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ld




이번에는 조동사 could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could에서는 세 가지 주요한 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쉬운 것 두 개부터 보겠습니다.



1. can의 과거 (가능)


(1)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자기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1)번 could는 단순히 가능을 나타내는 can의 과거입니다. 과거동사 said에 맞추어 과거를 쓴 것입니다.




2. 정중한 표현


(2)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 좀 잠깐 써도 될까요?)


(2)번에서는 공손한 표현입니다. 영어에는 존댓말의 개념이 없습니다. 위 아래 없이 'You'라고 하니까요. 그렇지만 분명히 정중한 표현은 존재합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대부분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만약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꼬맹이가 엄마한테,

'Can you give me some water?' 라고 말하면 아마, 엄마는 눈을 흘기면서,

'Could you give me some water, please?' 라고 말할 겁니다.


이렇듯 조동사의 과거형은 공손하고 정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could have p.p (과거 사실의반대)


이제 세 번째 공부할 것은 could에서 가장 어려운 'could have p.p'입니다. 일단 'could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입니다. 그리고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아주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1)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나쁠 수도 있었어. (실제로 더 나쁘지는 않았음.))

(2) You could have been dead. 

    (너 죽을 수도 있었어. (실제로 죽지는 않았음.))

이렇게 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영어에서 아주 많이 쓰입니다. 그러니 반드시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정리해 봅시다.


could have p.p 가정법 과거완료 

~일수도 있었다. 실은 안 그랬다.




조동사는 사실 '감'입니다.

외국인이 아무리 공부해도 확실하게 익힐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 have p.p




이번에는 조동사에서 자주 쓰이는 ‘조동사 have p.p'구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표현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1. 과거의 추측


첫 번째는 과거의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들입니다.


(1) 조동사 have p.p

    may(might) have p.p  과거의 불확실한 추측

    must have p.p          과거에 (상당히) 확실한 추측 

    cannot have p.p.       과거에 (상당히) 확실한 부정적 추측 





예문


   ※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1) Dinosaurs may have had brown skin.

    (공룡들은 갈색 피부를 가졌었을지도 모른다.)

(2) T-Rex must have been fearsome.

     (T-Rex는 무시무시했었음에 틀림없다.)

(3) He cannot have passed the test.

    (그가 시험을 통과했을 리가 없어.)





2. 가정법 과거완료


두 번째, ‘조동사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에 쓰이는 표현들입니다. 주의할 것은 ‘would have p.p, could have p.p만이 가정법 과거완료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이 표현들은 if없이도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의미는 '과거 사실의 반대’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would have p.p  (~이었을텐데, 안그랬다.)

    could have p.p   (~할 수 있었을 텐데, 못했다.)





예문


ex) If I had been a bird, I would (could) have flied to you.

   (내가 새였다면, 당신에게 날아갔었을텐데...)

보시다시피 가정법 과거완료는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사람이 새가 될수는 없으니까요.



'if'없이도 가정법 과거완료


그리고 could have p.p는 if절 없이도 ‘과거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ex)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안좋았을 수도 있었어.) (그만하기 다행이야.)

보시는 것처럼 더 안좋지는 않았습니다. 단지,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것이죠.


그리고 might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라기 보다는 ‘과거의 추측’으로 쓰입니다. ‘may have p.p'와 같은 말이죠. 그래서 가정법 과거완료로는 점점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





3. 과거에 대한 유감,후회 표현


(1) should(ought to) have p.p  ~했어야 했는데. (안했다)

    need not have p.p            ~필요가 없었는데. (해버렸다)




should have p.p. 


이것은 ‘~했어야 했는데 안했다’는 의미로서, 과거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를 표현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I should have listened to your doctor.

    (나는 의사의 말을 들었어야 했어.)

이것은 의사 말을 ‘안 들어서 후회된다’는 의미입니다.


 


need not have p.p


need not have p.p는 ‘~할 필요가 없었는데 해버렸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그다지 유감이나 후회가 들어있지는 않습니다. 간단한 예문을 볼까요?


ex) You need not have done that.

     (그렇게 하실 필요는 없었는데...)

이정도라고 알아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  (6) 2013.03.08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4) 2013.03.06
had better 용법  (1) 2013.03.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