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적 물질명사


집합적 물질명사 (핵심정리 098)  동영상 강의




이번 시간에는 상당히 어려운 어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바로 ‘집합적 물질명사’라는 개념입니다. 

집합적 물질명사는 우리 말에는 없는 개념이라서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집합적 물질명사들


집합적 물질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baggage, clothing, equipment, furniture, fruit, luggage, merchandise

(2) jewelry, machinery, poetry, scenery

(3) change, game, produce




전체를 나타내는 말


집합적 물질명사라는 말이 있지만 잘 안들어옵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전체를 나타내는 말’이라는 용어를 쓰겠습니다. ‘furniture'를 예로 들겠습니다. ’furniture(가구)‘라는 전체집합 속에는 '수 백억개의 침대들’, ‘수 백억개의 책상들’, ‘수 백억개의 의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모든 것들 전체를 나타내는 ‘가구(furniture)’라는 말은 하나뿐입니다. 그래서 단수 취급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우리말과는 다른 개념이니 이정도 이해하시면 됩니다. 문제는 이 모든 단어들을 정확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3가지 분류


학습을 돕기 위해서 단어들을 위에서 보듯이 3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번은 전체를 나타내는 접미어 ‘~류’가 붙는 말들입니다.

   baggage(화물) , clothing(의), equipment(설비),  furniture(가구), fruit(과일),        

   luggage(화물),   merchandise(상품)

                      

(2)번은 역시 전체를 나타내는 영어 접미어 '-ry'가 붙는 말들입니다. (접미어 ‘-ry’는 전체를 나타냅니다. 'bakery' 빵이 있는 곳, 빵집이라는 뜻입니다.)

   jewelry(보석류), machinery(기계류), poetry(시), scenery(경치)

              

(3) 뭐, 방법없이 외워야 하는 것들입니다.

   change(잔돈), game(사냥감), produce(생산품)





셀 수 없는 명사


이러한 명사들은 ‘물질명사’에 속합니다. 

그래서 셀 수 없습니다. 

셀 수 없으므로,

① 부정관사를 쓸 수 없고,

② 복수형으로 만들 수 없고, (항상 단수 취급)

③ few, many로 수식할 수 없고,

④ little, much로 수식해야 합니다.




 furniture


furniture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1) a furniture                (x) (부정관사 못씀)

(2) furnitures                 (x) (복수형 안 됨)

(3) few (many) furnitures  (x) (few, many로 수식 안 됨)

(4) little(much) furniture   (o) (little, much 수식 가능)

(5) a piece of furniture     (가구 한 점)

    two pieces of furniture (가구 두 점)



집합적 물질명사의 실제 용법에 대한 설명은 시간 관계상 ‘집합적 물질 명사의 활용’ 편에서 다루겠습니다.



이름도 괴이한 집합적 물질명사. 그렇지만 이것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뿐만아니라 실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잘 정리해 두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명사절, 형용사절





명사절: 절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면 ‘명사절’이 됩니다.

형용사절: 절이 문장에서 명사(대명사)를 수식하면 형용사절입니다.


시간과 조건절이더라도, 명사절, 형용사절이면 그대로 ‘미래’ 시제를 써야 합니다.



타동사의 목적어


① Nobody knows when he will come.

    (누구도 모른다/ 언제 그가 올지를)

시간절 when절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쓰이므로 명사절입니다. 그러므로 미래형 'will come'을 썼습니다.




타동사의 목적어


② We wonder if he will come on time.

    (우리는 궁금해 한다/ 그가 제 기간에 올지를)

조건절 if이하는 동사 wonder의 목적어로 명사절입니다. 그러므로 미래형 will come을 썼습니다.



명사수식: 형용사절


③ The noon is the time when the music will be played.

    (정오에 그 음악이 연주된다.)

시간절 when은 the time을 꾸며주는 형용사절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미래형 ‘will be'를 썼습니다. 



시간 접속사 when, after, as soon as, before, once, until, while 등

조건 접속사 if, unless, in case, providing(ed) that, so long as 등


이건 정말 어려운 규칙입니다.

보통 어려운 규칙은 잘 안쓰이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이 규칙은 자주 사용됩니다. 

권위있는 영문법 원서들에서도 빠짐없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별 수 없습니다.

여러번 읽으셔서 확실하게 여러분 것으로 만드셔야 합니다.


젊은 여러분

소중한 시간, 후회없이 사시길 바랍니다.

저도 주어진 시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유명사 (proper noun)




공부하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2. 고유명사는 보통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고유명사는 하나뿐인 (유일무이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셀 수없는 명사입니다. 셀 수 없기 때문에 관사를 붙일 수 없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항상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ex) Steve Jobs made I-phone the heart of Apple.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을 애플사의 핵심으로 만들었다.)




위에서 보듯이 고유명사들은,

 관사나 복수형 없이 원래 형태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그렇지만 고유명사는 문장에서 보통명사처럼 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He is an Einstein in physics.

  (그는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이다/ 물리학계의)

(2) Two Picassos were stolen from the museum.

    (두 개의 피카소 작품이 도난을 당했다/ 박물관에서.)

(3) She comes from a Hamilton.

    (그녀는 해밀턴 가문 출신이다.)

(4) Three Wellingtons work at the same team.

    (세 명의 웰링턴이 같은 팀에서 근무한다.)

(5) The Norfolks are very proud.

    (Norfolk 집안 사람들은 매우 자부심이 강하다.)




고유명사는 위에서와 같이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붙이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각각의 의미와 용도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1)번에서 ‘an Einstein’은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를 말합니다. 고유명사 앞에 부정관사가 붙붙으면 ‘~와 같은 사람’이나 ‘~의 작품’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는 ‘Picaasso'다음에 복수형 어미 ’s'가 붙었습니다. 의미는 ‘피카소의 작품(들)’이 됩니다.

(3)번에서는 가문의 일원임을 의미합니다.

(4)번에서는 이름이 웰링턴인 사람이 세 명임을 나타냅니다.

(5)번에서는 가문 사람들 전체를 나타냅니다. Norfolks는 Norfolk 집안 사람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고유명사들은 제한된 의미에 한해서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용법은 중,고등학교 내신을 제외하고는 거의 시험에 출제되지 않습니다그렇지만 영어 말과 글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매끄러운 해석을 위해서 꼭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셀 수 없는 명사




이번시간에는 셀 수 없는 명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셀 수 없는 명사 세가지


영어에서 셀 수 없는 명사는 크게 보아 다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고유명사

2. 물질명사

3. 추상명사




1. 고유명사


하나뿐인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하나밖에 없으므로 당연히 복수형을 만들 수 없고, 셀 수 없습니다.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항상 대문자로 씁니다. 




고유명사의 예들


고유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사람의 이름

     Edison, Einstein, Steve, Han Earl 등

(2) 하나뿐인 사물(지명 포함)의 이름

     Mt. Everest, Han River, New York, Seoul 등




2. 물질명사


형체는 있지만 일정하지 않은 명사를 ‘물질명사’라고 합니다.

물질명사들은 형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 개, 두 개하는 방법으로는 셀 수 없습니다.




물질명사의 예들


물질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1) 고체

    glass, meat, paper, stone, salt, wood 등

(2) 액체

    coffee, milk, oil, water, wine 등

(3) 기체

    air, gas, smoke, wind 등





3. 추상명사


눈에 보이지 않고 형태가 없는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냅니다. 보이지 않고 형태가 없으므로 당연히 셀 수 없습니다. 




 추상명사의 예들


추상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beauty, knowledge, feeling, love, peace, jealousy, youth 등




위에서 설명한 고유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는 형체가 없거나 일정하지 않아서 ‘셀 수 없는 명사’라고 불립니다. 사전에는 [UC]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는 'Uncountable(셀 수 없는)‘이라는 말의 약자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셀 수 없는 명사들에 대한 기본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진행시제






진행형, 의미와 형식

진행형의 의미

진행시제는 ‘지금 하고 있는’ ‘순간적인 동작’을 나타낼때 사용합니다. 


진행형의 형식

형식은 be + 동사원형ing으로 씁니다. 동사원형 + ing의 형태는 정해져 있으므로 be동사를 변화시켜 시제를 표현합니다.





진행형 예문


(1) She is waiting for him.               (현재진행형) 

    (그녀는 지금 그를 기다리고 있다.)

(2) She was waiting for him.            (과거진행형) 

    (그녀는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3) She will be waiting for him.         (미래진행형)

    (그녀는 그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진행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간적인 동작'이라는 것입니다. 

진행형은 계속의 의미가 없습니다. 


이것이 헷갈리는 것은 우리말 번역 때문입니다.

'진행'이라고 하니 뭔가 계속되는 것처럼 느껴지거든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진행형은 계속이 아닌 순간을 나타냅니다.


나중에 시제에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부사절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부사절: 절이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면 부사절입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미래시제는 보통 미래를 뜻하는 조동사(will, shall, would)나 be going to 등을 이용해서 표현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표현을 쓰지 않고서도 미래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이라고 부르는 표현입니다.


시간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가 들어있는 절이 ‘부사’ 역할을 할 때에는 내용은 미래이더라도 동사는 현재형태로 써야합니다. 부사역할을 한다는 것은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래를 현재로써 표현하는 ‘예외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예


예를 봅시다.

(1) When the music plays, everyone will be touched.

    (음악이 연주될 때), 모든 사람이 감동 받을 것이다.)

(2) If he arrives on time, we will make it.

    (만약 그가 제시간에 온다면, 우리는 그것을 해낼 수 있어.)


(1)번에서 'when the music plays'는 ‘will be touched'라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절입니다. 시간 부사절이므로 plays라는 현재시제를 썼습니다.

(2)번에서 'If he arrives on time'절은, 'will be able to make'라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절입니다. 조건의 부사절이므로 현재시제 'arrives'를 썼습니다.




시간과 조건의 접속사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시간 접속사 when, after, as soon as, before, once, until, while 등

조건 접속사 if, unless, in case, providing(ed) that, so long as 등


아주 어려운 내용입니다. 

그렇지만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내용들입니다. 


힘드시다라도 잘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은 잘 하실 겁니다.


이렇게 멀리까지, 제 글을 봐주시는 여러분.

정말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시제의 개념과 단순시제




1. 시제


‘시제’는 동사로 시간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과거, 미래의 3가지로 나누고 이를 조금씩 변형해 조금 더 다양한 시제를 사용합니다. 문장 안에서 동사가 나타내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항상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 단순시제


단순시제에는 현재, 과거, 미시제가 있습니다. 


(1) 현재와 과거 : 동사의 모양을 변형시켜 사용합니다.

(2) 미래 : 다른 것(주로 조동사)과 결합해 나타냅니다.





동사 take를 예로 보겠습니다.



take의 단순시제


(1) I take a picture of my cat everyday.   (현재)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는다/ 매일.)   (현재형, take)

(2) I took a picture of my cat yesterday.  (과거)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었다/ 어제.)   (take의 과거형, took)

(3) I will take a picture of my cat tomorrow.  (미래)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을 것이다/ 내일)   (take의 미래형, will take)




사실 시간을 무 자르듯이 현재 과거 미래로 나눌 수는 없습니다.

시간은 연속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의상 시간을 구분한 것입니다. 

순전히 학습의 편의를 위해서죠.


시간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

그렇지만 웬지 시간에 대한 공부는 힘들어 합니다. 


이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과거와 현재만이 있다.'

모든 것은 과거와 현재가 만드는 것입니다. 

미래는 과거와 현재에서 파생되는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여러분.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셀 수 있는 명사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셀 수 있는 말의 정의

2. 셀 수 있는 말의 규칙  (핵심정리 089 참조) 

3. 셀 수 있는 말 ⇔ 셀 수 없는 말


이번 시간에는 셀 수 있는 명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셀 수 있는 명사는 다른 말로 ‘가산(countable)'이라고 합니다.


1. 셀 수 있는 명사를 판단하는 기준 3 가지


(1) 복수형을 만들어 봅시다.


보통 셀 수 있는 말들을 구별하는 ‘상식적인’ 기준은 복수형을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boy와 honesty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boys

(2) honesties (정직들?)


(1)번은 ‘소년들’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정직들..? 이상합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까지는 복수형을 만들어 보면 ‘셀 수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습니다. 복수형을 만들었을 때 어색하면 ‘셀 수 없는 말’입니다.




(2) 보통명사, 집합명사


또 하나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는 셀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해석과 이 기준을 사용하면 웬만한 명사가 셀 수 있는지 아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사전


물론 헷갈리면 사전을 찾아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네이버 사전을 잠깐 인용해 보겠습니다.

보통 셀 수 있는 말들은 사전에 [C]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C'는 'countable(셀 수 있는)‘의 약자입니다. 그러므로 셀 수 있는 말인지 아닌지 궁금하면 사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UC]는 [uncountable(셀 수 없는)]의 약자입니다. 



2. 셀 수 있는 말의 규칙

셀수 있는 명사, 셀수 없는 명사 (핵심정리 089)에서 설명했으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셀수 있는 명사, 셀수 없는 명사 (핵심정리 089)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3. 셀 수 있는 말 ⇔ 셀 수 없는 말


셀 수 있는 말은 셀 수 없는 말로 바꾸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room


(1) He wants more room and privacy.    (공간, 셀 수 없음)

         (그는 더 많은 공간과 사생활을 원한다.)

    My son wants to have a room.          (방, 셀 수 있음)

         (내 아들은 방을 하나 갖기를 원한다.)




hair


(2) My hair is abundant.                              (머리카락 전체, 셀 수 없음)

          (나는 머리숱이 많다.)

    Sadly, I found many grey hairs this morning. (머리카락 하나, 셀 수 있음)

          (슬프게도, 나는 오늘 많은 흰 머리카락들을 발견했다.)




experience


(3) Experience is a great teacher.                        (경험, 셀 수 없음)

          (경험은 훌륭한 스승이다.)

    Many bitter experiences will turn out blessings.  (구체적인 경험들, 셀 수 있음)

          (많은 힘든 경험들이 축복으로 판명될 것이다.)



 

잘 보셨습니까?


위에서 보았듯이 셀 수 있는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로 바꾸어 쓰일 수도 있습니다.

영어를 많이 접하고 쓰게 되면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것들이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실 것 없습니다.


백문이 불여일행인 셈이죠.


소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한정사




한정사


일단 한정사의 간단한 정의입니다.




수식의 강도


한정사는 관사보다는 강하고 전업 형용사보다는 약한 형용사입니다.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한정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세 가지 한정사


영어 한정사는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관사 : a(n), the

2. 지시사 : this, that, these those, its

3. 소유격 : my, your, his, her, our, its, their




한정사 용법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보통명사’는 한정사와 함께 쓰이거나 복수형으로 써야합니다.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관사가 헷갈리면 한정사를 대신 쓰시면 됩니다. 한정사에서 중요한 용법은 두 가지입니다.

1. 관사와 한정사는 연속해서 쓸 수 없다.

2. 한정사는 형용사 앞에 써야한다.




한정사 용법 설명


1번은 간단합니다. 'a my car, his the books' 같은 예들은 얼른 봐도 이상해 보입니다. 관사와 한정사를 함께 쓰면 안 됩니다.


2번이 중요합니다. 한정사는 반드시 형용사 앞에 써야합니다. ‘Old my book'같은 말은 없습니다. ’my old book'이 되어야합니다. 뒤에 형용사에서 설명하겠지만, 형용사가 여러 개 올때는 약한 형용사부터 쓰면 됩니다. 즉,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위치합니다. 중요한 사람일수록 가까이 두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정도 알고 계시면 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보통명사




이번 시간에는 보통명사의 사용법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감’적인 요소가 들어가서 약간 어려울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해하고 활용하셔야 합니다.


보통명사 규칙


앞에서 보았듯이 보통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girl'은 여자아이 전체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보통명사를 쓸 때 반드시 기억해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규칙입니다.

보통명사는 절대 혼자 쓰일 수 없다




소녀: a girl, the girl, girls


외국인인 우리는 영어를 공부할 때 ‘보통 명사’를 따로 외웁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외우게 됩니다.

소녀  girl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girl을 절대 따로 외우지 않습니다. 걔네들 머리 속에서 소녀는 ‘girl'이 아니라 ’a girl, the girl, girls'가 됩니다. 즉, 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그러나 비영어권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규칙을 만들어서 이것을 외워야 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터프한 규칙’이 등장하게 됩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저도 영어를 처음 공부할 때 이 거창한 이름에 놀란 기억이 납니다. 문법서에 나온 규칙을 그대로 옮겨 보겠습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부정관사 + 보통명사     a girl

정관사 + 보통명사        the girl

보통명사의 복수형        girls




보통명사 용법


이렇게 정해 놓으니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정리합시다.


보통명사는 절대 혼자 쓰일 수 없다.


보통명사는 실제 말이나 글에서 반드시 ‘관사나 한정사’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girl'이란 표현은 실제로 다음과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a girl                           (부정관사 + 보통명사)

the girl                        (정관사 + 보통명사)

girls                            (보통명사의 복수형)

my girl, this girl, that girl  (한정사 + 보통명사)




소녀들 전체는?


그렇다면 ‘특정한 소녀’가 아니라 ‘소녀 전체’를 나타내는 표현을 위해서는 무엇을 써야 할까요.


a girl, the girl, girls는 모두 ‘소녀들 전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소녀들 전체’를 표현할 때는 ‘girls(복수형)’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소녀들은 날씬해지고 싶어한다.

(1) A girl wants to be thin.

(2) The girl wants to be thin.

(3) Girls want to be thin.


셋 다 ‘소녀들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고 문법서에는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영어에서 ‘소녀전체’를 나타낼 때는 (3)번 복수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보통명사는 절대로 혼자 쓸 수 없다.

(2) 전체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형을 주로 사용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집합명사, 군집명사




문법적으로 말하면 군집명사라는 카테고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집합명사가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에 군집명사라고 합니다. 

그럼 집합명사를 다시 한 번 봅시다.



집합명사


집합명사: 같은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이 여럿 모여서 전체를 이루는 명사입니다.


 family, class, police, committee, jury(배심원) 등


보시면 알겠지만 가족, 반, 경찰, 위원회 등의 명사는 한 사람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복수’의 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집합명사와 군집명사


(1) The committee is going to agree with the proposal. (집합)

    (위원회는 그 제안에 동의할 것이다.)

(2) The committee were divided in their opinions. (군집)

     (위원회는 의견이 나뉘어졌다.)


(1)번을 봅시다. 동의한다는 것은 위위회 구성원들 전부의 생각이 ‘하나’로 모인다는 것입니다. 위원회 전체가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전체가 하나’가 될 때 집합명사라고 하며, ‘하나’이므로 단수 취급합니다.


(2)번은 위원회 구성원들의 생각이 제 각각입니다. 여러 개의 의견으로 나뉘어 졌습니다. 이렇게 그룹이 전체가 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나뉘게 되면 군집명사라고 하며, ‘여럿’이 되었으므로 복수 취급합니다.




정리



문제 적용


간단한 문제를 보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1) The jury (has, have) reached the verdict.

    (배심원들은 평결을 내렸다.)

(2) The jury (has, have) split in (its, their) opinions.

    (배심원들의 의견이 갈라졌다.)


(1)번은 has가 와야합니다. 평결을 내린다는 것은 배심원들 전체가 ‘하나’의 의견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집합명사이고 단수 동사를 써야 합니다.


(2)번은 have가 와야합니다. 배심원들의 의견이 갈라진다는 것은 하나로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는 말입니다. 여러 개의 의견으로 나누어졌으므로 군집명사입니다. 복수가 와야 합니다.



지금까지 집합명사와 군집명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집합명사와 군집명사는 규칙을 외우는 것보다는 예문을 통해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실제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집합명사, 군집 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셀수있다, 셀수없다 (핵심정리 089)  동영상 강의




명사(대명사)를 공부하는데 가장 중요한 개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셀수 있다, 셀수없다.‘

(다른 말로, 가산·불가산이라고도 합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시면 문법 토대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인 복수형들은 차근차근 공부하시면 됩니다. 먼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립시다.

그래서 명사(대명사)를 시작하는 첫 강의 제목을 ‘셀 수있다, 셀수없다’로 정했습니다. 영문법에서 ‘셀수 있다, 셀수없다’는 동전의 양면같은 개념이다보니 하나만 정확히 알면 나머지는 따라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규칙




설명입니다.


셀수 있는 명사 'book'셀 수 없는 명사 ‘water'를 가지고 설명하겠습니다.


(1) 부정관사


a book (o)    a water (x)


책은 셀 수있는 말이므로 ‘하나’를 뜻하는 부정관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 ‘a book'은 ’책 한권‘이 됩니다. water는 셀 수 없는 말이므로 부정관사를 쓸 수 없습니다. ’물 하나‘라는 없습니다.



(2) 복수형


books (o)    waters (x)


책은 셀 수 있는 말이므로 복수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books는 ‘책 여러권’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지만 셀수 없는 말 water는 복수형을 붙일 수 없습니다. ‘물들’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3) few, many


few books   (o)    few waters (x)

many books (o)    many waters (x)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few(몇개 없다)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은 됩니다. 기본적으로 복수형입니다. many야 말할 필요도 없이 복수형이죠. 그러므로 'few, many'는 복수형과 써야 합니다. 단수형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책 몇권(few books), 많은 책들(many books)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few, many'는 복수가 안되는 셀 수 없는 말들과는 쓸 수 업습니다. 그러므로 ‘few waters, many waters'는 원칙적으로 안 됩니다.




(4) little, much


little book  (x)   little water (o)

much book (x)   much water (o)


little, much는 셀수 없는 말에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셀 수 있는 말인 book과는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셀 수 없는 말인 water에는 'little, much'를 쓸 수 있습니다.




설명은 해드렸지만 사실 외우셔야 합니다. 명사(대명사)를 가장 확실하게 공부하시려면 위에 정리한 ‘셀 수 있다, 셀 수없다’ 규칙을 반드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셀수 있다, 셀수 없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접속사 (CONJUNCTION)


접속사 동영상 강의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접속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접속사는 말 그대로 ‘연결해 

주는 말’입니다. 


다음 간단한 예문들을 봅시다.


접속사의 예


(1) He AND I.                    (그와 나)

(2) Not Will, BUT Tom.         (Will이 아니라 Tom)

(3) I hope THAT he is well.   (나는 그가 건강하기를 바란다.)

(4) I will remain, IF you go.   (나는 남아있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간다면.)




설명


이들 단어들, AND, BUT, THAT, IF들은 접속사라고 불립니다.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1)번에서 ‘and’는 he와 I를 연결합니다.

(2)번에서 'but'은 Will과 Tom를 연결합니다.

(3)번에서 'that'은 ‘he is well'이라는 문장을 ’I hope'와 연결합니다.

(4)번에서 'if'는 'I will remain'이라는 문장을 'you go'와 연결합니다.




접속사에서 주의할 두 가지


(1)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접속사가 문장만을 연결하는 것은 아닙니다.

(2) 이 때 접속사는 연결하는 말은 반드시 ‘문법적’으로 같아야 합니다. 문법적이란 말이 어려우면 ‘형태’라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접속사는 형태가 같은 말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실제 적용


(1) 단어는 단어끼리 문장은 문장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단어끼리 연결  ex) He AND I.

    문장끼리 연결  ex) I will remain, IF you go.

   그렇지만 He, IF you go는 안됩니다. 단어와 문장이 연결되었기 때문입니다.




(2) 같은 품사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① strong and beautiful   (o)

    ② strong and beautifully (x)

    ③ strong and beauty     (x)

①번은 같은 품사인 형용사끼리 연결되었습니다. 맞습니다.

②번은 형용사와 부사를 연결했습니다. 잘못되었습니다.

③번은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했습니다. 잘못되었습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그리고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말입니다.


(1) 단어와 단어 

    Cindy AND George.

(2) 구와 구 

    This is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AND by the people.

(3) 문장과 문장 

    He will go, IF I remain.


이상으로 접속사 개념정리를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잠시(?) 복습을 해 보겠습니다. 온라인이다 보니 강의가 파편화 되는 경향이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잠깐씩 지난 강좌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첫 번째 복습은 수동태에 대해서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책 (영문법 핵심정리)은 ‘문법의 실용적 적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기초적인 설명은 생략함을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수동태 복습을 시작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아 힘드시겠지만 해당 동영상 강의를 꼭 보시길 바랍니다.)

 

 

6가지 복습자료

 

 

 

 

1.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다.

 

너무 당연한 말입니다. 타동사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됩니다. 즉, 목적어가 있어야 수동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규칙이 나옵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타동사 동사규칙 (핵심정리 008)

 

 

 

 

 

2.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다.

 

타동사와는 달리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능동태에서 목적어가 없다는 말은, 수동태 문장에서 주어가 없다는 말입니다. 주어가 없는 문장은 성립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영어에 있는 수 많은 자동사를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것 9개를 외워 두시기 바랍니다. 의미상으로 묶어 외우면 기억하기 훨씬 수월합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수동태 (핵심정리 007)

 

 

 

 

 

 

 

주의

prove나 turn out은 자동사(~으로 판명되다, 드러나다)로 쓰일 때에는 당연히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러나 prove(증명하다)나 turn out(생산하다)이 타동사로 쓰일 때에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They turned out 700 million smartphones last year.  (생산하다) 

(2) 700 million smartphones were turned out last year.  (생산하다, 수동태 가능) 

 

 

 

 

 

3. 지각동사의 수동태, 사역동사의 수동태

 

지각․사역 동사는 능동태일 때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대표적인 지각 사역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지각동사 : see, watch, feel, taste, smell

사역동사 : make, have, let

(1) I saw her sing.

(2) He made me go there.

 

 

그런데, 지각동사, 사역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이 수동태로 바뀌면 ‘동사원형’ 앞에 to를 꼭 써야 합니다.

(1) She was seen to sing by me.

(2) I was made to go there by him.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지각 사역동사 수동태 (핵심정리 011)

 

 

 

4. 여러가지 수동태

 

 

수동태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be + p.p.입니다. 여기서 몇 가지 수동형들이 만들지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진행형 수동태, 완료형 수동태, 동명사 수동태 등입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여러가지 수동태 (핵심정리 010)

 

 

 

 

 

5. be known ~

 

그리고 같은 형태이지만 be + p.p. 뒤에 오는 전치사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표현도 있습니다. 역시 자주 쓰이고,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표현들이므로 확실하게 외워 두시길 바랍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be known ~ (핵심정리 012)

 

 

 

 

 

 

6. by, with 이외의 전치사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태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앞에 전치사 by, 행위물 앞에 전치사 with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이 다른 전치사를 쓰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숙어라고 생각하시고 외워두셔야 합니다.

 

단순 숙어이므로 동영상은 없습니다. 

 

 

해당 순서대로 동영상을 올립니다. 

잘 보시길 바랍니다.

 

1.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다.

 

 

 

 

2.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다.

 

 

 

 

3. 지각동사의 수동태, 사역동사의 수동태

 

 

 

4. 여러가지 수동태

 

 

 

5. be known ~

 

 

 

이상으로 수동태 총정리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수동태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수동태'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수동태'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8.21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otherwise 




9강 가정법 마지막 강좌입니다. 제 가정법 강좌를 정리하시고 싶은 분들은 성문기본영어 ‘제 7장’ 가정법 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 책 나올때 까지요.) (^ ^)

 


otherwise는 해석


이번 시간에는 네 번째 ‘어법성 if 대용어구’ otherwise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otherwise는 대용어구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 중에 하나이므로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otherwise는 시제를 묻는 형식으로 시험에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간결함으로 인해 해석에 자주 나오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합니다.


주의하실 것은 otherwise는 가정법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조건을 나타낼 때에도 otherwise는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법으로 바꾸는 것은 생략하고 해석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otherwise 해석


일단 otherwise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시면 됩니다.


if 대용어구 otherwise

(1) 현재시제 + otherwise ⇒ 그렇지 않다면

(2) 과거시제 + otherwise ⇒ 그렇지 않았다면




예문을 보겠습니다.



1. otherwise (조건, 가정)

(if 대용어구)


(현재시제 + otherwise)

(1) You need to control your diet, otherwise you would(will) end up fat. 

    (너는 식사 좀 조절해야돼, 그렇지 않으면 너는 결국 뚱뚱해지고 말거야.)


(과거시제 + otherwise)

(2) You controlled your diet well, otherwise you would have been fat.

    (너 식사 조절 잘했어. 그렇지 않았다면 너는 뚱뚱해지고 말았을 거야.)




otherwise는 또한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otherwise 고유 의미


(그 외에는)

(1) I am hen-pecked. Otherwise I am happy.

    (나는 공처가다. 그 외에는 행복하다.)


(달리)

(2) He is Superman, otherwise known as 'Iron Man'.

    (그는 수퍼맨이다, ‘강철의 사나이’라고 달리 알려진.)




어떻습니까? 


otherwise 해석에 대해서 감이 잡히셨을 걸로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otherwise는 의미가 중요합니다. 영문해석에 자주 나오는 것이니 확실하게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otherwis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9장 가정법 강의가 끝났습니다.

다음시간부터는 10장 명사와 대명사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여러분.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t is time that 가정법




이번 시간에는 세 번째 ‘어법성 if 대용어구’ ‘It is (high) time (that) ~’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할 때인데, 왜 안하고 있니? (사실의 반대 가정)


기본적으로 이 말은 가정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단한 상황을 만들어 봤습니다.


밤 11시가 넘었는데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이 잠을 안자고 컴퓨터를 하고 있습니다. 그 꼴을 보다 못한 엄마가 한 소리 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lept."


(지금은 잠들어 있어야 할때다...(그런데 왜 안자고 있니?))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당연히 어떤 일을 하고 있어야 하는데 안하고 있으니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래서 가정법 취급을 하는 것입니다.



It is time 세 가지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쓰임이 있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각 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It is time that 쓰임 (기본형)


'It is (high) time that'은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의미: (바로) ~할 때이다.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동사.


It is (high) time that은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법 과거’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러므로 that 절에 ‘과거동사’를 주로 씁니다. 그리고 보통 high와 that은 자주 생략이 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배 끊었어야지...)

(아직 안 끊었네...)



예문을 봅시다.



(2)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동사원형)


(1)번 예문을 다시 봅시다.

(1)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대 그만 끊었어야지.)

   (‘왜 아직도 피우니’라는 의미)


그런데 1번 문장은 사실상 담배를 ‘끊어야 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와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2) It is (high) time that you should stop smoking.

(담배 끊어야해...)




(3)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생략)


그리고 'should'를 생략하고 동사원형만 쓰기도 합니다.


(3)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 smoking.

(담대 끊으라니깐...)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어렵게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It is (high) time that 과거형’이라는 문법이 파괴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그러니 여러분들에게 편한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It is (high) time that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f 어법성 대용어구 but for(without)




이번 시간부터는 if 대신에 쓰일 수 있는 ‘어법성 대용어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쉽게 설명해야 하는데, 원래 이부분이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ㅠ.ㅠ))


어법성 if 대용어구


‘if 대용어구들’은 핵심정리 강좌 84번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그 때 정리했던 대용어구들은 단순히 ‘숙어’ 역할을 합니다. 즉, 문법이 결부되지 않아서 그냥 의미만 알고 쓰면 되는 것들이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지금부터 설명할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은 고유한 어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별적으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가겠습니다.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but for(without) ~

2. unless ~

3. It is (high) time (that) ~

4. otherwise ~



첫 번째 설명할 ‘어법성 if대용어구’는 but for, without입니다. 미리 알아두실것은 without가정법과는 달리 'but for'가정법은 일상에서 잘 안쓰이는 표현입니다. 그저 공부라고 생각하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but for(without)


'but for, without'은 가정법 과거로도, 가정법 과거완료로도 사용됩니다. 뒤에 오는 주절에 따라 시제가 결정됩니다. 해석은 가정법 과거일 경우에는 '~이 없다면‘, 가정법 과거완료일 경우에는 ’~이 없었다면‘이 됩니다.


그리고 but for, without이 가정법 과거로 쓰일 때는 'if it were not for ~',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될 때는 ‘if it had not been for'가 됩니다. 복잡한 것 같으니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but for(without) 시제 판단

(if it were not for, if it had not been for)


But for without은 다른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시제가 출제됩니다. 그리고 but for(without)에 자체 시제가 없기 때문에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서 출제 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be an idiot.              (가정법 과거)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2)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가정법 과거완료)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1)번에서는 ‘were not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에 시제가 ‘would be'이므로 가정법 과거라서 그렇습니다.

(2)번에서는 ‘had not been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의 시제가 ’would have been으로서 가정법 과거완료이기 때문입니다.




were it not for, had it not been for


그리고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 구문에서 if가 생략된 도치 구문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글에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위 문장을 예로 들어 봅시다.


(1) If it were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 Were it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if 생략 도치)

(2) If it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 Had it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if 생략 도치)




이쯤 알아두시면 but for(without)가정법은 거의 해결됩니다. 

이상으로 but for(without)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herwise 용법 (if 대용어구)  (6) 2013.03.18
It is time 가정법  (19) 2013.03.17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생략 가정법





이번 강좌 및 9강 가정법에 대한 정리는 성문기본영어 83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중한 책을 제 블로그에 사용하도록 승낙해주신 성문출판사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보는 책이라 지저분한 점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if생략 가정법을 공부해보겠습니다.


3가지 if 생략


가정법에서는 if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가정법에서 if가 생략되면 동사가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그런데 모든 동사가 도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됩니다.


1. Were 주어 ~                 (가정법 과거)

2. Had 주어 p.p ~             (가정법 과거완료)

3. Should 주어 동사원형 ~   (가정법 미래)




각 형태별로 예문을 들어 보겠습니다.



if 생략 예문


1. Were I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과거)

    (내가 혼자라면, 외로울텐데.)

2. Had I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가정법 과거완료)

   (내가 혼자였다면, 외로웠을텐데.)

3. Should I be single, I would(will) be lonely. (가정법 미래)

   (내가 혼자가 된다면, 외로울거야.)




if 포함 문장 (가정법 과거)


1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1. If I were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과거)

  ⇒ Were I single, I would be lonely.


if가정법 과거에서 if를 생략하여 were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것은 도치되었어도 가정법 과거시제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는 ‘조동사의 과거형(would)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도치에서 주의할 것은 일반동사는 도치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저도 확실한 이유를 설명해 드릴 수 없습니다. 구글에서 가능한 영어 예문을 검색했지만 나오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저, 가정법에서 일반동사의 도치 표현은 쓰이지 않는다고 알아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if 포함 문장 (가정법 과거완료)


2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2. If I had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가정법 과거완료)

  ⇒ Had I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if가정법 과거완료에서 if를 생략하여 had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역시 도치되었어도 가정법 과거완료라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절에 ‘조동사 과거형 had p.p'가 왔습니다.



if 포함 문장 (가정법 미래)


3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3. If I should be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미래)

Should I be single, I would be lonely.


if 가정법 미래에서 if가 생략되어 should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도치되었지만 가정법 미래이므로, 주절에는 would 동사원형이 왔습니다. (이 경우에는 will도 가능합니다.)




if 생략: 잘 안쓰임


상당히 복잡하게 보일 겁니다. 그렇지만 if생략 가정법은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문학표현이거나 잘난척할 경우가 아니라면 일부러 쓰지는 않습니다. if생략 가정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는 뜻밖에도 가정법 미래에서 should가 도치되는 표현입니다. 물론 잘난척하는 표현이죠. 이렇게 사용됩니다.


Should you choose the red pill, there will be no turning back.

(만약 당신이 빨간약을 선택한다면, 돌이킬 수 없어.)


매트릭스 1편에 나온 모피어스의 말을 약간 응용해 봤습니다.





if생략 가정법은 시험에도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혹 나온다면 시제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도치된 문장의 주절을 보면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 예문 설명으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if 생략 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is time 가정법  (19) 2013.03.17
but for, without, if it were not for, it it had not been for  (3)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if 대용어구 




이번 시간부터는 가정법에서 ‘if대용어구’를 설명하겠습니다. 상당히 많은 대용어구가 있기 때문에 의미와 쓰임이 같은 것으로 묶어 설명 하겠습니다.


성문기본영어 대용어구


역시 if 대용어구가 잘 정리되어 있는 성문 기본영어 88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중한 책의 일부를 제 블로그에 사용하도록 승낙해 주신 성문출판사 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if 대용어구와 의미


이번 시간에는 여기에 있는 대용구들에 대한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음시간부터 각 대용어구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that이 있는 각 표현들에서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that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발음해 보시고 편한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unless등 기타 대용어구는 별도로 설명합니다.)


if 대용어구

1. suppose (supposing) (that) = (만약 ~한다면) 

2. granted (granting) (that)    = (~은 인정하지만, 비록 ~이지만)

3. provided (providing) (that)(만약 ~하기만 한다면)

4. in case, on condition (that)  = (~할 경우에 대비해서)

5. so long as, if only            = (~하는 한)


that은 생략이 대세


위의 대용어구들을 둘 다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더 많이 사용되는 것을 골라 하나만 외우시면 됩니다. 사용빈도는 구글 검색결과를 참조했습니다. 그리고 'that'은 점점 더 생략을 많이 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럼 대용어구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예문은 간결함을 위해 많이 쓰이는 것 하나만 준비했습니다.



1. suppose (supposing) (that)


1. suppose (supposing) (that) = (만약 ~한다면) 

 ex) Suppose (that) you are Superman, what would you do?

     당신이 수퍼맨이라면 무엇을 할겁니까?




2. granted (granting) (that)


2. granted (granting) (that) = (~은 인정하지만, 비록 ~이지만)

  ex) Granting (that) you are Superman, you can't change a woman. 

     당신이 수퍼맨이란 것은 인정하지만, 당신은 여자 한 사람도 바꿀 수 없어요.




3. provided (providing) (that)


3. provided (providing) (that) = (만약 ~하기만 한다면)

   ex) Providing (that) I am Superman, I can do anything.

    내가 수퍼맨이기만한다면, 나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4. in case, on condition that


4. in case, on condition that = (~할 경우에 대비해서)

   사용빈도: in case > on condition that

 ex) Superman. In case you meet Kryptonite, you'd better be prepared.

     수퍼맨. 크립터나이트를 만날경우에 대비해서, 잘 대비하세요.




5. so long as 


5. so long as (~하는 한)

ex) So long as you are Superman, you are invincible.

    당신이 수퍼맨인한, 당신은 무적이다.




이상으로 if 대용어구와 그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칩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t for, without, if it were not for, it it had not been for  (3) 2013.03.16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혼합가정법




혼합가정법 예문


일단 예문을 봅시다.

ex) If you had listened to my advice then, there would be no problem NOW.

    (당신이 내 충고를 따랐더라면, 지금 문제가 없었을텐데.)


이 문장을 보면, if절에는 과거완료가 있고,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if절 시제는 가정법 과거완료, 주절의 시제는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즉,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와 현재사실에 대한 반대가 섞여 있습니다.




혼합가정법의 형태


이렇게 시제가 섞여 있는 것을 ‘혼합 가정법’이라고 하며, 형태는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If 주어 had pp, 주어 (조동사의 과거형) 동사원형


의미는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 + 현재 사실의 반대입니다. 예문과 같이 (과거에) 내 충고를 따랐더라면, (지금) 문제가 없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혼합가정법 ⇒ 직설법


이 혼합 가정법 문장을 직설법으로 고쳐 보겠습니다.

ex) Because you did not listen to my advice then, there is a problem NOW.

    (당신이 그때 내 충고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문제가 있다.)


혼합 가정법에서 주의할 것은 반드시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가 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제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NOW가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어렵게 보이겠지만 혼합 가정법은 그렇게 자주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니 위에 나온 정도만 이해하고 계시면 별 문제는 없을 겁니다.


그럼 혼합 가정법에 대한 설명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