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bu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ll but'이라는 구문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all but’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1) ~을 제외하고는 모두.

(2) 거의, 하마터면(nearly, almost)




‘all but'이 들어간 예문들입니다.


(1) All were there but him.

    (모두 거기에 있었다/ 그를 제외하고는)


(2) I was all but dead at that time.

    (나는 거의 죽을 뻔 했다/ 그 때)


3) My dog was all but run over by a car.

   (내 개가 하마터면 치일 뻔했다/ 차에)


(4) I've all but finished reading the book.

    (나는 거의 끝냈다/ 책을 읽는 것을)



'all but'이 들어간 글을 보겠습니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Nikon said it would halt production of all but two of its seven film cameras and would also stop making most lenses for those cameras. The company will halt production of the film camera models "one by one," though it refused to specify when.


(니콘은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일 곱개 필름 카메라 중에서 두 개를 제외하고/ 그리고 그 카메라를 위한 렌즈 생산도 중단할 것이라고. 그 회사는 필름 카메라 모델생산을 을 ‘하나씩’ 중단할 것이다/ 언제라고는 밝히길 거부했지만)


그럼 이상으로 ‘all but'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뵐께요!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구문 정리 (31-80)  (4) 2013.11.29
영어 구문  (4) 2013.08.11
as soon as ~하자마자  (3) 2013.07.29
A is to B what C is to D 구문!  (0) 2013.07.28
come 구동사 1부  (2) 2013.05.28

영단어 어원 접두어 dis-

영어단어를 어원으로 공부해 봅시다.


어근 설명해주는 남자, 어설남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접두어 dis-를 포함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서샘이 설명하는 동영상을 봅시다.






접두어 dis-

접두어 dis-는 어떤 단어의 ‘반대말’을 만들거나 ‘멀리’라는 뜻을 표현할 때에 사용합니다. 예시단어를 보면서 이해해 보겠습니다.



1-5


1. dislike

like는 ‘좋아하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like가 결합한 dislike는 like의 반대말이 되어 ‘좋아하지 않다’, ‘싫어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I still wonder why she disliked him so much.

    (나는 지금도 궁금하다, 왜 그녀가 그를 그토록 싫어했는지)


2. dissimilar

similar는 ‘비슷한, 유사한’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similar가 결합한 dissimilar는 similar의 반대말을 뜻하니까, ‘같지 않은, 다른’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ex) This jar is not dissimilar to that one without the label on its lid.

    (이 병은 다르지 않다, 뚜껑에 상표가 없는 저것과)


3. disagree

agree는 ‘동의하다, 의견이 같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agree가 결합한 disagree는 agree의 반대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disagree는 ‘동의하지 않다, 의견이 다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He disagreed with his rival on almost everything.

    (그는 그의 경쟁자와 의견이 달랐다, 거의 모든 것에 대해서)


4. displace

place가 동사로 쓰이면 ‘(무엇을) 어디에 놓다, 두다’라는 뜻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place가 결합한 displace는 ‘(원래 있던 것을) 멀리 놓다’라는 뜻이 기본이 됩니다. 그래서 displace는 ‘옮겨 놓다, 쫓아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Half a million people have been displaced by the long civil war.

(50만 명이 쫓겨났다, 오랜 내전 때문에)


5. displease

please가 동사로 쓰이면 ‘기쁘게 하다, 즐겁게 하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please가 결합한 displease는 그 반대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displease는 ‘불쾌하게 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The professor looked displeased with me for questioning his recent paper.

    (그 교수는 불쾌한 듯 보였다, 나 때문에, 그의 최근 논문에 의문을 제기해서)



6-10


6. disobey

obey는 ‘시키는 대로 하다, 복종하다’라는 뜻입니다. 접두어 dis-와 obey가 결합한 disobey는 obey의 반대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disobey는 ‘불복종하다, 반항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The young soldier had disobeyed orders and surrendered to the enemy.

    (젊은 군인은 명령에 불복종하고, 적에게 항복했다)


7. disbelieve

believe는 아주 많이 사용되는데 기본적인 의미는 ‘믿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believe가 결합한 disbelieve는 그 반대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disbelieve는 ‘믿지 않다’라는 뜻이 됩니다.

ex) Thi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disbelieve him. He's a plausible liar.

    (이게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그를 믿지 못하는. 그는 말을 그럴듯하게 하는 거짓말쟁이이다)


8. dissever

sever는 ‘절단하다, 분리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sever가 결합한 dissever는 ‘멀리 분리하다’라는 기본의미가 되서 ‘분리’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그래서 dissever는 ‘분리하다, 분할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ex) Dissevered into two countries, they have become even weaker.

    (2개의 국가로 분리되어서, 그 나라들은 훨씬 약해졌다)


9. disarm

arm은 몸의 일부인 ‘팔’을 뜻합니다. 팔로 하는 일은 참 다양한데,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싸움도 이 팔을 이용하는 행동입니다. 싸움에 쓰는 무기를 들 때에도 역시 팔을 이용합니다. 여기에서 의미가 확장되서 arm에는 ‘무장하다, 무기를 갖추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arm이 결합한 disarm은 arm의 반대말이 됩니다. 그래서 disarm은 ‘무장을 해제하다, 무기를 빼앗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The sentry soldiers were captured and disarmed.

    (보초병들은 포로로 잡혔고, 무기를 빼앗겼다)


10. disease

ease는 명사로 쓰이면 ‘쉬움, 편안함, 안락함’ 등을 뜻하고, 동사로 쓰이면 ‘수월하게 하다, 편안하게 하다’ 등을 뜻합니다. 따라서 접두어 dis-와 ease가 결합한 disease는 ease의 반대말이 됩니다. 편안함의 반대말은 ‘편안하지 않음, 불편함’입니다.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는 참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몸이 아플 때에 불편함을 크게 느끼게 됩니다. 그러므로 disease는 ‘질병’ 또는 ‘병에 걸리게 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The classic symptoms of the disease are a slight fever and a runny nose like a cold.

    (그 질병의 전형적인 특징은 약한 열과 콧물이다, 감기처럼)



(정리)

오늘 배운 단어를 다시 한 번 읽어보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1. dislike        싫어하다

2. dissimilar    다른

3. disagree     의견이 다르다

4. displace     옮겨놓다

5. displease    불쾌하게 하다

6. disobey      반항하다

7. disbelieve   믿지 않다

8. dissever     분리하다

9. disarm       무장해제하다

10. disease     질병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가주어, 진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주어 진주어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는 우리 말과 달리, 주어가 긴 것을 극단적으로 싫어 합니다. 그래서 주어자리에 부정사나 that절 등이 와서 길어질 경우에는, 그 자리에 가주어 it를 쓰고 to 부정사나 that절이하를 뒤로 보냅니다. 이렇게 주어 대신에 쓰는 it을 ‘가주어’라고 하며, 뒤로 보내는 to 부정사나 that 절을 ‘진주어’라고 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t is easy to hate someone.

    (쉽다/ 누군가를 미워하는 것은)


(2) It is difficult to find a true love.

    (어렵다/ 진정한 사랑을 찾는 것은)


(3) It is true that honesty pays.

    (진실이다/ 정직이 도움이 된다는 것은)


(4) It is strange that you don't know such a thing.

    (이상하다/ 당신이 그러한 것을 모르다니)


(5) It is doubtful whether (=if) they will come to the party.

    (의심스럽다/ 그들이 파티에 올지 안 올지는)


(6) It was true that I told a lie.

    (사실이다/ 내가 거짓말을 한 것은)



가주어, 진주어가 들어간 영문입니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It is not impossible that you may pass through this life and not be fulfilled. You will not get to be what God called you to be. The recognition of certain laws in our lives could be the difference between promotion and demotion, success and failure.


(가능한 일이다/ 당신이 인생이 보내고도 (뭔가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당신은 신의 소명대로 이르지 못할 것이다. 삶에서 어떤 법칙을 인식하는 것이 차이를 만들어 낸다/ 발전과 퇴보, 성공과 실패의)


그럼 이상으로 가주어 진주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뵐께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격 대명사  (0) 2013.08.21
of 목적격  (0) 2013.08.08
가목적어 it  (6) 2013.07.30
have only to 구문  (3) 2013.07.26
it that 강조구문  (4) 2013.07.24

가목적어 i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가목적어 it'을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에서는 목적어가 긴 경우에는 '가목적어 it'을 쓰고 진목적어(진짜 목적어)는 뒤로 보냅니다. 특히 'keep, find, make'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to 부정사가 이들 동사의 목적어로 올 때는 가목적어 it를 써주고 to 부정사는 목적보어 뒤로 옮깁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She will keep it a secret to the grave to betray his lover's trust.

  (그녀는 그것을 무덤까지 비밀로 간직할 것이다/ 연인을 배신했던 것을)


(2) I found it difficult to master English.

    (나는 그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영어를 마스터하는 것을)


(3) I find it hard to say in words.

    (나는 그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말로 하는 것을)


(4) Why does Stacy find it odd to see Jarrod Tucker at Tony's party?

    (왜 Stacy가 그것을 이상하게 생각하니/ Tucker를 Tony의 파티에서 보는 것을?)


(5) He makes it a rule never to speak badly of others.

    (그는 그것을 규칙으로 삼았다/ 남을 험담하지 않는 것을)


(6) I take it for granted that you will be coming to the meeting.

    (나는 그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당신이 회의에 오는 것을)




가목적어 it이 들어간 글입니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Every day we see and hear many advertisements. Even if you don't read a newspaper or watch television, and walk around the streets with your eyes down, you'll find it impossible to avoid some form of publicity.


(매일 우리는 광고를 보고 듣는다. 신문을 읽고 TV를 보지 않더라도, 눈을 내리깔고 거리를 걸지 않는한, 당신은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어떤 형태든지 선전을 피하는 것이)




그럼 이상으로 가목적어 i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뵐께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of 목적격  (0) 2013.08.08
가주어, 진주어 (it, that)  (13) 2013.08.01
have only to 구문  (3) 2013.07.26
it that 강조구문  (4) 2013.07.24
전치사 by, with 구별  (4) 2013.07.23

as soon as ~하자마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s soon as' 표현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as soon as


'as soon as ~‘은 ’~하자마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as soon as (when) 주어 동사

= ~하자 마자


‘as soon as' ’on ~ing'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1) As soon as(When) he heard the news, he turned pale.

    On hearing the news, he turned pale.

    (그 소식을 듣자마자, 그는 창백해 졌다)



다음은 'as soon as'와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입니다.


   On seeing me, he ran away.

= As soon as he saw me, he ran away.

= The moment he saw me, he ran away.

= Hardly had he seen me when(before) he ran away.

= Scarcely had he seen me when(before) he ran away.

= No sooner had he seen me than he ran away.

          (그는 나를 보자마자 도망갔다)




'on ~ing'가 들어간 영문을 읽어 봅시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On Leaving New York, I've been putting off writing about it because it seems like too much to cover, but then that's probably the whole point. We make obstacles of things by building them up in our minds, when they were never really that big a deal to begin with. And no attempt at writing ever got easier through procrastination.


(뉴욕을 떠나자마자, 나는 그것에 대하여 쓰는 것을 미뤄왔다/ 왜냐하면 너무 다루어야할 게 많아서였다. 그렇지만 그것이 아마도 핵심일 수도 있다. 우리는 장애물을 만든다/ 우리 마음 속에 그것들을 쌓아 올리면서, 실제로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닌데도. 그리고 쓰는 것은 절대 쉬워지지 않는더/ 미루기만 해서는)


그럼 이상으로 'as soon a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구문  (4) 2013.08.11
[all but] [~을 제외하고]  (1) 2013.08.06
A is to B what C is to D 구문!  (0) 2013.07.28
come 구동사 1부  (2) 2013.05.28
carry 구동사 (phrasal verb)  (0) 2013.05.19

A is to B what C is to 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 is to B what C is to D 구문을 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비유를 나타내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이 구문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A가 B에 대한 관계는 C가 D에 대한 관계와 같다.'




예문들을 보면서 의미를 살펴 봅시다.


(1) Air is to man what water is to fish.

    (공기가 사람에 대한 관계는 물이 물고기에 대한 관계와 같다)


(2) Reading is to the mind what food is to the body.

    (독서가 마음에 대한 관계는 음식이 신체에 대한 관계와 같다)


(3) Money is to us what freedom is to slaves.

    (돈이 우리에 대한 관계는 자유가 노예에 대한 관계와 같다)


(4) The cup is to Dionysus what the shield is to Ares.

     (술잔이 디오니서스에 대한 관계는 방패가 아레스에 대한 관계와 같다)



‘A is to B what C is to D’가 들어간 글입니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Metaphor, Aristotle argued, depended on understanding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equ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A is to B what C is to D. The new processor is to other processors what Ferrari is to other cars: i.e. faster.


(은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따르면, 이해하는 것에 달려있다/ 두 개념들 사이의 관계가 다른 두 개념들 사이의 관계와 같다는 것을. 즉, ‘A가 B에 대한 관계는 C가 D에 대한 관계와 같다’는 것이다. 새로운 프로세서와 다른 프로세서의 관계는 페라리와 다른 차들과의 관계와 같다: 즉, 더 빠르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l but] [~을 제외하고]  (1) 2013.08.06
as soon as ~하자마자  (3) 2013.07.29
come 구동사 1부  (2) 2013.05.28
carry 구동사 (phrasal verb)  (0) 2013.05.19
영어 접두어 강의 5. En- (하게 하다)  (0) 2012.03.23

 have only to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have only to' 구문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의미


'have only to'는 ‘~하기만 하면 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All you have to do is'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 have only to ~, All you have to do is'

(~하기만 하면 된다)



2. 예문


예문을 봅시다.

(1) You have only to meet her.

  = All you have to do is (to) meet her.

     (당신은 그녀를 만나기만 하면 된다)


(2) To know yourself you have only to listen to your loving ones.

    (자신을 알려면 당신은 귀를 기울이기만 하면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3) You have only to visit our site to get the prizes.

    (우리 사이트에 방문하기만 하면 됩니다/ 상을 받기 위해서)



3. 영문 해석


have only to가 들어간 글을 봅시다.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Sure I am of this, that you have only to endure to conquer. You have only to persevere to save yourselves.

- Churchill, Winston -


확신컨대, 당신은 참기만 하면 됩니다/ 이겨내기 위해서는. 당신은 인내하기만 하면 됩니다/ 자신을 구하려면.


그럼 이상으로 'have only to'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주어, 진주어 (it, that)  (13) 2013.08.01
가목적어 it  (6) 2013.07.30
it that 강조구문  (4) 2013.07.24
전치사 by, with 구별  (4) 2013.07.23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강조구문: It is(was) ~ that절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t ~ that 강조구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it ~ that을 이용한 강조구문


다음 문장을 봅시다.


I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이 문장은 ‘내가 그의 눈을 어제 때렸다’라는 평범한 문장입니다. 이 문장을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강조해 봅시다.


때린 사람 ‘I’를 강조하는 경우,

It was I that hit him in the eye yesterday.

⇒ 그것은 바로 나였다/ 그의 눈을 어제 때린 사람은.


맞은 사람 ‘him’을 강조하는 경우,

It was him that I hit in the eye yesterday.

⇒ 그것은 바로 그였다/ 내가 어제 눈을 때린 사람은.


때린 부위를 강조하는 경우,

It was in the eye that I hit him yesterday.

⇒ 그것은 바로 눈이었다/ 내가 그를 어제 때린 곳은.


때린 날을 강조한 경우,

It was yesterday that I hit him in the eye.

⇒ 그것은 바로 어제였다/ 내가 그의 눈을 때린 것은.


위와 같이 특정한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이 ‘It is(was) A that절’입니다. 강조하고 싶은 말을 ‘A’ 자리에 넣습니다. 그리고 과거일 때는 ‘is’를 ‘was’로 바꾸어 줍니다. 해석은 ‘바로 A’ 또는 ‘A야말로’라고 합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목적어 it  (6) 2013.07.30
have only to 구문  (3) 2013.07.26
전치사 by, with 구별  (4) 2013.07.23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전치사 by, with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by와 with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1. by, with 구별


by는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나타냅니다. by 뒤에는 주로 사람이나 생물이 옵니다. 그렇지만 with 다음에는 무생물이 도구가 주로 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America was discovered by Columbus.

    (미국은 콜롬버스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2) The fire was put out by firefighters.

    (그 불은 꺼졌다/ 소방관들에 의해서)


(3) The president was murdered by a killer with a rifle.

    (대통령은 살해 되었다/ 킬러에 의해서/ 라이플로)


이 예문들에서 보듯이 수동태 문장에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오고 'with' 다음에는 행위의 수단이나 도구가 오죠. 



전치사 'by' 다음에는 생물이 주로 오지만 다음과 같이 무생물이 올 때도 있습니다.


(4) Subways are driven by electricity.

    (지하철은 움직인다/ 전기에 의해서)



2. by, with 구별

헷갈리시겠지만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by 다음에는 행위를 하는 행위자(사람이나 사물)이 오고,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하는 ‘수단’이나 ‘도구’가 온다.


예문을 봅시다.


(5) The fire was extinguished by firefighters with water.

    (그 화재는 진압되었다/ 소방관들에 의해서/ 물로)


위 예문에서 소방관들은 직접 불을 끄는 ‘행위자’입니다. 그러므로 'by firefighters'가 됩니다. 그러나 ‘물’은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도구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with water'를 썼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전치사 by의 기본 의미와 관용어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only to 구문  (3) 2013.07.26
it that 강조구문  (4) 2013.07.24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for 목적격] [가주어 it]  (1) 2013.07.14

-en


어근 설명해주는 남자, 어설남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접미어 -en을 포함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동영상을 봅시다.




접미어 -en이 포함된 단어와 예문 설명입니다.


접미어 -en

접미어 -en은 동사를 만들 때에도 쓰이고 형용사를 만들 때에도 쓰입니다. 동사 접미어로 사용될 때에는 ‘~한 상태로 만들다, ~한 상태로 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형용사 접미어로 사용될 때에는 ‘~으로 만들어진, ~처럼 보이는’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시단어와 예문을 통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blacken

black은 ‘검은’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black과 접미어 -en이 결합한 blacken은 ‘검은 상태로 만들다, 검은 상태로 되다’ 즉 ‘검게 만들다, 검어지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Fire and smoke blackened the whole building.

    (화재와 연기가 검게 만들었다, 건물 전체를)



2. wooden

wood는 ‘나무, 목재’를 말합니다. 따라서 wood와 접미어 -en이 결합한 wooden은 ‘나무로 만들어진, 나무처럼 보이는’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ex) I prefer wooden furniture to metal stuff.

    (나는 목재가구를 더 좋아한다, 금속제품보다)



3. brighten

bright는 ‘밝은, 빛나는, 똑똑한, 발랄한, 희망적인’ 등 여러 가지 뜻으로 쓰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환한, 밝은’입니다. 따라서 bright와 접미어 -en이 결합한 brighten은 ‘밝은 상태로 만들다’ 즉 ‘밝게 만들다, 밝아지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ex) The sunlight in the morning brightens up my mind.

    (아침의 햇살은 밝게 해준다, 내 마음을)



4. shorten

short에는 ‘짧은, 가까운, 키가 작은, 간략한’ 등 여러 뜻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기본은 ‘짧은’이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short와 접미어 -en이 결합한 shorten은 ‘짧은 상태로 만들다, 짧은 상태가 되다’ 즉, ‘짧게 하다, 짧아지다’라는 뜻이 됩니다.

ex) The days shorten as the winter approaches.

    (낮이 짧아진다, 겨울이 다가옴에 따라)



5. lengthen

length는 ‘긴, 오랜’이라는 뜻의 형용사 long의 명사형입니다. length에는 ‘길이, 기간, 키’ 등 여러 뜻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뜻은 ‘길이’입니다. 따라서 length와 접미어 -en이 결합한 lengthen은 ‘조금 더 긴 상태로 만들다, 조금 더 긴 상태로 되다’ 즉 ‘길게 만들다, 길어지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ex) The nights lengthen as the summer fades away.

     (밤이 길어진다, 여름이 멀어짐에 따라)




날씨가 덥습니다.

뭐, 그렇지만 인생 별 거 있습니까?

열심히 사는 거죠, 뭐.

그리고, 사랑합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영어 단어 외우는 방법 (접미어 -dom)


영어 단어를 외우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은 어근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어근은 우리 말의 한자와 같습니다. 한자를 많이 알면 우리 말 어휘가 풍부하듯이, 어근을 많이 알면 영어 단어 학습에 크게 도움이 됩니다.


접미어 -dom


이번 시간에는 접미어 -dom이 들어간 단어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동영상을 보신 다음 자세한 설명과 예문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예시 단어와 예문을 봅시다.


wisdom, freedom, kingdom


1. wisdom

wise는 ‘현명한, 지혜로운’이라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wise와 접미어 -dom이 결합한 wisdom은 ‘현명한 상태’ 즉, ‘현명함, 지혜’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 때 wise의 e가 생략된 뒤에 접미어 -dom과 결합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ex) You can find some words of wisdom in the Beatles song ‘Let it be’.

      (지혜로운 말을 찾을 수 있다, 비틀즈의 노래 ‘Let it be’에서)


2. freedom

free는 뜻이 아주 많은데 그 중에서 ‘자유롭다’는 뜻이 가장 기본입니다. 따라서 free와 접미어 -dom이 결합한 freedom은 ‘자유로운 상태’ 즉 ‘자유’를 뜻합니다.

  ex) You don't have the freedom to do whatever you like to.

      (너에게 자유가 있는 건 아니다, 원하는 건 뭐든지 할 수 있는)


3. kingdom

king은 ‘왕, 지배자’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king과 접미어 -dom이 결합한 kingdom은 ‘왕이 다스리는 땅’ 즉 ‘왕국’을 의미합니다.

   ex) The United Kingdom is not ruled by a king at present.

       (영국은 왕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 현재는)




boredom, stardom


4. boredom

bore는 ‘지루하게 만들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bore와 접미어 -dom이 결합한 boredom은 ‘지루하다고 느끼는 상태’ 즉, ‘지루함, 따분함’을 말합니다.

   ex) Books would help to relieve the boredom of being alone.

       (책은 도움이 될 것이다, 혼자 있는 지루함을 더는 데에)


5. stardom

star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을 말합니다. 유명한 배우나 가수, 운동선수 같은 사람들을 sta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건 예전에 이런 사람들이 밤하늘에 반짝거리는 별처럼 멋지지만, 손에 닿을 수 없는 먼 곳에 있다는 의미로 사용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tar와 접미어 -dom이 결합한 stardom은 ‘star인 상태’ 즉 흔히들 말하는 ‘유명인의 반열에 오른 상태, 스타덤’을 뜻합니다.

   ex) The Beatles shot to stardom in 1963 and still remains the same.

       (비틀즈는 1963년에 스타덤에 올랐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잘 보셨습니까?

그럼 다음 시간에 봅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ith 목적어 분사구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with 목적어 분사구문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우선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with 목적어 분사구문 정리


■ 반드시 기억해 두셔야 할 것은, 'with + 목적어 + 분사' 구문에서 목적어는 분사의 의미상 주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구문에서 분사의 형태는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의미상 주어와 분사가 능동 관계일 때는 '현재분사'를 쓰고, 의미상 주어와 분사가 수동 관계일 때는 '과거분사'를 쓰면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Part 1. 목적어 다음에 분사가 올 때


'with 목적어 분사구문‘의 해석은 주로 ’~하면서, ~한 채로‘가 됩니다.


(1) He sat on the chair with his arms folded.

 = He sat on the chair, as his arms were folded.

    (그는 의자에 앉았다/ 팔장을 낀채로)

    (목적어와 수동관계)


(2) She listened to me (with) her eyes shining.

    (그녀는 내말에 귀를 기울였다/ 눈을 빛내면서)

    (목적어와 능동관계)


(3) She spoke (with) tears falling down her cheeks.

    (그녀는 말했다/ 눈물을 흘리면서/ 뺨 위로)

    (목적어와 능동관계)



Part 2. 목적어 다음에 형용사나 전치사구가 올 때


■ ‘with 목적어 분사구문’에서 목적어 다음에는 형용사나 전치사구가 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with'는 종종 생략되기도 합니다.


(4) with one's eyes wide open

    (눈을 크게 뜬 채로)

(5) with one's eyes full of tears

   (눈에 눈물이 가득 찬 채로)

(6) (with a) pencil in (one's) mouth

    (연필을 입에 문 채로)

(7) (with a) knife in (one's) hand

    (칼을 손에 든 채로)

(8) with a sweater on

    (스웨터를 입은 채로)

(9) with one's hands in one's pocket.

    (손을 호주머니에 넣은 채로)

(10) He was walking with a book under his arm.

    (그는 걷고 있었다/ 책을 팔에 낀 채로)



'with 목적어 분사구문'이 들어간 글을 봅시다.


READING


■ 다음 영문을 해석하시오.

On sunny days, with the snow sparkling, with no wind blowing- and great trees rising all around us like the pillars of a cathedral, and no sound anywhere but the chattering of a woodpecker, we were actually so pleasant that we hated to leave.


어느 화창한 여름 날/ 눈발이 날리면서, 바람은 불지 않던 - 그리고 커다란 나무들이 우리 주위에서 성의 기둥처럼 솟아 올라 있고, 어떠한 소리도 없고 단지 딱따구리의 재잘거리는 소리만 들리던 날에, 우리는 정말로 즐거운 기분이라서 떠나기 싫었다. 


그럼 이상으로 with 목적어 분사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뵐께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that 강조구문  (4) 2013.07.24
전치사 by, with 구별  (4) 2013.07.23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for 목적격] [가주어 it]  (1) 2013.07.14
목적격 보어 (objective complement)  (8) 2013.07.11

전치사 with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with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동영상 강의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by, with의 구별

2. with의 기본 의미

3. with 관용어구


1. by, with의 구별


by의 용법에서 설명했듯이, by는 수동태에서 행위자(생물)를 나타내고, with는 무생물인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냅니다.


(1) The fire was put out by firefighters with water.

    (화재가 진압되었다/ 소방관들에 의해서/ 물로)


(2) The house was built by workers with bricks.

    (그 집은 지어졌다/ 일꾼들에 의해서/ 벽돌로)


(1)번에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옵니다. 그리고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번도 (1)번과 마찬가지로, by 다음에는 행위자가, with 다음에는 행위자가 사용한 ‘수단이나 도구’가 왔습니다.




2. with의 기본 의미


전치사를 공부할 때는 모든 의미를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 의미만 확실하게 정리해 두고 나머지는 문맥에서 찾아내면 됩니다. 전치사 with는 다음 두 가지 기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와 함께 (=together with)


1) I live with my family.

   (나는 산다/ 내 가족들과 함께)


2) She has been with her friends for hours.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있다/ 몇 시간 동안)



(2) ~을 가지고 (=having)


1) He is the man with a large head.

   (그는 남자이다/ 큰 머리를 가진)


2) She entered with a sword in her hand.

   (그녀는 들어왔다/ 손에 검을 가지고)


3) He went to America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English.

   (그는 미국으로 갔다/ 영어를 공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3. with 관용어구


(1) be filled with 

    ~으로 가득차다 (=be full of)

(2) be (angry, annoyed, pleased, satisfied) with ~ 

    ~에 화나다, 기쁘다, 만족하다

(3) agree(disagree) with ~ 

    ~에 동의하다, 반대하다

(4) argue(discuss, fight, quarrel) with ~ 

    ~과 논쟁하다, 토론하다, 싸우다, 언쟁하다.

(5) in accordance with ~ 

    ~에 따라서

(6) with the purpose(intention) of ~ 

    ~라는 목적(의도)를 가지고

(7) provide(supply) A with B 

    A(사람)에게 B(물건)를 주다

(8) inspire A with enthusiasm (fear, hope, love, etc.) 

    A에게 열정(두려움, 희망, 사랑 등을) 주다.

(9) What is the matter with you? 무슨 일이니?

    No matter with me. (문제 없어)

(10) be acquainted with~ 

     ~의 (얼굴을) 알다

(11) compare with ~ 

     ~과 비교하다




내용이 많죠?

전치사는 문장에서 아주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니 많을 수밖에 없죠. 


특히 with 관용어구들을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시간 전치사 by에서 뵙겠습니다.

안녕~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가정법  (6) 2013.09.24
사역동사 수동태 정리  (6) 2013.09.24
do 동사 (160)  (2) 2013.06.06
enough 위치  (13) 2013.05.28
현재분사 형용사 (명사수식)  (8) 2013.05.24

단어와 그 어원, Dutch Courage, Dutch Pa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단어와 그 어원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Dutch가 들어간 표현들은 안 좋은 어감을 가진 것들이 많습니다.

왜 그런지 한 번 봅시다.


 

1. 부정적인 Dutch 표현들


Dutch는 아시는 것처럼 네덜란드 원주민들입니다.

Korean과 마찬가지로 전혀 비하감이 없는 중립적인 단어입니다.

그런데 Dutch가 들어가 다음 표현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한 번 볼까요?

 

(1) Dutch Concert

소음

(2) Dutch Courage

객기

(3) Dutch Pay, Dutch Treat

더치 페이

(4) Dutch Leave

치사한 이별

(5) Dutch Uncle

심한 잔소리꾼

(6) Dutch Wife

죽부인

(7) I'm a Dutchman

'내 성을 간다‘, ’내 손에 장을 지진다‘

 


                                                                                              

어떻습니까? 여기서 Dutch는 부정적인 느낌을 넘어서 무시하고 멸시하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습니다. (물론 'Dutch Pay(더치 페이)'같은 말은 현재는 부정적인 뉘앙스로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만)

 

그럼 왜 이렇게 Dutch에 부정적인 어감이 들어가게 되었을까요? 역시 세상 대부분의 것과 마찬가지로 ‘돈’ 문제가 얽혀 있습니다.

 

때는 16세기말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두 섬나라 영국과 네덜란드는 막강한 항해 기술을 바탕으로 아시아 무역(?)에서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었습니다. 바다의 왕자 포르투갈이 힘을 잃게 되자 영국과 네덜란드는 제해권을 놓고 그야말로 사생결단으로 싸우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양국 사이의 적대감도 극에 달했습니다. 그 결과 영국인들은 ‘Dutch'라는 단어에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강한 모멸을 담기 시작했습니다. (조사해 보지는 않았지만 당시 네덜란드인들이 사용했던 'English'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16세기말부터 17세기 말까지, 영국인들은 'Dutch'를 붙여서 안 좋은 단어를 만들어 내는데 맛을 들였습니다. 위에서 본 단어들은 이러한 역사적 악감정을 어원으로 가진 것들입니다.

 

 

 

다시 한 번 봅시다.

 

2. Dutch Concert, Dutch Courage, Dutch Pay

 

 

(1) Dutch Concert 소음

‘함께 어울려 나는 소리’가 어원이듯이 ‘concert’는 다른 사람들과의 조화가 생명입니다. 그런데 Dutch Concert는 다른 사람은 무시하고 제 멋대로 연주하는 것입니다. 연주가 아니라 소음이 만들어 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Dutch Concert'는 네덜란드 사람들의 연주실력과는 아무런 연관도 없습니다. 그저 영국인들이 네덜란드에 가진 감정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단어에 불과합니다.

 

(2) Dutch Courage 객기

직역하면 네덜란드식 용기지만 본래 의미는 ‘가짜 용기’를 말합니다. ‘Dutch'가 들어갔으니 안 좋은 뉘앙스라는 것은 짐작하실 겁니다. 진정한 ’용기‘란 맨 정신으로, 두려움을 극복하고 행동에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Dutch Courage‘는 ’술의 힘을 빌리는 가짜 용기‘입니다. 맨 정신으로는 못하겠으니 술 먹고 하는 것, 우리 말로는 객기에 해당되겠군요. 역시 영국인들이 Dutch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말입니다.

 

(3) Dutch Pay, Dutch Treat 더치 페이

지금은 ‘내 것은 내가 낼께’라는 말로 쓰이는 아주 자연스러운 말입니다. 하지만 17세기에 'Dutch Pay (Dutch Treat)'는 자기 것만 챙기는 쫀존함을 경멸하던 말이었습니다. 어떻게 신사가 자기 것만 계산하느냐는 영국인들의 비아냥이 담겨 있던 말이었죠. 그렇지만 현재의 'Dutch Pay‘는 부정적인 뉘앙스는 사라지고 오히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표현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아마 현재 사용되고 있는 ’Dutch 어휘‘ 중에서 부정적인 뉘앙스가 사라진 유일한 말이 아닐까 합니다.


 


 3. Dutch Leave, Dutch Uncle, Dutch Wife, I'm a Dutchman.

 

(4) Dutch Leave 치사한 이별

Dutch가 들어갔으니 당연히 안 좋은 말이겠죠? ‘Dutch Leave'는 인사도 없이 그냥 가버리는 싸가지 없는 작별을 말합니다. 뭐, 특별한 어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네덜란드 사람들이 이렇게 경없이 작별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네덜란드에 화난 영국인들이 그냥 Dutch를 붙여서 만든 말이죠.

 

(5) Dutch Uncle 심한 잔소리꾼

보통 삼촌은 자상하게 조카를 챙겨줍니다. 그렇지만 'Dutch Uncle'이 그럴 리가 없습니다. 'Dutch Uncle'은 삼촌도 아니면서 잔소리만 늘어놓는 사람입니다. 우리 말로 하면 약간 ‘꼰대’스러운 이미지입니다. 대충 아시겠죠?

 

(6) Dutch Wife 죽부인

‘Dutch Wife'는 우리 말로 ’죽부인‘입니다. 옛날에, 더울 때, 안고 자던 대나무로 만든 속이 빈 큰 베개가 죽부인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말로는 ’아내 대용품‘을 뜻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20세기 초에 남극원정대가 지참하고 갔다는 말도 있지요. 이렇게 드러내 놓고 말하기 어려운 단어에 Dutch를 붙인 영국인들, 거시기 하죠?

 

(7) I'm a Dutchman '내 성을 간다‘, ’내 손에 장을 지진다‘

마지막으로 ‘I'm a Dutchman'입니다. 이것은 당시 영국인들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강한 부정이었습니다. 우리 말로 옮기면, ’내 성을 간다‘, ’내 손에 장을 지진다‘쯤 되겠습니다. 만일 자신이 말한 것이 거짓이라면 가장 혐오하는 ’Dutch Man'이 되겠다는 의미니까요.

예문을 볼까요?


I'll do it. If not, I'm a Dutchman.

(그렇게 하겠어, 그렇지 않으면 내가 네덜란드 사람이다)


 

 

이제 Dutch에 관련된 단어들의 어원, 감이 잡히실 겁니다.

영국인들, 참으로 ‘뒤 끝’ 있는 민족들이죠?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명사 상당어구(절)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명사 상당어구(절)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명사 상당어구들은 명사 역할을 합니다.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명사 상당어구(절)도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면 관계상 주어 역할을 하는 것들만 보기로 하겠습니다.




1. 영어에서 주어역할을 할 수 있는 말들


(1) 명사(구)

(2) 대명사

(3) To 부정사

(4) 동명사

(5) 명사절

     That

     wh-

     whether


실제 문장에서는 위 명사 상당어구(절)들이 단일하게 쓰이기보다는 수식어구와 결합되어 사용됩니다. 이러한 수식어구 때문에 문장이 복잡해지는 것이죠. 하지만 핵심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말들은 위에 있는 5가지 명사어구들 뿐입니다.




다음에서 각각의 예문을 간략하게 살펴봅시다.


2. 명사구(절) 주어 예문


(1) 명사주어

Democracy should allow every citizen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2) 대명사주어

Democracy, it should allow every citizen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3) to 부정사 주어

To allow every citizen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is the goal of democracy.


(4) 동명사 주어

Allowing every citizen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is the goal of democracy.


(5) 명사절 주어

1) that절 주어

That every citizen should be allowed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is the goal of democracy.


2) wh-절

Why every citizen can be allowed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is not the question any more.


3) Whether every citizen should be allowed to access the political process or not is no longer questioned.


(1) - (5)의 예문들에 포함된 명사 상당어구(절)들의 원래 품사나 형태는 다르지만, 일단 주어 자리에 있으므로 명사역할을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문법 용어들을 의미도 모른 채 암기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기본적인 문법용어는 반드시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명칭을 기억해 놓아야 합니다. 우리의 기억은 ‘대상에 이름을 붙이면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명칭을 모르고 주어를 찾을 수도 있겠지만, 그 주어의 정확한 명칭을 알고 있다면 더욱 기억하는데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위에서 든 예문들은 복잡하지 않는 단일한 명사구(절)로 된 주어들입니다. 명사구가 그대로 쓰인다면 문장이 복잡해질 이유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명사 상당어구(절)들은 반드시라고 해도 될 정도로 수식을 받아서 복잡해 집니다. 문장이 어려워 지는 이유죠.


길어지고 복잡해져도 원칙은 변하지 않습니다. ‘명사 상당어구(절)는 명사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주어로 사용된 명사 상당어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소중한 시간,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for + 목적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for + 목적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다른 말로 의미상의 주어라고도 하죠?

어렵지만 말과 글에 자주 쓰이는 용법이니 잘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예문을 봅시다.


1. for + 목적격과 가주어 it


To see a doctor is necessary for him.


위 문장에서와 같이, ‘to 부정사’로 문장을 시작할 수도 있으며, 이는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to 부정사’로 문장을 시작하지 않고 가주어 ‘it’을 써서 표현합니다. 이때의 가주어 it은 ‘그것’이라는 의미를 갖지 않습니다.

위 문장을 가주어 it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It is necessary for him to see a doctor.

(그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가 의사를 보는 것은.)


이 문장에서 ‘for him’은 ‘to see a doctor’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주어이므로 주격조사 ‘은, 는, 이, 가’를 붙여서 해석합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을 쓴다.




2. 사람을 주어로 할 수 없는 형용사들


그리고 ‘necessary’는 원칙적으로 사람을 주어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쓸 수 없습니다.


He is necessary to see a doctor. (×)


이러한 형용사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 pit는 명사)

(important) (easy, convenient, difficult, dangerous), (possible, impossible), (pleasant, a pity)


이들 형용사들은 ‘가주어 it’과 의미상 주어 ‘for 명사’, 그리고 ‘to 부정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듭니다. 물론 ‘to 부정사’로 문장을 시작할 수도 있지만, 이들 형용사가 있을 때는 가주어 ‘it’을 쓰는 것이 훨씬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형용사 (for 목적격) to 부정사.




3. 가주어 it을 이용한 문장


일반적으로 ‘to 부정사’가 주어 자리에 올 경우, 가주어 ‘it’을 쓰고 ‘to 부정사’는 뒤로 돌리는 형태를 쓰는 것이 훨씬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다음 문장들을 봅시다.

It is easy for him to answer the question.

= He is easy to answer the question.  (×)

= To answer the question is easy for him  (○)


It is convenient for customers to shop on line.

= To shop on line is convenient for customers.


It is difficult for me to focus on my study.

= To focus on my study is difficult.


It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 to send an e-mail.

= To send an e-mail is possible for my grand father.


It is pleasant for her to help the poor.

= To help the poor is pleasant for her.


 이 문장들에서 ‘for+명사’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for 목적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뵐께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목적격 보어 (objective complement)  (8) 2013.07.11
접속부사 예문 (1부) (conjunctive adverb)  (0) 2013.07.06
some, others, the others  (5) 2013.06.04

allow, permi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공부하기 힘드시죠?

그래도 홧팅!


이번 시간에는 allow, permit를 공부하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모두 ‘허락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미가 약간 다르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allows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허락하다’입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도록 승인하는 것이면 어디에나 allow를 쓸 수 있습니다. 즉, allow는 법적인 규칙이 필요없는 일상적인 행동을 허가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규칙이나 법적인 허가가 필요한 곳에서는 주로 permit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예문 (1-2)


(1) My mother allowed me to have a dog in the house.

    (엄마가 허락했다/ 집에서 개를 키우는 것을)


(2) The law doesn't permit to grow a tiger in the house.

   (법은 허용하지 않는다/ 집에서 호랑이를 키우는 것을)


(1)번에서 엄마의 허락은 법적인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allow를 쓰면 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호랑이를 키우는 것은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permit'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쉽게 구별되지 않는 상황도 있습니다.


예문 (3-4)


(3) We are not allowed to have guns in the house.

    (우리는 허용되지 않는다/ 집에 총을 가지고 있는 것이)


(4) We are not permitted to have guns in the house.

    (우리는 승인받지 못했다/ 집에 총을 가지고 있는 것이)


(3)번과 (4)번은 둘 다 옳은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의미가 약간 다릅니다. 


(3)번과 같이 'allow'를 쓰면 ‘일반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아마도 (3번은, 우리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사람이 집에서 총을 가지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4)번은 우리만 총기 허가를 받지 못했다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총기 허가를 받았는데 우리는 허가를 받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볼 때 우리 말로 정리해 보면 allow, permit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allow:    (일반적인 상황에서) 허락하다

 permit:  (법적인 상황에서) 허가하다


그리고 allow, permit는 둘 다, 좀 더 일상적인 말인 let으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allow, permi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또 뵐께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teal, rob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teal, rob의 의미 차이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릅니다.


정리해 봅시다.



1. steal


steal은 목적어 자체를 훔치는 것입니다. 우리 말 ‘훔치다’와 정확히 들어 맞습니다. ‘훔치다’라는 것은 ‘어떤 물건을 허락받지 않고 불법으로 (보통은 모르게) 가져가다’라는 뜻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해 봅시다.


(1) A thief stole my car.

    (도둑이 내 차를 훔쳤다)


(2) My colleague stole my research.

    (동료가 내 연구를 훔쳤다)


(1),(2)에서 stole은 ‘훔치다’라는 타동사로서 목적어를 취합니다. 그리고 그 ‘목적어를 훔쳐’갑니다. (1)번에서는 도둑이 차를 ‘훔쳐’가 버리고, (2)번에서는 동료가 나의 연구를 ‘훔쳐’갑니다. 둘 다 ‘도둑질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3) A thief stole my house.   (x)

(4) Someone stole the bank. (x)

(5) The man stole the kid.    (x)


(3)번은 말이 안 됩니다. 도둑이 집을 훔쳐서 들고 갈수는 없습니다.

(4)번도 마찬가지입니다. 은행 건물 자체를 훔쳐서 들고 갈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5)번 역시 이상합니다. steal은 사람을 직접 훔쳐갈 수는 없습니다. 이 경우는 'kidnap(납치하다)'이라는 단어를 써야 합니다.




2. rob


rob은 우리 말로 옮기면 ‘털다, 강도짓하다’라는 뜻입니다. 잠깐 생각해보면 강도는 ‘어떤 대상을 털어서, 그 대상으로부터 뭔가’를 빼앗아‘ 갑니다. 


예문을 봅시다.


(6) A man robbed me of my wallet.

    (한 남자가 나에게서 지갑을 강도질 해갔다)


(7) A thief robbed my house and took TV.

    (도둑이 내 집을 털어서 모든 것을 가져가 버렸다)


(8) Someone robbed the bank.

    (누군가 은행을 털었다)

    (은행을 털어서 돈과 귀중품 등을 가져가 버렸다는 뜻입니다)


(5),(6),(7)에서 보듯이 rob는 타동사로서 목적어를 취합니다. 그렇지만 steal과는 달리 목적어를 가져가는 것이 아닙니다. 목적어로부터 뭔가를 가져가는 것입니다. (6)번은 '나(me)‘로부터 지갑을’ 빼앗아 갔습니다. (7)번은 ’집(house)으로부터 TV를‘ 가져가 버렸습니다. 그리고 (8)번은 은행을 털어서 ’알 수는 없지만 뭔가를‘ 가져가 버렸습니다.


이렇듯 'rob'는 목적어를 직접 훔쳐가는 것이 아니라 ‘목적어로부터 무엇인가를’ 빼앗아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rob는 보통 (6)번과 같이 ‘전치사 of'와 함께 'rob A of B' 구문으로 사용됩니다.




다음 문제들을 보면서 정리해 봅시다.


※ 다음 문장에서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9) I was (robbed / stolen).

    (나는 강도를 당했다)


(10) My watch was (robbed / stolen).

    (내 시계를 도둑 맞았다)


(9)번에서는 rob가 와야 합니다. ‘내가’ 도둑맞을 수는 없습니다. (10)번에서는 'stolen'을 써야 합니다. 시계가 강도맞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rob, steal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봅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수능 영어영역 독해


점점 언어영역화 되어가는 수능 영어영역 독해.

어떻게 공부할까요?


PART 1




PART 2




1. 영어식 논리구조를 읽혀야 합니다.


영어식 논리 구조란 무엇일까요?

단락 중심의 사고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리딩 지문들을 대할 때는 단락 중심의 사고를 해야 합니다. 잘 쓰여 진 지문일수록 영어 글 논리구조를 정확히 따릅니다. 즉, 서론, 본론, 그리고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어식 사고란 별 것 아닙니다. 영어가 사용되는 논리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죠. 서론에서 주제 제시하고, 본론에서 증명이나 반박을, 그리고 결론에서는 정리합니다. 이런 논리구조를 글을 통해서 확인한 다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2. 핵심어, 주장, 근거를 파악해야 합니다.


핵심어, 주장, 근거란 무엇일까요?

다음 글을 봅시다.


Zilla : I've finally seen the movie, Yonggari!

JJIN : Oh, you have. How was it.

Zilla : You strongly recommended that I must see it. I'll kill you. 

        It was the worst movie of my life. Total waste of time and money.

JJIN : But your species was a star in that movie. You should be proud of it.

Zilla : Stop teasing me JJIN. Anyway, Yonggari was a complete crap. 

        It's because the funny comedian made it.




3. 핵심어, 주장, 근거


핵심어라는 ‘무엇에 대한 글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보통 한 단어(명사형)입니다. 위 글은 ‘용가리’에 대한 글이므로 핵심어는 용가리입니다. 주장이란 글에서 말하려는 주된 내용으로 ‘핵심어는 ~이다’의 형태로 정리됩니다. 이 글에서 주장은 ‘용가리는 허접하다’ 쯤 되겠습니다. 근거라는 것은 주장에 대한 이유입니다. 위 글에서 ‘용가리가 허접한’ 이유는 ‘개그맨이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근거는 ‘개그맨이 만들었다’가 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핵심어, 주장, 근거 정리

핵심어  : 용가리

주장     : 용가리는 허접하다.

근거     : 개그맨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짧고 쉬운 단어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명확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참고.

위의 내용은 그저 재미있는 예로 든 것이므로 오해없으시길 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심형래씨와 그의 도전을 높이 평가합니다. 새로운 것에 모든 것을 거는 것, 멋지지 않습니까?  


영구 화이팅!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듣기 공부법  (0) 2013.09.30
공부비법 (내신대비)  (4) 2013.09.03
영어문법공부 제대로 합시다!  (3) 2013.07.04
여름방학 영어공부  (2) 2013.06.30
영어공부, 속지 마세요!  (7) 2013.06.21

목적격 보어 (objective complement)

핵심정리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격 보어(목적보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영어에서 목적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가 있습니다. 

하나씩 보기로 하겠습니다.


1. 목적보어: 명사


명사는 목적보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 They elected Washington president.  (Washington = president)

    (그들은 선출했다/ 워싱턴을 대통령으로)


(2) He called the man his friend.  (the man = his friend)

    (그는 불렀다/ 그 남자를 그의 친구라고)


(3) The boys chose Wilson secretary of the Red Hair Club.  (Wilson = Secretary)

    (소년들은 선택했다/ 윌슨을 빨간 머리클럽의 회장으로)


이 세 문장에서 동사들은 타동사이며, 각각 Washington, man, Will을 목적어로 취합니다. 그렇지만 이들 목적어만으로는 전하려는 의미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들 동사들은 목적어 외에도 president, friend, secretary등의 말을 필요로 합니다. 


President는 Washington이 무엇이 되었는지를 말해줍니다; friend는 He가 the man을 어떻게 부르는지 말해줍니다; secretary는 Wilson이 무엇이 되었는지를 말해줍니다. 이러한 보어들은 목적어와 관계를 갖기 때문에 목적보어(OBJECTIVE COMPLEMENT)라고 불립니다.




2. 목적보어: 형용사


주격보어와 마찬가지로, 

형용사 또한 목적격 보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His troubles made him sad.  (him ≠ sad)

    (그의 문제들이 만들었다/ 그가 슬프게)


(5) They considered her faithful.  (her ≠ faithful)

    (그들은 생각했다/ 그녀가 신뢰할만하다고)


주격보어로 형용사와 명사가 쓰일 때를 기억해 봅시다. 명사가 주격보어일 때는 주어와 ‘실제로’ 같았습니다. 하지만 형용사가 주격보어일 때는, 주어와 같지 않고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뿐이었습니다. 


목적보어에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명사가 목적보어일 때는 목적어와 실제로 같습니다. 그렇지만 형용사가 목적보어 일때는 목적어와 같지는 않고, 목적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뿐입니다.




[정리]

목적격 보어

서술어를 보충해서 목적어를 설명합니다. 

목적어와 관계를 갖기 때문에 목적보어라고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목적격보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 목적어 분사구문  (6) 2013.07.19
명사 상당어구  (0) 2013.07.15
[for 목적격] [가주어 it]  (1) 2013.07.14
접속부사 예문 (1부) (conjunctive adverb)  (0) 2013.07.06
some, others, the others  (5) 201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