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식 문장 규칙

1형식 문장규칙

1형식 문장규칙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형식 동사의 기본 규칙과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영어 문장의 기본 중 하나인 1형식 동사는 문장 형식의 기본입니다.  특히, 자동사의 특성상 주의해야 하는 수동태 제한, 과거분사 활용법, 의미 확장 방법을 예문과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1형식 문장규칙

2. 1형식 동사와 수동태 불가

3. 1형식 동사와 과거분사

4. 의미의 확장

5. 자주 묻는 질문 (FAQ0

6. 연습문제 다운로드.

 

설명에 앞서 꽤 까다로운 퀴즈를 풀어 보겠습니다.

Quiz

※ 다음 문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ex) She helped the died man.

 

이 퀴즈의 정답을 아시는 분들 축하합니다 !🏅 상당한 실력자들이므로 다른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은 걱정 마시고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내용이 끝날 때 쯤이면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1형식 문장규칙

1형식 동사는 보어가 필요없는 완전 자동사’라고도 불리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요한 용법을 갖습니다.

  • 수동태 불가
  • 과거분사로 명사수식 불가
  • 의미의 확장 (부사구와 결합)

특히 수동태 불가는 시험에도 자주 나오는 항목이므로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수동태 불가 동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수동태 불가동사

1형식 동사: 완전 자동사

1형식 동사의 특징

 

각 항목을 자세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2. 1형식 동사와 수동태 불가

목적어가 있어야 수동태 문장의 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동사들은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 문장에서 주어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자동사 happen이 들어간 문장을 봅시다.

 

틀린 문장

ex) The accident was happened yesterday.
      자동사 happen은 수동태 불가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옳은 문장

 ex) The accident happened yesterday. 
       사고가 어제 발생했다.

       → 자동사 happen은 항상 능동태

1형식 동사: 수동태 불가능

수동태 불가


3. 1형식 동사와 과거분사

퀴즈에 대한 정답이 나오는 부분입니다.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규칙이 나옵니다.

자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과거분사로 명사를 수식할 수도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dying man  (O)

→  죽어가는 사람

 

(2) died man   (?)

→  죽어진 사람 (불가능한 표현)

 

(1)번은 ‘죽어가는 사람(dying)'이라는 뜻으로 가능한 표현입니다. 그런데  ’죽어진(died) 남자‘라는 표현은  아무래도 이상합니다. 자동사 'die'의 과거분사 'died'는 이미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명사 앞에서 형용사처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동사: 과거 분사로 명사 수식 불가

명사수식 불가


4. 의미의 확장 (부사와 결합)

자동사들은 부사나 전치사구와 결합하여 의미를 확장합니다. 

 

(1) He drives.
     그는 운전한다.
→ 기본동사 drives

 

(2) He drives fast.
     그는 빨리 운전한다.
→ 부사 fast와 결합


(3) He drives with the maximum speed.
     그는 운전한다/ 최고 속도로.
→ with 전치사 구와 결합

 

(1)번은 ‘그는 운전한다.’는 현재의 사실만을 나타냅니다. 다음에 공부할 시제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현실에서 이렇게 현재형 동사만을 쓰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합니다.

(2)번은 부사 ‘fast'를 써서 그가 운전하는 방식을 말해줍니다. 그는 ’빨리‘ 운전합니다.

(3)번은 부사역할을 하는 ‘전치사+명사’구를 써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고 속도로’ 운전합니다.

 

이렇듯 1형식 동사는 주로, 부사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의미를 확장해서 사용합니다.

 

"with the maximum speed"는 동사 drives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자동사가 부사와 결합하는 이유는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영작 등에서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패턴이므로 잘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자동사: 부사나 전치사구와 결합하여 의미를 확장

의미의 확장


5.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들입니다.

 

Q1. 왜 자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나요?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동태의 주어는 목적어에서 오는데, 목적어 자체가 없으므로 자동사는 수동태가 될 수 없습니다.

 

Q2. 자동사를 과거분사로 써서 명사를 수식하면 왜 안 되나요?
자동사는 기본적으로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를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1형식 문장규칙 연습문제.pdf
0.25MB
1형식 문장규칙 연습문제 정답.pdf
0.24MB

 


 

1형식 동사는 영어의 기본입니다.

우리가 가장 먼저 배우고 쓰는 일상적인 말입니다.

1형식 동사만 잘 이해하고 활용해도 기본적인 영어는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인생의 모든 것이 그렇듯 시작이 반입니다.

우리 포기하지 맙시다!

 

update on 2025-05-06 by Song SSam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는 영어 학도들이 무척이나 헷갈려하는 규칙입니다. 몇 번을 듣고 읽어봐도 두루뭉실한 설명 때문에 아리송하기만 합니다. 이번 글에서 명확히 정리하겠습니다. 지각동사(see, hear, feel, smell, taste)는 자주 출제되는 문법 포인트이므로 이 글을 통해 확실히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게시물을 다 읽고 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해서 잘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글의 내용

1. 지각동사란 무엇인가? 
2. 동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경우
3.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경우
4.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5. 연습문제 다운로드

 

시작합시다!

1. 지각동사란 무엇인가? 

지각동사는 감각적으로 무언가를 인지할 때 사용하는 동사로, ‘무의지 동사’라고도 합니다.

대표적인 지각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see(보다), hear(듣다), feel(느끼다), smell(냄새 맡다), taste(맛보다)   

 

지각동사 hear와 listen to의 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1분 정리 041)


 

이러한 5형식 지각동사들은 목적보어로 동사와 형용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각 경우별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2. 동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경우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와 형용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적보어 형태는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데, 쉽지는 않은 내용이지만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를 할때

          →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or ~ing(현재분사)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p.p (과거분사)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2-1. 목적보어 예문

(1) I heard her call my name.

    (나는 들었다/ 그녀가 내 이름을 부르는 것을)

 

(2) I heard my name called by her.

    나는 들었다/ 내 이름이 불리는 것을/ 그녀에 의해서)

 

(1)번에서는 목적어인 her가 내 이름을 부릅니다. 목적어가 목적보어를 하는 ‘능동’이므로 동사원형 (~ing)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목적어 my name은 불리는 것’이므로 수동입니다. 그러므로 과거분사 called가 왔습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 다음 (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I saw my son (clean, cleaned) the room.

    (나는 보았다/ 내 아들이 방을 청소하는 것을)

(2) I saw the room (clean, cleaned) by my son.

    (나는 보았다/ 방이 청소되는 것을/ 내 아들에 의해서)

 

 

(1)번은 동사원형 wash를 써야 합니다. 목적어인 my son이 방을 청소하는 능동이기 때문입니다.

(2)번은 과거분사 cleaned를 써야 합니다. 목적어인 방(the room)은 내 아들에 의해서 ‘청소가 되는’ 수동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가 올 경우,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서 동사원형(~ing) 또는 p.p(과거분사)를 씁니다.

 

동사원형이 올 때와 ~ing가 올 때의 의미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형식 목적보어 (동사원형, 현재분사 ~ing) (1분 정리 042)

3.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경우

지각동사 + 목적어 + 형용사 (부사안됨)

지각동사는 형용사를 목적보어로 취할 수도 있습니다. 단 목적보어 자리에 부사는 올 수 없습니다.

 

ex) I saw her happy.

    (나는 보았다/ 그녀가 행복한 것을)

 

여기서 보어로 부사는 올 수 없습니다. 부사는 목적어인 명사를 수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부사는 보어로 쓰일 수 없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4. 5형식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보어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

 

1) 목적보어가 동사일 때:

  • 목적어가 능동이면 → 동사원형 or 현재분사(~ing)
  • 목적어가 수동이면 → 과거분사(p.p.)

2) 목적보어가 형용사일 때:

  • 부사는 목적보어가 될 수 없습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본문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docx
0.02MB
5형식 목적보어 연습문제와 해설.pdf
0.27MB

 

이상으로 "5형식 지각동사와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5형식 직전 정리"입니다. 문장의 5형식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목적격 보어 (objective complement)

핵심정리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격 보어(목적보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영어에서 목적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가 있습니다. 

하나씩 보기로 하겠습니다.


1. 목적보어: 명사


명사는 목적보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 They elected Washington president.  (Washington = president)

    (그들은 선출했다/ 워싱턴을 대통령으로)


(2) He called the man his friend.  (the man = his friend)

    (그는 불렀다/ 그 남자를 그의 친구라고)


(3) The boys chose Wilson secretary of the Red Hair Club.  (Wilson = Secretary)

    (소년들은 선택했다/ 윌슨을 빨간 머리클럽의 회장으로)


이 세 문장에서 동사들은 타동사이며, 각각 Washington, man, Will을 목적어로 취합니다. 그렇지만 이들 목적어만으로는 전하려는 의미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들 동사들은 목적어 외에도 president, friend, secretary등의 말을 필요로 합니다. 


President는 Washington이 무엇이 되었는지를 말해줍니다; friend는 He가 the man을 어떻게 부르는지 말해줍니다; secretary는 Wilson이 무엇이 되었는지를 말해줍니다. 이러한 보어들은 목적어와 관계를 갖기 때문에 목적보어(OBJECTIVE COMPLEMENT)라고 불립니다.




2. 목적보어: 형용사


주격보어와 마찬가지로, 

형용사 또한 목적격 보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His troubles made him sad.  (him ≠ sad)

    (그의 문제들이 만들었다/ 그가 슬프게)


(5) They considered her faithful.  (her ≠ faithful)

    (그들은 생각했다/ 그녀가 신뢰할만하다고)


주격보어로 형용사와 명사가 쓰일 때를 기억해 봅시다. 명사가 주격보어일 때는 주어와 ‘실제로’ 같았습니다. 하지만 형용사가 주격보어일 때는, 주어와 같지 않고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뿐이었습니다. 


목적보어에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명사가 목적보어일 때는 목적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그렇지만 형용사가 목적보어 일때는 목적어와 같지는 않고, 목적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뿐입니다.




[정리]

목적격 보어

서술어를 보충해서 목적어를 설명합니다. 

목적어와 관계를 갖기 때문에 목적보어라고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목적격보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for 목적격] [가주어 it]  (1) 2013.07.14
접속부사 예문 (1부) (conjunctive adverb)  (0) 2013.07.06
some, others, the others  (5) 2013.06.04

already, yet, still 차이 정리


토익핵심정리 003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지리한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장마인들 불볕 더위인들 우리들의 공부에 대한 열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오늘도 토익 핵심 정리와 함께 장마와 더위를 한번에 날려버립시다.


이번 토익핵심 정리에서 공부할 것은 부사로 사용되는 already, yet, still 표현입니다. 우리 말로 옮기면 '이미, 벌써‘ 등으로 해석되지만 그렇게 쉽지는 않습니다. 일단 의미를 정확하게 정리해 두시고 예문을 통해서 용법을 익히시길 바랍니다.



PART 1.  already, yet, still 용법 정리


1. already: 이미, 벌써


already는 주로 ‘긍정문’에서 ‘이미, 벌써’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1) 긍정문에서 ‘이미, 벌써’

  ex) I have already read the book.

      (나는 이미 그 책을 읽었다)


already가 ‘의문문’에 사용될 경우에는 감정이 들어가서 ‘놀라움’을 표시합니다.


(2) 의문문에서 ‘벌써’ (‘놀라움’을 표현)

    ex) Have you read the book already?

        (너, 벌써 그 책을 다 읽었니?)

        (뜻밖이라는 뜻입니다)



2. yet


yet는 주로 부정, 의문문에 쓰입니다.


(1) 부정문에서 ‘아직 ~않은’

    ex) The project is not yet finished.

         (그 계획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 의문문에서 ‘이미, 벌써’

    ex) Is my daughter asleep yet?

        (내 딸이 이미 벌써 잠들었나요?)


yet는 긍정문에서 쓰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yet는 ‘아직도’라는 의미를 가지며 역시 ‘감정’이 들어갑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단순하게 사실을 말하는 ‘still'과 비교하시길 바랍니다.


(3) 긍정문에서 ‘아직도, 지금도’

    ex) The baby is crying yet.

        (애가 아직도 울어..,)

        (우는 것이 문제가 있다는 뉘앙스)



3. still


‘아직도’라는 의미를 가지며, yet와는 달리 단순한 사실을 나타냅니다.


ex) The baby is still crying.

     (애가 아직도 울고 있다)

     (단순하게 울고 있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PART 2. EXERCISE 

간단한 연습문제를 풀면서 완전하게 자기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4. 연습문제


※ 다음 우리 말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1. When we got to the station the train had (     ) left.

   (우리가 역에 도착했을 때, 기차는 이미 떠나 버렸다)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2. Has he (     ) gone home?

   (그가 벌써 집에 갔어?)

   (일찍 가서 놀랐다는 뉘앙스)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3. I have not lied (     ).

   (나는 아직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4. Has he come home (     )?

    (그가 벌써 집에 왔나요?)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5. My hands are (     ) red with blood.

   (내 손은 지금도 피로 물들어 있다)

   (감정적인 표현)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6. He is (     ) angry with me.

   그는 아직도 나에게 화나 있다)

   ① already      ② yet      ③ still


정답

1.①   2.①   3.②   4.②   5.②   6.③


이제 already, yet, still의 차이는 확실하게 아시겠죠?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열공!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less, lest should  (2) 2013.08.27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  (1) 2013.08.27
across, cross 구별  (6) 2013.08.24
도치구문 (일치)  (0) 2013.08.23
say, tell, speak, talk 차이  (5) 2013.07.02

4형식 수동태



수동태 총정리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4형식 수동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원칙적으로 4형식 문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수동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1. 간접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

2. 직접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




1. 수여동사 award


(1) 능동태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했다/ 금메달을)


(2) 간접 목적어 수동태

    My son was award a gold medal by teachers.        (O)

    (내 아들에게 금메달이 수여 되었다/ 선생님들에 의해서)


(3) 직접 목적어 수동태

    A gold medal was awarded to my son by teachers. (O)

   (금메달이 내 아들에게 주어졌다/ 선생님들에 의해서)


위에서 보는 것처럼 award는 2,3과 같이 두 개의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둘 다 의미가 통하는 문장들입니다.




그렇지만 다음은 어떨까요?


2. 수여동사 build


(1) 능동태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이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2) 간접 목적어 수동태

    My children were built a small garden by me.    (x)

    (내 아이들은 만들어 졌다/ 작은 정원이/ 나에 의해서)


(3) 직접 목적어 수동태

    A small garden was built for my children by me. (O)

    (작은 정원이 만들어 졌다/ 내 아이들을 위해서/ 나에 의해)


보시면 알겠지만 (2)번, 즉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는 말이 안됩니다. 내 아들이 만들어질수는 없으니까요.




외우지 마세요!


이렇게 4형식 동사들에서는 간접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동사들은 따로 외워야 할까요? 


전혀 그럴 필요없습니다. 

시험에도 잘 안나옵니다. 


그리고 해석만 하면 ‘상식적’으로 판할 수 있습니다.




하나만 더 볼까요?


3. 수여동사 cook


(1) 능동태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에게 라면을 요리해 주었다)


(2) 간접목적어 수동태

    I was cooked ramen by me. (x)

    (내가 요리되다?)


(3) 직접목적어 수동태

    Ramen was cooked for me by my wife.

    (라면이 요리되었다/ 나를 위해서) (O)


2번은 말이 안 됩니다. 내가 요리될 수는 없으니까요.




이렇게 해석만 하면 알 수 있습니다. 

외우려고 하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형식동사 (자동사의 타동사화)  (6) 2013.05.12
3형식동사 (완전타동사)  (2) 2013.05.11
과거완료진행형 (과거시제)  (0) 2013.05.07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진행형  (3) 2013.05.05

for, during





for, during 


문제는 during과 for입니다.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둘 다 전치사로서 품사가 같고, 의미도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for + 숫자


둘을 구별하는 기준은 두 가지입니다. 

쉬운 것부터 봅시다.




예문


무식하게 이렇게 알고 있으면 상당히 많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 일상적인 상황과 시험은 이 규칙으로 넘길 수 있습니다. 한 번 볼까요?


during과 for

(1) What is your room charge (during, for) one night?

    (객실 요금은 얼마입니까/ 하룻 밤에.)

(2) What is your room charge (during, for) the festival?

    (객실요금은 얼마입니까/ 축제동안에.)


(1)번에서는 ‘for’를 써야 합니다. 뒤에 숫자인 ‘one’이 왔기 때문입니다. (2)번은 숫자가 없으니까 일단 during을 고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문제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for +  불특정, during + 특정


그렇지만 여전히 during과 for에 대한 감이 안 잡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보다 더 어렵지만 제대로 된 기준이 필요합니다. 사실 이 부분은 ‘관사’의 활용과 관계되는 부분이라 상당히 어렵습니다. 소위 말하는 ‘감’의 영역에 들어서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본 이상의 영어실력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간단하게 개념만 설명하는 것을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for + 불특정한 기간, during + 특정한 기간


둘 다 전치사이고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for 다음에는 ‘불특정한 기간’이 오고, during 다음에는 ‘특정한 기간’이 옵니다. 




for a, during the


특정한 기간과 불특정한 기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알기 쉬운 예만 하나 들겠습니다.

영어에서 특정 불특정을 의미하는 가장 대표적인 말이 관사입니다. 관사에는 부정관사와 정관사가 있다는 것은 알고 계실겁니다. 여기서 ‘부정관사 a(n)'은 불특정입니다. 그리고 정관사 ’the'는 특정입니다. 그럼 예문을 통해서 봅시다.


(1) What is your room charge (for, during) a night?

(2) What is your room charge (for, during) the night?

    (하룻밤 숙박료가 얼마입니까?)


이 두 문장의 의미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릅니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1)번 문장에서는 다음에 부정관사 ‘a'가 있기 때문에 불특정입니다. 그러므로 ’for'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는 'for' 다음에 특정을 나타내는 정관사 ‘the'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during'를 써야합니다.




정리해 봅시다.





그럼 이것으로 while, during(fo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