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구동사(phrasal verb) 정리 – Break (뜻과 예문)

 

 

 

3형식을 공부하기에 앞서 영어 구동사(영어 숙어)를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3형식을 공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구동사(phrasal verb)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특히 영어 회화와 시험, 작문 실력에 직결되는 기본 동사 표현들을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동사(phrasal verb)는 기본 동사와 전치사나 부사가 결합해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되는 표현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동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break, bring, call, carry, come,

do, fall, get, go, keep, look, make,

put, run, set, take, turn 등.

 

이번 글에서는 break를 중심으로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를 예문과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구동사(phrasal verb)와 숙어(idiom)은 다릅니다. 그렇지만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셔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구동사는 ‘Longman Phrasal Verbs’ 사전을 참고 했습니다.

 

1번 break부터 시작하겠습니다.

Break 구동사 간단 정리

break away : 떨어져 나가다

break down : 고장 나다

break in : 길들이다 / 침입하다 / 끼어들다

break into : 강제로 들어가다 / 웃음·울음을 터뜨리다

break out : 발생하다 / 탈출하다

break through : 돌파하다

break up : 부서지다 / 끝나다

 

각 구동사별 예문들입니다. 

 

break away, break down

 

1. break awa (떨어져 나가다)

ex) In 1948, North Korea broke away from South Korea.
      (1948년 북한은 남한으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2. break down (고장 나다)

ex) My old car broke down again on my way home.
     (내 낡은 차가 집에 오는 길에 또 고장 났다.)

break in

 

3. break in

의미 1: (동물이나 신발 등을) 길들이다
ex) The cowboy tried to break in the wild horse.
       (카우보이는 그 야생마를 길들이려고 했다.)

의미 2: 침입하다

ex) An armed robber broke in the neighborhood yesterday.
      (무장 강도가 어제 동네에 침입했다.)

 

의미 3: 끼어들다

ex) Don't break in our conversation so abruptly!
      (우리 대화에 그렇게 갑자기 끼어들지 마세요!)

 

 

break into

4. break into

의미 1: 강제로 들어가다

ex) Thieves broke into the bank’s safe last night.
      (도둑들이 지난밤 은행 금고를 털었다.)

의미 2: (웃음이나 눈물 등을) 갑자기 터뜨리다

ex) She broke into a loud laughter at his proposal.
      (그녀는 그의 청혼에 갑자기 큰 웃음을 터뜨렸다.)

                                                  break out, break through

5. break out

의미 1: (전쟁 등이) 발생하다

ex)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한국 전쟁은 1950년에 발생했다.)

의미 2: 탈출하다

ex) A dangerous prisoner broke out of jail yesterday.
      (어제 위험한 죄수가 탈옥했다.)

 

6. break through

의미: 돌파하다

ex) A hacker broke through the Pentagon's security system.
     (한 해커가 미 국방부의 보안 시스템을 돌파했다.)

7. break up

의미 1: 부서지다

ex) A glass fell down from the table and broke up into pieces.
      (유리잔이 테이블에서 떨어져 조각나 버렸다.)

의미 2: (관계나 모임이) 끝나다

ex) The star couple broke up after dating for 100 days.
      (그 스타 커플은 사귄 지 100일 만에 헤어졌다.)

 

그럼 이상으로 break에 대한 구동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영어 구동사 167" 책입니다.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동사 167개를 골라서 간략하게 뜻과 예문, 동의어를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책이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look, seem, appear 차이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look, appear, seem의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look, appear, seem


look, appear, seem은 모두 ‘~처럼 보이다’라는 의미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우선 세 단어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look: ~인 것 같다. (그렇게 보이고 그럴 것 같다)

2. seem : ~처럼 보인다. (그렇게 보이지만 확신은 못하겠다)

3. appear : ~처럼 보인다. (그렇게 보이기는 하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먼저 예문을 보면서 각 단어에 대한 감을 잡아 봅시다.

(1) He is tired.

    (그는 피곤하다)

(2) He looks tired.

    (그는 피곤해 보인다)

    (그는 피곤해 보이고 진짜로 피곤한 것 같다)

(3) He seems tired.

    (그는 피곤해 보인다)

    (그런 생각이 들지만 확신은 못하겠다)

(4) He appears tired.

    (그는 피곤해 보인다)

    (그렇게 보이지만 피곤하지는 않을 것 같다)


위 예문들은 각각의 해석에서 알 수 있듯이 ‘사실일 가능성’이 다릅니다. 현재형을 사용한 (1)번은 사실을 그대로 나타냅니다. 'look'을 사용한 (2)번은 ‘그렇게 보이고 그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 ‘seem'을 사용한 (3)번 역시 의미는 ’~처럼 보이다‘이지만 의미는 약간 다릅니다. 'seem'은 보는 사람이 그렇게 생각하는 ’주관적 판단‘을 나타냅니다. 말하는 사람은 그 내용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4)번 appear는 ’보이는 것과는 반대‘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그럼 각 단어별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look


   look (자동사)

         ~인 것 같다.

         (외관상 그렇게 보이고 그럴 것 같다)


look은 ‘그렇게 보이고 그럴 것 같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눈으로 보이는 상황이 있어야 합니다.


look : 그 판단의 근거를 눈으로 볼 수 있다.


  

(1) He looks tired.

    (그는 피곤해 보인다)

(2) She looks sad.

    (그는 슬퍼 보인다)

(3) It looks like rain.

    (비가 올 것 같아)


(1)번에서 그는 피곤해 보입니다. 예문에는 직접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말하는 사람 눈에는 ‘그의 얼굴이 초췌한 것’이 보입니다.

(2)번에서 그녀는 슬퍼 보입니다. 눈물을 흘리고 있거나 등으로 그녀의 슬픔을 볼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합니다.

(3)번에서는 ‘비구름이 잔뜩 끼어 있거나 해서’ 비가 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렇게 look은 어떤 상황을 보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그러니만큼 사실일 가능성이 큽니다.

 


2. seem


   seem (자동사)

           ~처럼 보인다.

           (그렇게 보이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다)


seem은 ‘~처럼 보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look과 같은 의미인 것 같지만 다릅니다. look은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 보일 때 사용하지만 seem은 ‘확실하지 않아 보일 때’ 씁니다. 즉, 말하는 사람의 확실하지 않은 주관적인 판단을 공손하게 표현할 때 seem을 씁니다.


(1) He seems a nice guy.

    (그는 좋은 사람 같아 보여)

(2) She seems to come here.

    (그녀가 여기 올 것 같아 보여)


(1)번에서 그는 좋은 사람 같아 보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그가 좋은 사람인지 아닌지는 확실하게 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seem을 썼습니다.

마찬가지로 (2)번에서도 그녀는 올 것 같아 보아지만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는 seem을 사용합니다.

 


3. appear


  appear (자동사)

            ~처럼 보인다. 

            (외관상 그렇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뉘앙스)


appear는 look과 마찬가지로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사실일 가능성이 커보이는 상황에서 look를 쓰는데 반하여, appear는 겉으로는 그렇게 보이지만 사실은그렇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1) He appears a gentleman.

   (그는 신사처럼 보인다)

(2) It appears a big problem.

(그것은 큰 문제처럼 보인다)


(1)번은, 그가 겉으로 보기에는 신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2)번은, 그것이 겉으로 보기에는 큰 문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appear는 겉으로 보기에는 사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seem과 appear는 둘 다, 불확실한 상황을 나타내지만 그 불확실성이 오는 원천이 다릅니다. seem은 말하는 사람이 확신하지 못하는 것임에 대하여 appear는 말하는 대상이 확실하지 않은 것입니다.

(1) She seems happy.

    (그녀는 행복해 보인다)

(2) She appears happy.

    (그녀는 행복한 것처럼 보인다)


(1)번 예문에서 seem은 보는 사람(화자)의 확실하지 않은 주관적인 판단입니다. 그녀는 행복해 보이는데 보는 사람(화자)가 확신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는, 그녀는 행복해 보이지만 웬지 그녀가 억지로 행복한 척 하고 있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즉, 그녀 스스로 믿음이 가지 않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보통 ‘~처럼 보이다’라는 표현에는 appear보다 seem이 훨씬 더 자주 사용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look, seem, appea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형식 동사 정리





2형식 동사: BE 유형, BECOME 유형


2형식 동사는 크게 보아 BE(~이다) 유형, BECOME(~이 되다)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은 주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is thin.

     (그는 말랐다.)         (마름 -> 마름)

(2)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안 마름 -> 마름)

    속뜻 그는 안 말랐었는데 말라 버렸다.


(1),(2)에 사용된 2형식 동사들은 주어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의미가 약간 다릅니다. (1)번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습니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상태가 바뀝니다’. ‘안 말랐었는데 말라버렸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상태유지, 상태변화


이렇게 be동사는 상태를 유지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become은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 -> 상태 유지

become -> 상태 변화




2형식 동사들을 be동사(상태유지), become(상태변화)유형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be 동사 (상태유지형)


be 동사 유형에 속하는 동사들은 대부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에서 다루겠습니다.


(1) be 동사   (~이다)

    (예문 생략)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동사

 형용사

 의미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hold  good  유효하다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동사

 형용사

 의미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4) seem 유형 + 형용사  (~ 처럼 보이다)


 

동사

 형용사

 의미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역시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마찬가지로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동사

 형용사

 의미

 
  become fat 뚱뚱해 지다 
  come true 사실이 되다 
 

 fall

 short 부족하다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go wild   난폭하게 되다 
  run dry 마르게 되다 
  turn sour  시게 되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