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단어, 이렇게 공부해라!


 부제: 올챙이 어휘 학습법  


내용이 아~주 많~~~습니다.

그렇지만, 

배움에 공짜가 있습니까?

한 번 도전해 보세요.

여러분의 시간 값어치는 반드시 할 겁니다.


자, 시작해 볼까요?



개구리의 잘난척


올챙이 : 영어어휘를 어떻게 공부해야 하죠?  

개구리 : 원서를 읽으면서 문장을 통해 어휘를 익혀야 하느니라. 

           어휘를 따로 공부하는 것은 수준이 낮은 짓거리니라. (개굴 개굴 개굴....)


이렇게 도덕적으로 완벽한 가르침이 있으면 일단 의심해야 합니다.


과연 현실성이 있는가?


한국사람이 이렇게 백날 공부해봐야 Vocabulary를 익힐 수도 없을뿐더러 영어 잘할 수도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현실적으로 시간이 나지 않습니다.


300페이지 짜리 영어 원서를 읽는다 칩시다.

영어를 아주 빨리 읽는 편에 속하는 저도 페이지당 3-5분 정도 걸립니다. 한국어가 아니다 보니 더욱 정독(?)을 하게 돼서 그렇습니다.


사전을 찾아 가면서 읽는다고 하면 보통 한 페이지에 최소한 30분, 심한 경우는 몇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너그러이 30분을 잡아 봅시다. 300 X 30분. 150시간입니다. 24시간 원서를 읽었을 경우 순수하게 6일 정도 걸리는 셈입니다. 하루 종일 원서만 읽는 것은 불가능하니까 3시간 잡아 주겠습니다. 


거의 두 달 걸리는군요.

(그런데 책을 하루에 두 시간 읽기는 합니까?)


일년에 원서 6권 읽겠군요. 

한국인의 평균독서량이 1년당 4권이랍니다. 

이 분은 영어만 읽다 끝나겠군요.




그래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10년 동안 영어만 읽는다 칩시다. 

60권 읽겠군요.


말이 됩니까? 

책 60권 읽고 어휘 공부 다한다는 것이요?

영국 미국 어린이들이 책 60권 읽고 자기들 말 합니까?


여러분은 책 60권 읽고 한국말 잘하시는 겁니까? 

이건 말이 안됩니다. 

최소한 6백권 분량의 정보는 접해야 합니다.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왜 이런 황당한 ‘괴담’들이 떠 돌아다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vocabulary 익히다 보면 평생 원서만 봐야 겠군요. 이 소증한 인생에, 남의 나라 말만 익히다 갈겁니까?


원서 읽으면서 어휘 공부하라는 사람은 영어 실력이 ‘개구리’입니다. 실력이 돼서 원서를 읽는 거지 원서를 읽으면서 실력을 쌓는 것이 아닙니다. 피나는 노력 끝에 ‘개구리’가 된 그들은 ‘올챙이’들에게 잘난척 훈계합니다.


‘나는 처음부터 개구리였어’


말도 안되는 개뻥입니다. 이 개구리들의 개구라가 통하는 것은 그들이 ‘개굴개굴’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현재 영어를 잘하는 것이 개구리들에게 권위를 실어주는 것이죠.

어휘 공부 제대로 하고 싶으시면 ‘개구리들’ 말은 무시하세요.


올챙이에게는 나름의 길이 있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개구리는 없습니다.




자, 이제 올챙이 어휘 학습법을 4단계에 걸쳐 말씀드리겠습니다.



1단계 : 기초 단어

(외웁시다)


1. 기초 어휘들은 외워야 합니다.

어쩔 수가 없습니다. I, you, bridge 같이 일상적인 말들은 이미지 연상 어쩌고 할 것없이 그냥 외워야합니다. 이 단계는 기초중의 기초입니다. 요령이 통하지 않는 단계입니다. 무슨 수를 쓰던 그냥 외워야 합니다.


교육부 지정 초등 단어 800개

교육부 지정 중등 단어 1400개


이 단어들을 무시하면 안됩니다. 여러분 주위에 있는 영어 개구리들보다 목청은 낮지만 평생동안 영어만 파고든 분들이 선별한 귀중한 연구결과 입니다. 이것을 외우는게 싫다면 차라리 외국어 공부를 포기하셔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연상법이니, 이미지니 예문이니 하시는 것, 웃기는 겁니다.


왜냐고요?


이 단어들은 아기가 처음으로 언어를 배우는 과정을 연구하여 단계별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아기가 말 배울때 엄마한테 이렇게 말합니까?


‘엄마, 단어 외우기 힘들어, 

이미지가 필요해, 

연상법이 필요해, 예문이 필요해...’

(거참, 맹랑한 녀석이죠?)


아가들이 7-8년에 걸쳐 몸으로 배우는 것입니다. 일단 철저하게 외우세요.




2 단계:  기본어휘

(맞춤 예문을 통해서 공부합시다)


예문을 통해 공부해야 합니다.

이 단계 어휘들에는 개념어가 들어갑니다. 자유니, 평화니 해방이니 하는 말들이죠. 우리가 일상에서는 잘 안쓰(?)는 말입니다. (오늘 하루 ‘해방’이라는 단어를 말해 보셨나요?)

그러므로 예문을 통해서 익혀야 합니다. 사용할 기회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아무 예문이나 보는 것은 시간낭비입니다.


liberated (해방하다)가 들어간 예문입니다.


(1) 아무 예문

Wondering what liberated horsemanship and what it does.

(무엇이 기수를 해방시켰고 그게 어떤 역할을 했지???)


인터넷 사이트에서 발췌한 예문입니다.

이런 예문은 아무 가치가 없습니다. 이 문장이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이 문장은 예문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문맥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예문은 어떻습니까?


(2) 맞춤 예문

The master liberated his slaves.

(주인은 그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


이제 liberate의 개념이 분명하게 잡히지 않습니까? 더불어 어떤 맥락에서 쓰인지도요.

렇게 잘 만든, 간결한 예문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어휘에 맞게 만들어진 간결한 예문으로 학습하시면 그 효과에 스스로 놀라시게 됩니다.


예문을 한 번 읽어보세요. 나중에 이 예문만 보면 단어는 곧바로 생각날 겁니다. 이미지화 시킬 필요도 없습니다. 맞춤 예문의 힘입니다.




3. 중급 어휘

(파생어를 공부합시다)


예문을 통해 기본 어휘를 익혔으면, 그것을 확장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파생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접두어 접미어를 40개 정도 익히면 다음과 같은 확장이 가능합니다.




파생어 설명은 분량관계 때문에 동영상으로 대체합니다. 




이제 원서를 읽으셔도 됩니다. 그렇지만 재미와 잘난척을 위해서 읽으셔야 합니다. 전철 안에서, 타임지 제목이 보이게 팔에 끼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우리 보통 사람들은 이런게 행복입니다. (저만 그렇나요?) 

보통 이렇게 파생어 학습 과정을 마치게 되면 약 8,000개 정도의 vocabulary 실력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도 많이 부족하죠?


4. 고급 어휘

(어근을 공부합시다)


드디어 고급단계입니다. 이 과정을 마치면 대부분의 영어책들을 사전없이도 볼 수 있습니다. 쉽지는 않겠죠? 하지만 성취감은 말할 수 없이 클 겁니다.


이제 어근(root)이 등장합니다.

수준 높은 어휘를 익히기 위해서는 어근학습이 필수적이거든요.


어근은 우리 말 한자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한자를 많이 아는 친구는 100% 우리말 어휘력이 뛰어납니다. 영어어근(root)에 익숙한 사람들은 100% 영어어휘 실력이 뛰어납니다. 어근학습은 고급어휘를 익히는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이며 검증된 방법입니다.


어근 act가 들어간 단어들을 잠깐 볼까요?



어근 설명은 분량이 많아서 동영상으로 대체합니다.




 congratulations!

(더 넓은 세계로 갑시다)


여기까지 공부하시고 나면 여러분들은 개구리가 됩니다. 이제 마음대로 하세요. 좁은 연못에서 올챙이들에게 개굴개굴 훈계하며 살지, 연 못 밖, 큰 강으로 나가서 수퍼개구리가 될지...


어떻습니까?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

값어치 있으셨죠?


내일, 영어 독해에 관한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영어단어 공부,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제목 보고 들어 오신 분들 있으시죠?

안심하세요, 내용은 충실합니다. (^ ^)

단, 무척 깁~~~~~니다.

동영상으로 보시면 한 결 편하실 겁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영어어휘를 어떻게 공부할까요?


영어 공부의 70%는 어휘학습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어휘 학습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는 힘듭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불평을 합니다.


‘나는 머리가 나쁜가봐. 

단어를 외워도 외워도 까먹어. 

역시 머리가 좋아야해.’

‘우리 부모님 때문이야.’

‘엄마 아빠가 좋은 머리를 물려주지 않아서 그래!’


이렇게 애궂은 부모님 탓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인생에서 언제나 문제는 닥칩니다. 그리고 그것을 해결하고 넘어서면서 성장하는 것입니다. 나중에 돌이켜 보면 ‘나를 키운 것은 8할이 어려움 이었다’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처방을 내려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그럼 어휘습득이 잘 안 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머리 탓

2. 노력 탓

3. 방법 탓


각 항목별로 분석해 봅시다.


1. 머리 탓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적 능력은 어휘 학습과 관련이 없을까요? 아닙니다. 관련이 있습니다. 실제로 7시간 동안 화장실 한 번 가고 앉아서 쓰면서 어휘를 공부하는 친구를 보았습니다. 유심히 지켜 보았지만 딴전을 피우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50개도 외우지 못했습니다. 결국 그 친구는 외국어를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그렇지만 여러분들은 안심하셔도 됩니다. 이런 친구는 천 명중에 한 명 있을까 말까 합니다. 확률적으로 극히 드문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그러므로 1번 머리탓을 하는 것에 대한 답은 ‘머리탓도 있긴 하지만 드물다. 여러분은 아니다’입니다.




2. 노력탓


실제로 2번은 개인적인 성격과 관련이 있는 부분이라 타인이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자기 일을 게을리 하는 성격이라면 거의 100% 어휘 공부도 게을리 합니다. 수능 외국어 영역 1등급을 위해 필요한 어휘는 대략 1만개입니다. 토익, 토플, 텝스는 1만 3천개 이상의 어휘가 있어야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망각을 생각한다면 보통 하루에 300개 정도 날마다 공부해서 6개월에서 1년 정도 걸리는 엄청난 일입니다. 아이큐 180 이상이 아니면 어느 누구도 이 과정을 피해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노력하지 않고 어휘실력을 키우겠다는 것은 한 마다로 ‘어불성설’, 속된 말로 ‘도둑놈 심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학원다녀도 소용 없습니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사회에서 오랫동안 길러진 후천적 태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은 이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인터넷에서 공부방법을, 그것도 이렇게 진지한 글을 보고 계시는 성실한 분들이 확실하니까요. (^ ^)




3. 방법탓


사실 이 부분이 오늘 다룰 핵심입니다. 10여년 넘게 영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봐온 것이 잘못된 방법을 택해서 실패하는 경우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겠습니다.


(1) 무식하게 외우기

(2) 우리 발음과 연상해서 외우기

(3) 이미지로 외우기






(1) 무식하게 외우기


모든 단어를 다 외우겠다고 덤비는 ‘투사’형입니다. 전설적인 ‘한 장 외우고 사전을 씹어먹는다는’, 도시 괴담에 등장하시는 그 분입니다. 이 분, 반드시 실패합니다. 그 이유는 세 가지입니다.


1) 나침반 없이 항해하는 꼴입니다.

아무런 전략도 없습니다. 적을 알지도 못하고 자신도 모릅니다. 백전 백패입니다.


2) 제풀에 꺽입니다.

망각이라는 인지작용에 무지한 분입니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을 구분도 못하시는 분입니다. 별로 할 말도 없습니다.


3) 병에 걸려서 포기합니다.

종이 한 장 먹는다고 죽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1000페이지가 넘는 사전을 뜯어 드신 분입니다. 그 엄청난 양의 섬유질을 인간의 위가 소화해 낸다는 것은 아마 힘들겁니다. 양이라면 가능하겠지만요.


그래서 1번 유형은 대부분 실패로 끝납니다.




(2) 영어 발음과 연상해서 외우기


이런 식입니다.

cottage (오두막)을 예로 들겠습니다.

cottage (카티지) ⇒ 코딱지 ⇒ 코딱지 만한 오두막

영어 발음 카티지에서 코딱지를 연상해 내고, 거기서 코딱지 만한 오두막과 결부시키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이렇게 외우면 금새 외워집니다. 그리고 한 번 외우면 거의 평생(!)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정말 훌륭한 ‘비법’입니다.


그리고 비법답게 부작용이 상당합니다. 


한 번 봅시다.


1) 이렇게 외울 수 있는 말이 몇 개 안됩니다.

특정 영어단어와 우리 말 발음이 같을 확률은 아주 낮습니다. 이런 단어 찾고 다니는 것이 그냥 외우는 것보다 더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빈도가 높은단어일 수록 발음이 비슷할 확률은 더 낮습니다.


2) 발음에 심각한 영향을 줍니다.

cottage를 코딱지로 외우면 평생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부작용으로 cottage를 들을 때마다 ‘코딱지’가 먼저 연상되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어거지로 단어를 외우다 보면 발음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합니다. 


결코 권장할 만한 방법이 아닙니다.




(3) 이미지로 외우기


라디오보다 TV입니다. 음성보다는 동영상이 더 강한 호소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단어의 철자를 그냥 소리내어 읽는 동시에 거기에 결부된 이미지를 먼저 기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실제로 시각적 이미지의 효과는 큽니다. 이 이미지를 보면 누구나 탐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단 ‘이 남자는 탐욕스럽다’는 것은 충분히 인지되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다음에 우리 말 ‘탐욕’과 'avidity'를 결부시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미지 연결의 어려움은 차치하고라도 시각적 이미지는 기억하는데 상당한 두뇌 용량을 차지합니다. 즉, 청각자료에 비해 데이터 용량이 크기 때문에 두뇌가 쉽게 피로해 지고 맙니다.


쉬운 예를 들면 같은 노래는 수 천번 듣는 사람이 있지만 같은 영상은 죽어도 수천번 볼 수 없습니다. 실험은 안해 봤지만 같은 영상을 수천 번 억지로 보게하면 자살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만큼 시각적 이미지는 부담이 큽니다.


그리고 그 많은 영어단어를 시각화한다는 것도 사실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몇 개가 그렇게 외워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순 무식하게 외워도 같은 수의 어휘를 어쩌면 더 빨리 외울수도 있습니다. 기억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단순하게 기억해야 한다’입니다. 기억이 단순해야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아마 이렇게 이미지화 해서 기억한다면 나중에 ‘이미지만’ 기억날 겁니다. 그리고 또 두뇌는 무리를 합니다. 이미지에 해당하는 말을 찾아야 하니까요.


그래서 이 방법도 땡기기는 하지만 그렇게 효과를 보기는 힘듭니다.




그럼 도대체 어떻게 어휘를 공부하라는 말입니까?


다음 시간에 자세히 설명 하겠습니다. 

(핑계가 아닙니다. 너무 글이 길어져서요. (^ ^))



Every dog has his day.

(Every dog has its day.)




영어속담 정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Every dog has his day'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Every dog has his day'는 'Every dog has its day'로도 사용됩니다. 



1. 의미


'Every dog has his day'는 '쥐구멍에도 볕들날 있다'는 뜻입니다.




2. 설명


동·서양을 막론하고 개(dog)를 사람(특히 남자!)와 결부시키면 안좋은 어감을 줍니다. 불쌍한 개(dog)는 특히 남자(!)와 결합되어 비참한 취급을 받습니다.


영어속담 'Every dog has his day'는 이렇게 비천한 개도 한 번쯤은 자신만의 날(전성기)를 가진다는 말입니다.


'Every dog has his day'와 비슷한 우리말 속담은 ‘쥐 구멍에도 볕들날 있다’입니다. 송대관씨 노래를 빌리자면 ‘쨍하고 해뜰날’이 온다는 것입니다.




3. 예문


(1) Let Hercules himself do what he may.

    The cat will mew, and dog will have his day.  (Hamlet 중에서)

    (헤라클레스에게 그의 일을 하게 하자)

    (고양이가 야옹하고 울듯이 개에게도 전성기가 올 것이다.)


(2) Keep your chin up!!

    You will win next day.

    Every dog has his day.

   (기운내! 다음엔 이길거야. 쥐구멍에도 볕들날 있을 거야)




Thanks for watching!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및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영어 속담 정리 (1-20)  (0) 2014.05.25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do 동사




조동사 do의 용법


조동사 do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1. 의문문, 부정문에 사용되는 do

2. 대동사 do

3. 강조의 do

4. 부가 의문문의 do

5. 도치의 do

(도치, 부가 의문문에 사용되는 do는 별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의문문, 부정문에 사용되는 do


조동사 do는 일반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1) Do you like me? (일반동사 의문문)

(2) I don't like you. (일반 동사 부정문)




2. 앞에 나온 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do

(대동사 do)


do 동사는 앞에 나온 일반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1) 긍정문에서

    Do you love me?

    Yes, I do. (do=love)


(2) 부정문에서

    Don't you love me?

    No. I don't. (don't=do not love)




그리고 대동사로 쓰인 do에서는 인칭과 시제에 주의해야 합니다.



(대동사 do)


(3) I love you as much as he does.

    (난 너를 사랑해/ 그 만큼) (does = loves)


(4) You'd better apologize to your wife.

    I already did.    (did = apologized)

    (아내에게 사과해라)

    (이미 했어) 


(3)번에서 does는 love라는 현재형 일반동사를 대신합니다. 그리고 he가 3인칭이므로 does를 썼습니다. (조동사 do는 인칭과 시제 변화가 가능합니다.)


(4)번은 내용상 과거입니다. 그러므로 do의 과거 did를 썼습니다.




3. 동사를 강조하는 do


일반동사 바로 앞에 쓰인 do는 동사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 경우 do는 ‘정말로’라고 해석합니다.


1. I do love her.

   (나는 그녀를 정말 사랑해)


2. I did love her.

   (나는 그녀를 정말 사랑했어)


3. Everybody does love her.

   (모든 사람이 정말로 그녀를 사랑해)


특별하게 어려운 부분이 없으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동사를 제외한 그 외의 품사를 강조할 때는 'It is ~ that'구문을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전치사 with  (0) 2013.07.17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about, nearly, almost

  



이번 시간에는 about, nearly, almost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의미 정리


이 세 단어는 우리 말로 옮기면 ‘대략, 거의로 해석이 됩니다.

그렇지만 쓰임에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about      대략(약) (more or less)

 nearly      거의 (less than)

 almost     거의 (부정, 할 뻔했는데 못했다)




1. about (대략, 약)


about는 우리 말에 ‘대략(약)’에 가장 어울리는 말입니다. 어떤 기준을 약간 넘을 수도 있고, 그 기준에 약간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He seems to be about 30 years old.

     (그는 대략 서른살 전후로 보여)

     (그는 서른이 넘을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2. nearly (거의)


nearly는 '거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어떤 기준에 근접하지만 약간 부족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He seems to be nearly 30.

     (그는 거의 서른으로 보여)

     (서른 무렵이지만 서른은 안 되었습니다)




3. almost (거의)


almost 역시 '거의'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정확한 의미는 ‘~할 뻔 했는데 못했다’라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almost passed the exam.

    (그는 거의 시험에 통과할 뻔 했어)

    (통과할 뻔 했는데 못했다는 뜻입니다)


(2) I almost forgot.

    (거의 잊을뻔 했어)

    (잊을 뻔 했는데 안 잊었다는 뜻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단어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ome, others, the others




이번 시간에는 (some, others) (some, the others)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의미 정리


먼저 위 표현들의 의미를 정리하겠습니다.


1.  some, others         몇몇은, (나머지 중) 다른 것들은

2.  some, the others    몇몇은, 그 나머지는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1,2 번은 여러 개가 있을 때 일부를 나타내는 표현들입니다. 





의미 차이를 도식화 해 보겠습니다.


1. some others 도식화


몇 개는 some, 나머지 그룹 중 하나는 others를 사용합니다. 

다른 나머지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others는 부분집합 개념입니다.




2. some, the others 도식화


몇 개를 고르고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가 확실하게 정해질 때 'the others'를 씁니다. 

'the others'는 여집합 개념입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3. some others


몇 개를 선택하고 그 나머지가 확실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그림 1에서 보듯이 others를 쓸 경우에는 보통, 그것 말고도 다른 나머지들이 존재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have many shirts. Some are red and others blue.

    (나는 셔츠가 많다. 몇 개는 빨간 색이고 다른 것들은 파란 색이다)


(1)번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파란 셔츠 말고도 다른 색 셔츠들이 더 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몇 개(some)를 고르고 나머지가 확실하기 않은 상황에는 others를 사용합니다.



4. some, the others


몇 개를 선택하고 그 나머지가 확실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2) I have many shirts. Some are red and the others blue.

    (나는 셔츠가 많다. 몇 개는 빨간색이고 그 나머지(전체)는 파란 색이다.


(2)번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셔츠의 색깔은 빨간색과 파란색 뿐입니다. (some, the others)는 이렇게 나머지가 확실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조금 더 보겠습니다.


문제 풀이


※ 다음 우리 말에 맞게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고르시오.

1. 나는 많은 책을 가지고 있다. 몇 권은 소설책이고 다른 것들은 만화책도 있다.

   I have many books. Some are novels and (others / the others) are comic books.


1번에서는 others를 써야 합니다. 문맥으로 보아 나머지 중에는 만화책 말고도 다른 책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2. 나는 많은 책을 가지고 있다. 몇 권은 소설책이고 그 나머지는 만화책들이다.

   I have many books. Some are novels and (others / the others) are come books.



2번에서는 the others를 써야 합니다. 소설 책 몇 권을 제외한 나머지는 만화책들 뿐이기 때문입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some, others        나머지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

 some, the others   나머지가 확실한 상황



그럼 이상으로 some, others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cause, reason 차이




의미 정리


다음은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cause   원인

reason  이유


그렇지만 여전히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상황 1)


아내가 화가 나 있습니다. (결과)

남편이 아내에게 묻습니다.


남편: What's the reason for your anger?

       (화난 이유가 뭐야?)


아내: It's because your son spoiled the exam! (화난 원인)

      (왜냐하면 당신 아들이 시험을 망쳤거든!)


'시험을 망친 것'이 원인(cause)이고, '화(anger)'가 결과입니다. 그리고 화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의미차이


cause(원인)란 어떤 결과를 초래한 직접적인 사건입니다. reason(이유)이란 그 원인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상황 2


1. What is your reason for being late?

   (늦은 이유가 뭐니?)

   (늦은 원인을 설명해 봐라)


2. The traffic is the cause.

   (교통이 원인이었어요.)


'traffic(교통)'이 원인 되어 '늦은(late)'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자신이 늦은 것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cause는 사건의 원인, reason은 그 원인을 설명해 주는 것



Thanks for watching.




원형부정사




정의


원형부정사란 to없이 동사원형으로만 사용되는 부정사를 말합니다.

영어에서 원형부정사는 주로 5형식에서 지각동사나 사역동사의 목적보어로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지각동사 + 목적어 + 원형부정사

    (see, hear, smell, taste, feel 등)


(1) I saw a man climb the cliff.

    (나는 보았다/ 어떤 남자가 절벽을 올라가는 것을)


(2) I heard her laugh loudly.

    (나는 들었다/ 그녀가 크게 웃는 것을)


1번에서 saw는 지각동사이므로 목적보어 자리에는 'to 없는 원형부정사‘가 왔습니다.

2번에서 역시 heard가 지각동사이므로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 laugh가 왔습니다.


이렇게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자리에는 to 없는 원형부정사가 옵니다.



(5형식 지각동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지각동사 정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0)



2. 사역동사 + 목적어 + 원형부정사

(have, let, make, help)


예문을 보겠습니다.

3. My wife had me clean the house.

   (내 아내는 나에게 집을 청소하게 하였다)


4. My son helped me clean(to clean) the house.

   (내 아들이 나를 도왔다/ 집 청소하는 것을)


3번에서 have는 사역동사이므로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 clean이 왔습니다.

4번에서 help는 사역동사이지만 준사역이라고도 합니다. help는 목적보어로 to 부정사원형부정사 둘 다를 취할 수 있습니다.


지각동사와 마찬가지로 help를 제외한 사역동사들도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원형부정사)를 씁니다.


(5형식 사역동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1)



잘 보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구성 요소  (3) 2013.09.26
명사와 대명사  (0) 2013.09.22
능동, 수동 (active, passive)  (2) 2013.05.21
관계 대명사  (9) 2013.04.23
인칭 (person)  (4) 2013.04.15

come 구동사 (1-10)






come으로 이루어진 중요 숙어들입니다.


구동사

의미 1

의미 2

 1. come about

 발생하다

 2. come across  우연히 만나다  이해되다
 3. come after  뒤쫓다
 4. come along  (새로운 기회가) 생기다  함께 가다
 5. come apart  부서져 흩어지다

 6. come at   

 (공격하듯이) 덤벼들다
 7. come back  돌아오다(가다)  
 8. come between  이간질하다  
 9. come by  힘써 얻다  잠깐 들르다
 10. come down  (열이나 가격 등이) 떨어지다  (건물이) 무너지다



예문입니다.


come about, come across



1. come about 

 발생하다 (어떤 일이 일어나다)

예문

 The discovery of America came about entirely by chance.

해석

 (미국의 발견은 일어났다/ 완전히 우연하게)



2. come across 

 우연히 만나다

예문

  I came across my old friend yesterday.

해석

 (나는 옛 친구를 우연히 만났다/ 어제)



2. come across 

 이해되다

예문

  Your message came across clearly.

해석

 (너의 말은 철저히 이해됐어)



 




come after, come along



3. come after

 뒤 쫓다

예문

 The police officer came after the thief.

해석

 (경찰이 도둑을 뒤 쫓았다)



4. come along

 새로운 것이 생기다 

예문

 The money came along at the right moment.

해석

 (돈이 생겼다/ 알맞은 순간에)



4. come along

 함께 가다

예문

 Can I come along with you?

해석

 (함께 가도 돼?)





come apart, come at


5. come apart

 부서져 흝어지다

예문

 My old car is about to come apart.

해석

 (내 낡은 차가 부서지려 한다)


6. come at

 (공격하듯이) 덤벼들다

예문

 Too much information comes at me these days.

해석

 (너무 많은 정보들이 나에게 달려든다/ 요즘에)




come back, come between


7. come back

 돌아오다, 돌아가다

예문

 Her lost pride didn't come back.

해석

 (그녀의 잃어버린 자존심은 돌아오지 않았다)


8. come between

 이간질하다

예문

  My mother in law comes between my wife and me.

해석

 (장모가 이간질한다/ 아내와 나를)





come by


9. come by

 얻다

예문

 How did you come by such knowledge?

해석

 (어떻게 그러한 지식을 얻었니?)



9. come by

 들르다

예문

 Can I come by this weekend?

해석

 들러도 되니/ 주말에?)






come down


10. come down

 (열이나 가격 등이) 떨어지다

예문

 My daughter's temperature came down overnight.

해석

 내 딸의 열이 내렸다/ 밤새)


10. come down

 (건물이) 무너지다

예문

 The old house seems to come down in any moment.

해석

 (그 오래된 집은 무너질 것처럼 보인다/ 언제라도)





THANKS!





enough to 용법






용법 정리


enough to 부정사는 ‘to 부정사 하기에 충분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A enough to  구문을 절로 고치면,

 A enough to = so A that S can 이 됩니다. 


이것은 ’아주 A해서 ~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해석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enough to 구문은 'too ~ to' 구문과 반대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He is clever enough to obey his wife.

   (그는 충분히 영리하다/ 아내에게 복종할 정도로)


1번을 절로 고쳐보겠습니다.


2. He is so clever that he obeys his wife

   (He is so clever that he can obey his wife. 가능)

   '그는 아주 영리해서 아내에게 복종한다'가 됩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3. They were brave enough to face the strong enemy.

   (그들은 충분히 용감했다/ 적에게 맞설 정도로)


3번을 절로 고쳐보겠습니다.


4. They were so brave that they faced the strong enemy.

   (그들은 아주 용감해서 강한 적에게 맞섰다)




이상입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enough 위치






enough은 형용사나 부사로서 다른 말을 수식합니다. 그런데 품사에 따라 수식하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정리해 봅시다.


수식 위치


1. enough (형용사, 충분한)

   enough + 명사


2. enough (부사, 충분하게)

   형용사 + enough


enough가 형용사일 때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그렇지만 enough가 부사일 때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I have enough problems already.

   (나는 이미 문제가 충분히 많다)


  형용사 enough는 명사 problem을 앞에서 수식했습니다.


2. The problems are big enough for me.

   (문제들이 너무 크다/ 나에게는)


부사 enough는 big이라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형용사 enough는 뒤에서 명사를 수식할 수 있음


주의하실 것은 형용사 enough가 명사를 주로 앞에서 수식하지만명사를 뒤에서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3. There will be problems enough for me.


3번과 같이 형용사 enough를 명사 뒤에 써도 ‘틀리지는’ 않습니다. 단지 ‘구식’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enough (형용사) + 명사

형용사 + enough (부사)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예문 4-5


4. The house has (enough room / room enough) for my family.

   (그 집은 충분한 방이 있다/ 우리 가족들에게)


5. The house is (enough large / large enough) for my family)

   (이 집은 충분히 크다/ 우리 가족들에게)


4번에서 enough는 명사 room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enough room이 되어야 합니다.


5번에서 enough는 형용사 large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그러므로 large enough가 되어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모두 홧팅!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with  (0) 2013.07.17
do 동사 (160)  (2) 2013.06.06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티스토리 초대장 드립니다.



티스토리 초대장을 드립니다.

힘들게 티스토리 블로거의 길을 가시려는 다섯 분을 초대합니다.

이 글에 반드시(!) 비밀 댓글로 다음 사항을 적어 주시길 바랍니다.


영어 전문 블로그다보니 영어로 해볼까요? (^ ^)



Answer the Question, please.


1. What have you done for your loving one today?

2. Your e-mail address.


신청 기한은 오늘(27일 월요일) 00:00 - 24:00입니다.

배포는 28일 00:00-00:30에 합니다


(답은 우리말 영어 둘 다 됩니다. ㅎ)




가장 소소한 이야기를 해주신 다섯분에게 초대장을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오늘, 아내를 위해 설거지를 다섯 번 했습니다. (ㅠ.ㅠ))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용법 정리


too (형용사, 부사) to 부정사는 ‘너무(아주) ~하다, ~하기에는’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것을 우리말로 의역한 것이 ‘아주 ~해서 ~할 수 없다라는 절이 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oo (형용사, 부사) to 부정사   (구)

so (형용사, 부사) that S can't  (절)


too ~to 구문에서는 부정어가 들어가지 않지만 so ~that S can't 절에서는 부정어 can't가 들어간다는 것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예문을 봅시다.


예문 1-2


1. This opportunity is too good to be true.

   (이 기회는 너무 좋아/ 사실이라고 하기에는)


절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2. This opportunity is so good that it can't be true.

   (이 기회는 너무 좋아서 사실일 리가 없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예문 3-4


3. The enemy was too tough to defeat.

    (적이 너무 터프했다/ 이기기에는)


절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4. The enemy was so tough that we couldn't defeat it.

   (적이 너무 터프해서 우리는 이길 수 없었다/ 그것을)





THANKS FOR YOUR WATCHING.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use, reason 의미차이  (2) 2013.05.31
enough to 용법  (4) 2013.05.28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2) 2013.05.25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예문을 보겠습니다.


~하기 위하여


1-1. We need mistakes to grow.

      (우리들은 실수가 필요하다/ 성장하기 위하여)


1-1번에서 to grow는 ‘성장하기 위하여 필요하다’이므로 ‘목적’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need)’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 역할을 합니다. 즉, 'to grow'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부정사는 같은 의미를 지닌 다양한 표현들로 바

꾸어 쓸 수 있습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to 부정사구


먼저 구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1-2. We need mistakes so as to grow.

1-3. We need mistakes in order to grow.


이 문장들의 의미는 1-1과 같습니다. 그렇지만 'so as to'는 문학에서나 쓰일법한 딱딱한 표현이고, 'in order to'는 격식을 갖춘 상황에 쓰이는 말입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절


리고 to 부정사구문 1-1은 절을 이용하여 바꿀 수도 있습니다.


1-4. We need mistakes that we can(may) grow.

1-5. We need mistakes so that we can(may) grow.

1-6. We need mistakes in order that we can(may) grow.


역시 의미는 1-1과 같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것은 절로 바꾸었을 때는 1-5(so that)절이 가장 많이 사용된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동사는 일반적으로 can을 많이 사용합니다.




예문을 더 들어보겠습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구: 추가 예문


2-1. He worked hard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기본형)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엄마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부정어 not의 위치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구로 바꾸기

2-2. He worked hard so as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2-3. He worked hard in order not to disappoint his mother.

      (부정어는 to 부정사 바로 앞에 옵니다.)

      (해석은 생략합니다.)




절로 바꾸기


(시제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주절이 과거이므로 조동사의 과거형을 썼습니다.)


2-4. He worked hard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2-5. He worked hard so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2-6. He worked hard in order that he could(might) not disappoint his mother.

     (해석은 생략합니다.)




시간내서 봐주신 여러분.

GOOD LUCK!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ough to 용법  (4) 2013.05.28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1) 2013.05.26
ethics, moral, morale (도덕과 윤리 차이)  (2) 2013.05.23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현재분사(과거분사) 명사수식




분사는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보통은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그렇지만 분사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분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


1.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명사를 단독으로 수식하는 대부분의 분사


2.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

   (1) 대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2) 다른 어구와 함께 사용된 분사




각 경우별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1) The rising sun gives hope.

     (떠오르는 태양은 희망을 준다)


(2) My wife is a working woman.

    (내 아내는 직업이 있는 여성이다)


(3) My son doesn't like fried eggs.

    (내 아들은 계란 후라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4) Wounded soldiers went back home.

    (부상당한 군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1-4번까지 밑줄 친 분사들은 명사를 단독으로 수식합니다. 이 경우에 분사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2.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2-1. 대명사를 수식하는 분사


(분사는 대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1) Those frightened didn't fight back.

     (겁먹은 사람들은 반격하지 못했다)


(2) There is nothing left to lose.

    (잃을 것도 없어)


(3) He is the one chosen to save the world.

    (그는 선택된 사람이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1-3번까지 밑줄 친 분사들은 대명사를 수식합니다. 분사가 대명사를 수식할 때는 뒤에서 꾸며줍니다.




2-2. 분사가 다른 어구와 함께 쓰일 때


(다른 어구와 함께 쓰인 분사는 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1) The sun rising in the morning give hope.

     (아침에 뜨는 태양은 희망을 준다)


(2) My wife is a professor teaching students at college.

     (내 아내는 교수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3) My son like eggs boiled in the oven.

     (내 아들은 달걀을 좋아한다/ 오븐에서 삶은)


(4) Soldiers wounded at battle went back home.

     (교전 중에 부상당한 군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1-4번까지 분사들은 부사구과 함께 쓰이거나, 목적어를 취합니다. 이렇게 분사가 다른 말들과 함께 사용되면 명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Thanks Again!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6) 2013.05.2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7) 2013.05.21

ethics, moral, morale





의미 차이


우선 moral과 ethics를 보겠습니다.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moral   도덕, 도덕적인

 ethics   윤리




도덕과 윤리

(자발성과 강제성)


이 단어들은 우리말 자체가 어렵습니다. 보통 moral(도덕)과 ethics(윤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moral(도덕)은 개인의 양심과 관련이 있고 강제성이 없습니다.

2. ethics(윤리)는 사회시스템과 관련이 있고 강제성이 있습니다.


moral(도덕)이 없으면 욕먹고 끝납니다. 도덕적이지 않다고 처벌받지는 않습니다.

렇지만, ethics(윤리)가 없으면 처벌 받습니다. (변호사 윤리 위반으로 처벌 등)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 It's moral to help poor people.

   (그것은 도덕적이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안 돕는다고 처벌받지는 않습니다)


2. It's not ethical for a lawyer to reveal client's secrets.

   (그것은 윤리적이지 않다/ 변호사가 고객의 비밀을 누설하는 것은)

   (변호사 윤리 어기면 처벌 받습니다)


이렇게 moral과 ethics에는 개인성과 사회성, 그리고 자발성과 강제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morale


그리고 moral과 헷갈리는 단어가 morale입니다. 철자는 비슷하지만 morale은 사기(의욕)이라는 뜻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The morale is high on our team.

(사기가 높다/ 우리 팀은)


이와 같이 사용됩니다.




구별이 까다로운 말들인데 잘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o ~ to부정사 (so ~ that can't)  (1) 2013.05.26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목적)  (2) 2013.05.25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sit, seat 차이  (12) 2013.05.19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과거분사는 보통 동사원형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의미


과거분사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완료 (~한, ~해버린)

2. 수동 (~당한, ~하게된)




1. 완료 (~한, ~해버린)


거분사는 어떤 행위가 완료되었음(끝나버렸음)을 나타냅니다.


(1) Fallen apples lay on the ground.

    (떨어진 사과들이 놓여있다/ 땅 위에)


(2) Apples have fallen on the ground.

    (사과들이 떨어졌다/ 땅 위에)


(1)번과 (2)번에서 fallen apples는 사과들이 이미 ‘떨어져 버렸음’을 나타냅니다.




2. 수동: 타동사의 과거분사


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당한, ~하게 된)의 의미를 갖습니다.


(1) 수동태에서  (~당한, ~하게 된)

    ex) The house was destroyed by the storm.

         (그 집은 파괴되었다/ 폭풍에 의해서)


(2) 과거분사로 명사 수식  (~하게 된)

     ex) The destroyed house should be rebuilt.

          (그 파괴된 집은 다시 지어져야 한다)


(1)번에서 destroyed는 수동태에서 ‘파괴 된’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번에서 destroyed는 수동의 의미(파괴된)를 가지고 명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과거분사는 '완료나 수동'의 의미를 갖는다.


귀한 시간 내 주셔서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8) 2013.05.22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7) 2013.05.21
현재분사 과거분사 구별  (2) 2013.05.21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의미


현재분사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진행 (~하고 있는)

2. 능동 (~하는, ~하게 하는)




진행


진행 (~하고 있는)

현재분사는 be 동사와 결합하여 현재나 과거의 특정 순간에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1) I am watching TV now.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2) I was watching TV when you called me.

   (나는 TV를 보고 있었다/ 너가 전화했을 때)


(1)번과 (2)번에서 현재분사는 각각 현재(now), 과거(when you called)의 특정 순간에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동사의 현재분사: 진행


자동사의 현재 분사는 진행의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앞, 뒤에서 수할 수 있습니다.


(3) The crying baby is my nephew.

    (울고 있는 아기는 내 조카다)


(4) The baby crying desperately is my nephew.

    (필사적으로 울고 있는 저 아기는 내 조카이다)


(3),(4)번에서 crying은 아기가 ‘지금’ 울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 능동 (~하게하는)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하게하는’의 의미를 가집니다.


(1) The teacher is boring.

    (저 선생님은 지루하다 (사람을 지루하게 한다))


(2) The boring teacher always makes me sleep.

    (저 지루한 (지루하게 하는) 선생님은 항상 나를 잠들게 한다)


(1),(2)번에서 선생님은 (나를)지루하게 합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현재분사는 진행과 능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늘도 최선을 다하는 하루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주어와 동사 (subject, verb)




이번 시간에는 주어와 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주어를 찾아 봅시다.


ex 1) I will always love you.

위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지 못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문장은 어떠할까요?

ex 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41개의 단어로 구성된 위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기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운 좋게 'integer(정수)‘라는 단어까지 알았다고 해도 이해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Russel 백작이 글을 어렵게 쓰기도 합니다만)




이번에는 주어와 동사만 찾아서 해석해 봅시다.


ex 3)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대충 다음과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음절수는 증가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빠졌지만 음절의 수에 관한 말이라는 것과, ‘그것이 증가한다’라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어휘력도 필요하겠지만, 주어와 동사만 파악해도 대충의 내용은 알 수 있습니다.




3. 영어의 기본, 주어 동사 찾기


영어 학습의 기본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짧은 문장만 접할 생각이라면 굳이 ‘주어와 동사’를 찾아가며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길고 수준 높은 내용이 담긴 글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문장 구조가 복잡합니다. 이럴 때 독해의 나침반은 결국 ‘주어와 동사’를 정확하게 찾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어와 동사를 어떻게 공부할까요? 

다음 질문을 봅시다.


Q.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요소가 무엇일까요?

A. 동사입니다.


영어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답하고, 이것은 실제로 정답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교재는 동사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며 ‘해석할 때는 동사를 먼저 찾아라’라는 말까지 등장합니다.




4. 주어부터 찾으세요.


하지만 EX 2)의 문장에서 동사를 먼저 찾아봅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식에 익숙한 우리의 눈은 자연스럽게 첫 단어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어떤 사람도 문장중간부터 읽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당연한 사실을 무시하고 동사부터 찾는 것은 ‘수레를 말 앞에 놓는 것입니다.' 아무리 급해도 그렇지 수레가 말을 끌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강의는 영어의 자연스러운 어순에 맞추어서, 주어에 대한 학습으로 시작합니다. 




to be continued in part 3



주어와 동사 찾기, 이제 조금 쉬워졌죠? ^^



분사의 역할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이번 시간에는 분사(participle)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1. 분사의 역할


분사는 동사의 변형이므로 기본적으로 동사의 성격을 가집니다. 그리고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분사는 동사의 역할을 하면서, 반드시 문장 안에서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만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동사역할, 형용사 역할


The Dark Knight DRIVING Bat mobile disappeared into the dark night.

(Dark Knight은 Bat Mobile를 운전하면서 사라졌다/ 어두운 밤 속으로.


(1) 동사역할

    Dark Knight은 무엇을 운전하고 있습니까? Bat Mobile입니다.

위 문장에서 현재분사 driving은 동사의 역할을 합니다. ‘Bat mobile'을 목적어로 취하기 때문입니다.


(2) 형용사 역할

Bat Mobile을 운전하는 것은 누구입니까? Dark Knight입니다.

재분사 driving은 Dark Knight'라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형용사 역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2. 분사의 종류


분사에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있습니다.

현재분사는 '동사원형 + ing', 과거분사는 주로 동사에 -ed나 -en을 붙여서 만듭니다.




3.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의미


현재분사는 의미상의 주어가 행위를 하는 능동의 의미를, 과거분사는 의미상의 주어가 행위를 당하는 수동의 의미를 갖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현재분사


1. Look at the dancing girl.

   (보아라/ 저 춤추는 소녀를)


2. He was laughing loudly.

   (그는 웃고 있었다/ 크게)


1번에서 춤추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소녀(girl)입니다. 소녀는 춤을 추고 있으므로 능동입니다. 그래서 현재분사 dancing을 썼습니다.


2번에서 춤추고 웃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He)입니다. 그는 웃고 있으므로 능동입니다. 그래서 현재분사 laughing을 썼습니다.




과거분사


1. Look at the excited audiences by her dancing.

   (보아라/ 흥분된 관중들을/ 그녀의 춤에 의해서)


2. They were surprised by his loud laugh)

   (그들은 놀라게 되었다/ 그의 큰 웃음에 의해서)


1번에서 군중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군중들은 흥분되었습니다. 춤에 의해서 흥분되었으므로 수동입니다. 그래서 과거분사 excited를 썼습니다.


2번에서 그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그들은 놀라게 되었습니다. 그의 큰 웃음에 의해서 놀라게 되었으므로 수동입니다. 그래서 과거분사 surprised를 썼습니다.


.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

2. 현재분사는 능동,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가진다.


Thank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