/ 딸과)

(2) A day passed, same as usual.

    (하루가 갔다, 여느 때와 똑 같이)

 


이상으로 sam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 의문문  (0) 2014.07.03
연결동사 (Linking Verbs)  (2) 2014.07.02
수사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2) 2014.06.26
as 용법 정리  (10) 2014.06.25
비교급 도치  (0) 2014.06.23

수사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사의문문(rhetorical question)을 공부하겠습니다.


 

수사의문문이란?


일반적으로 의문문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다시 말하면 모르는 것에 대한 답을 구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말하는 사람이 이미 답을 알고서도 질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답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평서문으로 나타냈을 때는 얻을 수 없는 ‘강조’ 효과를 노린 것입니다. 이렇게, 답을 알면서도 강조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문문을 ‘수사의문문’이라고 합니다.


수사의문문: 답을 알면서도 강조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문문

(수사修辭)란 말이나 글을 다듬고 꾸민다는 뜻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수사의문문은 강조를 위해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내포하는 의미에 따라 부정강조와 긍정강조가 있습니다.

 


1. 부정강조(negative assertion)


형태는 긍정형태의 의문문이지만 내용은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습니다.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수사의문문 형태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What have you done for me?

    (나한테 해준 게 뭐 있어?)

(1)번은 상대에게 ‘해준 것’을 묻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상대가 해준 것이 없다는 것을 ‘따지듯이’ 항의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1)번이 내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1-1) You haven't done much for me.

(너는 나한테 별로 해준 것이 없어!)


부정강조 수사의문문으로 자주 쓰이는 것들입니다.


(2) Am I your friend? 내가 너 친구니?

  → I'm not your friend. (You little bastard!) 난 네 친구가 아니야, 이 싸가지야!


(3) Are you nuts? 너 바보니?

  → You aren't nuts. (Why did you...?) 너 바보 아니잖아. (왜 그랬어?)


(4) Why me? 왜 나야?

  → It's unfair. 불공평해. (왜 나만 이런 일을 당해야 하지?)


(5) Who knows? 누가 알아?

  → Nobody knows. 아무도 몰라.

 


2. 긍정강조


형태는 부정문이지만 긍정의 뜻을 강조합니다.


(1) Didn't I tell you? 내가 말하지 않았니?

  → I told you. (Nevertheless, you...) 내가 말했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


(2) Don't you know better? 너 더 잘 알고 있지 않니?

  → You know better. (But You...) 너는 더 잘 알고 있어. (그런데도 너...)


(3) Isn't she beautiful? (그녀 아름답지 않니?)

  → She is beautiful! (그녀 정말 아름다워)

 


이상으로 수사의문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동사 (Linking Verbs)  (2) 2014.07.02
the same 의미 정리  (0) 2014.06.27
as 용법 정리  (10) 2014.06.25
비교급 도치  (0) 2014.06.23
so 도치 구문  (0) 2014.06.21

as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s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as는 접속사, 전치사, 부사 등으로 쓰입니다. 많은 쓰임만큼이나 의미도 다양합니다. 잘 익혀 둡시다.


Part A. 접속사 as


1. 시간을 나타내는 as


(1) 동시동작의 as

as는 동시동작을 나타냅니다. 동시동작이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일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접속사 while과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ex) She kept laughing loudly as I told the funny story. (as=while)

     (그녀는 계속 크게 웃었다/ 내가 그 웃긴 이야기를 하는 동안에)


(2) 사건이 발생한 때를 나타내는 as

  ① 사건이 한 번 발생할 때(=when)

ex) The meeting started as I got there. (as=when)

    (회의가 시작되었다/ 내가 거기 도착했을 때)


 ② 어떤 일이 일어날 때마다 다른 사건이 발생할 때(=whenever)

ex) You can ask for my help as you need it. (as=whenever)

    (당신은 나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다/ 필요할 때마다)



2. 이유를 나타내는 as


as는 이유를 나타내는 문장에 자주 사용됩니다. 이 경우 as는 since나 because와 같은 뜻으로 사용됩니다.

(1) As I stayed up last night, I'm totally exhausted. (=because)

    (내가 어제 저녁을 샜기 때문에, 나는 완전히 지쳤다)

(2) As the manager was late, our meeting was delayed.

    (과장이 늦어서, 회의가 연기 되었다)



3. 양보를 나타내는 as


양보에 사용되는 as는 ‘비록 ~할지라도’의 뜻을 갖습니다.

(1) Young as he is, he is very wise.

    (비록 그가 젊지만, 그는 아주 현명하다)

(2) Try as he may, he can't change her mind.

    (아무리 그가 노력해도, 그는 그녀의 마음을 바꿀 수 없다)



4. 모양이나 상태가 같은 것을 나타내는 as


as는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은 것’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as는 ‘~대로’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Do as I told you.

   (내가 말한대로 해라)

(2) Leave the screen as it is now.

   (스크린을 놔둬라/ 지금 그대로)



5. 짐작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as


as는 짐작이나 추측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as는 ‘~다시피, ~듯이’등의 뜻을 갖습니다.

(1) As you may have guessed, I passed the exam.

    (네가 짐작했듯이, 나는 시험에 통과했어)

(2) As you know, he will leave the company soon.

    (네가 알듯이, 그는 회사를 곧 떠날 거야)

 


Part 2. 전치사 as

as는 전치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모양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as


as는 모양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냅니다. 이 때 as는 ‘~처럼’의 뜻을 갖습니다.

(1) They were all dressed as Draculas.

    (그들은 모두 드라큘라처럼 차려 입었다)

(2) The princes dressed himself as a beggar.

    (왕자는 거지처럼 차려 입었다)



2. 지위나 자격을 나타내는 as


as는 지위나 자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s는 ‘~로서’라는 뜻을 갖습니다.

(1) I respect him as a professional.

    (나는 그를 존경한다/ 전문가로서)

(2) Treat an animal as a life.

    (동물을 대해라/ 생명체로서)




Part 3. 부사 as

as는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1. 모양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as


이 경우 as는 ‘~하는 것과 같이, ~듯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1) As always, he made excuses.

    (늘 그랬듯이, 그는 변명을 한다)

(2) In business, as in science, sexism still remains.

    (사업에서도, 과학에서처럼, 성차별이 여전히 남아 있다)



2. as A as B


어떤 대상을 비교할 때 'as~as' 구문을 사용합니다. 보통 원급 비교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앞에 있는 as는 부사이고, 뒤에 있는 as는 전치사나 접속사입니다.

(1) He isn't as smart as me. (전치사 as)

    (그는 나만큼 영리하지 않아)

(2) You don't earn as much as I do. (접속사 as)

    (너는 나만큼 많은 돈을 벌지 않는다)



이상으로 as 용법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ame 의미 정리  (0) 2014.06.27
수사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2) 2014.06.26
비교급 도치  (0) 2014.06.23
so 도치 구문  (0) 2014.06.21
동격의 that  (6) 2014.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