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소유를 나타내는 of, t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영어로 '왕의 아들'을 표현할 때 "King's son"과 "The son of a king" 중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운지 고민해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영어에서 소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전치사인 of와 to의 정확한 사용법과 차이점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본문을 다 읽고 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가 있습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글의 내용

1. 소유의 of

2. 소유의 to

3. 자주 묻는 질문

4. 문제 다운로드

 

시작해 봅시다!

1. 소유의 of

먼저 of부터 살펴볼까요?

 

1-1. 사람의 소유를 나타내는 of

영어에서 of는 보통 사람의 소유 관계나 사물의 일부를 표현할 때 씁니다. 예를 들어,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of가 오면 '소유'의 의미가 됩니다.

 

ex) The son of a king is a prince.

      (왕의 아들은 왕자다.)
   = King's son is a prince.

 

위 예문에서 보듯이, 사람의 소유는 보통 간단히 's로 표현합니다. 하지만 of를 쓰면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을 차린 느낌이 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사람의 소유격은 ‘s, 사물의 소육격은 of로 나타냅니다.

 

1-2 사물의 소유를 나타내는 of

다음으로, 사물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of가 오면 그 대상의 한 부분을 뜻합니다.

 

ex) The legs of the table are made of wood.
      (식탁의 다리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이번에는 to를 살펴보겠습니다.

 

2. 소유의 to

몇몇 특정한 단어(answer, key, damage, injury 등)는 소유나 관련성을 나타낼 때 관용적으로 to와 함께 사용합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of가 맞는 것 같지만, 이 단어들은 예외적인 관용 표현으로 반드시 to와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비 영어권 학습자들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용법입니다.

 

(1) He knew the answer to the question.

     (그는 문제의 답을 알았다.)


(2) This is the key to the problem.

      (이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3) The virus caused serious damage to my computer.

      (바이러스가 컴퓨터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습니다.)


(4) Too much exercise can cause injury to your body.

      (지나친 운동은 몸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표현들은 매우 자주 사용되는 관용 표현들이므로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3. 자주 묻는 질문

마지막으로, 자주 묻는 질문 두 가지를 정리하겠습니다.

 

Q. 사람의 소유를 나타낼 때 of와 's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일반적으로 사람의 소유는 's를 주로 사용합니다. of는 보다 문어적이고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Q. answer나 key는 왜 of 대신에 to를 사용합니까?
→ 관습적인 용법입니다. answer, key, damage 등 특정 단어들은 영어에서 소유나 관련성을 나타낼 때 반드시 to와 함께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4. 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와 해설을 준비했습니다. 다운로드 해서 잘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소유를 나타내는 of와 to 문제.pdf
0.22MB
소유를 나타내는 of와 to 문제 정답과 해설.pdf
0.26MB

 


 

다음은 제가 쓴 "전치사의 달인" 책입니다. 전치사를 수준 높게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합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to, towards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전치사 to, toward(s)를 공부하겠습니다.

 

전치사 to, towards는 방향을 나타내며, 의미가 비슷해서 혼동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정리

2. 방향을 타낼 때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 정리

먼저 두 단어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 to : (목적지를 향해서) ~로, ~쪽으로
  • toward(s) : (방향을 향해서) ~쪽으로

    (toward는 미국에서, towards는 주로 영국에서 쓰이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2. 방향을 타낼 때 

To는 도달하려고 하는 ‘명확한 목적지’ 앞에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towards는 ‘대략적인 방향만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walked to the church (and arrived there).

     (해석: 나는 교회로 걸어갔다)

     (속뜻: 교회에 가기 위하여 걸어갔다)

 

(2) I walked towards the store to find my friend's house.

     (해석: 나는 교회 쪽으로 걸어갔다/ 친구 집을 찾기 위하여)

     (속뜻: 교회 쪽으로 가면 친구 집이 있다)

 

(1)번에서는 목적지가 교회이기 때문에 t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교회는 목적지가 아니라, 친구 집이 있는 방향만을 알려 줍니다. 그러므로 towards를 썼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He wrote a love letter to her.

     (그는 연애 편지를 썼다/ 그녀에게)

     (특정한 대상이 있으므로 to)

 

(4) She had her back to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나에게)

(4-1) She had her back towards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내 쪽으로)

대상의 명확성을 고려할 때 웬지 (4-1)번의 그녀가 더 화난 것 같습니다.

 

명확한 대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to는 devote, commit 등의 단어들과 잘 어울립니다.

 

(5) He devoted his life TO helping poor people. (towards는 안 됨)

   = He is committed TO helping poor people.

     (그는 헌신했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데)

 

‘헌신한다’는 것은 ‘명확한 목표’를 정해서 하는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to가 어울립니다. 막연한 towards는 devote 등과 쓸 수 없습니다.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To, towards는 추상적인 대상 앞에서는 별 의미차이 없이 사용됩니다.

(life, death, love, peace 등)

 

(1) His attitude towards life is different from mine.

(2) His attitude to life is different from mine.

     (그의 삶에 대한 태도는 다르다/ 나와는)

 

(1), (2)번은 큰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추상 명사 앞에서 ‘~대하여’를 뜻할 때는, to보다 towards를 더 많이 씁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toward 연습문제.pdf
0.27MB
to toward 연습문제 - 정답.pdf
0.27MB

 

그럼 이상으로 to, toward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제가 쓴 전치사 책입니다. 전치사를 외우지 않고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책입니다. 다양한 전치사를 외우느라 지친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beside, by, near  (2) 2014.02.26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