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t의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that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지시대명사 that

2. 부사 that

3. 접속사 that

4. 관계대명사 that

 


1. 지시대명사 that


‘that’은 앞에 있는 명사나 문장을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이 때 ‘that’ ‘저 사람·저것’ 또는 ‘그 사람·그것’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ex) I like this more than that.

    (나는 이것이 더 좋아/ 저것보다)

ex) Who's that at the door?

    (문에 있는 그 사람 누구니?)

ex) A: Let's go to Europe.

     B: That's what I think.

        (A: 유럽가자. B: 그것이 내가 생각하고 있는 거야)



2. 부사 that

'that'은 부사로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해석은 ‘그렇게’로 합니다.


ex) I don't like him that much.

    (나는 그를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아)

ex) Don't walk that fast.

    (그렇게 빨리 걷지 마)



3. 접속사 that

'that'은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접속사로서 문장을 이끄는 that은 주어·보어·목적어·부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at'이 접속사로 사용될 경우, 주어절을 이끄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격으로 쓰이는 that 역시 접속사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1) 주어절을 이끄는 that: 생략 불가

ex) That he is a playboy is well known.

    (그가 바람둥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2) 보어절을 이끄는 that

ex) The important thing is that you love me.

    (중요한 것은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는 것이다)


(3) 동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that

접속사 'that'은 'believe, hope, know, think, say‘ 등의 동사 다음에서 목적어절을 역할을 합니다. 이 때 that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ex) She thought. He was cool.

  ⇒ She thought that he was cool.

    (그녀는 생각했다/ 그가 멋지다고)

ex) He hopes. He can be a singer.

   ⇒ He hopes that he can be a singer.

    (그는 희망한다/ 가수가 되기를)


(4) 동격절을 이끄는 that

동격이란 ‘같다’라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동격절이란 ‘같은 문장’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보통 ‘belief, fact, idea, opinion. thought'등의 명사 다음에 'that'절로 설명을 덧붙이는 것을 ’동격의 that'이라고 합니다. 주의할 것은 이 때 'that'은 접속사이므로 다음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격절을 이끄는 'that'은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ex) I have a belief that she loves me.

    (나는 믿음이 있다/ 그녀가 나를 사랑한다는)

ex) Do you know that fact that Japanese eat a horse?

    (너 그 사실을 알고 있니/ 일본인들이 말을 먹는다는?)


(5)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접속사 that은 보통 ‘so A that B’의 형태로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ex) She was so beautiful that I can't forget her.

    (그녀는 아주 아름다워서 나는 그녀를 잊을 수 없다)


접속사로 사용된 that 다음에는 생략된 말이 없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을 기억해 둬야 합니다.

 


4.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로 사용된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ex) He is the person that will help you. (주격 관계대명사)

    (그는 사람이다/ 당신을 도울)

    (that 다음에 주어 생략)


ex) She is the best girl that you can have. (목적격 관계대명사)

    (그녀는 최고의 여자이다/ 당신이 가질 수 있는)

    (that 다음에 목적어 생략)


위에서 보는 것처럼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와야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that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부정 (double negation)  (5) 2013.11.19
접속사 as, than  (4) 2013.11.17
동명사 총정리 (1부)  (2) 2013.11.14
목적격 관계대명사  (14) 2013.11.13
분사구문 부대상황  (4) 2013.11.08

접속사 that, 관계대명사 that




that의 용법


첫 번째로 공부할 것은 'that'입니다. 'that‘에서는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강 관계사 편에서 공부했던 것을 기억해 봅시다. 관계대명사를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이었나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것입니다. 즉,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것입니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구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오고, 관계대명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접속사 that


(1) 접속사 that + 완전한 문장

That he loves music /is known to everyone.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모든 사람에게.)


② Everyone knows /that he loves music.

   (모든 사람이 안다/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것을.)


①번에서 밑줄 친 that 다음 절에는 주어 he와, 목적어 music이 다 있습니다. 완전한 문장입니다. 그러므로 that은 접속사로 쓰였고, that절은 주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②번 역시 that 다음에는 주어 he와 목적어 music이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that은 접속사로 쓰였고,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①②에서 보았듯이 접속사로 쓰인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다 있습니다. 완전한 문장이 와야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


(2) 관계대명사 that + 불완전한 문장

① He is the very man that ( ) loves music.

    (그가 바로 그 사람이다/ 음악을 사랑하는.)


② It is the very music that he loves ( ).

   (이것은 바로 그 음악이다/ 그가 사랑하는.)


①번에서 that 다음에는 동사 love가 바로 왔습니다. 주어가 없습니다. 이렇게 'that' 다음에 주어없이 동사가 곧바로 오는 경우를 ‘주격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②번에서는 that 다음에 love라는 동사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that’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접속사로 쓰인 that과는 달리 관계대명사 that 다음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동격절의 that


that을 공부할 때 주의하실 것이 있습니다. 동격절에 사용되는 that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She knows the fact that he loves music.

(그녀는 그 사실을 안다/ 그가 음악을 사랑한다는.)


여기서 that절은 ‘the fact’를 설명하는 동격명사절입니다. 이렇게 동격으로 쓰인 that을 보면 많이들 헷갈려하는데 간단합니다. 'that‘ 다음에 주어와 목적어가 다 있는 완전한 문장이 왔기 때문에 ’that'은 접속사입니다. ‘동격명사절에 쓰인 that은 접속사이다‘라고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that에 대한 설명은 이만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