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y, tell, speak, talk 차이 


토익 핵심정리 002 

(say VS tell) (speak VS talk) 차이 끝장내기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헷갈려하는 표현들입니다. 그러다 보니 토익 문제에도 자주 출제됩니다. 이 단어들을 문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답이 없습니다. (say, tell) (speak, talk)는 문법규칙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say, tell, speak, talk에 대한 글을 읽어보면 ‘이럴 때는 이렇게 해라’하고 규칙을 설명해 놓다보니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문장에서 ‘사용’하다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럼 네 단어의 차이를 보겠습니다. say, tell, speak, talk는 전부 ‘말하다’라는 기본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그리고 'say와 tell’이 ‘speak, talk'보다 훨씬 많이 사용됩니다. 


공부할 때는 (say․tell), (speak․talk)로 묶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핵심정리 1 (say, tell) 


둘 다 무엇인가를 ‘말하다’는 기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ay'는 내용보다는 ‘발음’에 초점을 둡니다. 그렇지만 tell은 발음보다는 ‘내용’에 초점을 둡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Say something!

  (뭔가 말해봐!)


(2)Tell me the truth.

    (진실을 말해 줘)


그리고 위에서 보는 것처럼, say 다음에는 바로 사람이 올 수 없지만 tell 다음에는 사람이 올 수 있습니다. 


위 문장 두 개를 외워버리세요.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핵심정리 2. talk, speak


이 둘도 기본적인 의미는 ‘말하다’입니다. 하지만 talk는 ‘비공식적’ 말하기를, speak는 ‘공식적인 말하기’를 뜻합니다. ‘이야기하다(talk)’와 ‘연설하다(speak)’의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he president talks with his friend on the phone.

    (대통령은 친구와 떠들고는 한다/ 전화로)


(2) The president will speak before congress.

    (대통령이 연설할 것이다/ 의회 앞에서)


똑같은 대통령의 말하기입니다. 그렇지만 친구와 일상적으로 떠들는 것이라면 ‘talk', 공식적으로 말하면 ’speak'가 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3) He has a difficulty to talk with a stranger.

    (나는 어려움이 있어/ 낯선 사람과 이야기 하는데)


(4) He has been diagnosed to have a difficulty in speaking.

    (나는 진단 받았다/ 언어 장애가 있는 걸로)


(3)번과 (4)번에서 speak는 기본적으로 똑같은 ‘말하기의 어려움’입니다. 그렇지만 일상적인 말하기의 어려움이라면 'talk'를, 의사의 진단처럼 ‘공식적’인 말하기의 어려움이라면 'speak'를 쓰면 됩니다.




이제 실전문제를 봅시다.


연습문제


1. 'Good morning,' he ( ) opening the door.

    (안녕, 그가 말했다/ 문을 열면서)


2. She ( ) me good news about the contract.

    (그녀가 나에게 좋은 소식을 말해 주었다/ 계약에 대해서)


3. 'I can' ( ) to you right now. I'm late!

   (지금은 이야기할 수 없어. 늦었어!)


4. I have a headache because I have to ( ) on the conference.

   (골치가 아프다/ 회담에서 연설해야 하기 때문에)


정답

1. said   2. told    3. talk    4. speak.



그럼 이상으로 'say, tell, speak, talk'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건강 주의하시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강좌에서 뵙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less, lest should  (2) 2013.08.27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  (1) 2013.08.27
across, cross 구별  (6) 2013.08.24
도치구문 (일치)  (0) 2013.08.23
already, yet, still 차이  (12) 2013.07.03

4형식 예문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1. to group


 to group  (to whom 그룹)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to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to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간접 목적어에게’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to group 예문


예문은 5개만 들겠습니다.


(1) award A B (A에게 B를 수여하다)

    Teachers awarded my son a gold medal.

    (선생님들이 내 아들에게 수여해했다/ 금메달을)


(2) deny A B (A에게 B를 거부하다)

    I can't deny my daughter anything.

    (나는 내 딸에게 거부할 수 없다/ 어떤 것도)


(3) feed A B (A에게 B를 먹이다)

    We fed our children milk in bottle.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먹였다/ 병에 든 우유를)


(4) owe A B (A에게 B를 빚지다)

    I owe my wife many things.

    (나는 내 아내에게 빚지고 있다/ 많은 것을)


(5) throw A B(A에게 B를 던지다)

    My son threw his sister a pillow.

    (아들이 동생에게 던졌다/ 베개를)




2. for group 


 for group  (for whom 그룹)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for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for를 쓰는 동사들입니다. ‘간접 목적어를 위해’ ‘직접 목적어를 해주다’로 해석합니다.




2. for group 예문


예문은 다섯 개만 들겠습니다.


(1) build A B (A를 위해 B를 짓다)

    I built my children a small garden.

    (나는 아이들에게 만들어 줬다/ 작은 정원을)


(2) cook A B (A를 위해 B를 요리해 주다)

    My wife cooked me ramen.

    (내 아내가 나를 위해 요리해 주었다/ 라면을)


(3) design A B(A를 위해 B를 디자인하다)

    I designed my daughter a toy house.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4) find A B (A를 위해 B를 찾아주다)

    My son found his sister a missing doll.

    (내 아들은 여동생에게 찾아 주었다/ 잃어버렸던 인형을)


(5) save A B (A를 B에서 구해주다)

    I save my wife the trouble by cleaning.

    (나는 내 아내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청소함으로써)




3. of group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등


of 그룹은 3형식으로 바꿀 때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쓰는 경우입니다. ‘간접목적어의’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합니다.


주의할 것은 ask를 제외하고는 3형식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of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sk A B (A에게 B를 묻다, 요청하다)

    My son asked me a favor.

    (내 아들이 나에게 부탁을 했다)


(2) beg A B (A에게 B를 부탁하다)

    My son and I begged my wife mercy.

    (아들과 나는 아내에게 자비를 부탁했다)




4 no group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여기에 있는 단어들은  4형식으로만 사용됩니다. 전치사를 써서 3형식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no group 예문


예문입니다.

(1) allow A B (A에게 B를 허용하다)

    My wife allows me one drink a day.

    (내 아내는 내게 하루 한 잔을 허용한다)


(2) bet A B (A에게 B를 걸다)

    Don't bet your children everything.

    (당신의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걸지 마라)


(3) charge A B (A에게 B를 청구하다)

    I can't charge my wife anything.

    (나는 내 아내에게 어떤 것도 청구할 수 없다)


(4) cost A B (A에게 B를 들게하다)

    The new smart phone cost me much.

    (새 스마트폰은 나에게 많은 돈이 들게 했다)


(5) spare (A에게 B를 덜어주다)

    My son spares me house chore.

    (내 아들은 내 집안일을 덜어준다)


(6) wish (A에게 B를 바라다)

    I wish you good luck.

    (나는 너에게 행운을 바란다)




이상으로 4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진행형  (9) 2013.05.0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4) 2013.05.03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4형식 문장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수여동사 (Dative Verbs)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1.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칭찬을)

 

이 문장에서 보듯이 give라는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my son)과 행위(a praise)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행위를 받는 사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한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수여동사들입니다.

 

 

수여동사들

 

1. to group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2. for group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write

 

 

3. of group

ask, beg, inquire, require 

 

 

4. no group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주: hire는 4형식으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어느 분의 예리하신 지적덕분에 수정합니다.) (^ ^)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수여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고 해석됩니다.

 

 

간단한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4형식 문장 예문들

 

(1) I brought my son seeds.

    (나는 내 아들에게 가져다 주었다/ 씨앗을)

(2)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3) My son asked me questions for gardening.

    (내 아들은 나에게 물어봤다/ 몇 가지 질문을)

(4) The small garden cost my son a little effort.

    (그 작은 정원은 내 아들에게 들게했다/ 약간의 노력을)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이 4형식 문장들에서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my son, me' 가 행위를 받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으로 해석됩니다.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 ‘사물’입니다.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위 예문들에서 직접목적어는 표에서 각각, seeds, a small garden, some questions, a little effort가 됩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 말로 ‘~을, ~를‘로 해됩니다.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위치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예문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1)번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 내 아들을 위해서)

 

 

 

 

이렇게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 전환은 핵심정리 124에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전환이 가능하게 많이 연습해 보세요.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5형식 수동태  (15) 2013.04.25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수동태



수동태 총정리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총정리] -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5형식 수동태를 공부하겠습니다.


5형식 수동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4. 목적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 동사들 수동태




차례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1번 설명


(1)번 능동태 문장에서 president는 목적어 Lincoln를 설명하는 목적보어입니다.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Lincoln이 주어가 됩니다. 그러므로 president는 주어를 설명하는 주격보어가 됩니다. be 동사 + 주격보어이므로 2형식 문장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면,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면 2형식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2.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5형식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에서 들었던 예문을 다시 보겠습니다.


(1)능동태

    They elected Lincoln President.

    (그들은 링컨을 선출했다/ 대통령으로)


(2) 수동태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by them).  (O)

    (링컨은 선출되었다/ 대통령으로)


(3)  President was elected ~                      (X)




2번 설명


(3)번은 (1)번 문장에서 목적보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쓴 것입니다. 말이 될 것도 같지만 이런 문장은 영어에 없습니다.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목적보어는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3. 지각, 사역동사의 수동태


지각, 사역동사는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 올 수 있습니다.


지각,사역 5형식 목적보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각동사 정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0)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핵심정리 121)


예문을 봅시다.


(1) 능동태

    They saw Lincoln enter the White House.

    (그들은 보았다/ 링컨이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을)


(1)번 능동태 문장에서는 지각동사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enter'가 왔습니다.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2) 수동태

    Lincoln was seen to enter the White House.

    (링컨은 보였다/ 백악관에 들어가는 것이)




3번 설명


(2)번 수동태 문장에서는 enter 앞에 to를 썼습니다. 능동태에서는 동사원형 enter를 썼지만 수동태에서는 to enter가 됩니다. 사역동사도 마찬가지 규칙이 적용됩니다.


이것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목적보어로 to가 오는 동사들


다음 동사들은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합니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1분 정리 033)


그룹 1) advise, allow, ask, expect, encourage, invite, persuade, tell, want

그룹 2) enable, get, force, order




예문을 보겠습니다.


4번 설명


(1) 능동태

    Lincoln allowed the Southern captives to return home.

    (링컨은 허용했다/ 남부 포로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1)번 문장을 수동태로 고쳐 보겠습니다. 

목적보어의 형태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2) 수동태

    The Southern captives were allowed to return home by Lincoln.

    (남부 포로들은 허용되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링컨에 의해서)


(1)번 능동태에서 목적보어 to return은 (2)번 수동태에서도 그대로 ‘to return'으로 쓰였습니다. 즉, 


능동태에서 목적보어로 쓰인 to 부정사는 수동태에서도 to 부정사 그대로 사용됩니다.




다 함께 수동태를 능동적으로 공부한 이번 시간의 강의를 마칩니다.

 

고맙습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사역동사 5형식 목적보어  (28) 2013.04.24
5형식, 4형식 구별  (19) 2013.04.20
5형식 문장 예문  (4) 2013.04.19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들을 여기서는 ‘5형식 일반동사’라고 하겠습니다. 5형식 일반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룹 1) 

        advise, allow, ask, expect, invite, persuade, tell, want


그룹 2) 

        enable, get, force, order (fake 사역동사)


이들 동사들은 to 부정사를 목적보어로 취합니다.

즉, 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fake 사역동사들


특히 주의할 동사들은 enable, get, force, order등입니다. 이들 동사들은 ‘~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역동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역동사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대신에 ‘to 부정사’를 써야 합니다.




예문들


간단한 예문을 보기로 하겠습니다.


(1) The doctor advised me to stop smoking.

     (의사는 나에게 충고했다/ 담배 끊으라고.)


(2) Money enable you to do anything.

    (돈은 당신이 무엇이나 하게 해준다.)


(3) You can't get him to study.

    (당신은 그가 공부하게 할 수 없다.)


(4) Don't force me to study!

    (억지로 나를 공부시키지 마!)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