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 as (~처럼)




like, as


‘like, as’는 우리말로 옮기면 ‘~처럼’이지만 내포하는 의미는 다릅니다. 




예문을 봅시다.



예문


1. like 

 ex) He worked like a slave.

     (그는 노예처럼 일했다.)  (he ≠ slave)


2.  as

 ex) He worked as a slave.

     (그는 노예로서 일했다.)  (he = slave)

이러한 차이가 있습니다.




처럼을 나타내는 전치사 like와 as를 정리해봅시다.


A like B (A ≠ B)

A as B  (A = B)

 

이 두단어 많이들 헷갈리셨죠?

아마 이제는 이해 되셨을 겁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be due to




be due to + 동사, be due to + 명사


둘의 의미차이입니다.

1. be due to + 동사     ~할 예정이다

2. be due to + 명사     ~ 때문에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문


1. be due to + 동사     ~할 예정이다

   ex) I am due to deliver a speech tonight.

       (나는 연설할 예정이다/ 오늘 저녁에.)


2. be due to + 명사      ~때문에

   My headache is due to the speech.

   (내 두통은 그 연설 때문이다.)




be due to는 to 다음에 오는 품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보시는 것처럼 명사와 동사가 올때 의미가 다르죠.


사실 이렇게 확실하게 구별되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그저 귀찮은 것이죠.


그렇지만 공부에서는 어느 것이나 필요합니다.

여러분들이 국제 무대에서 외국인들을 만날 때,

국적에 관계없이 일단 영어를 쓸 겁니다.


그 때 여러분들의 '격'은 이런 사소한 귀찮은 것들이 결정해 줍니다.

사소한 문법도 틀리는 사람과 천만달러짜리 거래하고 싶겠습니까?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입니다. 

귀찮아도 확실하게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여러분.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 (명사역할)  (2) 2013.04.04
beside, besides  (10) 2013.04.03
ago, before  (8) 2013.04.03
between, among, amongst  (7) 2013.04.03
동명사 -동사역할- (gerund)  (1) 2013.04.02

ago, before




ago, before 의미


ago, before는 둘 다 ‘~의 전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의미를 정리해보면,


1. ago     (과거)

             (before now)

  ⇒ '현재를 기준‘으로 그 이전


2. before (현재, 과거, 미래)

             (before then) 

  ⇒ ‘특정한 사건’을 기준으로 그 이전




예문


1. ago

ex) He died two months ago.                         (before 안 됨)

    (그는 두 달전에 죽었다.)

    (지금부터 두달 전입니다.)


2. before

ex) He died two months before his wife's death. (ago는 안 됨)

    (그는 죽었다/ 그의 아내가 죽기 두 달 전에.)

    (아내가 죽기 두달 전입니다.)




위에서 보듯이,

ago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일에 사용하고,

before는 과거, 현재, 미래에 관계없이 ‘특정한 사건 이전’에 사용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side, besides  (10) 2013.04.03
be due to 동사원형, be due to 명사(~ing)  (13) 2013.04.03
between, among, amongst  (7) 2013.04.03
동명사 -동사역할- (gerund)  (1) 2013.04.02
stop to 부정사, stop 동명사  (0) 2013.04.02

between, among, amongst






between, among


between, among은 ‘~사이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의미를 정리해보면,

1. between    둘이나 셋 이상 사이.

2. among      셋 이상 사이




둘 다 셋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용법은 다릅니다.



between, among 차이


1. 'between'이 ‘셋 이상 사이’를 나타낼 때,

   ⇒ 선택할 수 있는 구체적 옵션이 존재합니다.

 ex) Which is your favorite color between Red, Green, Blue?


2. 'among'이 ‘세 이상 사이’를 나타낼 때,

   ⇒ 구체적 옵션이 없습니다.

 ex) Which is you favorite color among these colors?




정리


셋 이상 선택할 때

between   ⇒    구체적인 옵션 사이에

among     ⇒    막연한 것들 사이에




그리고 among은 미국영어, amongst는 영국영어입니다. 

둘의 의미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위 단어들은 사실 영어 네이티브들도 헷갈려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그것이 우리가 공부하지 않을 이유는 되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은 꿈을 위해서 영어를 공부하시는 겁니다.

영어는 여러분들의 꿈을 위한 수단에 불과합니다.

열쇠일 뿐이죠.


상당히 많은 문을 열 수 있는 열쇠...


힘내세요, 여러분!





want, wish, hope




공부할 내용


1. to 부정사와의 결합

2. that절과의 결합

3. 문장형식: 3형식과 5형식 


위 세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3번 문장형식은 1,2번 설명에 포함시켰습니다.




1. to 부정사의 사용

(3형식 목적어)


(1) want + to 부정사 (o)

(2) wish + to 부정사 (o)

(3) hope + to 부정사 (o)

셋 다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3형식 문장에서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쓸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2) I wish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to drive a car.          (o)

   (나는 희망한다/ 차를 운전하는 것을.)




to 부정사의 사용

(5형식 목적보어)


(1) want 목 to    (o)

(2) wish 목 to    (o)

(3) hope 목 to   (x)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2) I wish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역시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you to drive my car. (x)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2. that절의 사용


want that (x)

wish that (o)

hope that (o)


want는 목적어로 that절을 쓸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want는 3형식 문장에서 that을 목적어로 쓸 수 없습니다.




that절의 사용 

(예문)



(1) I want that I drive a sport car someday.          (x)

    (want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2) I wish that I were Superman.                        (o)

    (나는 소망한다/ 수퍼맨이기를.)

    (wish 다음에 that절이 올 때는 과거동사가 옵니다.)

    (그리고 사실의 반대인 가정법으로 쓰입니다.)


(3) I hope that I will drive a sport car someday.     (o)

    (나는 희망한다/ 언젠가 스포츠카를 운전하기를.)

    (hope 다음에 that절이 오면 미래 조동사 will을 함께 씁니다.)

    (희망한다는 것은 미래의 일을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시험에 나오는 것들로만 정리했습니다.

그러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실 바랍니다.


그래도 대충 공부하실 것은 아니죠?



동명사 -동사역할-




동사역할


동명사는 동사와 명사 역할을 하는 말입니다.

동사역할을 한다는 것은,


1. 적어를 취하고

2. 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라는 것입니다.




예문


예문을 봅시다.

ex) Driving a car carelessly may cost your life.

    (부주의하게 운전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어.)


이 문장에서 driving은 ‘a car'라는 명사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그리고 부사(carelessly)의 수식을 받습니다. 이렇게 driving는 동사역할을 하여 목적어를 취할 수도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동명사의 동사역할


지금 보셨듯이 동명사는 목적어를 취하므로 동사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부사의 수식을 받으므로 동사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동명사는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쉽지는 않죠?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실 거라 믿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top to 부정사, stop 동명사




예문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stopped smoking.

   (나는 그만두었다/ 담배 피우는 것을.)


2. I stopped to smoke.

   (나는 멈추었다/ 담배 피우기 위해서.)




의미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stop to 부정사     ~하기 위하여 멈추다(목적)

                             (=in order to ~)

2. stop ~ing          ~ing 해오던 것을 멈추다.




stop + 동명사


주의하실 것은 stop은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한다는 것입니다. stop to smoke에서 ‘to smoke'는 stop의 목적어가 아니라, stop을 수식하는 ’부사구‘입니다. 




중학교 때부터 너무나 많이 보셨을 문법입니다. 

쉽다고 대충 넘길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지만,

여기 있는 예문들은 반드시 외워 두세요.

나중에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try to, try ~ing





차이 정리


1. try to 부정사      ~하려고 노력하다.

2. try ~ing            한 번 ~ing 해보다.




예문


1. I tried to apologize to my wife.

   (나는 노력했다/ 내 아내에게 사과하려고.)

   (아직 사과 안했음)


2. I tried apologizing to my wife.

   (나는 해보았다/ 내 아내에게 사과하는 것을.)

   (사과는 해봤는데 효과는 모르겠음)




의미 차이


1번은 아직 사과를 안했습니다. 사과를 하려고 노력은 했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 것입니다. 2번은 사과는 했습니다. 그렇지만 그 사과가 효과가 있었는지는 모릅니다





이제는 차이를 아시겠죠?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소유격없다

(2) 전치사 다음에 쓸 수 없다

(3)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항목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소유격이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사용되고 소유격이 없습니다. 따라서 소유격이 필요할 때에는 whose를 사용합니다.

 

ex) This is Rudolf the Reindeer whose nose is red.

(이것이 루돌프 사슴이다/ (그것의) 코가 빨간.)

 

 

 

 

 

(2) 전치사 다음에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전치사 뒤에 쓸 수 없습니다.

 

① English is a language with that we can communicate. (x)

    이 문장은 틀린 예입니다.

 

그렇지만 전치사를 문장 뒤로 보내면 관계대명사 that을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위의 틀린 예를 옳게 바꿔보겠습니다.

② English is a language with which we can communicate. (o)

   (영어는 언어이다/ 우리가 의사소통할 수 있는.)

 

 

 

 

 

(3)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계속적 용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who, whom, which를 사용하면 됩니다.

 

① He told me a story, that is about the scandal. (x)

② He told me a story that is about the scandal. (o)

③ He told me a story, which is about the scandal. (o)

(그는 나에게 이야기를 하나 해 주었다/ (그런데 그것은) 그 스캔들에 대한 것이었다.)

 

 

 

 

 

 

어렵죠?

그래도 여러분들은 할 수 있습니다.

힘 내세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15) 2013.04.05
want, wish, hope  (13) 2013.04.03
관계대명사 that (001)  (15) 2013.04.01
추상명사 (abstract noun)  (8) 2013.03.28
few, a few  (10) 2013.03.26

관계대명사 that (001)

 

 

 

 

일반적으로 어떤 관계대명사를 사용할지는 선행사를 보고 결정합니다.

 

 

 선행사 + 관계사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 whose, whom을 씁니다. 선행사가 사람이 아니면 which, whose, which를 씁니다.

 

 

 

 

 

 

 

그런데 관계대명사 that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who, whom, which 대신

(제한적 용법의 경우)

 

 

선행사가 사람일 때와 사람이 아닐 때 모두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1) He is the boy who locked the door.

 = He is the boy that locked the door.

    (그는 소년이다/ 문을 잠갔던.)

 

(2) I have a clever dog which can unlock the door.

 = I have a clever dog that can unlock the door.

    (나는 영리한 개가 있다/ 문을 열 수 있는.)

 

 

 

 

 

 

 

그렇지만 다음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 써야 합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1)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사람 + 사람 아닌 것’이 함께 선행사로 나올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쓰면 됩니다.

 

ex) Several police are searching for the man and his car that caused the accident.

    (여러 경찰들이 찾고 있다/ 그 남자와 그의 차를/ 사고를 일으킨.)

 

 

 

 

 

 

(2)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the only, the very,

all, no, any, much, little, every, the same, the last,

something, anything, somebody, anybody

 

 

이런 표현이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씁니다.

 

 

ex) He is the greatest musician that has ever lived.

    (그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이다/ 지금까지 살았던.)

 

 

 

 

 

 

(3) 의문사가 있을 때

 

who, whom, which,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관계대명사 who, whom, which, what 등을 또 쓰면 모양이 같아서 혼동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Which is the one which you want?

   (무엇이니/ 네가 원하는 것이?)

   which가 두 번 나와서 혼동할 수 있습니다.

 

Which is the one that you want?

   위의 문장과 뜻은 똑같고, 의문사 which관계대명사 that이 확실히 구별됩니다.

 

 

 

 

 

 

 

 

정리하면,

 

(1) 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가 있다.

    ①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②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③ 의문사가 있을 때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사(ARTICLES)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관사(articles)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부정관사, 정관사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 Give me AN apple. (사과 하나 주라.)

     I ate THE apple. (나는 그 사과를 먹었다.)

     A cat likes milk. (고양이는 우유를 좋아한다.)




설명


- 첫 번째 문장에서, ‘an apple'은 ’어떤 사과(any apple)'라도 상관없습니다. 그것은 특정한 사과를 지정하거나 가르키지 않습니다. 어떤 사과나 상관없이 사과이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an'을 부정관사라고 합니다. 여기서 ‘부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the apple'은 아무런 사과가 아닌 ‘특정한 바로 그’ 사과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the'를 정관사라고 합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a cat'은 어떤 고양이나 상관없습니다. 여기서 'a'는 정해지지 않은 대상중의 하나를 가르키는 부정관사입니다.




 ‘a(n)’은 부정관사이고, 'the'는 정관사이다.


중요한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부정관사, a(n)은 여러 개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정관사, the는 특정한 바로 그것을 나타낸다.



대충 개념은 잡으셨죠?

사실 이 부분은 영어를 공부하는 내내 어려운 부분입니다.

영어 네이티브들도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이니까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추상명사




(1) 감정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을 나타내거나,

love, joy, hate, anger, fear...




(2) 생각이나 개념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나 개념을 나타내거나,

knowledge, thought, idea, information, trust, liberty, slavery, peace, despair 등




(3) 속성이나 상태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거나,

beauty, youth, honesty, intelligence, pain, misery...




(4) 움직임이나 상황


움직임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victory, success, loss, failure 등...




(5) 다른 품사 + 접미어


그리고 추상명사는 다른 품사에 접미어를 붙여서 만들기도 합니다.

actionmovementgladnessexcellencefriendship...




추상명사들은 눈에 보이지 않고 형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관사를 붙일 수 없고, 단수 취급합니다. 


이상으로 추상명사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추상명사를 구체적으로 공부해 가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동명사의 시제



부정사의 시제와 원리가 같습니다.


단순 동명사, 완료 동명사


단순동명사 : 동사원형ing - 본동사와 같이 발생한 일에 사용합니다.

완료동명사 : having p.p. - 본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일에 사용합니다.




예문


(1) He is proud of working with Brad Pitt.

    (그는 자랑스워한다/ 브래드 피트와 작업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사건과 브래드 피트와 작업하는 사건이 같이 발생했습니다. 본동사와 같이 발생한 사건이므로 단순 동명사 working을 썼습니다.


(2) He is proud of having worked with Brad Pitt.

    (그는 자랑스러워 한다/ 브래드 피트와 작업했던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것보다 브래드피트와 작업한 것이 먼저 발생했습니다. 본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이므로 완료동명사 having worked를 썼습니다.




어렵죠?

그래도 대충 개념은 잡으셨을 겁니다.


힘드시더라고 반드시 구별해 두셔야 합니다.

이런 것 하나 하나가 쌓여서 멋진 영어가 되니까요.


특히 영작하실 때, 시제를 잘못 쓰면 곤란해 집니다.

의미파악이 분명치 않게 되거든요.


여러분들은 잘 하실 겁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부정사의 시제



단순 부정사, 완료 부정사


단순부정사 : to 동사원형  - 본동사와 같이 발생한 일.

완료부정사 : to have p.p. - 본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일




예문


(1) He is pleased to work with her.

    (그는 기뻐한다/ 그녀와 함께 일하는 것을)

그가 좋아하는 것과 함께 일하는 것이 시제가 같습니다.


(2) He is pleased to have worked with her.

    (그는 기뻐한다/ 그녀와 함께 일했던 것을.)

그가 좋아하는 것은 지금이고, 그녀와 일했던 것은 과거입니다. 




이렇게 먼저 발생한 일에 완료 부정사를 씁니다. 


이 부분을 잘 이해해 두셔야 합니다.

뒤에 나올 동명사, 분사에서도 똑 같은 설명이 적용되니까요.


한 번 만 고생하시면 됩니다.

외국어가 힘든 부분이 이런 것들입니다.


그냥 외울 수 없는 것들.


일단 철저하게 이해를 하신 다음 외워 두셔야합니다.


힘드셔도 꾸준히 하셔야 합니다.

화이팅!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역사적 사실은 과거형




역사적 사실은 과거 완료가 아니라항상 과거형으로 씁니다.





예문 


ex) Armstrong (had landed, landed) on the moon 1969.

(암스트롱은 달에 착륙했다/ 1969년에.)


과거 사실은 무조건 과거형으로 써야 합니다. 과거 사실과 그 보다 먼저 발생한 사실을 비교할 때만 과거완료를 씁니다.  단순하게 아주 오래 전 일이라고 해서 '과거완료'를 써서는 안 됩니다. 1분 전이던, 1년 전이던, 100만년 전이던 과거는 '과거'형으로 씁니다. 


 

 역사적 사실을 과거 완료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마 '오래된 사실'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과거는 똑 같은 과거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그들이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게 됩니다.

아주 따지길 좋아하고 정확합니다.


대충 넘어가는 일이 없습니다. 

무조건 why?입니다.


그런 성향 때문이라까요?


영문법은 정말 질릴 정도로 체계적입니다.

제가 가끔 참고하는 '롱맨 영문법 사전'은 가볍게 1,000 페이지를 넘어가니까요.


그 방대한 내용을 다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걔네들이 정해놓은 규칙만큼은 알아 두셔야 합니다.


힘드시죠?

여러분들을 하실 수 있습니다.

소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과거완료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had + p.p. 형식으로 씁니다.

과거완료는 과거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에 사용합니다.





과거 이전의 사실


ex) His family had disappeared when he returned.

                       (a)                           (b)

       (그의 가족이 사라져 버렸다/ 그가 돌아 왔을 때)


가족이 라진 사건(a)이 그가 돌아온 사건(b)보다 먼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돌아온 사건이 과거이므로 사라진 사건은 과거 이전이 됩니다. 그래서 과거완료를 썼습니다.




과거완료는 반드시 과거와 함께!


과거완료는 현재시제와 함께 쓰지 않습니다. 시간적 비약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ex) His family had disappeared when he returns.   (x)


이것은 잘못된 문장입니다. had disappeared은 과거완료이고 returns는 현재입니다. 중간에 과거가 빠져 있습니다. 시간적 비약이 발생했습니다. 과거완료는 과거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His His family had disappeared when he returned.

            위와 같이 고쳐야 합니다. 




대과거

이름부터 어렵습니다. 


간단히 과거 이전에 발생한 일이라고 생각합시다.

대부분은 문법 용어가 도움이 되지만 이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그렇지만 어쩌겠습니까?


버젓이 자리를 잡은 용어인데요.


우리 힘냅시다.


동틀녁이 가장 밝다고 합니다.

다리가 지치고 머리가 멍해져서 포기하고 싶은 지금,

지금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저는 포기하지 않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have 동사 진행형




have 동사 진행형


have가 ‘소유하다(가지다)’가 아닌 ‘먹다’는 의미로 쓰이면 진행형이 가능합니다.




[예문]


(1) She has a house.              (O) (소유, 진행 불가)

    (그녀는 집을 가지고 있다.)

(2) She is having lunch.           (O) (먹다, 진행 가능)

    (그녀는 점심을 먹는 중이다.)

(3) She is having a house.        (X) (소유 진행형, 잘못된 문장)

    (그녀는 집을 가지고 있는 중이다?)




이 용법은 사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렇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먹다, 가지다는 금방 해석되니까요.


그런데도 자주 헤갈려하는 분들이 있더군요.

그래서 정리해 올렸습니다.


간단한 내용이니 부담없이 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 감사합니다.










진행형 불가 동사





진행형을 쓰지 않는 동사


진행형을 쓰지 않는 동사가 있습니다

동사의 의미상 굳이 진행형을 쓸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뜻을 생각하면 알 수 있지만 외워두면 편합니다.


be(있다), exist(존재하다), know(알다), resemble(닮다) 

have(가지다), belong to(속하다), remember(기억하다) 등




존상소 동사들


이 단어들을 의미별로 묶어 보았습니다.

존재: be(있다), exist(존재하다)

상태: know(알다), remember(기억하다), resemble(닮다)

소유: have(가지다), belong to(속하다)




동사와 진행형 의미차이 없음


know          (알다)

be knowing  (알고 있는 중이다)


exist           (존재하다)

be existing   (존재하고 있는 중이다)


He is in the room.          (그는 방에 있다.)

He is being in the room.  (그는 방에 있는 중이다.)


의미차이가 있습니까? 

동사형과 진행형 사이에 의미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그래서 존재, 상태, 소유 동사들은 진행형으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언어에도 경제성의 법칙이 작용합니다.

굳이 간단하게 쓸 수 있는 것을 복잡하게 쓰지는 않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완료 (had pp) (대과거)  (1) 2013.03.27
have 동사 진행형  (4) 2013.03.27
명사절, 형용사절 (시간과 조건)  (4) 2013.03.25
진행시제  (5) 2013.03.23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10) 2013.03.23

 few, a few





few, a few 


few, a few에서 공부할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1. few, a few는 부정, 긍정의 개념이다.

2. few 다음에도 복수명가 온다.




잘못 알고 있는 few, a few


첫 번째, few, a few 의미입니다.

보통 few, a few는 아주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그럼에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보통 few, a few는 이러한 의미로 알고 있습니다.


few (거의 없다), a few (조금 있다)


그렇게 틀리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수를 나타내는 few, a few를 이렇게 적고, 많음(다소)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안 됩니다. 




few, a few: 부정, 긍정


few, a few는 多少라기보다는 부정, 긍정쪽에 가까운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을 봅시다. A. B가 송샘의 친구 수에 대해서 하는 말입니다.


A: I heard Mr. Song has two friends. (송샘은 친구가 두 명이래)

B: He has (few, a few) friends.


보통 이러한 문제를 주면 대 부분의 사람들이 few를 답으로 고릅니다. 친구가 두 명밖에 없으니 ‘적다고’ 생각해서입니다. 그렇지만 이 예문에서는 few, a few 둘 다 올 수있습니다. 문장이 주는 뉘앙스에 따라서요. 




봅시다.



부정적인 뉘앙스: few

  긍정적인 뉘앙스: a few


1. (뭐, 송샘 친구가 두 명밖에 없다고?) (친구가 두 명밖에 안 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

  ex) He has few friends. (그 사람 친구 진짜 없구나...)


2. (뭐, 송샘 친구가 두 명이나 돼?) (친구가 두 명이나 되어서 놀랐다는 뉘앙스)

   ex) He has a few friends. (그 사람도 친구가 있구나...)


이렇게 few, a few는 동일한 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뉘앙스로 없다는 

쪽이면 few, 긍정적인 뉘앙스이면 a few를 쓰시면 됩니다.




few + 복수형


두 번째 few + 복수명사입니다.

few를 ‘거의 없다’로 알고 있는데서 발생되는 오류입니다. ‘없다’는 말이 있어서 부정이라고 생각해서 ‘단수’ 명사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few는 기본적으로 ‘두 개 이상’입니다. 그래서 항상 다음에 복수명사가 와야 합니다. a few도 당연히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간단한 예를 보겠습니다.


ex) I have few friends. (나는 친구가 별로 없어.)


친구가 없다고 말은 하지만 최소한 두 명이상이므로 복수명사 friends를 썼습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few, a few

   few는 부정, a few는 긍정이다.

2. few, a few 다음에는 복수 명사를 쓴다.


새롭죠?

이 부분은 의외로 많이 쓰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부분이고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명사 -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명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명사는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물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1. 보통명사


예) Boy, woman, house, river.


설명

Boy는 모든 남자 아이들을 부르는 명칭입니다. 그러므로 Boy는 보통명사입니다. woman은 모든 성인 여자들을 부르는 명칭입니다. 그러므로 woman 역시 보통 명사이다. 집과 강도 마찬가지로 어떤 종류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어떤 종류 전체를 나타내는 명사를 ‘보통명사’라고 합니다.




2. 고유명사


예) John, Seoul, Amazon.


설명

John은 특정한 사람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John은 고유명사라고 불립니다. Seoul과 Amazon은 각각 특정한 도시와 강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Seoul과 Amazon은 고유명사입니다.


이렇게 하나뿐인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고유명사’라고 합니다.




명사에는 크게 보아 다음 두 종류가 있습니다.

-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



보통 명사와 고유명사


보통명사는 특정한 종류 전체를 나타낸다.

- boy, town -


고유명사는 단 하나뿐인 사람이나 사물 등의 이름을 나타낸다.

- John, Seoul -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그리고 보통명사는 더 자세히 나누면 집합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로 나뉘어 집니다.



역시 문법은 용어입니다.

사실 용어의 의미만 정확히 파악하면 문법을 아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말들이 낯섭니다.

영어 네이티브들이라면 이런 용어는 몰라도 됩니다.

영어를 대충하시고 싶으면 역시 무시해도 됩니다.


하지만 확실하게 하고 싶으시면 용어를 익히세요.

공부도 되고 '폼'도 납니다.


화이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