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대명사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형용대명사 -


이번 시간에는 인칭대명사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예문


먼저 예문을 봅시다.

(1) I saw Jim ; HE was in the garden, but HE did not see me.

(2) Mary is gone ; SHE went an hour ago.




설명 1


-첫 번째 문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1) I saw Jim; Jim was in the garden, but Jim did not see me. 


이렇게 한 문 같은 단어 Jim을 계속 반복하면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Jim대신에 ‘He'를 썼습니다. ’He'라는 단어는 Jim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람을 대신하므로 ‘인칭대명사’라고 불립니다.




설명 2


마찬가지로,

- 두 번째 문장에서는 Mary 대신에 ‘She'를 사용했습니다. 



     (2) Mary is gone ; Mary went an hour ago. 


     위 문장 역시 Mary의 반복된 사용으로 어색합니다. 

Mary is gone ; SHE went an hour ago.‘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여기에서 'she'는 Mary를 대신하는 인칭대명사입니다.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를 대신하여 쓰입니다.


ex) The boy is not here; HE has gone away. 



잘 보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 대명사  (9) 2013.04.23
인칭 (person)  (4) 2013.04.15
명사의 격(case) 주격, 소유격, 목적격  (3) 2013.04.10
중성명사, 통성명사 (neuter, common)  (6) 2013.04.08
like, as (~처럼)  (6) 2013.04.03

2형식 동사 정리





2형식 동사: BE 유형, BECOME 유형


2형식 동사는 크게 보아 BE(~이다) 유형, BECOME(~이 되다)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은 주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is thin.

     (그는 말랐다.)         (마름 -> 마름)

(2)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안 마름 -> 마름)

    속뜻 그는 안 말랐었는데 말라 버렸다.


(1),(2)에 사용된 2형식 동사들은 주어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의미가 약간 다릅니다. (1)번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습니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상태가 바뀝니다’. ‘안 말랐었는데 말라버렸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상태유지, 상태변화


이렇게 be동사는 상태를 유지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become은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 -> 상태 유지

become -> 상태 변화




2형식 동사들을 be동사(상태유지), become(상태변화)유형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be 동사 (상태유지형)


be 동사 유형에 속하는 동사들은 대부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에서 다루겠습니다.


(1) be 동사   (~이다)

    (예문 생략)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동사

 형용사

 의미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hold  good  유효하다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동사

 형용사

 의미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4) seem 유형 + 형용사  (~ 처럼 보이다)


 

동사

 형용사

 의미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역시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마찬가지로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동사

 형용사

 의미

 
  become fat 뚱뚱해 지다 
  come true 사실이 되다 
 

 fall

 short 부족하다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go wild   난폭하게 되다 
  run dry 마르게 되다 
  turn sour  시게 되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예문




이번 시간에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의 예문을 공부하겠습니다.


1. 희망동사


expect, hope, want, wish, would like to


(1) I (hope, want, wish, would like) to marry him.

     (나는 그와 결혼하고 싶어.)


(2) I expect to live happily with him.

    (나는 기대한다/ 그와 행복하게 살기를.)




2. 계획, 의도 동사

agree, choose, decide, fail, hesitate, intend 

manage, need, plan, prepare, promise, refuse


가난하지만 사랑하는 젊은 부부 예문입니다.

agree, choose, decide, fail


(1) I agreed to marry him.

    (나는 동의했다/ 그와 결혼하기를.)


(2) I chose to share his difficulty.

    (나는 선택했어/ 그의 어려움을 나누기로.)


(3) We decided to skip our honeymoon.

    (우리는 결정했다/ 신혼여행은 생략하기로.)


(4) We failed to buy a comfortable house.

    (우리는 실패했다/ 안락한 집을 사는 것을.)




hesitate, intend, manage, need


(5) We didn't hesitate to live such a humble house.

    (우리는 주저하지 않았다/ 그렇게 보잘것 없는 집에 사는 것을.)


(6) He intended to do an extra part time job.

    (그는 추가로 아르바이트를 하려고 했다.)


(7) We can manage to live somehow.

    (우리는 해 나갈거야/ 어떻게든.)


(8) He needed to shorten his sleep.

    (그는 잠을 줄여야 했어.)




plan, prepare, promise, refuse


(9) I planed to keep household accounts.

     (나는 계획을 세웠다/ 가계부를 쓰기로.)


(10) I prepared to spend less.

     (나는 덜 쓸 준비가 되어있다.)


(11) He promises to love me forever.

     (그는 약속한다/ 영원히 나를 사랑할 거라고.)


(12) We refuse to give up.

     (우리는 거부한다/ 포기하는 것을.)




잘 보셨죠?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 find out  (3) 2013.04.17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8) 2013.04.15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4) 2013.04.13
high, tall 차이  (4) 2013.04.11
sick, ill 차이  (4) 2013.04.11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이번 시간에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미래 동사 + to 부정사 


기본적으로 to 부정사는 미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래 의미에 대한 설명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stop to 부정사, stop 동명사 (stop to do, stop ~ing) (1분정리 014)


그러므로 미래동사들은 미래의 의미가 있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게 됩니다. 




미래 동사들


다음은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미래동입니다.


1. 희망동사

    expect, hope, want, wish, would like to


2. 계획, 의도

   agree, choose, decide, fail, hesitate, intend 

   manage, need, plan, prepare, promise, refuse




예문


예문은 세 개만 들겠습니다.


(1) I chose to marry him.

    (나는 선택했어/ 그와 결혼하는 것을.)


(2) I didn't hesitate to marry such a poor man.

    (나는 주저하지 않았어/ 그렇게 가난한 사람과 결혼하는 것을.)


(2) We can manage to live somehow.

    (우리는 해 나갈거야/ 어떻게든.)




예문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예문 (1분정리 032)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형식 문장규칙




이번 시간에는 2형식 동사의 어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2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은 단연코,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2형식 동사의 보어 자리에는 부사는 올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문법은 다음 두 문장의 차이를 이해하면 끝납니다.


(1) You look beautiful.

(2) You look beautifully.


대부분의 사람들이 2번 문장은 틀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내신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시험에도 그렇게 출제가 됩니다. 그런데 과연 정말로 2번은 ‘틀린’ 문장일까요?




한 번 봅시다.



형용사와 부사


1번과 2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용사’와 ‘부사’의 역할을 알아야 합니다.


형용사    명사나 대명사 수식

부사       동사 형용사 부사 수식


수식이라는 것은 ‘수식받는 대상을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look beautiful, look beautifully


1번 문장에서 beautiful은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장에서 beautiful이 수식할 수 있는 말은 대명사인 'you'가 됩니다. 결국 ‘당신이 아름다운 것’입니다.


2번 문장에서 beautifully는 부사입니다. 그러므로 동사 look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바라보는 것이 아름답다’가 됩니다.


수식의 의미를 살려 두 문장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You look beautiful.

   ('당신' 아름다워.)

2. You look beautifully.

   (당신이 ‘바라보는 것’이 아름다워.)

이런 의미쯤 됩니다.


생활에서 2번같이 말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보통은 1번같이 말합니다. 그렇다고 2번이 ‘틀린’ 문장일까요?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이 ‘바라보는 것 자체가 아름다울 수’도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 turn, taste, smell


몇 문장 더 예문을 들겠습니다.


(1) He turned (pale / palely).

(2) This medicine tastes (bitter / bitterly).

(3) Roses smell (sweet / sweetly).


1-3번에 쓰인 동사들은 '2형식‘ 동사들입니다.

(2형식 동사들에 대해서는 핵심정리 114편에서 정리하겠습니다. )




turned pale


원리만 이해하면 전혀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1번부터 보겠습니다.


1번에서, 

부사 palely를 쓰게 되면 동사 turned를 수식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창백하게 돌다’라는 말이 되어버립니다. 도대체 창백하게 도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까? 

형용사 pale을 쓰면 대명사 'he‘를 수식합니다. ’그가 창백하다‘, 이제 말이 됩니다.


ex) He turned pale.

    (그는 창백하게 되었다.)




tastes bitter


2번에서,

부사 bitterly를 쓰게 되면 동사 taste를 수식하게 됩니다. 약이 맛을 볼 수 있습니까? 이것 역시 엽기적인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형용사 bitter는 명사 'medicine'를 수식하여 ‘약이 쓰다’라는 정상적인 말이 됩니다.


ex) This medicine tastes bitter.

    (이 약은 쓴 맛이 난다.)




smell sweet


3번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사 sweetly는 동사 smell을 수식합니다. ‘장미가 냄새를 달콤하게 맡다’라는 마찬가지로 엽기적인 문장이 됩니다. 

형용사 sweet는 명사 rose를 수식하여 ‘달콤한 향기가 나는’이라는 상식적인 문장이 됩니다.


 ex) Roses smell sweet.

     (장미는 달콤한 향기가 난다.)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2형식 문장들에서 이러한 내용만을 정리해 놓은 규칙이 앞에서 말했던,


‘2형식 동사 + 형용사 보어’

라는 것입니다.


문법은 이렇게, 지극히 상식적인 문장들만을 모아 규칙으로 만든 것입니다. 문법이 실제로 사용되는 ‘말’이라는 것을 무시하고 규칙만 외우면 말 그대로 ‘죽은 문법’이 됩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왜 ‘You look beautiful.'를 쓰는지 아셨을 겁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형식 동사 예문  (8) 2013.04.16
2형식 동사 정리  (8) 2013.04.14
자동사 타동사일때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23) 2013.04.08
자동사야, 타동사야?  (29) 2013.04.07
조동사 could  (13) 2013.04.06

high, tall 차이





시작하기에 앞서 알아 두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tall'은 사람의 키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그렇지만, tall'은 사람에게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tall building'과 같이 사물에도 쓰입니다.



의미


high    높은             (바닥으로부터 꼭대기까지)

tall     키가 큰, 높은   (직립한 물체의 높이)




예문


예문을 보겠습니다.

(1) Mt. Everest is the (high, tall)est mountain in the world.

    (에베레스트 산은 가장 높다/ 세계에서)


(2) The (tall, high) building has fine view.

    (그 높은 빌딩은 경치가 좋다.)


(1)번은 high를 써야합니다. 산이 직립했다는 것은 좀 엽기입니다. (2)번은 tall을 써야합니다. 건물은 똑바로 서 있으니까요.




high만 쓰는 경우


그리고 high는 tall과는 달리, 공중에 떠 있는 물체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The airplane is flying high in the air.

    (비행기가 하늘 높이 떠 있다.)


당연히 이 문장에서는 tall을 쓸 수 없습니다.



두 단어의 의미 차이가 잘 이해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ick, ill 차이 




둘 다 ‘아픈’이지만 내포하는 의미는 다릅니다.



의미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sick     (가벼운 병으로) 아픈

ill        (심한 병으로) 아픈




예문


예문에서 알맞은 말을 골라 봅시다.

(1) I am (sick, ill) from the flu.

    (나는 아프다/ 감기 때문에.)


(2) I am (sick, ill) from pneumonia.

    (나는 아프다/ 폐렴 때문에.)


(1)번은 사소한(?) 감기 때문에 아픈 것이니 'sick'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폐렴’은 심각한 병입니다. 그러므로 ill을 써야 합니다.




보통 'ill, sick'은 자주 구별없이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분명히 둘의 의미차이는 있습니다.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4) 2013.04.13
high, tall 차이  (4) 2013.04.11
good, well 차이  (4) 2013.04.11
last, latest 차이  (2) 2013.04.11
each, every  (7) 2013.04.11

good, well 차이





이번 시간에는 good과 well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품사 정리


먼저 두 단어의 품사를 분명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good    형용사

well      형용사, 부사




예문


다음 예문에서 알맞은 말을 골라 봅시다.


(1) He is a (good, well) singer.

    (그는 좋은 가수다.)


(2) He sings (good, well).

    (그는 노래를 잘한다.)


(1)번은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므로 good을 써야 합니다. well은 형용사로 쓰이긴 하지만 명사 앞에서 수식할 수는 없습니다. (2)번은 부사 well을 써야 합니다. 동사 sing을 수식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이 good, well이 둘 다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둘 다 형용사로 쓰일 때


(1) You look good.

    (너 좋아 보인다.)

    (속뜻  You look healthy and handsome.)


(2) You look well.

    (너, 건강해 보인다.)

    (속뜻  You look healthy)


속뜻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겁니다. 

(1)번 'You look good.'은 ‘건강할 뿐만 아니라 잘생겨 보여’라는 의미입니다. (2)번 ‘You look well.’은 ‘너 건강해 보인다’라는 뜻입니다.




이 두 단어는 쉬우면서도 혼동하기 쉽습니다.

품사를 정확히 정리하셔야 합니다. 

특히 형용사로 사용될 때 의미차이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gh, tall 차이  (4) 2013.04.11
sick, ill 차이  (4) 2013.04.11
last, latest 차이  (2) 2013.04.11
each, every  (7) 2013.04.11
by, until 차이  (25) 2013.04.09

last, latest 차이





이번 시간에는 last와 latest 차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last와 latest는 둘 다 형용사 late의 최상급입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이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last     가장 나중 

         (맨 처음의 반대말)


latest  가장 최근의 

         (최신의; 구식의 반대말)




적용


다음 예문에 알맞은 말을 골라봅시다.

(1) It is the (last, latest) bus to go home.

   (이것이 마지막 버스다/ 집으로 가는.)

(2) It is the (last, latest) model phone.

   (그것은 최신 모델 폰이다.)


(1)번에서는 last가 맞습니다. 집으로 가는 최신버스는 말이되지 않습니다. (2)번은 latest가 맞습니다. 마지막 모델폰, 뭔가 엽기적입니다. 최신모델이 자연스럽습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둘 다 late의 최상급이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ck, ill 차이  (4) 2013.04.11
good, well 차이  (4) 2013.04.11
each, every  (7) 2013.04.11
by, until 차이  (25) 2013.04.09
동명사 (명사역할)  (2) 2013.04.04

each, every 




이들 단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자주 쓰는 것들입니다.

그렇지만 그 의미 차이를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도 구별을 어려워하는 것들입니다.


단순하게 의미만 알아서는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예문을 통해서 확실하게 익혀 두셔야합니다.


그럼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의미


each   각각의

every   모든


풀어서 설명하면 each는 ‘개별적인 것’every는 ‘전체’를 의미합니다.




두 단어를 '모두'라고 해석해 버리면 의미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적용


그럼 다음 예문에서는 each와 every 중 어느 것을 써야할까요?


(1) (Each, Every) one has a phone.

    (모든 사람이 전화가 있다.)


(2) (Each, Every) one has their own number.

    (각각 자신만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1)번은 사람들 전체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every를 써야합니다. (2)번은 each를 써야합니다. 전화번호는 각각 개별적으로 가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확실히 이해가 안 가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이 두 단어 구별은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닙니다.

보실 때 마다 주의하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well 차이  (4) 2013.04.11
last, latest 차이  (2) 2013.04.11
by, until 차이  (25) 2013.04.09
동명사 (명사역할)  (2) 2013.04.04
beside, besides  (10) 2013.04.03

격(CASE)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격(case)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예문


(1) The girl struck the boy. 

     (소녀가 소년을 쳤다.)


(2) The wind blew the tree. 

    (바람이 나무를 날려버렸다.)


(3) Ann drank the wine. 

    (Ann이 와인을 마셨다.)




주격


- ‘누가’ 소녀를 쳤습니까? 소녀(The girl)입니다. 여기에서 소녀는 ‘주격’입니다. 왜냐하면 소녀는 동사 앞에 위치해서 ‘누가(who)'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때문입니다.


- ’무엇이‘ 나무를 날려 버렸습니까? 바람(The wind)입니다. 'wind'는 주격입니다. 바람은 동사 앞에 위치하여, 'what'으로 시작하는 질문에 답하고 있습니다.


- ‘누가’ 포도주(wine)를 마셔버렸습니까? Ann입니다. Ann은 주격입니다. Ann은 동사 앞에서 ‘누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있습니다.




목적격


- 소녀가 ‘누구를’ 쳤습니까? 소년(boy)입니다. 소년은 목적격입니다. 왜냐하면 소년은 동사 뒤에 와서 ‘누구를’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때문입니다.


- 바람이 ‘무엇을’ 날려버렸습니까? 나무(the tree)입니다. 나무는 목적격입니다. 동사 뒤에 위치하여 ‘무엇을’이라는 질문에 답하고 있습니다.


- Ann이 ‘무엇을 마셨버렸습니까? 포도주(the wine)입니다. 포도주는 같은 이유에서 목적격입니다.





격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주격, 목적격, 소유격


주격은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옵니다.

- The GIRL cut the paper. (소녀가 종이를 잘랐다.)


목적격은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옵니다.

- The GIRL cut the PAPER. (소녀가 종이를 잘랐다.)


소유격은 소유를 나타냅니다.

- The BOY'S marble is here. (소년의 구슬이 여기 있다.)




주격과 목적격


- ‘The girl cut the paper.'라는 문장에서, cut은 동사입니다. 그러므로 동사 cut 앞에 오는 'girl'은 주격입니다.


- 동사(cut) 다음에 오는 명사 (the paper)는 목적격입니다.


- ‘The boy's marble is here.’라는 문장에서, ‘boy's’는 그 구슬이 누구에게 속해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boy's'는 소유격입니다.




소유격


단수명사의 소유격은 명사에 ('s)를 붙여서 만듭니다.

- 주격, man ; 소유격, man's.


복수명사의 소유격 또한 단수명사와 마찬가지로 명사에 ('s)를 붙여서 만듭니다.

- 주격, men ; 소유격, men's


복수 명사가 s로 끝날 때는 (‘)만 붙입니다.

- horses' teeth


- horses' teeth는 ‘많은 말들의 이빨들’을 의미합니다; horse's teeth는 한 마리 말의 이빨들을 의미합니다.




기본 개념정리이므로 최대한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이 정도만 아셔도 문법 이해에는 충분할 걸로 생각합니다.


그럼, 시간 내주셔서 고맙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칭 (person)  (4) 2013.04.15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2) 2013.04.15
중성명사, 통성명사 (neuter, common)  (6) 2013.04.08
like, as (~처럼)  (6) 2013.04.03
관사 (article) (부정관사, 정관사)  (8) 2013.03.31

by, until 차이




이번 시간에는 by와 until의 차이점을 공부해보겠습니다.



완료, 계속


by와 until은 우리말로 옮기면 둘 다 ‘~까지’로 해석됩니다. 문법책을 보면 by는 ‘완료’, until은 ‘계속’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의미를 알 수 없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예문 1


(1) You should come back home by 9.

     (너는 집에 9시까지 돌아 와야해.) 

     속뜻   그 자리에 없어도 됨


(2) You should study here until 9.

    (너는 9시까지 공부해야해.) 

    속뜻   그 자리에서 계속


예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by'는 그 행위를 계속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때까지만 하면 됩니다. 그렇지만 until은 ‘끊임없이 계속’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 번 더 예문을 보면서 확인해 봅시다.



예문 2


    너는 보고서를 내일까지 제출해야해.

(1) You should submit your report (by, until) tomorrow.


    너는 내일까지는 이 보고서만 작업해야 해.

(2) You must work on the report (by, until) tomorrow.


(1)번은 내일까지만 하면 되므로 by입니다. 그렇지만 (2)번은 내일까지 계속해야 하므로 ‘until'을 써야 합니다.





어떻습니까?

이제 두 단어를 구별할 수 있습니까?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서 설명했습니다만...


사실 저도 이런 단어들은 혼동되는 것들입니다.

단지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머리 싸매고 '공부'하는 것 뿐이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st, latest 차이  (2) 2013.04.11
each, every  (7) 2013.04.11
동명사 (명사역할)  (2) 2013.04.04
beside, besides  (10) 2013.04.03
be due to 동사원형, be due to 명사(~ing)  (13) 2013.04.03

중성명사, 통성명사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중성(Neuter)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남성(Masculine), 여성(Feminine)과 마찬가지로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말씀드렸듯이 현대 영어는 성(Gender)을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습니다.



1. 중성명사(neuter)


예) Desk, phone, glass, watch.


설명

- Desk는 he도 she도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남성도 여성도 아닙니다. 이렇게 남성도 여성도 아닌 Desk같은 명사를 중성(neuter)이라고 부릅니다. Neuter는 ‘둘 다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Phone 또한 he도 she도 아니므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중성입니다.




2. 통성명사 (commons)


예) Bird, child, animal, friend.


설명

- 명사 ‘새(bird)’는 수컷일 수도 있고, 암컷일 수도 있습니다. 새와 같이 남성과 여성에 같이 쓰이는 명사를 ‘통성명사(common)'라고 합니다. '아이(child)' 역시 소년일 수도 있고 소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이도 통성명사입니다.




3. 중성명사와 통성명사


중성명사 (Neuter)

생명이 없어서 성을 갖지 못하는 명사를 중성명사(Neuter Nouns)라고 부릅니다.

- table, pen.


통성명사 (Commons)

어떤 명사들은 양쪽 성에 공통이어서, 남성일수도 여성일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명사들을 통성명사(common nouns)라고 부릅니다.

- parent, friend, bird.



이 부분에 관한 글을 올릴까 고민했습니다.

요즘에는 별로 구별하지 않는 부분들이라서요.


그렇지만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런 개념까지 궁금해 하시고 검색하시는 분들,


여러분들의 앞길에 무궁한 발전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일 때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들 (핵심정리 109)  동영상 강의




의미 정리입니다. 

 동사

 자동사 

 타동사 

 동사

 자동사

 타동사

 become

 ~이 되다

 울리다

 decline

 감소하다

 거절하다

 count

 중요하다

 세다, 계산하다

 pay

 이익이 되다

 지불하다

 do

 충분하다

 하다

 run

 달리다

 운영하다

 grow

 ~이 되다

 키우다

 stand

 서다 

  참다, 견디다



각 단어별 예문입니다.

1. become


(1) 자동사   ~이 되다

ex) My hair became short.

     (내 머리가 짧아 졌어.)


(2) 타동사   어울리다

ex)  Short hair becomes me well.

     (짧은 머리가 나에게 어울려.)




2. count


(1) 자동사   중요하다.

ex) Every calorie counts in diet.

    (다이어트에서는 모든 칼로리가 중요해.)


(2) 타동사   세다, 계산하다

ex) You should count every calorie you get.

    (너는 모든 칼로리를 계산해야해/ 너가 섭취하는.)




3. do


(1) 자동사   충분하다

ex)  Mr. Song's book will do in studying grammar.

     (송샘의 책이면 충분하다/ 문법 공부하는데.)


(2) 타동사   하다

    예문은 생락합니다.




4. grow


(1) 동사   ~이 되다

ex) Your hair grew short.

     (너의 머리가 짧아졌어.)


(2) 타동사  기르다

ex) You should grow you hair.

     (너, 머리좀 길러라.)




5. decline


(1) 자동사   감소하다, 줄어들다

ex) My weight doesn't decline one gram.

    (내 몸무게는 줄지 않는다/ 1그램도.)


(2) 타동사   거절하다.

ex) I must decline the invitation to dinner.

    (나, 저녁식사 초대 거절해야 겠어.)




6. pay


(1) 자동사   이익이 되다

ex) Lying doesn't pay.

    (거짓말은 이익이 안 된다.)


(2) 타동사   지불하다.

ex) You have to pay the price for the lying.

    (당신은 댓가를 지불해야 한다/ 거짓말에 대해서.)




7. run


(1) 자동사   달리다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타동사   운영하다

ex) He is running a company.

     (그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8. stand


(1) 자동사   서다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타동사  참다, 견디다

ex) I can't stand your bad joke.

    (나는 너의 썰렁한 농담을 참을 수 없어.)




영어를 공부할수록 기본 단어들이 두렵습니다.

괜히 잘난척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사전을 뒤적이는 것들은 기본 단어들입니다.


어쩌면 외국인으로서의 한계일 수도 있습니다.

마흔이 넘은 저는 가족과 친구를 위해 살고 있습니다.

주어진 한계를 지키는 삶입니다.


젊은 여러분들은 한계를 뛰어 넘으셔야 합니다.

제가 마흔 넘어 절실히 새기는 말은,


역시 기본이 중요하다입니다.


이들 단어들은 평소에는 공부하기 힘든 것들입니다.

잘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헷갈리는 자동사, 타동사들 




지금부터 공부할 동사들이 헷갈리는 이유는 ‘같은 의미를 가진’ 타동사와 자동사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뭐, 이 녀석들은 방법이 없습니다. 잘 정리해 놓고 외울 수 밖에요.


헷갈리는 타동사, 자동사들


 1. 도착하다

 2. 떠나다

타동사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

 reach

 arrive at

 leave

 leave from

 

 get to

 

 leave for


 3. 기다리다

 4. 언급하다

 타동사

 자동사

타동사

자동사

 await

 wait for

 mention 

refer to 




각 동사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도착하다

타동사   reach 

자동사   arrive atget to


reach는 앞에서 보았듯이 타동사라서 전치사를 쓸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같은 arrive와 get은 같은 의미인데도 자동사입니다. 그래서 항상 전치사와 함께 써야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들겠습니다.


(우리는 회담 장소에 도착했다.)

(1) We reached our meeting place.

(2) We arrived at our meeting place. (arrive at = get to)




2. 떠나다

타동사     leave 

자동사     leave fromleave for


leave와 leave from은 우리말로 옮기면 둘 다 ‘떠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예문을 먼저 봅시다.

(1) I left my home to see you.

    (나는 집을 나왔다/ 너를 보기 위하여.)

    속 뜻 (딴 데 들렀다 왔습니다.)


(2) I left from home to see you.

    (나는 집을 나왔다/ 너를 보기 위하여.)

    속 뜻 (딴 데 들르지 않고 바로 왔습니다.)


밑에 속뜻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leave만 쓰면 그저 ‘어딘가를 떠났다’는 사실만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leave from' ‘어딘가를 떠나 곧장’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leave for 는 쉽습니다. ‘어디를 향하여 떠나다’라는 의미입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left for NewYork.

     (나는 뉴욕을 향해 떠났다.)




3. 기다리다

타동사     await 

자동사     wait for


이 두 단어는 거의 없습니다. 차이라면, await는 타동사라서 전치사없이 쓰입니다. 그리고 wait for가 100배쯤 더 많이 사용됩니다.


이렇게 사용됩니다.

(1) The promotion is awaiting me.

    (승진이 나를 기다리고 있어.)

(2) I am waiting for the promotion.

    (나는 승진을 기다리고 있다.)




4. 언급하다

타동사     mention 

자동사     refer to


둘 다 언급하다라는 뜻이고, 별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mention은 타동사라서 전치없이 쓰입니다.


(1) Nobody mentioned me.

     (누구도 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2) Nobody was referring to me.

    (누구도 나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어렵죠?

당연합니다.


저도 잘난척 설명은 하고 있지만 솔직히 헷갈립니다.

동영상 보면 너무 설명을 잘 한다고요?


편집입니다.

몇 번씩 자르고 이어 붙인 겁니다.


여러 분들보다 영어는 조금 잘하겠지만 저도 많이 버벅거립니다.

항상 아내에게 구박받는 공처가이고요.


내일은 전혀 예측할 수없는 평범한 중년 아저씨고요.


여러분들은 대단하신 분들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부분을 '찾아서' 공부하고 있지 않으십니까?


여러분들이 미래를 만드시는 겁니다.

힘드셔도, 두 눈을 비비면서 공부하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could




이번에는 조동사 could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could에서는 세 가지 주요한 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쉬운 것 두 개부터 보겠습니다.



1. can의 과거 (가능)


(1)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자기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1)번 could는 단순히 가능을 나타내는 can의 과거입니다. 과거동사 said에 맞추어 과거를 쓴 것입니다.




2. 정중한 표현


(2)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 좀 잠깐 써도 될까요?)


(2)번에서는 공손한 표현입니다. 영어에는 존댓말의 개념이 없습니다. 위 아래 없이 'You'라고 하니까요. 그렇지만 분명히 정중한 표현은 존재합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대부분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만약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꼬맹이가 엄마한테,

'Can you give me some water?' 라고 말하면 아마, 엄마는 눈을 흘기면서,

'Could you give me some water, please?' 라고 말할 겁니다.


이렇듯 조동사의 과거형은 공손하고 정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could have p.p (과거 사실의반대)


이제 세 번째 공부할 것은 could에서 가장 어려운 'could have p.p'입니다. 일단 'could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입니다. 그리고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아주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1)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나쁠 수도 있었어. (실제로 더 나쁘지는 않았음.))

(2) You could have been dead. 

    (너 죽을 수도 있었어. (실제로 죽지는 않았음.))

이렇게 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영어에서 아주 많이 쓰입니다. 그러니 반드시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정리해 봅시다.


could have p.p 가정법 과거완료 

~일수도 있었다. 실은 안 그랬다.




조동사는 사실 '감'입니다.

외국인이 아무리 공부해도 확실하게 익힐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




이번 시간에는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역시 상당히 많은 것들이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만을 설명하겠습니다.



apologize, graduate


이 두 단어는 우리말로는 타동사입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는 자동사로 쓰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1. apologize


(1) apologize의 쓰임

    apologize to A for B      A에게 B를 사과하다


apologize는 우리말로 옮기면 ‘~을 사과하다’가 됩니다. 우리 말로는 타동사가 됩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 apologize는 자동사입니다. 그래서 전치사와 함게, ‘apologize to A for B’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A(사람)에게 (B)를 사과하는 것입니다. 




예문


(1) apologize to A for B            (A에게 B에 대하여 사과하다)

    I apologized to my boss for being late.

    (나는 나의 보스에게 사과했다/ 늦은 것을.)


위 문장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습니다.

(1-1) apologize to A(사람)        (A에게 사과하다)

      I apologized to my boss. (for 생략)

      (나는 사과했다/ 나의 상사에게.)


(1-2) apologize for B(사과 내용) (B에 대해 사과하다)

     I apologized for being late. (to 생략)

    (나는 늦은 것에 대해서 사과했다.)


그렇지만,

ex) I apologized being late. (x)

   이것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apologize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전치사를 써야 합니다.




graduate from 

(~을 졸업하다)


    예문을 먼저 봅시다.

(1) I graduated Korea University. (x)

(2) I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o)

    (나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graduate 역시 우리말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우리 식으로 생각하면 ‘고려대학을 졸업하다’와 같이 전치사 없이 씁니다. 그렇지만 graduate는 자동사이고 반드시 전치사 ‘from’과 함께 써야 합니다. 그러므로 (1)번과 혼자 쓰일 수 없습니다. (2)번이 옳은 문장입니다.


apologize는 저도 헷갈립니다.

 graduate는 가끔 그렇고요.


방법은 예문을 하나 외우시는 겁니다. 

사전에 있는 예문은 훌륭하지만 금방 잊혀집니다.


'나'와 관계없기 때문입니다.

'나'와 밀접하게 관계된 예문을 만들어 보세요.

훨씬 더 잘 기억되고 오래갑니다.


화이팅!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사야, 타동사야?  (29) 2013.04.07
조동사 could  (13) 2013.04.06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15) 2013.04.05
want, wish, hope  (13) 2013.04.03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11) 2013.04.01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




이번에는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러한 동사들은 우리말과 영어의 뉘앙스 때문에 혼동됩니다. 상당히 많은 단어들이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들만 골라서 설명하겠습니다.



나는 타동사!


   이 단어들은 반드시 예문을 통해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에문들은 편의상 과거형으로 해석했습니다. 

approach


1. approach   (~로 접근하다) (to 안됨)

웬지 ‘~로 접근하다’이므로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 'to'를 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approach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를 쓸 수 없습니다. 어색하지만 다음과 같이 써야 합니다.


ex) I approached a beautiful lady in red.

    (나는 한 아름다운 빨간 옷 입은 여자에게 접근했다)




become


2. become   (~에 어울리다) (전치사 안됨)

become은 ‘~이 되다’입니다. 당연히 자동사입니다. 그렇지만 'become'은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become이 타동사가 되면 ‘~에 어울리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 red dress becomes her perfectly.

     (빨간 옷은 그녀에게 완벽하게 어울렸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타동사로 쓰이는 become은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iscuss


3. discuss   (토론하다) (about 안됨)

토론은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에 대하여’라는 전치사 ‘about’를 쓰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discuss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 없이 써야합니다. (뭐, 보통 토론하면 혼자 떠드는 사람이 많아서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ex) I suddenly discussed our future with the red girl.

(나는 갑자기 빨간 옷 그녀와 미래를 토론했다.)




marry


4. marry   (~와 결혼하다) (with 안됨)

아마 가장 헷갈리고 충격을 주는 것이 marry일 것입니다. ‘결혼’은 반드시 누군가와 ‘함께’해야 합니다. 당연히 함께라는 전치사 ‘with'를 써야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결혼하신 분들은 잘 아실 겁니다. 결혼하면 ’혼자‘하는 것이라는 것을요. 아무튼 marry는 타동사라서 ’혼자‘ 결혼해야 합니다.


ex) I wan to marry the beautiful red lady.

    (나는 그 빨간 미녀와 결혼하고 싶었다.)




mention


5. mention   (~에 대하여 언급하다) (about 안됨)

‘언급하다’ 역시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about'를 쓰고 싶어집니다. 그렇지만 mention은 ’타동사‘입니다. 전치사 없이 혼자 써야 합니다.


ex) I mentioned our marriage to the red girl.

    (나는 빨간 옷 여자에게 우리의 결혼을 언급했다.)




reach


6. reach   (~에 도착하다) (to 안됨)

‘~에 도착하다’도 방향을 나타내는 ‘to'와 함께 쓰기 쉽습니다. 그렇지만 reach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와 함께 쓰일 수 없습니다.


ex) Finally I reached the police station by the red girl.

    (마침내 나는 경찰서에 도달했다/ 그 빨간 옷 입은 여자에 의해서.)


(당연합니다. 생전처음 보는 여자에게 결혼하자고 추근댔으니 경찰서 갈 수밖에요...)




이 단어들은 아주 중요합니다. 당연히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그리고 기본 단어들이라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용법을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나름대로 예문을 재미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우리, 주어진 시간 동안 후회 없이 살아봅시다.

어떻게 해도 후회가 남는 것이 인생입니다.


그러기에 후회없이 살아 봅시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동명사 -명사 역할- 





동명사의 명사역할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명사역할을 한다는 것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인다는 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주어, 목적어, 보어 ⇒ 명사


(1) Driving a sport car is his dream. 

    (스포츠카를 운전하는 것은 그의 꿈이다.)

(2) His dream is driving a sport car. 

    (그의 꿈은 스포츠카를 운전하는 것이다.)

(3) He enjoys driving a sport car. 

    (그는 즐긴다/ 스포츠카를 운전하는 것을.)

(4) He spends his money in driving a sport car. 

    (그는 돈을 쓴다/ 스포츠카를 몰고 다니는데.)




설명


(1)번에서 ‘Driving a sport car’는 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주어이므로 명사이고, ing가 명사이므로 동명사입니다.


(2) ‘driving a sport car’는 ‘is’ 다음에서 주어를 보충설명해 줍니다. 이렇게 주어를 설명해주는 말을 보어라고 합니다. 여기서 ing는 보어로 쓰였으므로 동명사입니다.


(3) ‘driving a sport car’는 enjoy라는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므로 ing는 명사, 동명사가 됩니다.


(4) ‘driving a sport car’는 전치사 in 다음에 왔습니다. 이렇게 전치사 다음에 오는 말을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ing는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명사, 동명사가 됩니다. 




문법은 용어가 어렵습니다.

사실 문법은 용어입니다.


생각없이 정한 용어들이 아닙니다.

일본 문법을 많이 빌린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분들이 고심하여 정한 용어입니다.

저보다, 여러분 만큼 뛰어난 분들이 정립해 놓은 것입니다.


잘 익히시면 크게 도움이 됩니다.

어렵다고 피해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ch, every  (7) 2013.04.11
by, until 차이  (25) 2013.04.09
beside, besides  (10) 2013.04.03
be due to 동사원형, be due to 명사(~ing)  (13) 2013.04.03
ago, before  (8) 2013.04.03

beside, besides




beside, besides


beside와 besides의 기본 의미입니다.


1. beside  (전치사)          ~의 곁에 (~의 옆에) 

                                   (=next to)


2. besides (전치사, 부사)   ~외에도 (그것 말고도) 

                                   (=apart from)




예문을 보겠습니다.



beside: ~의 곁에


1. I sat beside a beautiful lady on the bus.      (next to)

   (나는 아름다운 여자 옆에 앉았다/ 버스에서.)


   beside는 전치사입니다. 명사 앞에서 ‘~의 곁에서’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besides: ~외에도


1. Besides being beautiful, she was kind as well.     (전치사)

   (아름다운것 외에도, 그녀는 또한 친절했다.)

2. She was beautiful. Besides, she was kind as well. (부사)


1번에서 beside는 전치사로서 명사나 동명사 앞에 쓰입니다. 의미는 ‘(명사) 외에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2번에서 Besides는 문장 앞머리에서 쓰입니다. ‘(앞 문장)외에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는 1번과 같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부분은 아닙니다.

한 번만 정리해 두시면 별 문제 없으실 겁니다.


의미만 확실하게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y, until 차이  (25) 2013.04.09
동명사 (명사역할)  (2) 2013.04.04
be due to 동사원형, be due to 명사(~ing)  (13) 2013.04.03
ago, before  (8) 2013.04.03
between, among, amongst  (7) 2013.04.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