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형식 예문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1. to group


 to group  (to whom 그룹)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to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to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간접 목적어에게’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to group 예문


예문은 5개만 들겠습니다.


(1) award A B (A에게 B를 수여하다)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해했다/ 금메달을)


(2) deny A B (A에게 B를 거부하다)

    I can't deny my daughter anything.

    (나는 내 딸에게 거부할 수 없다/ 어떤 것도)


(3) feed A B (A에게 B를 먹이다)

    We fed our children milk in bottle.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먹였다/ 병에 든 우유를)


(4) owe A B (A에게 B를 빚지다)

    I owe my wife many things.

    (나는 내 아내에게 빚지고 있다/ 많은 것을)


(5) throw A B(A에게 B를 던지다)

    My son threw his sister a pillow.

    (아들이 동생에게 던졌다/ 베개를)




2. for group 


 for group  (for whom 그룹)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for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for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간접 목적어를 위해’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2. for group 예문


예문은 다섯 개만 들겠습니다.


(1) build A B (A를 위해 B를 짓다)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아이들에게 만들어 줬다/ 작은 정원을)


(2) cook A B (A를 위해 B를 요리해 주다)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를 위해 요리해 주었다/ 라면을)


(3) design A B(A를 위해 B를 디자인하다)

    I designed my daughter a toy house.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4) find A B (A를 위해 B를 찾아주다)

    My son found his sister a missing doll.

    (내 아들은 여동생에게 찾아 주었다/ 잃어버렸던 인형을)


(5) save A B (A를 B에서 구해주다)

    I save my wife the trouble by cleaning.

    (나는 내 아내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청소함으로써)




3. of group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등


of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쓰는 경우입니다. ‘간접목적어의’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합니다.


주의할 것은 ask를 제외하고는 3형식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of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sk A B (A에게 B를 묻다, 요청하다)

    My son asked me a favor.

    (내 아들이 나에게 부탁을 했다)


(2) beg A B (A에게 B를 부탁하다)

    My son and I begged my wife mercy.

    (아들과 나는 아내에게 자비를 부탁했다)




4 no group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4형식으로만 사용됩니다. 전치사를 써서 3형식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no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llow A B (A에게 B를 허용하다)

    My wife allows me one drink a day.

    (내 아내는 내게 하루 한 잔을 허용한다)


(2) bet A B (A에게 B를 걸다)

    Don't bet your children everything.

    (당신의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걸지 마라)


(3) charge A B (A에게 B를 청구하다)

    I can't charge my wife anything.

    (나는 내 아내에게 어떤 것도 청구할 수 없다)


(4) cost A B (A에게 B를 들게하다)

    The new smart phone cost me much.

    (새 스마트폰은 나에게 많은 돈이 들게 했다)


(5) spare (A에게 B를 덜어주다)

    My son spares me house chore.

    (내 아들은 내 집안일을 덜어준다)


(6) wish (A에게 B를 바라다)

    I wish you good luck.

    (나는 너에게 행운을 바란다)




이상으로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4형식 문장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수여동사 (Dative Verbs)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1.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칭찬을)

 

이 문장에서 보듯이 give라는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my son)과 행위(a praise)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행위를 받는 사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한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수여동사들

 

1. to group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2. for group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write

 

 

3.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4.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주: hire는 4형식으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어느 분의 예리하신 지적덕분에 수정합니다.) (^ ^)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수여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고 해석됩니다.

 

 

간단한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4형식 문장 예문들

 

(1) I brought my son seeds.

    (나는 내 아들에게 가져다 주었다/ 씨앗을)

(2)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3) My son asked me questions for gardening.

    (내 아들은 나에게 물어봤다/ 몇 가지 질문을)

(4) The small garden cost my son a little effort.

    (그 작은 정원은 내 아들에게 들게했다/ 약간의 노력을)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이 4형식 문장들에서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my son, me' 가 행위를 받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으로 해석됩니다.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 ‘사물’입니다.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위 예문들에서 직접목적어는 표에서 각각, seeds, a small garden, some questions, a little effort가 됩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 말로 ‘~을, ~를‘로 해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위치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예문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1)번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 내 아들을 위해서)

 

 

 

 

이렇게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 전환은 핵심정리 124에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전환이 가능하게 많이 연습해 보세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이번 시간에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미래 동사 + to 부정사 


기본적으로 to 부정사는 미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래 의미에 대한 설명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stop to 부정사, stop 동명사 (stop to do, stop ~ing) (1분정리 014)


그러므로 미래동사들은 미래의 의미가 있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게 됩니다. 




미래 동사들


다음은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미래동입니다.


1. 희망동사

    expect, hope, want, wish, would like to


2. 계획, 의도

   agree, choose, decide, fail, hesitate, intend 

   manage, need, plan, prepare, promise, refuse




예문


예문은 세 개만 들겠습니다.


(1) I chose to marry him.

    (나는 선택했어/ 그와 결혼하는 것을.)


(2) I didn't hesitate to marry such a poor man.

    (나는 주저하지 않았어/ 그렇게 가난한 사람과 결혼하는 것을.)


(2) We can manage to live somehow.

    (우리는 해 나갈거야/ 어떻게든.)




예문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예문 (1분정리 032)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ant, wish, hope




공부할 내용


1. to 부정사와의 결합

2. that절과의 결합

3. 문장형식: 3형식과 5형식 


위 세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3번 문장형식은 1,2번 설명에 포함시켰습니다.




1. to 부정사의 사용

(3형식 목적어)


(1) want + to 부정사 (o)

(2) wish + to 부정사 (o)

(3) hope + to 부정사 (o)

셋 다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3형식 문장에서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쓸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2) I wish to drive a car.           (o)

    (나는 차를 운전하고 싶다.)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to drive a car.          (o)

   (나는 희망한다/ 차를 운전하는 것을.)




to 부정사의 사용

(5형식 목적보어)


(1) want 목 to    (o)

(2) wish 목 to    (o)

(3) hope 목 to   (x)




to 부정사의 사용

(예문)


(1) I want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2) I wish you to drive my car. 

    (나는 네가 내 차를 운전했으면 해.)

    (역시 1번을 훨씬 더 많이 씁니다.)

(3) I hope you to drive my car. (x)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2. that절의 사용


want that (x)

wish that (o)

hope that (o)


want는 목적어로 that절을 쓸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want는 3형식 문장에서 that을 목적어로 쓸 수 없습니다.




that절의 사용 

(예문)



(1) I want that I drive a sport car someday.          (x)

    (want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2) I wish that I were Superman.                        (o)

    (나는 소망한다/ 수퍼맨이기를.)

    (wish 다음에 that절이 올 때는 과거동사가 옵니다.)

    (그리고 사실의 반대인 가정법으로 쓰입니다.)


(3) I hope that I will drive a sport car someday.     (o)

    (나는 희망한다/ 언젠가 스포츠카를 운전하기를.)

    (hope 다음에 that절이 오면 미래 조동사 will을 함께 씁니다.)

    (희망한다는 것은 미래의 일을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시험에 나오는 것들로만 정리했습니다.

그러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실 바랍니다.


그래도 대충 공부하실 것은 아니죠?



hope VS wish





hope or wish (?)


이번 시간에는 hope와 wish의 의미차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보통 hope는 ‘희망하다’, wish는 ‘소망하다’라고 해석됩니다. 그렇지만 의미차이가 분명하게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wish > hope


결론부터 말하면 wish가 hope를 포함합니다.


벤다이어 그램으로 정리해 보시다.

hope = 실현가능

wish  = hope + 실현불가능 




hope: 실현가능한 미래


hope는 ‘미래에 가능한 일을 바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hope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ex) I hope that I will marry my love.

    (나는 희망한다/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기를)


이 문장은,

I wish that I would marry my love. 라고 고쳐쓸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보듯이 hope와 wish는 의미가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음은 어떨까요?



wish: 실현 불가능(?)한 미래


 브래드 피트와 결혼을?

 ex) I wish that I would marry Brad Pitt.

     (나는 소망한다/ 브래드 피트와 결혼하기를.)


글쎄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충분히 실현가능한 ‘희망’입니다. 하지만 최고의 미남 ‘Brad Pitt'와 결혼한다는 것은 별로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이렇게 실현가능성이 없을 때, hope는 쓸 수 없습니다. wish를 써야 합니다.




정리해보면, hope는 실현가능한 일을 바라는 것

wish는 hope + 실현불가능한 일이 됩니다.


hope와 wish에 대한 의미차이는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wish 용법  (2)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wish의 용법






가정법에 쓰이는 wish를 공부하기에 앞서 동사 wish의 쓰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wish의 세가지 용법


동사 wish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1) wish to do (~하고 싶다)

(2) wish A B (A에게 B를 바라다)

(3) wish that S 과거형 (가정법, 사실에 대한 반대)




각 항목별로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1) wish to do (~하고 싶다)


ex) I wish to be a scientist. (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

여기서 'wish to be'는 ‘~이 되고 싶다’로 쓰였습니다. ‘want to be'로 바꾸어도 됩니다.





(2) wish A B (A에게 B를 바라다)


ex) I wish you a merry Christmas. (나는 당신에게 즐거운 크리스마스를 바랍니다.)

              A            B

wish A B는 이 예문을 보면 잘 이해되실 겁니다. 이 때 wish는 ‘바라다’로 쓰였습니다. hope나 desire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3) wish that S 과거형 (가정법, 사실의 반대)


이 항목은 가정법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간단한 개념정리만 하겠습니다.


① I wish (that) I were beautiful.       (현재 사실의 반대)

   (나는 바란다/ 내가 아름답기를)

② I wish (that) I had been beautiful. (과거 사실의 반대)

   (나는 바란다/ 내가 아름다웠었기를)


①번을 보면 that 절에 과거동사 were가 왔습니다. 이렇게 wish that절에 과거동사가 오면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그러므로 현재사실의 반대가 됩니다. ‘현재 아름답지 않은 것을 아쉬워 하고 있습니다.

②번은 that절에 과거완료 'had been'이 왔습니다. wish that절에 과거완료가 오면 ‘가정법 과거완료’가 되어,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가 됩니다. '과거에 아름답지 못했던 것을 아쉬워 하고 있습니다.





wish의 일반적인 용법은 이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wish에 대한 자세한 용법은 가정법 편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sh 가정법  (13)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