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칭대명사의 남성, 여성을 살펴 보겠습니다. 


인칭대명사에는 남성, 여성 그리고 남성도 여성도 아닌 것이 있습니다. 인칭대명사는 지칭하는 대상의 성에 맞추어 써야 합니다.



1. 인칭이란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말한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인칭대명사를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인칭은 말하는 이가 포함된 사람입니다.

I, me, my, mine, we, us, our, ours.


2인칭은 듣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you, your, yours.


3인칭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타냅니다.

he, his, him, she, her, hers, they, their, theirs, them, it, its.



2. 인칭대명사는 성(gender)을 갖는다.  


인칭대명사는 남성은 남성 대명사로, 여성은 여성 대명사로 받습니다. 그리고 성을 구별할 수 없으면 중성으로 받습니다.

남성 (Masculine): he, his, him.     

여성 (Feminine) : she, her, hers.   

중성 (Neuter): it, its

 

(1) MY friend (a man) is taking his examinations. 남성 지칭 -> his

내 친구가 시험을 치르고 있다.

(2) Each of the students in girls’ school brought her book. 여성 지칭 -> her

여학교 학생 각자는 자신의 책을 가져왔다.

(3) It is a pretty baby. 성을 구별할 수 없음 -> it

   예쁜 아기다.

(4) The wolf is the most savage of its race. 성 구별이 중요치 않음 -> it

   그 늑대는 무리 중에서 가장 잔인하다



이상으로 인칭대명사의 남성 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4형식 동사  (0) 2014.11.08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등위 접속사 an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 접속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등위접속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and입니다.

 And는 주로 밀접하게 연속된 사건을 연결합니다

그렇지만 and가 대조와 조건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게 and의 의미를 파악해 봅시다.

 

1and는 연속을 나타낸다.


 등위 접속사 and는 두 사건이 시간적으로 연속될 때 사용합니다 –(1). 또한 두 사건이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을 때도 쓸 수 있습니다 –(2).


(1) I shopped at the store, and I went home. 시간의 연속

    나는 가게에서 쇼핑했다, 그리고 집으로 갔다.


(2) It rained last night, and the road was wet. 사건의 연속

    어제 저녁에 비가 왔다, 그래서 길이 젖었다.

 

2. and는 대조를 나타낼 수 있다.


 And가 서로 다른 대상을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and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의미에 맞는 접속사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1) Koreans like vegetables, and Chinese like meat. 서로 다른 내용 연결

   = Koreans like vegetables, BUT Chinese like meat.

    한국인들은 야채를 좋아하지만, 중국인들은 고기를 좋아한다.


(2)  We tried our best and (yet) we lost the game.  논리적으로 다른 내용 연결

   = We tried our best, BUT we lost the game.

    우리들은 최선을 다했지만, 그 경기에서 졌다.

 

3. 명령문+and는 조건을 나타낸다.


 And는 명령문과 함께 쓰여 조건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때 명령문+and’해라, 그러면 ~할 것이다는 뜻을 갖습니다.


(1) Get up early, and you will catch the plane. 명령문 + and

  = If you get up early, you will catch the plane. ▶ if ~

   일찍 일어나라, 그러면 비행기를 탈 수 있다.


(2) Smile, and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명령문 + and

   = If you smile,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 if ~

     웃어라, 그러면 세상도 당신에게 웃을 것이다.



 이상으로 등위 접속사 an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동사  (0) 2014.11.08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1] 대명사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대명사는 앞()에 나온 말을 대신해서 사용합니다.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을 선행사라고 합니다.


1.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한다.


같은 명사가 반복되면 문장이 어색해 집니다.   


(1)~(2)은 문법적으로 잘못된 곳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색합니다같은 명사가 반복되었기 때문입니다 .

(1) Mary eats little and Mary is thin. ▶ Mary의 반복

    Mary는 별로 안 먹는다 / 그래서 Mary는 말랐다.

(2) I know Tom, and I like Tom. ▶ Tom의 반복

    나는 Tom을 안다, 그리고 나는 Tom을 좋아한다.


    위 문장들을 다음과 같이 고쳐 보겠습니다.

(1) Mary eats little and she is thin. ▶ Mary -> she

(2) I know Tom, and I like him. Tom -> him


반복되는 명사를 대명사로 바꾸어 주면, 문장이 간결해지고 깔끔해 집니다영어에는, 반복을 싫어하는 경향 때문에 대명사가 발달해 있습니다. 대명사(pronoun)의 어원은 ‘명사를 위해서’입니다



2. 대명사는 문장을 대신한다.


앞에 나온 문장이 반복 될 때, 대명사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쓸 수 있습니다.


(1). If she goes there, I will do it as well. If she goes there -> it

    만약 그녀가 거기 간다면, 나도 또한 그렇게 할 것이다.

(2) She was pleased, and so was I. pleased -> so

    그녀는 기뻐했고 나도 그랬다.



3.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을 선행사라고 한다.


대명사는 어떤 말 대신에 쓰이는 말입니다. 그리고 선행사란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입니다.

다음 예문에서, book은 대명사 it의 선행사이고, Johnhis의 선행사입니다. 대명사는 선행사와 ‘인칭, , 수’가 일치해야 합니다.


ex) John took Mary's book and gave it to his friend. ▶ it -> book, his -> book

     John은 Mary의 책을 가져가서 그것을 그의 친구에게 주었다. 



이상으로 대명사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3] 가정법 과거완료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정법 과거완료를 살펴 보겠습니다. 



가정법 과거 완료 또한 시제의 일치가 중요합니다. 가정법 과거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정법 과거완료의 형식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내면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석은 만약 ~했었더라면이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 : If+S+had pp, S+(would, could) have p.p.

 

직설법 과거를 가정법 과거완료로 바꿀 때 주의할 사항들입니다.  

직설법의 과거 동사는 가정법에서는 과거완료가 된다. 

직설법 긍정은 가정법 부정으로, 직설법 부정은 가정법 긍정이 된다.

과거 조동사+have+p.p.’를 쓴다.

 

직설법을 가정법으로 바꾼 예문입니다. 긍정·부정 및 동사의 시제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1) I was not wise, so I married you. 직설법 과거

  나는 현명하지 못했다, 그래서 당신과 결혼했다.

(2) If I had been wise, I would not have married you. 가정법 과거완료

   내가 현명했더라면, 당신과 결혼하지 않았을 텐데.

 


2. 과거 조동사는 would·could를 사용한다.


주절에서는 조동사 would, could를 주로 사용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주절에 주로 쓰이는 조동사는 would could입니다.


might have p.p.’는 가정법에도 쓰이지만, 과거에 대한 추측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가정법 과거완료라고만 하기는 어렵습니다.


should have p.p.’는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라는 의미를 가지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했어야 했는데 안 했다’는, 과거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로 쓰이기 때문에 별도로 취급합니다.

 

 

3. 조건절과 주절의 시제를 일치 시킨다.


가정법 과거완료 역시 동사의 시제 일치가 중요합니다. if절에는 과거완료(had p.p.)가 오고,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형 have p.p.’가 와야 합니다.

 

If+S+had pp, S+(would, could) have p.p

    과거완료    조동사 have p.p.

 

(1)번에서는 if절에 과거완료 ‘had been’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도 가정법 과거완료 시제가 와야 합니다. would have been’을 써야 합니다..

(2)번에서는 주절에 ‘would have died’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if 절에는 과거완료 ‘had p.p.’가 와야 합니다. had가 와야 합니다. .


(1) If I had been a girl, my life (be) different. ▶ had been -> would have been

   내가 여자였더라면, 내 인생은 달랐을 것이다.

(2) If you (have) not married me, I would have died single. had <- would have died

    당신이 나와 결혼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싱글로 죽었을 것이다.



이상으로 가정법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형용사의 어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의 어순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1. 형용사는 관사 다음에 온다.  


관사가 있을 경우,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관사 다음에 옵니다. 이 경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는 관사+형용사+명사의 순서로 위치합니다.


(1) a strong man  a+형용사+명사

   한 강한 남자

(2) the large garden the+형용사+명사

   그 큰 정원



2. 여러 개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관사와 명사 사이에는 여러 가지 형용사가 들어 갈 수 있습니다.


(1) a tall strong man 관사+형용사+형용사+명사

(2) the beautiful large green garden. 관사+형용사+형용사+형용사+명사


(주의)

이론적으로는 수 많은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네 개 이상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찾아 보기 힘듭니다.



3. 의미상 중요한 형용사는 명사 가까이 둔다.


여러 형용사들이 명사 앞에 있을 때, 형용사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중요한 말일수록 명사 가까이 위치합니다.


기본적으로 정해진 순서는 관사+서수+기수+형용사+명사입니다. 관사는 의미가 약하기 때문에 맨 앞에 옵니다. 그리고 서수와 기수도, 관사보다는 의미가 강하지만 형용사보다는 의미가 약하기 때문에 형용사 앞에 옵니다.


같은 중요도의 형용사들이 올 경우에는 강조하고 싶은 형용사를 명사 가까이 놓습니다. (4)번은 Korean을 강조해서 명사 바로 앞에 두었습니다. (5)번은 black을 강조해서 명사 바로 앞에 두었습니다.


(1) the black sports cars. the+형용사+명사

   검은 스포츠카들

(2) the two black sports cars. the+수사+형용사+명사

   두 대의 검은 스포츠카들

(3) the first two black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검은 스포츠카들

(4)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검은색 한국산 스포츠카들 (한국산 강조)

(5) the first two Korean black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한국산 검은색 스포츠카들



이상으로 형용사의 어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 would, used t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would, used to를 보겠습니다. 


would는 기본적으로 will의 과거형 입니다.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would’ 고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그리고 ‘would, used to’ 사이의 의미차이도 알아 두어야 합니다 .

 

1. would will의 과거로 쓰인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일 때, 종속절의 동사의 시제도 과거로 바꿉니다. 이 경우, will would로 바꿔서 과거를 표현합니다. 이 경우 would의 해석은 ‘~일 것이다가 됩니다.

 

다음 예문에서, 직접 인용문의 미래(will)는 간접 인용문에서는 과거(would)가 되었습니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said)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 would는 형식은 과거지만 앞으로 일어날 미래를 나타냅니다.  

ex) He said, “I will be twenty next year”. 직접 인용문

   ->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간접 인용문



2. would는 의지를 나타낸다.


would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서, ‘~하겠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1). 부정적인 의지를 나타낼 경우 고집이라고 합니다 –(2). 의지·소망을 나타낼 경우에 would는 과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1) He would go there no matter what. 의지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거기 가려고 한다.

(2)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고집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3. would는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would는 지금은 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했던 습관적인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 때 would‘used to’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그러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는 used to만 써야 합니다. would는 과거의 행위만을 나타냅니다 –(2).


(1)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과거의 습관 would.

  -> My son used to play with Lego as a child. 과거의 습관 used to

내 아들은 어릴 때 레고를 가지고 놀았었다. 지금은 안 가지고 논다.


(2) There would be a pond here. (x) 상태 -> would 안됨

-> There used to be pond here. (o) 상태 -> used to

예전에는 여기에 연못이 있었다



이상으로 would, used t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2] 보통명사 셀 수 있는 명사 (1)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보통 명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보통 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며 셀 수 있는 말들입니다. 문장에서 보통명사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 봅시다.

 

1. 보통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는 이름이다.


보통 명사는 어떤 대상 전체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고 할 때는 특정한 개별 사과를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사과란, 빨간색의 윤기 나는 껍질로 둘러 싸인, 달콤하고 사각사각한 과육을 가진 평균적인 과일 전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사과는 이와 같은 속성을 가진 것 전체를 가리키는 보통 명사입니다.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과 사물들은 대부분 보통 명사에 속합니다.

apple, computer, desk, lion, mountain 등등.



2. 보통 명사는 혼자 쓰일 수 없다.


보통 명사는 문장에서 관사 또는 복수형과 함께 써야 합니다. 보통명사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혼자 쓰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보통 명사 girl은 문장에서 (1)~(4)중 한 가지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girl이 홀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표현

구성

의미 1

의미 2

(1) a girl

부정관사+명사

한 소녀 (불특정)

소녀들 전체

(2) the girl

정관사+명사

그 소녀 (특정)

소녀들 전체

(3) girls

복수 보통명사

여러 소녀들

소녀들 전체

(4) my girl

한정사+명사

나의 소녀

 

 

(1), (2),(3), 집단 전체를 나타낸다고 하여 종족대표라고도 합니다.


 그렇지만 특정 집단 전체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형을 가장 많이 씁니다 –(5)

(5) Girls want to be thin. 

     소녀들은 날씬해지고 싶어한다. 소녀들 전체



이상으로 보통 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정법 과거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정법 과거에서는 동사의 시제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법 과거의 형식을 정확하게 알아 둬야 합니다.

 

1.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가정법은 직설법 현재와 반대되는 사실을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직설법과 구별하기 위해 형태가 정해져 있습니다. 가정법 과거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석은 만약 ~한다면이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 : If+S+과거형, S+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would, could, should, might)

 

직설법을 가정법 과거로 바꾸는 데 있어서 주의할 것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직설법의 현재 동사는 가정법에서는 과거가 된다.  

직설법 긍정은 가정법 부정으로, 직설법 부정은 가정법 긍정이 된다.

if절의 be동사는 were가 원칙이지만, 인칭에 따라 was를 쓰기도 한다.

☞ 과거 조동사+동사 원형을 쓴다.

 

다음은 직설법 현재를 가정법 과거로 바꾼 예문입니다. 긍정·부정 및 동사의 시제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1) I am not a bird, so I can not fly to you. 직설법 현재

나는 새가 아니라서, 당신에게 날아갈 수 없다.

(2)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가정법 과거 

내가 새라면 당신에게 날아갈 텐데.

 

2. 가정법 과거에서 조동사는 주로 would를 쓴다.


가정법 과거의 주절에서는 조동사 ‘would, could, should, might’가 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would’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1). ‘가능’이라는 의미가 있을 때는 ‘could’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가정법 과거에서 ‘might, should’는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1) If I were you, I would go there. 일반적으로 would

내가 너라면, 거기 갈 거야.

(2)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가능을 나타낼 때는 could

   내가 새라면, 당신에게 날아갈 수 있을 것이다.

 

3. 가정법은 시제가 가장 중요하다.


대부분의 영어 시험에서 가정법은 ‘시제’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됩니다. 시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가정법 과거 형식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if절의 과거형 동사와 주절에서 과거조동사+동사원형을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If+S+과거형, S+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1)번에서는, if절에 과거동사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이므로 주절은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2)번에서는, 주절에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가정법과거입니다. 그래서 주절에서도 ’과거형'을 써야 합니다.

(1) If I were young again, I (can, could) do anything. ▶ were -> could

(2) If I (am, were) you, I wouldn't do that. 조동사 과거형 동사원형 <- were



이상으로 가정 과거 용법 정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1]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감정과 뉘앙스를 나타내는 훌륭한 표현수단입니다. 조동사를 개별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 봅시다.

 

1. 조동사 다음에는 항상 동사 원형을 쓴다.


예외가 없는 규칙입니다. 조동사 다음에는 항상 동사 원형을 써야 합니다 –(1).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다른 말이 있어도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2) 조동사 다음에


(1)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 살이 될 거야.  


(2)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2. 조동사를 두 개 연속해서 쓸 수 없다.


한 문장에서 조동사는 항상 하나만 써야 합니다. 의미가 독립된 조동사를 두 개 이상 쓰거나, 연속해서 쓰면 안됩니다 –(1).


ex) I will can speak English fluently. (x)  

-> I will speak English fluently. 

     나는 영어를 능숙하게 말하겠다

 

3. 조동사의 과거형은 정중한 표현이다.


영어에 존댓말 개념은 없지만, 정중한 표현은 분명히 있습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원형에 비해 좀 더 예의 바르고 정중한 표현을 나타냅니다.

 

(1), (2)번 둘 다, 기본적인 의미는 ‘나 좀 도와줄래?’입니다. 그렇지만 (1) (2)가 전하는 뉘앙스는 다릅니다. (1)번은 친한 사이에 하는 ‘반말’입니다. 이에 대해 (2)번은 정중한 표현입니다.  


(1) Can you help me? 

     좀 도와줘.  (일상적인 표현)


(2) Could you help me? 

      좀 도와 줄 수 있어요?  (예의 바른 표현)

 

4. 조동사의 의미를 알아 두자.


자주 사용되는 영어의 전치사와 그 의미를 정리했습니다. 단일형은 한 단어로 이루어진 것이고, 조합형은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들입니다.

 

단일형


 1. will  (~할 것이다   

 2. would (~할 것이다)

 3. can (~할 수 있다 

 4. could (~할 수 있었다)

 5. shall (~일 것이다 

 6. should (~해야 한다)

 7.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8. might (~일지도 모른다)

 9. must (~해야 한다    

 10. dare (감히 ~하다)

 11. need (~할 필요가 있다

 12. do, does, did (정말로)

            

조합형


 1. ought to (~해야 한다   

 2.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3.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4. used to (~하곤 했었다.)

 5. have(has) to (~해야 한다  

 6. have got to (~해야 한다)

 7. be able to (~할 수 있다  

 8. be going to (~할 것이다)

 9.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10.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11.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심화 (1)

조동사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동사로 쓰일 수 없습니다. 조동사란 명칭도 여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ex) My son would with Lego. (x)  (조동사가 혼자서 쓰였음)

  -> My son would play with Lego.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조동사+동사)

 

심화 (2)

수동태와 완료형에 쓰이는 be, have를 조동사로 볼수 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에 ‘be, have’는 독립된 조동사가 아닙니다. 그 보다는, 수동태와 완료형을 나타내는 표지에 불과합니다.

will be done. 행해질 것이다.  (수동 표현 표지)

could have gone. 갈 수도 있었다. (완료 표현 표지)



이상으로 조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를 보겠습니다.


전치사 of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끌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유용한 구조이므로 잘 익혀두길 바랍니다.

 

1. of~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끌 수 있다.


동명사의 목적어 자리에 of가 이끄는 명사구가 올 수 있습니다. 예문에서 of 이하는 주어로 해석할 수도 있고 -(1), 목적어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2).


ex) the painting of his wife.

(1) 그의 아내가 그린 그림 

   → His wife painted the painting


(2) 그의 아내를 그린 그림 

   → Someone painted his wife.

 

목적어 역할을 하는 of~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살펴 봅시다.

 

2. of~은 ‘형용사+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동명사 앞에 있는 형용사는 ~ing가 명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그리고 of~ 이하는 목적어 역할을 하는 말을 이끌고 있습니다.


(1), (2)번을 ‘동사+목적어’로 바꾸어 보면, of~의 목적어적 역할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1) another buying of a car

    -> buy a car. (동사+목적어)

     또 다른 차의 구입


(2) careful analyzing of the problem.  

    -> analyze the problem. (동사+목적어)

     문제의 주의 깊은 분석



3. of~은 ‘this·that+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this, that' 다음에서 of~은 동명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역시 ‘동사+목적어’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This breaking of his promise is exceptional for Clark. break his promise.

     이렇게 약속을 어긴 것은 Clark에게는 예외적이다.


(2) That saving of the little girl was heroic. save the little.

     어린 소녀를 그렇게 구한 것은 영웅적인 것이었다.



그럼 이상으로 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0) 2014.10.21
전치사+동명사  (1) 2014.10.20

동명사 관용 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 관용 표현을 보겠습니다. 



자주 쓰이는 동명사 관용표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문법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단어라고 생각하고 외워야 합니다아주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관용 표현 1-5


1.  have difficulty (in) ~ing,  have a hard time (in) ~ing, have a trouble (in) ~ing

   ~하는데 어려움을 겪다.

ex) I had a great difficulty in finding your place. 

     너네 집 찾느라 아주 고생했어.

 

2. It is no use ~ing  ~해도 소용없다.

ex) It is no use trying to find where he lives. 

     그가 어디에 사는지 알아내려 노력해도 소용없다.

 

3. There is no ~ing    ~할 수 없다

ex) There is no deceiving this cutting-edge detector. 

      이 최첨단 탐지기를 속이는 건 불가능합니다.

 

4. cannot help ~ing  ~하지 않을 수 없다.

ex) Elvis melted all of girls’ hearts, singing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

     ‘그대를 사랑할 수 밖에 없네요라는 노래를 불러서, 엘비스는 여성들의 마음을 모두 녹였다.

 

5. feel like ~ing  ~하고 싶어 하다.

ex) I feel like dancing in the rain.  

      비를 맞으며 춤추고 싶어라.

 

관용 표현 6-10


6. be worth ~ing  ~할 가치가 있다.

ex) His suggestion is well worth reconsidering. 

      그의 제안은 재고할 만합니다.

 

7. be busy ~ing   ~하느라 바쁘다. 

ex) We are all busy in preparing for the exam.  

우린 모두들 시험준비를 하느라 바쁘다.

 

8. spend + 시간/ + ~ing  ~하는데 시간/돈을 쓰다.

ex) He spent his daily life in writing this book. 

      그는 이 책을 집필하는 데에 일상을 들였다.

 

9. when it comes to ~ing   ~의 이야기(문제)라면

ex) He is an expert when it comes to comparing digital gadgets. 

      그는 디지털 기기를 비교하는 문제라면 전문가이다.

 

10. look forward to ~ing  ~을 고대하다

ex) I am looking forward to getting the new album of his. 

      나는 그의 새 음반을 굉장히 기다리고 있다.

 

관용 표현 11-14


11. with a view to ~ing  ~하기 위하여

ex) He was learning Spanish with a view to visiting Argentina. 

      아르헨티나에 가 볼 생각으로 그는 스페인어를 배우는 중이었다.

 

12. What about ~ing, How about ~ ing   ~은 어떠니?

ex) How about doing the tango with me?  

      나랑 탱고 추는 거 어때?


13. in ~ ing  ~
할 때, ~하는 데에서

ex) You should be extremely careful in investigating a crime.  

     범죄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14. on ~ing  ~하자마자, ~할 때

   ex) On seeing the scene, he noticed something had gone wrong.  

         그 장면을 보자마자, 그는 뭔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이상으로 동명사 관용 표현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많은 동사들이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때의 의미와 비교해서 살펴 봅시다.



1. 동명사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낸다.


동명사는 실제로 발생한 행위(performance)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사실을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가능성을 나타내는 부정사는 일시적인 동작의 의미가 강합니다.


(1)번은 평소에 거짓말 자체가 싫은 것입니다. (2)번은 지금 이 순간 거짓말하기 싫다는 의미입니다.

(1) I hate lying. 일반적 사실

    나는 (평소에) 거짓말이 싫다.

(2) I hate to lie. 순간적인 동작

    나는 (지금) 거짓말하기 싫다.

 

부사를 함께 써주면 의미가 더욱 분명해 집니다.


(3) I don't like smoking. 평소에 흡연에 반대하고 있다.

    나는 담배 피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4) I don't like to smoke now. 지금만 피우고 싶지 않다, 평소에는 피울 수도 있다.

    나는 지금 담배 피우고 싶지 않다.


(주의)

동명사와 부정사의 의미가 항상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닙니다. 문맥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2. '피하다(avoid)' 계열 동사들은 ~ing를 목적어로 취한다.


‘피하다’라는 의미와 관련된 동사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리적으로 피하다)

avoid  (피하다)

deny  (부인하다)

escape  (탈출하다)

miss  (놓치다)

put off  (연기하다)

resist  (저항하다)

shirk  (회피하다)

can't help~ing  (~하지 않을 수 없다)

can't stand~ing  (~하는 것을 참을 수 없다)

refrain from~ing  (~을 삼가다)

 

(심리적으로 피하다)

abominate  (혐오하다) 

 detest  (혐오하다) 

 loathe  (혐오하다) 

mind  (꺼려하다)


(1) I can't avoid confronting with my boss.  (avoid ~ing)

    나는 상사와 부딪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2) She loathes working with me.  (loath ~ing)

    그녀는 나와 일하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한다. 



이상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전치사+동명사  (1) 2014.10.20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  (0) 2014.10.18
동명사 의미상 주어  (0) 2014.10.17

전치사+동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동명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하므로 전치사 뒤에 올 수 있습니다. ‘전치사+동명사’ 구조는 아주 많이 쓰이니 잘 익혀 두어야 합니다.

 

1. 전치사는 동명사(~ing)를 취한다.


전치사 다음에 ~ing를 써야 한다는 것 말고는 특별한 문법 규칙은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의미와 용법을 살펴 봅시다.


1-5


(1) We talked about going home. about ~ing

     우리는 집에 가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 했다.


(2) He is not above lying when it suits him. above ~ing, 결코 ~하지 않다.

     그는 필요하면 반드시 거짓말 할 사람이다.


(3) After saying good-bye, he left hurriedly. after ~ing

     작별 인사를 한 후에 그는 급히 떠났다.


(4) I cautioned her against marrying him. against ~ing

     나는 그와 결혼하는 것에 대하여 그녀에게 주의를 주었다.


(5) She was shocked at discovering the secret. at ~ing

     그녀는 그 비밀을 발견하고 충격을 먹었다.


6-10


(6) Before quitting the job, reconsider it please. before ~ing

     직장을 그만 두기 전에, 제발 다시 생각해 봐라.


(7) Besides being dangerous, it is totally stupid. besides ~ing

     위험한 것 말고도, 그것은 완전히 어리석은 짓이다.


(8) Between laughing and crying, she narrated her hard-luck story.

     웃고 우는 와중에, 그녀는 자신의 불운한 인생이야기를 했다.


(9) She succeeded chiefly by working hard. by ~ing

     그녀가 성공한 것은 주로 열심히 일을 해서이다.


(10) There are numerous reasons for suspecting her. for ~ing

      그녀를 의심한 수 많은 이유가 있다.


11-15


(11) My hands are trembling from being nervous. from ~ing

      긴장으로 내 손이 떨리고 있다.


(12) He is engaged in collecting Japanese dolls. in ~ing

      그는 일본 인형을 모으는데 열중하고 있다.


(13) He can talk anyone into believing his nonsense. into ~ing

      그는 어떤 누구라도 말을 해서 그의 헛소리를 믿게 만들 수 있다.


(14) I came near crying when I heard the news. near ~ing

      나는 그 소식을 들었을 때 거의 울 뻔 했다.


(15) Instead of leaving, he decided to stay. instead of ~ing

      떠나는 대신에, 그는 남기로 결정했다. 



이상으로 전치사+동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을 보겠습니다.


동명사는 동사에 더 가까운 취급을 받습니다. 동명사 역시 동사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동명사가 갖는 동사의 특징에 대해 살펴 봅시다.



1. 동명사는 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동사의 특징 중 하나는 부사의 수식을 받는 것입니다. 동명사 역시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있습니다.


동명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일반적으로, ~ing 앞에 옵니다. -(1), (2). 특히 부정부사는 반드시 ~ing 앞에 써야 합니다.


(1) A few drinks usually end in his easily being talkative.   (easily는 being ~ 수식)

    술 몇 잔이면 보통 그는 쉽게 말이 많아 진다.

(2) He hurt her feeling without ever knowing it.   (ever는 knowing ~ 수식)

    그는 자신도 모르게 그녀의 감정을 상하게 했다.

(3) The teacher scolded me for not doing the homework.   (not은 doing ~ 수식)

     선생님은 내가 숙제를 안 해서 야단쳤다.



2. 동명사는 완료 시제를 가질 수 있다.


동사는 시제를 갖습니다. 동명사 또한 ‘완료 동명사-having+과거분사-’의 형태로 시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완료 동명사는 문장의 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을 나타냅니다.


(1)번에서, 함께 일했던 것-having worked-은 아는 것-know-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1) Because of having worked with him for 10 years, I know him well.

    그와 10년 동안 일한 적이 있기 때문에, 나는 그를 잘 안다.


그런데 `~ing'가 동사 다음에서 목적어로 쓰일 때는, 완료 동명사와 단순 동명사 사이에 의미 차이가 없습니다. 이는 동명사 자체가 이미 발생한 행위(performance)로서, 과거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2) I recall having made fun of him. 완료 동명사, having made ~

    나는 그를 놀렸던 것을 기억한다.

(2-1) I recall making fun of him. 단순 동명사, making ~

         나는 그를 놀린 것을 기억한다.

 


그럼 이상으로 동명사의 동사적 설명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를 보겠습니다. 



동명사는 동사의 성격을 가지므로 의미상 주어를 갖습니다. 의미상 주어를 쓰는 상황에 주의해서 살펴봅시다.



1. 일반인이 의미상 주어일 경우에는 생략한다.


의미상 주어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거나 모든 사람을 의미할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생략합니다.


(1)번에서 writing의 주체는 불특정한 사람입니다. (2)번에서 investing하는 주체는 투자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입니다.


(1) Writing a book needs much practice and patience.  (When someone write a book ~)

    책을 쓰는 것은 많은 연습과 인내가 필요하다.


(2) The broker recommend investing in bio stocks.  (people should invest ~)

    그 중개인은 생명공학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했다.

 

2. 문장의 주어가 의미상 주어와 같을 때는 생략한다.


문장의 주어가 ~ing의 의미상 주어일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1)번에서 going의 주체는 문장의 주어인 ‘I’입니다. (2)번에서 meeting의 주체는 ‘we'입니다.


(1) I enjoyed going concerts with her.   (going 앞에 의미상 주어 생략)

    나는 그녀와 함께 콘서트 가는 것을 즐겼다.

(2) We look forward to meeting you.   (meeting 앞에 의미상 주어 생략)

    우리는 당신을 만나기를 고대한다.

 

3. 의미상 주어가 필요하면 소유격이나 목적격을 쓴다.


일반인이 아니거나 문장의 주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미상 주어를 써 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의미상 주어는 소유격과 목적격으로 나타내는데, 보통 목적격을 더 많이 씁니다. 소유격 의미상 주어는 주로 격식체에서 사용됩니다.

 

(1), (2)번과 같이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 올 때는 소유격도 자주 의미상의 주어로 쓰입니다. 그러나 의미상의 주어가 길 경우에는 소유격을 쓰지 않습니다 -(3)번. 또한 의미상의 주어가 사람이 아닐 경우에도 소유격을 잘 쓰지 않습니다 -(4)번.

 

(1) He insisted on my/me participating the meeting.   (의미상 주어, my/me)

    그는 내가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He insisted on his wife's/his wife participating the meeting.  

     (의미상 주어 his wife's/his wife)

    그는 그의 아내가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We need people and the government protecting the democracy. 

     (긴 의미상 주어 people and the government)

    사람들과 정부가 민주주의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4) I don't like the weather changing so frequently. 

    (사람이 아닌 의미상 주어 the weather)

    나는 날씨가 그렇게 자주 바뀌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동명사 의미상 주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동명사  (1) 2014.10.20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  (0) 2014.10.18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들  (0) 2014.10.15
분리 부정사, 부정사의 생략  (0) 2014.10.13
부정사 명사적 용법  (0) 2014.10.10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구들을 보겠습니다. 



이 유형은 엄밀히 말하면 to 부정사와 함께 쓰는 형용사들입니다. 그렇지만 형태가 일정하고 동사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속하는 형용사들은 자의 감정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be + 형용사 + to 부정사‘ 형태를 취합니다. 


(1) Audiences are excited to see her performance. are excited to ~

   청중들은 그녀의 연기를 보고 흥분했다.


(2) He is willing to risk his life if necessary. be willing to ~

    그는 필요하다면 기꺼이 죽음도 무릅쓰려고 한다.


감정 형용사

afraid,   angry,   annoyed,   ashamed,   astonished,   bored,   concerned,   delighted, depressed,   embarrassed,   glad,   happy,   puzzled,   surprised,   thankful,   worried


의지 형용사구

be able to do (~할 수 있다)

be anxious to do (~을 갈망하다)

be apt to do(~하기 쉽다)

be determined to do (단호하게 결심하다)

be due to do (~하려고 하다)

be inclined to do (~하는 경향이 있다)

be eager to do (~을 갈망하다)

be free to do (마음껏 ~하다)

be hesitant to do (~하는 것을 주저하다)

be keen to do (~하고 싶다)

be liable to do(~하기 쉽다)

be likely to do (~할 것 같다)

be prepared to do (~할 준비가 되다)

be prone to do(~하는 경향이 있다)

be ready to do (~할 준비가 되다)

be reluctant to do (~하는 것을 주저하다)

be sure to do (반드시 ~하다)

be unable to do (~할 수 없다)

be welcome to do (마음껏 ~하다)



이상으로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  (0) 2014.10.18
동명사 의미상 주어  (0) 2014.10.17
분리 부정사, 부정사의 생략  (0) 2014.10.13
부정사 명사적 용법  (0) 2014.10.10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  (1) 2014.10.09

부정사의 생략과 분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사의 부정과 생략을 보겠습니다. 



부정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to와 부정사 사이에 부사를 넣어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부정사의 분리가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1. 부정사는 생략할 수 있다.


내용 이해에 어려움이 없으면, to만 남기고 동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You can call me anytime, if you want to               .   call me 생략

    당신은, 원한다면, 언제든지 내게 전화해도 된다.

(2) He doesn't exercise much as he use to               .  exercise 생략

     그는 예전에 했던 것 만큼 운동을 많이 하지 않는다.


단어에 따라 to까지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ask가 쓰인 문장에서는 to까지 생략할 수 있습니다.

(3) I asked Mike to come, but he refused               . to come 생략

(4) You need some help. You can ask Sara               . to help 생략

 

그렇지만 to를 생략하면 안 되는 동사들도 있습니다. (6)번에서 to를 생략하면 ‘너가 싫다’는 뜻이 되어 (5)번과 내용이 달라 집니다.

(5) Have you decided to leave? I really hate you to               .  leave you 생략

    떠나기로 결정했어요? 당신이 떠나는 건 정말 싫어요.

(6) Have you decided to leave? I really hate you               .  to leave you 생략

    떠나기로 결정했어요? 당신이 정말 싫어요.

 


2. 분리 부정사는 문법적으로 옳다.


to 부정사에서 to와 동사 사이에 부사를 쓰는 것을 ‘분리 부정사’라고 합니다. 보통 문법에서는 분리 부정사가 틀렸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분리 부정사를 피하다 보니 의미가 분명치 않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Good teachers try really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1)번은 부사 really의 관계에 따라 두 가지로 해석이 됩니다. 

첫째 좋은 선생님들은 정말로 노력한다 -(노력하는 것이 거짓말 아니다). 

둘째, 좋은 선생님들은 정말로 이해하려고 한다 -(대충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1)번만 가지고는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1)번에서 부사 really의 위치를 to 다음으로 옮기면 의미가 분명해 집니다.

(1-1) Good teachers try to really understand their students. really는 understand 수식

 

다음 예문들도 충분히 의미가 통하는 분리 부정사들입니다.

(2) Keep in mind not to further complicate the already difficult situation. 

    이미 어려운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지 않도록 유의해라. 


(3) He has the potential to actually make great changes. 

    그는 커다란 변화를 만들 잠재력이 있다.


위에서 보았듯이, 분리 부정사는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말이 됩니다. 또한 소설이나 언론 등에서도 많이 쓰고 있는 훌륭한 영어입니다.



이상으로 부정사의 생략과 분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 의미상 주어  (0) 2014.10.17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들  (0) 2014.10.15
부정사 명사적 용법  (0) 2014.10.10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  (1) 2014.10.09
to 부정사 목적어 역할  (2) 2014.10.08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을 보겠습니다. 

 

부정사는 명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부정사가 명사적 역할을 할 때는 주어·목적어·보어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인은 용법이니 잘 익혀 두길 바랍니다.


 

1. 명사적 부정사는 주어 역할을 한다.


부정사가 주어 자리에 올 때는, (1)번과 같이 ‘for+명사’를 앞에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for+명사’는 to 부정사에 있는 의미상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그렇지만 훨씬 더 많은 경우에는 (2)번과 같이, 주어로 쓰인 to 부정사 앞에 의미상 주어를 쓰지 않습니다.


(1) For you to ignore my advice was foolish. 

    (당신이 내 충고를 무시한 것은 어리 석었다)

(2) To write a good book require much patience.  

    (좋은 책을 쓰는 것은 많은 인내를 요구한다)

 

주어로 사용된 to 부정사는 (2-1)번과 같이 가주어 it을 써서 뒤로 보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2-1) It requires much patience to write a good book.

 


2. 명사적 부정사는 목적어 역할을 한다.


직접목적어 역할을 하는 부정사 앞에는 일반적으로 'for+명사‘를 쓰지 않습니다. 문장의 주어가 to 부정사의 주어와 같기 때문입니다.

(1) She doesn't like to be alone at night. 

    (그녀는 밤에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치사 for로 이루어진 동사구는 'for+명사‘를 써야 합니다


(2) Children are burning for the show to begin.  (burn for: 애태우다)

    (아이들은 쇼가 시작되기를 애태우고 있다) 

 

for를 쓰는 동사들은 숙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동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im for (목표로 하다)          ask for (요청하다)         burn for (애태우다)

call for (요구하다)               crave for (갈망하다)      hope for (바라다)

long for (갈망하다)              prepare for (준비하다)  wait for (기다리다)

yearn for (갈망하다)

 

3. 명사적 부정사는 주격 보어 역할을 한다.


주격 보어가 명사일 때는 주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그러므로 to 부정사가 주격 보어자리에서 명사 역할을 할 때는, 주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To seeA is to believeB.  (주어(A) = 보어(B))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The best policyA is to say the truthB.  (주어(A)=보어(B))

(최고의 방책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다) 

 


4. 명사적 부정사는 동격명사(구) 역할을 한다.


두 말이 동격 관계일 때는 내용이 같습니다. 즉, 다른 말로 바꾸어 써도 됩니다. 동격 관계인 to 부정사는 같은 내용의 that절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다음 예문들에서 동격을 이루는 A, B는 내용상 같습니다.


(1) Your dreamA to retire earlyB wouldn't come easily.

= Your dream that you would retire early wouldn't come easily.

   (일찍 은퇴하려는 당신의 꿈은 쉽게 오지 않을 것이다)

 

(2) The appealA to rely on forceB doesn't get much support.

= The appeal to rely on force doesn't get much support.

    (힘에 의존하려고 하는 것은 많은 지지를 받지 못한다) 



그럼 이상으로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의 형태와 부정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부정사라는 말은 시제·인칭·수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부정사의 형태는 'to+동사원형‘ 또는 ’동사원형‘입니다.



1. 부정사에는 ‘to 부정사’와 ‘원형 부정사’가 있다.


to 부정사는 to 다음에 동사 원형을 써서 만듭니다. 원형부정사는 to 없는 동사원형이 부정사로 쓰이는 것입니다. 부정사는 대부분 to 부정사의 형태를 취합니다. 원형부정사는 특정한 일부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쓰입니다.


(1) The police decided to investigate the case.  (to 부정사)

     (경찰은 그 사건을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2) What the police decided was investigate the case.  (원형 부정사)

     (경찰이 결정한 것은 그 사건 수사이다) 

 


2. 부정사는 본동사로 쓰일 수 없다.


부정사는 일반 동사와 달리, 시제·인칭·수에 따른 형태 변화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부정사는 주어 다음에 오는 본동사로 쓰일 수 없습니다. 이것은 ~ing 표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1) The police investigated the murder.   (investigated 본동사)

     (경찰이 그 살인 사건을 조사했다) 

(2) The police to investigate the murder. (x)

(3) The police investigating the murder. (x)



3. to 부정사는 have·be와 결합할 수 있다.


‘to+동사원형’은 단순(simple) 부정사라고도 합니다. 이 단순 부정사에 have나 be를 붙여서, 수동·진행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have·be와 결합한 to 부정사를 복합(complex) 부정사라고 합니다.


단순(simple)        to investigate                            (단순)부정사


복합(complex)    to have investigated                    완료 부정사

  to be investigating                     진행 부정사

  to be investigated                       수동 부정사

      to have been investigated            완료 수동 부정사

  to have been investigating            완료 진행 부정사

  to be being investigated               진행 수동 부정사

  to have been being investigated    완료 진행 수동 부정사 (잘 안 쓰임)



4. to 부정사의 부정어는 to 바로 앞에 쓴다.


부정어 not·never 등을 이용하여 부정사를 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정어는 부정사 바로 앞에 와야 합니다. 그리고 부정어는 to 부정사 이하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1)번은 to 부정사를 포함한 긍정문입니다. (2)번은 to 부정사를 부정한 것이고, (3)번은 문장의 동사를 부정한 것입니다. 의미 변화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It's important to keep a secret.   (긍정문)

     (비밀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다) 

(2) I's important NOT to keep a secret.  (to 부정사 부정)

     (비밀을 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3) It's NOT important to keep a secret.  (문장 부정)

     (비밀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1),(2)번에서 긍정문은 그대로 긍정문입니다. 단지 중요한 것에 대한 내용이 달라 졌습니다. (1),(3)은 긍정문이 부정문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바

뀌었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to 부정사의 부정어는 문장 전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차부정(secondary negation)이라고도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리 부정사, 부정사의 생략  (0) 2014.10.13
부정사 명사적 용법  (0) 2014.10.10
to 부정사 목적어 역할  (2) 2014.10.08
4형식 문장 수동태 만들기  (1) 2014.10.06
타동사와 수동태  (0) 2014.10.05

to 부정사 목적어 역할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o부정사 목적어를 보겠습니다.



to 부정사는 타동사의 직접목적어 역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부정사의 목적어 역할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목적격 조사 이용


보통은 다음과 같이 우리말의 목적격 조사 ‘~을, ~를’ 붙여서 판단합니다.


(1) I hated to go out with him.

    (나는 그와 데이트하는 것을 싫어했다)


익숙한 우리 언어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라 받아들이기는 편합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이 ‘~을, ~를’이 잘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2) We should obey our parents.

    (우리는 부모님께 복종해야 한다).

    (우리는 부모님을 복종해야 한다 ???)


(2)번에서 목적격 조사 ‘~을, ~를’ 붙인 해석은 얼른 봐도 이상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어의 구조를 이용한 것이 아닌 영어 자체의 판단기준이 필요합니다. 여러 기준이 있을 수 있지만, 간단한 것 것 두 가지만 적용해 보겠습니다.



1. 대명사로 바꾸어 본다.


목적어 자리에 있는 to 부정사는 대명사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일반 명사가 목적어로 쓰인 문장과, to 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인 문장을 비교해 봅시다.

(1) I like the book.

   → I like it.

(2) I like to go there.

   → I like it.


(1)번에서 보듯이 목적어는 하나의 대명사로 바꿀 수 있습니다. 목적어가 하나의 의미 단위이기 때문이다. (2)번에서도 'to go there'를 it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는 ‘to go there'가 의미상 하나라는 뜻합니다.


이렇게 대명사로 바꾸어 써 보면 to 부정사가 목적어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목적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된다.


능동태의 목적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표현이 수동태에서 주어로 사용되면 목적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The man hit the dog.  (the dog, 능동태의 목적어)


(1-1) The dog was hit by the man.)  the dog, 수동태의 주어)

       (그 개는 그 남자에게 맞았다)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2) I decided to apply for the job. (to 부정사 목적어)

     (나는 결정했다/ 그 일에 지원하기로)


(2-1) To apply for the job was decided by me.   (to 부정사 수동태)

      (그 일에 지원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2-2) It was decided to apply for the job by me.   (가주어 it 사용)


(2)번에서 밑줄 친 to이하는 타동사 decided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1)은 to 부정사를 문장의 주어로 하여 수동태로 고친 것입니다. (2)번은 의미가 통하는 문장입니다. to 부정사가 수동태의 주어로 쓰였기 때문에, 능동태에서는 목적어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동태 주어를 이용하여 목적어 역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

(2-1)번과 같이 to 부정사를 주어 자리에 놓는 문장은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2-2)번과 같이 가주어를 쓰고 to 부정사를 뒤로 보내는 형태를 주로 씁니다.

 


이상으로 to 부정사의 목적어 역할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사 명사적 용법  (0) 2014.10.10
to 부정사 형태와 부정  (1) 2014.10.09
4형식 문장 수동태 만들기  (1) 2014.10.06
타동사와 수동태  (0) 2014.10.05
유사 수동태  (0) 2014.10.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