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시제 (simple past)




이번 시간에는 과거 시제(simple past)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영어에서 과거 시제는 보통 동사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그리고 과거 시제는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들 -ago, yesterday, last night, then- 등과 함께 쓰입니다.


과거 시제에서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과거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2. 과거는 단순 과거시제로 표현한다.



1. 과거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was born in 1990.

   (나는 태어났다/ 1990년에)

2. I studied at Korea University for 5 years.

   (나는 고려대학교에서 공부했다/ 5년 동안)

3. I used to make short films at University.

   (나는 단편 영화를 만들었었다/ 대학에서) (지금은 안 만든다)


1번은 과거의 한 시점(1990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2번은 과거의 일정한 기간(5년)에 걸쳐 발생한 사건입니다.

3번은 과거에 습관적으로 발생했던 사건입니다.




과거시제 의미


여기서 보듯이 과거 시제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것은 바로,

과거는 이미 끝나 버린 사건, 즉 현재에는 계속되지 않는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과거는 현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2. 과거는 과거이다.


역시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My father passed in 1990.

    (내 아버지는 돌아 가셨다/ 1990년에)

(2) Newton deceased in 1727.

    (뉴튼은 사망했다/ 1727년에)

(3) Dinosaurs disappeared quarter billion years ago.

    (공룡들은 사라졌다/ 2억 5천년 전에)


1,2,3 번은 발생한 시기가 다릅니다. 그러나 전부 단순 과거로 써야 하며 과거 완료를 써서는 안됩니다. 1분 전이던, 1년 전이던, 1만년 전이던 과거는 단순 과거로 표시합니다.


당연히 역사적 사실도 과거완료가 아닌 과거로 표시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활용도가 높습니다.

 

꼭 기억하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3형식 전환  (19) 2013.05.06
과거진행형  (3)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현재 진행형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현재와 현재진형의 차이

2. 일시적으로 진행중인 동작

3. 가벼운 비난 (negative comment)

4. 미래 대용

5. 진행형 불가동사


현재 진행형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의 현재형 (am, are, is) + 동사원형 ~ing 

   


1. 현재형과 현재 진행형의 의미 차이


예문을 먼저 보겠습니다.

(1) I watch TV.

    (나는 TV를 본다)

(2) I am watching TV.

    (나는 TV를 보고 있는 중이다)



(1) 번과 같이 현재형을 쓰면, 습관적이고 지속적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뉘앙스를 가집니다.

    I watch TV.

  I like to watch TV.

   (나는 TV보는 것을 좋아해)


(2) 번과 같이 현재 진행형을 쓰면 지금 이 순간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A: What are you doing now?

   (지금 뭐하고 있니?)

B: I am watching TV.

   (TV 보고 있어)


위에서 보듯이, 현재형은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을, 현재 진행형은 지금 진행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2. 일시적인 기간 동안 진행중인 동작


예문을 봅시다.


(1) He acts rudely.

    (그는 무례하게 행동한다)

(2) He is acting rudely these days.

    (그는 무례하게 행동한다/ 요즘에)


(1)번 현재형은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입니다.

   He acts rudely.

⇒ 그는 (평소에) 행동이 무례합니다.


(2)번 현재 진행형은 일시적인 동작입니다.

   He is acting rudely these days.

⇒ 그는 요즘에 무례하게 행동합니다.

(속뜻: 그는 이전에는 무례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무례한 행동이 오래 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현재형은 역시 습관적이며 지속적인 동작을 의미하고, 진행형은 일시적인 동작을 의미합니다.




3.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


예문을 봅시다


(1) You are always watching TV.

    (너는 항상 TV만 봐)

(2) My son is spending much time on computer games.

    (내 아들은 많은 시간을 쓴다/ 컴퓨터 게임에)


(1) (always) 같은 말과 함께 쓰면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을 표현합니다.

    You are always watching TV.

   ‘넌 항상 TV만 보는 구나(좀 심하지 않니?)’라는 의미입니다.


(2) (always)같은 말이 없어도 진행형은 (가벼운) 비난을 의미합니다.

    My son is spending much time on computer games.

   ‘내 아들이 많은 시간을 컴퓨터 오락에 쓰고 있어 못 마땅하다’는 뉘앙스입니다.


이렇게 현재 진행형은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가벼운 비난’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4. 미래표현


상황을 설정해 보았습니다.


‘아들이 숙제해야 하는데 computer game만 하고 있습니다. 보다 못한 엄마가 한 소리 합니다.’


Mom: You are supposed to do your homework.

        (너, 숙제해야 되지 않니?)

Son: I am doing my homework.

      (곧 할께요)


사실 지금 숙제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가까운 미래에 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현재 진행형을 썼습니다.




미래표현 추가 예문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기장: All passengers. Fasten your seat belt, please.

       (승객 여러분. 안전 벨트를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plane is taking off soon.

       (비행기가 지금 이륙할 예정입니다)


비행기 이륙은 공식적인 시간표에 맞추어 행해집니다. 

이렇게 확실한 미래는 현재진행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5. 진행형 불가동사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은 진행형을 쓸 수 없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know the answer.

    (나는 답을 안다)

(2) I am knowing the answer.  (x)

    (나는 답을 아는 중이다?)


(1),(2)번은 의미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진행형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진행형을 쓸 수 없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진행형 불가동사 (존재, 상태, 소유 동사) (1분정리 008)

 진행형 불가 동사 (어법 004)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진행형  (3) 2013.05.05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현재 시제 (present tense)




이번 시간에는 현재 시제(단순 현재시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현재시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현재 시제의 의미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3.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1. 의미


현재 시제는 당연히 현재의 사건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반드시 알아 두셔야 할 것은,


“현재 시제는 지속적인 사건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예문 1


1. I watch TV. (현재)

   (나는 TV를 본다)


1번 문장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1) I (usually) watch TV at free time.

      (나는 ‘대개’ TV를 본다/ 한가한 시간에는)

(1-2) I am watching TV now.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1번 ‘I watch TV'라는 문장은 위에서 보는 것처럼 (1-1)습관이나  (1-2) 순간 진행중인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없이 현재형을 쓰게되면 지속적인 동작인지, 순간적인 동작인지 헷갈리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단순 현재시제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현재의 사건’을 나타낸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예문 2-3



2. I don't drink. (나는 술 안 마셔)

3. I teach.        (나는 가르친다)


현재형이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을 의미하므로,

2번은 ‘나는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이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3번은 ‘직업이 가르치는 사람이다’라는 의미입니다.




현재형과 빈도(횟수) 부사


보통 현재형은 다음과 같이 빈도(횟수)부사와 같이 사용됩니다.


4. I never drink

   (나는 절대 술을 마시지 않는다.)

5. I frequently log on my blog.

   (나는 자주 접속한다/ 내 블로그에)

6. I always listen to my wife.

   (나는 항상 내 아내 말을 잘 듣는다)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현재 시제가 변하지 않고 지속되는 사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표현들은 ‘항상 현재형’으로 표현합니다.


1. 현재의 습관적인 동작

2. 불변의 진리

3. 속담, 격언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예문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usually prepare breakfast.         (습관적인 동작)

   (내가 보통 아침을 요리한다)

2.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불변의 진리)

   (지구가 태양을 돈다)

3. The steady wins the race.

   (꾸준한 사람이 경주에서 이긴다)   (속담이나 격언)


1번은 

반복적인 동작입니다.

지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2번은 

불변의 진리입니다.

과거에도 지구는 태양을 돌았고 현재에도 돌고, 미래에도 돌 것입니다. 언제나 변하지 않은 사건이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3번도 마찬가지입니다.

격언이라는 것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변함없이 통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현재형을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을 씁니다. 



시간 조건의 부사절 예문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과제를 다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2.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hiking.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하이킹 갈 것이다)


1번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의 일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는 미래 조동사 will을 썼습니다. 그렇지만 when절이 시간을 나타내고, play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절입니다. 시간 부사절이므로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2번은 역시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주절에는 ‘will g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if절이 조건을 나타내고, 동사 go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조건 부사절이므로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시간, 조건절에 대한 추가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1분 정리 002)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어법 002)



의미차이 없으면 간단하게...


이렇게 규칙을 만들어 놓으니 어렵게 보입니다.


실제로 시간, 조건절에 will을 한 번 써 봅시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1-1) When I will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내 일을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두 문장은 의미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의미 차이가 없는데 굳이 복잡한 표현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규칙은 단지 더 수월하게(?) 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 뿐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현재시제는 변하지 않는, 지속적인 사건이다.

2. 현재의 반복적인 동작, 불변의 진리, 격언등은 항상 현재형을 쓴다.

3.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형이 미래를 대신한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4형식 예문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1. to group


 to group  (to whom 그룹)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to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to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간접 목적어에게’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to group 예문


예문은 5개만 들겠습니다.


(1) award A B (A에게 B를 수여하다)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해했다/ 금메달을)


(2) deny A B (A에게 B를 거부하다)

    I can't deny my daughter anything.

    (나는 내 딸에게 거부할 수 없다/ 어떤 것도)


(3) feed A B (A에게 B를 먹이다)

    We fed our children milk in bottle.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먹였다/ 병에 든 우유를)


(4) owe A B (A에게 B를 빚지다)

    I owe my wife many things.

    (나는 내 아내에게 빚지고 있다/ 많은 것을)


(5) throw A B(A에게 B를 던지다)

    My son threw his sister a pillow.

    (아들이 동생에게 던졌다/ 베개를)




2. for group 


 for group  (for whom 그룹)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for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for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간접 목적어를 위해’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2. for group 예문


예문은 다섯 개만 들겠습니다.


(1) build A B (A를 위해 B를 짓다)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아이들에게 만들어 줬다/ 작은 정원을)


(2) cook A B (A를 위해 B를 요리해 주다)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를 위해 요리해 주었다/ 라면을)


(3) design A B(A를 위해 B를 디자인하다)

    I designed my daughter a toy house.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4) find A B (A를 위해 B를 찾아주다)

    My son found his sister a missing doll.

    (내 아들은 여동생에게 찾아 주었다/ 잃어버렸던 인형을)


(5) save A B (A를 B에서 구해주다)

    I save my wife the trouble by cleaning.

    (나는 내 아내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청소함으로써)




3. of group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등


of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쓰는 경우입니다. ‘간접목적어의’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합니다.


주의할 것은 ask를 제외하고는 3형식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of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sk A B (A에게 B를 묻다, 요청하다)

    My son asked me a favor.

    (내 아들이 나에게 부탁을 했다)


(2) beg A B (A에게 B를 부탁하다)

    My son and I begged my wife mercy.

    (아들과 나는 아내에게 자비를 부탁했다)




4 no group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4형식으로만 사용됩니다. 전치사를 써서 3형식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no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llow A B (A에게 B를 허용하다)

    My wife allows me one drink a day.

    (내 아내는 내게 하루 한 잔을 허용한다)


(2) bet A B (A에게 B를 걸다)

    Don't bet your children everything.

    (당신의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걸지 마라)


(3) charge A B (A에게 B를 청구하다)

    I can't charge my wife anything.

    (나는 내 아내에게 어떤 것도 청구할 수 없다)


(4) cost A B (A에게 B를 들게하다)

    The new smart phone cost me much.

    (새 스마트폰은 나에게 많은 돈이 들게 했다)


(5) spare (A에게 B를 덜어주다)

    My son spares me house chore.

    (내 아들은 내 집안일을 덜어준다)


(6) wish (A에게 B를 바라다)

    I wish you good luck.

    (나는 너에게 행운을 바란다)




이상으로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as 원급 as 




이번 시간에는 as A as B 표현을 공부하겠습니다.



as A as B 


 as A as B  는  아주 A하다, B처럼(B만큼) 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리고 A자리에는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을 써야 합니다.




형용사, 부사


잠깐 형용사와 부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형용사: 명사, 대명사 수식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 수식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2)


(1) His speech is as (slow, slowly) as a snail.

    (그의 말은 아주 느리다/ 달팽이만큼.)

(2) He spoke as (slow, slowly) as he could.

    (그는 아주 느리게 말한다/ 할수 있는 한)


(1)번은 느린 말(speech)입니다. 명사 ’speech'를 수식하므로, 형용사인 ‘slow'가 와야 합니다.

(2)번은 ‘느리게 말하다(spoke)'입니다. 동사 spoke를 수식하므로 부사 ’slowly'가 와야 합니다.




예문을 더 봅시다.


예문 (3-4)


(3) His mind is as (free, freely) as a bird.

    (그의 마음은 아주 자유롭다/ 새 처럼)

(4) He sings as (free, freely) as a bird flies.

    (그는 아주 자유롭게 노래한다/ 새가 날듯이)


(3)번은 ‘자유로운 마음(mind)’입니다. 명사 mind를 수식하므로 형용사 free가 와야 합니다.

(4)번은 ‘자유롭게 노래하다(sing)'입니다. 동사 sing을 수식하므로 부사 freely를 써야 합니다.



아주 중요하니 꼭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as 원급 as에 대한 강의를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4형식을 쓸까? 3형식을 쓸까?




이번 시간부터 4형식을 3형식으로 바꾸는 것을 세 시간에 걸쳐 설명하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4형식을 쓸까? 3형식을 쓸까?

2. 4형식 예문들

3. 4형식을 3형식으로


첫 번째부터 공부해 보겠습니다.


간결함의 원칙


4형식을 3형식으로 바꾼다...

의식하지 않고 쓰는 말이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영어 네이티브들이 4형식 문장을 말한 다음, 그것을 다시 3형식으로 바꾸지는 않을 겁니다. 4형식이 필요할 때는 4형식으로, 3형식이 필요할 때는 3형식으로 말할 뿐입니다.


문장 선택 기준은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간결함’입니다. 영어는 간결함을 선호하는 언어입니다. 그래서 길고 덩치 큰 말들은 일단 뒤로 보냅니다. 영어에 가주어 가목적어가 발달한 것도 이러한 경향을 보여 줍니다.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1. 4형식을 쓰는 경우


(1) I asked / my dad/ questions for gardening. (4형식)

    (나는 내 아빠에게 물어 보았다/ 정원가꾸기에 대한 질문을)

(2) I asked /questions for gardening/ of my dad. (3형식)

    (나는 정원 가꾸기 질문을 물어보았다/ 아빠에게)


(1)번은 4형식 문장입니다. (2)번은 직접목적어를 먼저 쓴 3형식 문장입니다.


어느 것이 더 나은 문장일까요?




소리내서 읽어봅시다


좋은 문장인지 판단하는 훌륭한 기준이 있습니다. 

소리내서 읽어보는 것’입니다.

소리내서 매끄럽게 읽히면 좋은 문장입니다.


(1)번은 이렇게 읽힙니다.

   I asked my dad/ ...... questions for gardening.

(2)번은 이렇게 읽힙니다.

   I asked questions for gardening/ ...... of my dad.


1번이 약간 더 읽기 편합니다. 그렇지만 직접목적어가 ‘가벼운(짧은)’ 경우에는 (1)(2)번에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어떨까요?


덩치큰 직접목적어


(3) My dad brought me seed /that he bought at the store.

    (아빠가 나에게 씨를 가져왔다/ 그가 가게에서 산)

(4) My dad brought seeds/ that he bought at the store/ to me.

    (아빠가 씨를 가져왔다/ 그가 가게에서 산/ 나에게) 


(3)번은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My dad brought me seeds/ ...... that he bought at the store.

(4)번은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My dad brought seeds/ ...... that he bought at the store/ ...... to me.


어떻습니까? 

3번이 훨씬 읽기 편합니다.




4형식을 쓰는 경우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직접목적어의 덩치가 크면(길면) 4형식으로 써라.’


직접목적어가 길 때는 뒤로 보내서 간결하게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렇지만 3형식으로만 써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직접목적어가 대명사


(5) I brought my son them.

(6) I brought them to my son

    (나는 그것들을 가져다 주었다/ 내 아들에게)


한 번 소리내어 읽어 봅시다.


(5)번은 어색합니다.

영어에서는 4형식에서 직접목적어로 대명사를 잘(거의) 쓰지 않습니다. 구글을 검색해 봐도 (5)번과 같은 형태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러므로 4형식에서는 직접목적어로 대명사는 잘 쓰지 않는다’라고 알아 두셔도 됩니다. 이 경우에는 (6)번과 같이 3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직접목적어가 길면 4형식을 쓴다.

(2) 4형식에서 직접목적어는 대명사를 쓰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3형식으로 쓴다)


그럼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for, because 차이





용법


접속사로 쓰일 때 for, because는 ‘~때문에라는 뜻을 가지며, 이유를 나타냅니다. 

둘의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쓰이는 위치가 다릅니다.


for : 문장 첫머리에 올 수 없습니다. ‘,’와 함께 문장 중간에서 사용됩니다.

because: 문장 첫머리나 가운데 어디나 올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for


1. I was tired, for I had to walk 20 miles. (O)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 마일을 걸었기 때문이다.)

2. For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x)


1번은 맞습니다.

2번은 틀렸습니다. for가 문장 첫 머리에 왔기 때문입니다.




because


3. I was tired,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O)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마일을 걸어야 했기 때문이다)

4.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O)

   (내가 20마일을 걸어야했기 때문에, 나는 피곤했다)


3,4번은 둘 다 맞는 문장입니다.




접속사 because, 접속사 for

둘의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for는 문장 첫머리에 올 수 없고

because는 문장 첫 머리에도 올 수 있다는 것만 다릅니다.


Thanks for watching!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형 미래표현 (미래시제)  (0) 2013.05.08
as 원급 as  (12) 2013.04.30
사역동사 (make, have, get)  (12) 2013.04.22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5) 2013.04.21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0) 2013.04.21

계대명사 총정리

 

 

총정리 시간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관계대명사를 총정리 해보겠습니다.실전적용을 목표로 하는 강좌이니 기초적인 설명은 생략합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링크와 아래에 올린 해당동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관계대명사의 개념 (핵심정리 035, 037)

 

(1)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앞뒤의 문장을 이어주므로 접속사입니다.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대신하므로 대명사입니다.

 

(2)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를 씁니다.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를 씁니다.

 

 

 

 관계대명사와 의문사 (핵심정리 035)

 

 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37)

 

 

 

 

 

 

2.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관계대명사절에서 관계대명사가 하는 역할이 ‘격’입니다.

 

(1) 관계대명사가 주어역할을 하면 ‘주격’입니다.

(2) 관계대명사가 소유대명사 역할을 하면 소유격입니다.

(3) 관계대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입니다.

 

① She is the person who loves me.

    (그녀가 사람이다/ 나를 사랑하는)          주어 역할, 주격

② I am the man whose love never changes.

   (나는 남자다/ 사랑이 결코 변하지 않는)   소유 대명사, 소유격

③ We are the couple whom others envy. 

   (우리는 커플이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목적어 역할,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3. 관계대명사의 해석 (핵심정리 038)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대상(선행사)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줍니다. 따라서 문장 순서대로 해석을 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일 때에는 ‘그런데 그 사람은, 그 사람을’이라고 해석하고, 선행사가 사물일 때에는 ‘그런데 그것은, 그것을’이라고 해석합니다.

 

 

(1) I have a wife who acts my boss.

    (나는 아내가 있다/ (그런데 그 와이프는) 내 상사이다)

 

(2) She casts a glance which freezes me.

    (그녀는 눈길을 날린다/ (그런데 그 눈길은) 나를 얼어붙게 한다)

 

 

 관계대명사 해석 (핵심정리 038)

 

 

 

4.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선행사가 사람 + 사물

 

ex) The tsunami swept away people and buildings that were on the shore.

     (해일이 사람과 건물을 모두 쓸어갔다/ 해변에 있던.)

 

 

(2) 특정한 선행사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all, every, no, some, any, the only, the very, the last,          

   something, anything, somebody, anybody 등

ex) It was the worst tsunami that struck the area ever.

    (그것은 최악의 쓰나미였다/ 그 지역을 강타했던 중에서)

 

ex) She is the very one that survived the waves.

     (그녀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 파도에서 살아남았던)

 

 

(3) 의문사가 있을 때

의문사 who, whom, which, what 등이 있으면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ex) Who is the woman that escaped the disaster?

    (누구냐, 그 여자가/ 그 재앙을 피했던?)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관계대명사 that (001)

 

 

 

 

 

 

5. 관계대명사 what (핵심정리 041)

 

 

 

관계대명사 what은 ‘~하는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리고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올 수 없습니다.

 

 

ex) I will do what I can do.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의 구별 (핵심정리 041)

 

 

 

 

6.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1)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오면 생략할 수 없고, 전치사가 문장 뒤에 있으면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Everybody glances the lady (whom) I date with. (생략 가능)

ex) Everybody glances the lady with whom I date.   (생략 불가)

    (모두가 그녀를 힐끔거린다/ 내가 데이트하고 있는)

 

(2) 전치사 다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없습니다.

 

ex) This is my friend with that I drink.    (X)

ex) This is my friend with whom I drink. (O)

    (얘가 내 친구이다/ 같이 술 마시는)

 

 

 

 

7. 관계대명사의 생략

 

관계대명사는 다음 경우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주격 관계대명사 + be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함께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I know the men (who are) in all black.

    나는 그 사람들을 안다/ 검은 옷을 입은.

 

 

(2) 목적격 관계대명사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They are agents (that) Aliens try to avoid.                       (동사 avoid의 목적어)

     (그들은 요원들이다/ 외계인들이 피하려고 하는)

 

ex) The aliens escaped their planets which they were expelled from.

     (그 외계인들은 그들의 행성을 탈출했다/ 그들이 추방당했던)  (전치사의 목적어) 

 

 

 

 

(3)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

전치사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

ex) These are guns with which the agents capture aliens.

    (이것들이 총이다/ (그것을 가지고) 요원들이 외계인을 잡는다.)

 

 계속적 용법

ex) One agent lost the laser gun, which aliens use.

     (요원 한 명이 레이저 총을 잃어 버렸다, 그런데 그것을 외계인들이 사용한다.)

 

 

 

 

8.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관계대명사의 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제한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습니다.

 

ex) There were two aliens whom the agents captured.

    (두 외계인이 있었다/ 요원들이 잡은)

    (속뜻 요원들이 잡은 외계인들만 두명이다, 외계인이 더 있을 수 있다)

 

 

(2)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습니다.

 

ex) There were two aliens, whom the agents captured.

    (두 외계인이 있었다, 그런데 그들을 요원들이 잡았다)

    (속뜻 외계인들이 2명만 있었고, 그들을 요원들이 다 잡아냈다)

 

 

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9. 복합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42)

 

관계대명사 + -ever의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복합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포함합니다.

 

(1) 복합관계사는 해석이 중요합니다. 확실히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whatever   (~하는 것은 무엇이나)

whoever   (~하는 누구나)

whomever (~하는 누구나)

whichever (~하는 어느 것이나)

 

 

ex) Whatever you do, I'm on your side.

    (네가 무엇을 하더라도, 나는 네 편이야.)

ex) I will love whoever will love me.

    (나는 사랑할거야/ 누구든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ex) I will devote myself whomever I love.

    (나는 헌신할 거야/ 누구든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ex) My darling, you can have whichever you choose.

    (자기, 자기는 가질수 있어/ 어느 것이나 골라도)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10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주어, 목적어 중 하나가 없습니다.)

관계부사 다음에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주어, 목적어 다 있습니다.)

 

 

(1) This is the place which is known for Lincoln's death.   (주어 없음)

(2) This is the place where Lincoln was killed.                (다 있음)

 

(1)번은 관계대명사입니다. which 다음에 동사가 바로 왔습니다. is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관계대명사입니다.

(2)번은 관계부사입니다. where 다음에 문장에서 생략된 말이 없습니다. 보통 '주어 + 수동태‘는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핵심정리 040)

 

 

 

 

 

해당 동영상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개념 (핵심정리 035, 037)

 

 

 

 

2.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3. 관계대명사의 해석 (핵심정리 038)

 

 

4.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5. 관계대명사 what (핵심정리 041)

 

 

6.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7. 관계대명사의 생략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8.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9. 복합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42)

 

 

10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핵심정리 040)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총정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계대명사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관계대명사'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관계대명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9.03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수동태 총정리  (10) 2013.03.18

 

4형식 문장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수여동사 (Dative Verbs)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1.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칭찬을)

 

이 문장에서 보듯이 give라는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my son)과 행위(a praise)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행위를 받는 사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한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수여동사들

 

1. to group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2. for group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write

 

 

3.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4.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주: hire는 4형식으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어느 분의 예리하신 지적덕분에 수정합니다.) (^ ^)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수여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고 해석됩니다.

 

 

간단한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4형식 문장 예문들

 

(1) I brought my son seeds.

    (나는 내 아들에게 가져다 주었다/ 씨앗을)

(2)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3) My son asked me questions for gardening.

    (내 아들은 나에게 물어봤다/ 몇 가지 질문을)

(4) The small garden cost my son a little effort.

    (그 작은 정원은 내 아들에게 들게했다/ 약간의 노력을)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이 4형식 문장들에서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my son, me' 가 행위를 받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으로 해석됩니다.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 ‘사물’입니다.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위 예문들에서 직접목적어는 표에서 각각, seeds, a small garden, some questions, a little effort가 됩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 말로 ‘~을, ~를‘로 해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위치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예문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1)번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 내 아들을 위해서)

 

 

 

 

이렇게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 전환은 핵심정리 124에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전환이 가능하게 많이 연습해 보세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수동태



수동태 총정리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5형식 수동태를 공부하겠습니다.


5형식 수동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4. 목적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 동사들 수동태




차례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1번 설명


(1)번 능동태 문장에서 president는 목적어 Lincoln를 설명하는 목적보어입니다.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Lincoln이 주어가 됩니다. 그러므로 president는 주어를 설명하는 주격보어가 됩니다. be 동사 + 주격보어이므로 2형식 문장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면,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5형식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에서 들었던 예문을 다시 보겠습니다.


(1)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O)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3)  President was elected ~                      (X)




2번 설명


(3)번은 (1)번 문장에서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쓴 것입니다. 말이 될 것도 같지만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지각, 사역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 올 수 있습니다.


지각,사역 5형식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각동사 정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0)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1)


예문을 봅시다.


(1) 능동태

    They saw Lincoln enter the White House.

    (그들은 보았다/ 링컨이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을)


(1)번 능동태 문장에서는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enter'가 왔습니다.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2) 수동태

    Lincoln was seen to enter the White House.

    (링컨은 보였다/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이)




3번 설명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enter 앞에 to를 썼습니다. 능동태에서는 동사원형 enter를 썼지만 수동태에서는 to enter가 됩니다. 사역동사도 마찬가지 규칙이 적용됩니다.


이것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목적보어로 to가 오는 동사들


다음 동사들은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합니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1분 정리 033)


그룹 1) advise, allow, ask, expect, encourage, invite, persuade, tell, want

그룹 2) enable, get, force, order




예문을 보겠습니다.


4번 설명


(1) 능동태

    Lincoln allowed the Southern captives to return home.

    (링컨은 허용했다/ 남부 포로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1)번 문장을 수동태로 고쳐 보겠습니다. 

목적보어의 형태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2) 수동태

    The Southern captives were allowed to return home by Lincoln.

    (남부 포로들은 허용되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링컨에 의해서)


(1)번 능동태에서 목적보어 to return은 (2)번 수동태에서도 그대로 ‘to return'으로 쓰였습니다. 즉, 


능동태에서 목적보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수동태에서도 to 부정사 그대로 사용됩니다.




다 함께 수동태를 능동적으로 공부한 이번 시간의 강의를 마칩니다.

 

고맙습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이번 시간에는 5형식 사역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5형식 사역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하게 하다

   have, get, make, let

   (bid)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2. 준사역 help


(사역 동사의 의미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역동사 (make, have, get) (1분 정리 043)




목적보어의 형태


5형식 사역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목적보어의 형태입니다. 5형식 사역동사의 목적보어는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have, make, let) (목적어) (동사원형)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have, make, let) (목적어) (p.p)


2. get

   get 사람 to (간혹 ~ing)

   get 사물 p.p


3. help 목적어 (to or 동사원형)

                   (~ing는 올 수 없음)




그럼 각 동사별로 예문을 보면서 공부하겠습니다.


1. make


(1) :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동사원형

    ex) My boss made me finish this work.

        (내 상사는 내가 끝내도록 했다/ 그 일을)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My boss made this job finished by me.

        (내 상사는 그 일을 끝내게 했다/ 나에 의해서)




2. have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동사원형

    ex) I had the mechanic check my car.

        (나는 수리공에게 검사하게 했다/ 내 차를)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I had my car checked by the mechanic.

         (나는 내 차를 검사시켰다/ 수리공에 의해서)


(let은 예문 생략합니다.)




3. get


(1) 능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할 때,  to 부정사

     ex) I got my son to eat the vegetable.

          (나는 내 아들이 야채를 먹게 했다)

          (구어체에서 to eat 대신에 ~ing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올 경우에도 과거분사를 쓸 수 있습니다)


(2) 수동: 목적어가 목적보어 당할 때,  p.p 과거분사

     ex) I got the vegetable eaten by my son.

         (나는 야채를 먹게 했다/ 내 아들에 의해서)




4. help


(1) 능동: 목적어가 목적 보어할 때,  동사원형 또는 to 부정사

     I help my son do (to do) his homework.

     (나는 도왔다/ 내 아들이 숙제하는 것을)


2. 수동

    help는 목적보어가 p.p(과거분사)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사역동사의 목적보어를 살펴보았습니다. 


Simple is Better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능동,수동 문장들은 문법적으로는 올바른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영어, 어쩌면 모든 언어에 공통적인 ‘원칙’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간단한 표현이 더 낫다’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능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굳이 수동으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능동을 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5형식 사역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을 기대해 주세요!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유사보어 (준보어) (quasi-predicative)  (9) 2013.04.17

관계 대명사 (RELATIVE PRONOUNS)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he man WHO was here has gone away.

     (여기있던 남자가 가버렸다)

(2) He has lost the ball WHICH you gave him.

    (그는 네가 주었던 공을 잃어 버렸다)

(3) She WHOM you love is sick.

    (당신이 사랑하는 그녀가 아프다)




설명


첫 번째 문장에서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을 설명하는 대명사입니다. 이와 같은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man'은 관계 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인데,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는 ‘앞에 있는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which는 ball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있는 ball은 which의 선행사입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whom은 he를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리고 HE는 그것의 선행사입니다.



관계대명사


관계 대명사는 앞에 있는 선행사(명사나 대명사)를 설명합니다.


ex) I have lost the book WHICH I bought.

    (나는 그 책을 잃어 버렸다/ 내가 샀던)


관계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who, whose, whom, what, that -





관계대명사의 정의


관계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앞에 있는 선행사를 대신하고,

앞 뒤의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하는 말




감사합니다.


사역동사 (make, have, get)

 



이번 시간에는 사역동사 make, have, get의 의미차이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사역의 강도


make, have, get은 사역동사로서 셋 다 ‘~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역’의 강도가 다릅니다.


각 단어별 사역의 강도입니다.

make > have > get




2. 단어별 의미


감을 살리기 위해서 영영사전식 풀이를 했습니다.


(1) make   force somebody to do something.

    (누군가에게 무엇을 하도록 (강제로) 시키다)


(2) have    ask somebody to do something.

    (누군가에게 무엇을 하도록 부탁(요청)하다)


(3) get     convince(trick) somebody to do something.

   (누군가를 설득하거나(속여서) 뭔가를 하도록 하다)




3. 예문


(1) The police officer made him drop the weapon.

     (경찰은 그에게 무기를 내려놓게 하였다)


(2) My wife had me clean the dishes.

     (내 아내는 내게 집을 설거지를 하게 하였다)


(3) We got our daughter to take the medicine with a candy.

     (우리는 딸이 약을 먹게 했다/ 사탕으로)




그럼 이상으로 사역동사 make, have, ge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원급 as  (12) 2013.04.30
for, because 차이  (6) 2013.04.28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5) 2013.04.21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0) 2013.04.21
little, a little 차이  (2) 2013.04.21

살리에르 증후군 (1부)



살리에르 증후군


2인자의, 1인자에 대한 열등감과 시기가 도를 지나쳐 1인자를 파멸로 몰아가는 것.

(학문적으로 ‘살리에르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영화, AMADEUS


살리에르 증후군이 대중들에게 알려진 것은 너무(!) 잘 만들어진 한 편의 영화 때문이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1984년작 ‘AMADEUS'입니다.


원작자 피터 쉐퍼(Peter Shaffer)가 직접 각색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밀로스 포먼(Miloš Forman) 감독이 스크린에 아로새긴 AMADEUS. 아카데미상을 휩쓸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봐도 훌륭한 영화임에 틀림없습니다.


모든 걸작 영화의 미덕을 이 영화도 갖추고 있습니다. 


훌륭한 시나리오

완벽한 연기 

그리고 모차르트의 아름다운 음악




살리에르의 부활


그리고 이 영화는 관 속에 누워있던 한 음악가를 불러냈습니다.


안토니오 살리에르 (Antonio Salieri)

18세기, 오늘 날의 뉴욕이라 칭할 수 있는 오스트리아 빈. 그 빈을 정치 경제적으로 지배하던 합스부르크가. 안토니오 살리에르는 그 합스부르크가의 궁정음악장이라는 지위를 18년 동안이나 차지하고 있었던 음악계의 황제였습니다. 굳이 비유하자면 18세기의 ‘레너드 번스타인’쯤 될까요? 물론 영향력이라는 측면에서 번스타인은 살리에르의 발 뒤꿈치쯤에나 갔을 겁니다.


사실, 좀 지루하게 생겼다, 이 아저씨...




천재를 시기하는 수재


18세기 제도권 음악의 황제 살리에르와 신이 내린 파격의 천재 모차르트. 


둘의 대립은 웬지 극적입니다. 노력하는 수재 살리에르는 게으른 천재 모차르트를 질투하고 시기합니다. 결국 살리에르는 모차르트를 파멸로 몰아갑니다. 그리고 우리들 보통 사람들은 살리에르를 손가락질합니다. 그렇지만 마음 한 구석에서 우리들은 알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살리에르입니다. 모차르트가 아니라...




사실에 상관없이...


살리에르가 많은 젊은 음악가들을 후원했고, 인격적으로 훌륭한 음악가였다는 것은 부인할 여지가 없는 역사적 사실입니다. 궁정 음악장이라는 지위를 18년 동안이나 유지했던 것도 한 증거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사실들은 재미없습니다. 우리는 조화가 아닌 갈등을 원합니다.




to be continued in

2부   Simon & Gafunkel

3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지와 사랑)


(오랜 만에 영어 아닌 다른 글을 쓰니 힘듭니다. ㅎ)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이번 시간에도 지각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무의지 동


지각동사는 무의지 동사라고도 합니다.

지각동사를 정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입니. 그렇지만 여기서는 ‘무의지’를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지각동사는 주어의 ‘의지가 들어있지 않는 동사입니다.




hear, listen to


‘듣다’는 의미를 가진 hear와 listen to를 봅시다.


(1) hear 

hear는 귀가 있기에 그냥 들리는 것입니다. 

잠시 눈을 감아 보세요.............

안 들렸던 무수한 소리(소음)들이 들리기 시작할 겁니다. 이렇게 들리는 것이 ‘hear'입니다.


(2) listen to

listen to는 의지를 가지고 집중하여 듣는 것입니다. 수업 시간에 집중하여 강의를 듣는 것이 listen to입니다.


(무의지를 기준으로 할 때, listen to는 지각동사가 아닙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 hear

   Don't shout! I hear your voice.

   (소리 지르지마! 다 들려.)


(2) listen to

    The students listened to their teacher.

    (학생들은 귀 기울였다/ 선생님에게)


    이렇게 사용됩니다.




여러분은 제 강의를 hear 하십니까? 

listen to 하시고 계시죠?

Definitely!


그럼 이상으로 hear listen t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 because 차이  (6) 2013.04.28
사역동사 (make, have, get)  (12) 2013.04.22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0) 2013.04.21
little, a little 차이  (2) 2013.04.21
의문사 + to 부정사  (10) 2013.04.17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1분 정리 040)  동영상 강의




1분 정리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각동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지각동사: 무의지 동사


지각동사는 무의지 동사라고도 합니다. 지각동사를 정하는 기준은 상당히 개인적입니다. 그렇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무의지’입니다. 다시 말하면 지각동사는 ‘의지가 들어있지 않는 동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보다’라는 의미를 가진 see, watch, observe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보다

(see - watch - observe)


1. see

눈을 돌리면 그냥 보이는 것입니다. 보려고 하지 않아도 눈에 보이는 것이 see입니다.


2. watch

‘(걱정을 하면서) 주의 깊게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3. observe 

관찰하다, 목격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말 그대로 자세히 주의 깊게 보는 것입니다.


무의지라는 기준으로 볼 때 지각동사에 해당되는 것은 see입니다. watch나 observe는 무의지 동사라고 말하기 곤란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 see

    I see everything with my eyes.

    (나는 모든 것을 본다/ 눈으로)


(2) watch

    I watch my daughter playing on the riverside.

    (나는 내 딸이 노는 것을 본다/ 강가에서)


(3) observe

    He observed monitor to identify the suspect.

    (그는 모니터를 보았다/ 용의자를 알아내기 위하여)


이러한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세 동사에서 지각동사는 무의지를 기준을 할 때는, see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은 제 강의를 어떻게 보십니까?

see 하십니까?

watch 하십니까?

observe 하십니까?

watch, observe 하시길 바랍니다. (^ ^)


그럼 이상으로 see watch, observe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동사 (make, have, get)  (12) 2013.04.22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5) 2013.04.21
little, a little 차이  (2) 2013.04.21
의문사 + to 부정사  (10) 2013.04.17
bring, take (의미 차이)  (6) 2013.04.17

little, a little


little, a little 차이 (1분 정리 039)  동영상 강의




이번 시간에는 little, a little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차이 정리


little은 셀 수 없는 말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그리고 little, a little은 양의 ‘많고, 적고’가 아닙니다. little, a little은 ‘부정, 긍정’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예문 1


똑같이 컵에 물이 절반 남은 것을 보고 말하는 상황입니다.


A: There is little water.

    (물이 별로 없다, 없다는 부정적 뉘앙스)


B: There is a little water.

   (물이 조금 있다, 있다는 긍정적 뉘앙스)





little, a little 의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little        별로 없다    (없다는 부정적 뉘앙스)

a little     (약간) 있다   (있다는 긍정적 뉘앙스)




예문 2


어떤 과제를 해야되는 상황입니다.


A: You need little effort on this work.

   (너, 별로 노력할 것도 없어/ 이 일은) 

 

B: You need a little effort on this work.

   (너, 좀 노력해야 된다/ 이 일은) 




Thanks for your timing!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동사 (hear, listen to 차이)  (5) 2013.04.21
지각동사 (see, watch, observe 차이)  (0) 2013.04.21
의문사 + to 부정사  (10) 2013.04.17
bring, take (의미 차이)  (6) 2013.04.17
find, find out  (3) 2013.04.17

4형식과 5형식의 구별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과 5형식 문장을 구별해 보겠습니다.



4형식, 5형식 어순


4형식과 5형식은 문장형식이 비슷합니다.


(1) 4형식      I.O  D.O 

(2) 5형식     V  O   O.C 


문제는 4형식의 I.O(간접 목적어) D.O(직접 목적어) 때문에 발생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를 목적어, 목적보어로 혼동하기 때문입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그렇지만 구별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구별의 포인트입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다시 한번 목적보어를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목적보어

목적어를 설명하는 말로서, 목적어와 주술 관계를 이룬다.




그럼,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예문 1


(1) My dad made me a chair.

    (아빠가 나에게 의자를 만들어 주었다) (4형식)


(2) My dad made me a doctor.

    (아빠가 나를 의사로 만들었다)          (5형식)




설명 1


(1)번을 봅시다.

(1)번에서 목적어와 목적보어로 보이는 me, a chair의 관계를 봅시다. me(나)와 a chair(의자)가 주어·술어 관계를 이루는지 봅시다. ‘나는 의자다’. 말이 안 됩니다. chair는 목적보어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1)번은 5형식이 아닙니다.


(2)번을 봅시다.

me, a doctor를 보면 ‘나는 의사다’라고 주술 관계가 성합니다. a doctor는 목적보어입니다. 그러므로 (2)번은 5형식이 됩니다.




예문 2


다음 문장의 형식을 말하세요.

(1) She got me a present. (4형식, 5형식)

    (그녀는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2) She got me happy. (4형식, 5형식)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했다)




설명 2


(1)번은 4형식입니다. 'me  present', ‘나는 선물이다’는 말이 되지 않습니다. 목적어 me와 present 사이에 주어 술어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5형식은 아닙니다. present(선물)를 직접 목적어로 해석하여 ‘나에게 선물을 주다’로 해석해야 합니다. 4형식 문장입니다.


(2)번은 5형식입니다.

me와 happy는 ‘나는 행복하다’가 되어 ‘주술관계’가 성립합니다. happy는 목적어를 설명하는 ‘목적보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5형식 문장 예문




이번 시간에는 5형식 문장을 직접 분석해 보겠습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5형식 문장에서는 목적어와 목적보어 사이에 주어 술어관계가 성립합니다. 즉, ‘목적어는 목적보어이다’가 됩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했듯이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같으면 명사보어, 목적보어가 목적어와 같지는 않고 단지 목적어를 설명하는 것이면 형용사 보어가 됩니다.


5형식 목적보어 설명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5형식 문장 (목적보어) (5형식 동사) (핵심정리 117)




예문 분석 (1-3)


1. The boys chose Ned captain of the base-ball team.

   (소년들은 Ned 선택했다.)

   (Ned는 야구팀의 주장이다, 목적어와 목적보어 사이에 주술 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Ned = captain이므로 명사보어)


2. I called her my sister.

   (나는 불렀다/ 그녀를 내 여동생이라고.)

   (그녀는 내 여동생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녀 = 내 여동생이므로 명사보어)


3. We thought you very kind.

   (우리는 생각한다/ 당신이 매우 친절하다고)

   (당신이 친절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kind가 목적어 you와 같지는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예문 분석 (4-6)


4. They named the child John.

   (그들은 이름지었다/ 그 아이를 John이라고.)

   (그 아이는 John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 아이 = John 이므로 명사보어)


5. Our success made us happy.

   (우리의 성공이 만들었다/ 우리를 행복하게)

   (우리가 행복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appy가 us와 같지는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보어)


6. Did you call that man your father?

   (당신은 불렀는가/ 저 남자를 당신의 아버지라고?)

   (저 남자는 당신의 아버지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저 남자 = 당신의 아버지이므로 명사보어)




예문 분석 (7-9)


7. The President appointed his friend Secretary of State.

   (대통령은 임명했다/ 그의 친구를 국무장관으로.)

   (그의 친구가 국무장관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그의 친구 = 국무장관이므로 명사보어)


8. We think him tall.

   (우리는 생각한다/ 그가 크다고)

   (그가 크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tall가 him이 같지는 않고, him을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9. The accident made him a cripple.

   (사고가 만들었다/ 그를 불구로.)

   (그가 불구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e = cripple 이므로 명사보어)




5형식 문장 예문 분석 (10-12)


10. The jury pronounced him guilty.

    (배심원들은 선고했다/ 그가 유죄라고)

    (그가 유죄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guilty는 him과 같지않고 him를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보어)

11. He made himself famous by his own ability.

    (그는 만들었다/ 자신을 유명하게/ 그 자신의 능력으로)

    (그가 유명하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famous는 him과 같지 않고 설명할 뿐이므로 형용사 보어)


12. He declared himself a candidate.

    (그는 선언했다/ 자신이 후보라고)

    (그는 후보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self = a candidate이므로 명사보어)




예문 분석 (13-15)


13. He called the island a perfect paradise.

    (그는 불렀다/ 그 섬을 완벽한 이상향이라고.)

    (그 섬은 이상향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island = a perfect paradise이므로 명사보어)


14. They made him keeper of the money.

    (그들은 만들었다/ 그를 돈의 관리자로)

    (그는 돈의 관리자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 = keeper 이므로 명사보어)


15. Robert's experience makes him a valuable partner.

    (Robert의 경험이 만들었다/ 그를 소중한 동업자로)

    (그는 동업자이다, 주술관계가 성립하므로 5형식)

    (him = a valuable partner이므로 명사보어)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유사보어 (준보어)





유사보어(준보어)란?


유사보어란 1형식 완전 자동사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와서 보어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died rich.            (형용사 유사보어)

    (그는 부자로 죽었다.)


(2) He died a millionaire.  (명사 유사보어)

    (그는 백만장자로 죽었다.)


동사 die는 원래 보어가 필요없는 완전자동사입니다. 이 die 뒤에 (1),(2)번과 같이 형용사나 명사가 와서 보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유사보어라고 합니다.




원래 문장


(1),(2)번을 한 번 고쳐 써 보겠습니다.


(1) He died rich.

(3) He died when he was rich.

    (그는 부자였다/ 그가 죽었을 때.)


(2) He died a millionaire.

(4) He died when he was a millionaire.

    (그는 백만장자였다/ 그가 죽었을 때)


보시는 것처럼 (3),(4)번을 줄인 것이 (1),(2)번입니다. 간결하기 때문에 (1),(2)번과 같이 쓰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유사보어 예문 (1-4)


(1) The couple married young.

    (그 커플은 젊어서 결혼했다)


(2) The door broke open.

    (그 문은 깨져서 열렸다.)


(3) Many children still go hungry.

    (많은 아이들이 여전히 굶주린다)


(4) We lay satisfied.

    (우리는 누웠다/ 만족해서)




유사보어 예문 (5-8)


(5) He lived a millionaire and died a beggar.

    (그는 백만장자로 살다가 거지로 죽었다)


(6) The well ran dry.

    (우물이 말라버렸다)


(7) He returned home bankrupt.

    (그는 파산해서 집에 돌아왔다)


(8) He sat reading a book.

    (그는 앉았다/ 책을 읽으면서)




위에 있는 예문들을 잘 익히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