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형식으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 동사

4형식 아니야, 3형식이야

4형식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 동사들

 

영어 문법에서는 4형식은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입니다. 그리고 3형식은 "주어 + 동사 + 목적어"입니다. 형식상으로 문장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두 형식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지만 4형식 동사와 3형식 동사의 구분이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어로 이해하는 과정에서 4형식처럼 해석되는 3형식 동사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식으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 동사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혼동의 이유

2. 대표적인 예시와 올바른 사용법

3. announce, confess, describe

4. explain, introduce, propose

5. prove, suggest 

6. 핵심정리

7. 연습문제 다운로드


1. 혼동의 이유

영어 문장에서 특정 동사들은 한국어 번역 시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순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4형식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동사들은 실제로는 3형식 동사이며, 간접목적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반드시 전치사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팁: 신뢰할 만한 영어 학습 자료(예: Cambridge Dictionary)의 예문을 참고하세요. 올바른 용례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2. 대표적인 예시와 올바른 사용법

3형식 동사 confess와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confess

  • 잘못된 예문 (4형식처럼 쓰인 경우)
    The killer confessed the police his crime. (x)
    (그 살인자는 경찰에 자백했다/ 그의 범죄를)

  • 올바른 예문 (3형식 + 전치사)
    The killer confessed his crime to the police.
    (그 살인자는 그의 범죄를 자백했다/ 경찰에)

설명:
동사 confess는 3형식 동사이므로, 바로 직접 목적어인 his crime가 와야 합니다. 우리 말에서 간접목적어처럼 보이는  ‘the police’ 앞에는 전치사 to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영어와 우리 말의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어쩔 수 없이 따로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confess


다음은 4형식으로 착각하기 쉬운 3형식 동사들과 간단한 예문들입니다.

3. announce, confess, describe

  • announce
    The president announced a tax cut to people.
    (대통령은 세금 감면을 선언했다/ 국민들에게)
  • confess
    The killer confessed his crime to the police.
    ( 그 살인자는 그의 범죄를 자백했다/ 경찰에게 )

  • describe
    Can you describe her face to me?
    (그녀의 얼굴을 묘사해 줄 수 있니/ 나에게?)

announce, confess, describe


4. explain, introduce, propose

  • explain
    • The teacher explained the answer to the students.
      (선생님은 답을 설명했다/ 학생들에게)
  • introduce
    Could you introduce the beautiful lady to me?
    (저 아름다운 숙녀를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저에게?)

  • propose
    The Senate proposed a new law to the committee.
    (상원은 새로운 법률을 제안했다/ 위원회에

explain, introduce, propose


5. prove, suggest 

  • prove
    The scientist proved his theory to the academia.
    (그 과학자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했다/ 학계에)

  • suggest
    My wife suggested a help to me.
    (내 아내는 도움을 제안했다/ 나에게)

(suggest의 추가적인 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suggest의 용법 (핵심정리 022)

 

prove, suggest


6. 핵심 정리

지금까지 배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위에서 언급한 announce, confess, describe, explain, introduce, propose, prove, suggest 등은 모두 3형식 동사입니다.
  • 중요 포인트:
    1. 이 동사들은 4형식을 쓸 수 없습니다.
    2. 우리말의 간접목적어에 해당하는 사람 앞에 반드시 전치사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4형식 불가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4형식으로 착각하는 3형식 연습문제.pdf
0.30MB
4형식으로 착각하는 3형식 연습문제 정답.pdf
0.27MB

 

 

잘 익혀서 '착각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


 

 

다음은 제가 직접 쓴 『문장의 5형식 직전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간략하게 담았습니다. 한 번 보세요.



조동사 should 총정리

should

영어 조동사 ‘should’ 완벽 이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조동사 ‘should’의 다양한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원래 should는 미래 조동사 shall의 과거형이었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사실상 독립적인 의미로 더 많이 쓰입니다. 그러므로 ‘shall의 과거형’보다는 ‘should 자체의 용법’을 구분하여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2. 과거의 유감·후회: should have p.p.

3. 명령·제안·요구·충고 동사 뒤에서의 should

4. 조건 미래 should (참고)

5. 맺음말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 의미: ‘~해야 한다’
  • 특징: must보다 훨씬 완곡하고 강제성이 적습니다.

should는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한 의무를 나타내지만 must와는 달리 강제성이 거의 없습니다. 듣는 사람도 전혀 기분 나빠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해야한다‘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면 ’should'를 쓰도록 합시다.

ex) You should listen to your parents.

     (부모님 말씀 잘 들어야지.)

    이와 같이 당연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당연한 의무 should

 


2. 과거의 유감·후회

2-1. 해버린 일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

  • 형태: should have p.p
  • 의미: ‘~했어야 했는데…' (못 해서 유감, 후회)

'should have p.p.'는 기본적으로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입니다. 그러니 가정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순 가정이 아니라 유감이나, 후회가 들어갑니다. 그래서 가정법과는 달리 취급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should have p.p:

(1)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는데.)

 

이렇게 should have p.p를 쓰면 지금, 과거의 일을 후회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현재시제로는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문장의 시제를 주의해 보세요.)

 

직설법 현재:

(1-1) I am sorry (that) I did not study harder.

should have p.p

 

2-2. 하지 못한 일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

"should have p.p'의 부정형도 함께 알아 두어야 합니다.

  • 부정형: should not have p.p
  • 의미: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해 버려서 유감, 후회)

ex) I should not have eaten that chocolate. 

    (나는 그 초콜렛을 먹지 말았어야 했는데...

    '먹어버려서 후회된다'라는 뜻입니다.

should not have p.p


3. 명령·제안·요구·충고 동사 뒤에서의 should  

3-1 당위성이 있을 때

일단 규칙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 + (that) S should 동사원형

(order, suggest, demand, advise 등)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등의 동사를 잠깐 봅시다. 명령하니까 해야하고, 제안하니까 해야하고, 요구하니까 해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들은 ‘~해야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합니다. 그래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 동사원형’이 오는 것입니다.

 

이들 동사들 다음에 that 절이 오면, 동사의 시제와 상관없이 should +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이 때 that과 should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반드시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당위성 동사들

 

예문

My wife suggested that I (should) clean the house.
(내 와이프가 제안했다/ 집을 청소해야 한다고.)

 

that절에서 should가 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와이프가 말하니 해야지 별 수 있습니까?

제안동사

 

3-2. 당위성이 없을 때

그런데 이러한 동사들에 당위성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문:

ex) The evidence suggested that he (was, should be) innocent.

     (증거는 보여주었다/ 그가 무죄라고.)

 

만약 여기에 'should be'를 써버리면 (증거는 보여주었다/ 그가 무죄여야 한다고)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그러므로 should 동사원형을 쓸 수 없습니다.

당위성이 없을 때

 

이렇게 정리합시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들 다음 that절에서는 should 동사원형이 온다. 단 당위성, ‘~해야 한다’라는 의미가 있을 때이다. 당위성의 의미가 없으면 ‘should 동사원형’을 쓸 수 없다.

당위성 should 정리

4.  조건 미래 should (참고)

조동사 should가 미래에 쓰여서 "강조나 가정"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

ex) If you should see her, let me know surely.

     (만약 그녀를 본다면, 꼭 알려 줘.)

 

위 문장에서 should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를 나타냅니다. 그렇게 많이 쓰이는 표현은 아니니 참고로 알아 두면 됩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if가 생략 되었을 때입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should에서 if가 생략되면 should가 문장 첫머리로 도치됩니다.

 

도치 예문:

ex) Should you see her, let me know surely.

     (만약 그녀를 본다면, 꼭 알려 줘.)

 

'Should'로 시작되는 문장을 봤을 때 if가 생략된 도치구문이라는 것을 재빨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해나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약간 멋을 부린 표현입니다.

if 생략


5. 맺음말

정리해 보면, should

  • 당연한 의무 (should + 동사원형),
  • 과거 유감·후회 (should have p.p.),
  • 명령·제안·요구·충고의 당위성 ((that) 주어 should + 동사원형),
  • 조건 미래(가끔 사용)

    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should 연습문제.pdf
0.31MB
should 연습문제 정답.pdf
0.31MB

 

 

그럼 이상으로 should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2025년 4월 15일 업데이트 by Song SSam

 

 

 

 

suggest 용법

suggest의 정확한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자주 헷갈리는 동사 suggest의 정확한 용법을 명확히 정리하겠습니다. suggest의 용법은 수능 영어, 내신 시험, 토익(TOEIC) 등 각종 영어 시험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suggest + 동명사

2. suggest that절 should

3. suggest: 암시하다

4. 핵심정리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1. suggest + 동명사

동사 suggest 다음에는 반드시 동명사(~ing) 형태를 써야 합니다. suggest 뒤에 to부정사를 써서는 안 됩니다. 웬지 "미래를 나타내는 to 부정사"와 제안을 뜻하는 suggest는 잘 어울릴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sugget 다음에 동사가 올 때는 "동명사" 형태를 써야 합니다.

해석은 「~하는 것을 제안하다」 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예문을 통해 살펴볼까요?

  • 올바른 문장
    She suggested going to the park. (O)
    (그녀는 공원에 갈 것을 제안했다.)
  • 틀린 문장
    She suggested to go to the park. (X)

같이 알아 두기
비슷한 동사인 propose, recommend, consider 등도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suggest 동명사


2. suggests that S should 동사원형

suggest 뒤에 (that)절이 나올 때는 (should) + 동사원형 형태로 씁니다. suggest가 「~해야 한다」라는 당위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should는 생략 가능합니다. 이 문법을 당위의 should 용법이라고 합니다.

 

예문을 살펴볼까요?

  • She suggested that he (should) study harder.
    (그녀는 그가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I suggest that you (should) take a break now.
    (나는 네가 지금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 주의사항
suggest 뒤에 (that)절이 오는 경우, should는 생략 가능하지만 반드시 동사원형을 사용해야 합니다.
insist(주장하다), recommend(추천하다), demand(요구하다), order(명령하다) 등의 동사도 that 절에서 (should) 동사원형을 씁니다.

suggest 제안하다


3. suggest: 암시하다 , 시사하다

suggest는 단순히 「제안하다」는 의미 외에도 「암시하다, 시사하다」라는 뜻으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때의 suggest 다음에 오는that에서는  "should 동사 원형"을 쓰지 않고 문장의 시제와 주어의 인칭을 따릅니다.

 

예문을 보면서 살펴 봅시다.

 

  • 시제가 과거
    The evidence suggested that he was innocent.
    (그 증거는 그가 무죄임을 시사한다.)
    과거시제(suggested) → 과거 동사(was)

  • 주어가 3인칭 단수 현재
    Recent studies suggest that coffee has health benefits.
    (최근 연구들은 커피가 건강에 이롭다는 것을 시사한다.)
    3인칭 단수 주어(coffee) → 3인칭 단수 현재 동사(has)

⚠️ 주의사항
「암시하다, 시사하다」의 의미로 쓰일 때는, should를 사용하는 당위의 의미와 관련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동사시제 규칙을 따릅니다. 혼동하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suggest 암시하다


4. 핵심정리

위에서 공부한 suggest의 용법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용법 형태
suggest + 동명사 suggest ~ing
당위적 제안 (should + V) suggest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암시ㆍ시사 suggest that 시제나 인칭에 맞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suggest 연습문제.pdf
0.29MB
suggest 연습문제 정답.pdf
0.32MB

이상으로 sugge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025년 4월 14일 update by Song SS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