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ld




이번에는 조동사 could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could에서는 세 가지 주요한 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쉬운 것 두 개부터 보겠습니다.



1. can의 과거 (가능)


(1)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자기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1)번 could는 단순히 가능을 나타내는 can의 과거입니다. 과거동사 said에 맞추어 과거를 쓴 것입니다.




2. 정중한 표현


(2)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 좀 잠깐 써도 될까요?)


(2)번에서는 공손한 표현입니다. 영어에는 존댓말의 개념이 없습니다. 위 아래 없이 'You'라고 하니까요. 그렇지만 분명히 정중한 표현은 존재합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대부분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만약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꼬맹이가 엄마한테,

'Can you give me some water?' 라고 말하면 아마, 엄마는 눈을 흘기면서,

'Could you give me some water, please?' 라고 말할 겁니다.


이렇듯 조동사의 과거형은 공손하고 정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could have p.p (과거 사실의반대)


이제 세 번째 공부할 것은 could에서 가장 어려운 'could have p.p'입니다. 일단 'could have p.p는 가정법 과거완료입니다. 그리고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아주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1) It could have been worse. 

    (더 나쁠 수도 있었어. (실제로 더 나쁘지는 않았음.))

(2) You could have been dead. 

    (너 죽을 수도 있었어. (실제로 죽지는 않았음.))

이렇게 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영어에서 아주 많이 쓰입니다. 그러니 반드시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정리해 봅시다.


could have p.p 가정법 과거완료 

~일수도 있었다. 실은 안 그랬다.




조동사는 사실 '감'입니다.

외국인이 아무리 공부해도 확실하게 익힐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 예문




이번 시간에는 각 조동사별 예문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단순형조동사들을 보겠습니다.


1. will

(1) 단순 미래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거야.)


(2) 의지 미래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2. would

(1) will의 과거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그는 말했다/ 내년에 스물이 될 거라고.)


(2) 의지 (소망)

My love, I would like to come with you.

(내 사랑, 당신과 함께 가고 싶소.)


(3) 고집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습관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어릴 때.)





3. can


(1) 능력, 가능

I can speak English fluently.

(나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


(2) 추측 (~일 수도 있다)

You can't be fluent in English.

   (너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을 리가 없어.)




4. could


(1) can의 과거

He said that he could speak English fluently.

(그는 말했다/ 그가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2) 정중한 표현

Could I use your phone for a moment, please?

(전화기좀 잠깐만 써도 될까요?)




5. shall


(1) 미래 (점점 안쓰이고 있슴)

I shall be twenty next year. (대부분 shall 대신에 will을 씁니다.)

(나는 내년에 스무살이 될 것이다.)


(2) 제안

Shall we dance?

(춤 한 번 추실까요?)





6. should


(1) (형식상) shall의 과거)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예문은 생략합니다.)


(2) ~해야 한다.

You should be on time for your work.

(당신은 제시간에 와야한다/ 직장에.)





to be continued....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조동사의 의미 (핵심정리 050)  동영상 강의




조동사는 뉘앙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조동사에 대한 감을 잡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조동사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영어에서 조동사가 단순히 ‘동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영어에서 조동사는 화자의 ‘뉘앙스’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an, could


간단한 예를 들어봅시다.


(1) Can you help me?

(2) Could you help me?


둘다 기본적인 의미는 ‘나좀 도와 줄래’입니다. 

그렇지만 (1)과 (2)가 전하는 뉘앙스는 완전히 다릅니다. (1)번은 ‘반말’입니다. 이에 대해 (2)번은 정중한 표현입니다. 'Could you help me?‘라고 말하면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영어에 존댓말 개념은 없지만, 정중한 표현은 분명히 있습니다. 아이가 'Can you help me?'라고 말하면 제대로 된 엄마는 보통 'Could you help me...'라고 고쳐 줍니다. )




will, be going to


중학교, 어쩌면 지금은 초등학생때부터 배우는 조동사가 있습니다. 바로 ‘will’입니다. 그리고 ‘will'과 같은 의미라고 죽어라 외웠던 ’be going to'가 있습니다. 그런데 두 말이 정말 같을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두 말은 실현 가능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능성이 높은 것은?


다음 예를 봅시다.


A: 야, 이제 담배 끊어야지.

B (I will.) 또는 (I´m going to.)


이런 대화를 가정해 봅시다. A의 말에 대해 B가 한 답입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아니면 우리가 무식하게 외운대로 의미차이가 없는 걸까요? 

분명히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I will.'이라고 말한 사람보다는 ‘I'm going to.’라고 말한 사람이 담배 끊을 확률이 높습니다. 





will, be going to 의미 차이


왜 그런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will'은 보통, ‘이전에는 계획이 없었다가 그 순간 하겠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상당히 강한 의지의 표현이지만 사람 마음은 바뀌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장담 못합니다. 

그렇지만 'be going to'는 상황이 다릅니다. 이 사람은 A가 말한 지금 금연계획 중입니다. 금연클리닉에 등록해놓았고, 니코틴 패치와 전자담배도 구입했습니다. 구체적이죠. 그러니 'be going to'를 쓰는 겁니다. 




나름대로 쉽게 설명하려 했지만 오히려 헷갈리실 겁니다. 그러니 실현 가능성을 수치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이건 자의적인 기준입니다.)


실현 가능성

will               90% 이상

be going to    거의 100%


be going to라고 말하면 웬만하면 그렇게 합니다. 천재지변이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빼고는 말이죠.



조동사 뉘앙스까지 알고 쓴다면, 그 분은 영어에 거의 통달하신 분입니다. 저는 아직 그 정도 경지에는 한 참 멀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조동사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 봅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예문정리 (7-12)  (8) 2013.02.25
조동사 예문정리 (1-6)  (4) 2013.02.25
전치사 뜻 (for, during)  (7) 2013.02.23
접속사 전치사의 구별 (while, during)  (6) 2013.02.23
부사절 that  (5) 2013.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