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접속사 b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ut은 주로 반대, 대조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전치사로도 쓰입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므로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1. but: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

등위접속사 but은 앞에서 언급한 내용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but의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쓰이는 용법입니다.

 

ex) He is young, but he is wise. 

      그는 젊지만, 현명하다.

 

ex) I tried to understand him, but I can't. 

       나는 그를 이해하려고 했지만, 할 수 없었다.

 

 

 2. but: '제외하고(except)'의 의미로 사용

but은 전치사로도 쓰이며, 이 경우 '~을 제외하고'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all-, every-, any-로 시작하는 단어와 함께 쓰입니다. 

 

예시 

ex) I like every subject but math. 

       나는 수학을 제외하고 모든 과목을 좋아한다. 

       (= I like every subject except math.) 

 

ex) You can have all but her. 

       너는 그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가질 수 있다. 

       (= You can have everything except her.)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신사만 빼고 무엇이든 될 수 있다. 

       (= He can be anything except a gentleman.) 

 

여기서의 butexcept(제외하고)와 같은 의미로 쓰이며,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가 뒤에 옵니다. 

 

⚠️ 주의사항 

'anything but''결코 ~이 아닌(never)'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결코 신사가 될 수 없다.) 

 

 

 3. but: 'only(오직)'의 의미로 사용

부정어와 함께 쓰인 but'오직(only)'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 but 앞에는 부정어가 위치하며, '부정어 + but = only'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부정어 

Nobody -,  no one - , none -, nothing -, nowhere - 

 

예시 

ex) I want nothing but love from you. 

       나는 너에게서 사랑만을 원한다. 

       (= I want only love from you.) 

 

ex) He has lived nowhere but Seoul. 

       그는 오직 서울에서만 살아왔다. 

       (= He has lived only in Seoul.) 

 

이 경우, but 앞의 부정어와 함께 only(오직)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상으로 등위접속사 및 전치사로서의 b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접속사 직전 정리"입니다. 접속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교보문고에서 바로 확인하고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but, howev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but, however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but, however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들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처음에는 동의어라고 외우면 되지만 나중에는 의미차이를 구별할 필요가 생깁니다. 어느 언어나 철자가 다르면 의미도 다른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네이티브가 아닌 이상 그 차이를 감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but, however도 그러한 동의어들 중에 하나입니다. 둘 다 ‘앞에서 서술한 사실과 반대되거나 그와 일치하지 않는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그러나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차이를 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영어권 네이티브들에게도 두 단어의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이렇게 의미가 혼동되는 단어를 만났을 경우에는 사전이 가장 큰 도움이 되지만 but, however는 사전마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여러 사전을 조사해 봐도 명확한 설명은 찾기 힘듭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but, however는 큰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두 단어는 품사가 다르기 때 문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에서 간단하게 but, however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but, however 용법 정리


1. but

품사: 접속사

의미: 그러나, 그렇지만 (놀람이나 반대의견을 덧붙일 때 쓴다)


2. however

품사: 부사

의미: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놀람이나 반대 의견을 덧붙일 때 쓴다)

       (=nevertheless)


위에서 정리한 것처럼 but, however는 크게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의미차이 보다는 사용법에 초점을 맞춰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but은 접속사이고 however는 부사입니다. but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however는 부사이기 때문에 두 문장을 연결할 수는 없지만, 문장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살펴봅시다.


(사전과 개인에 따라 but, however를 엄격하게 구별하기도 하지만 같은 의미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1. I don't like him, but I like his songs.

2. I don't like him; however, I like his songs.

3. I don't like him. However, I like his songs.

4. I don't like him. I, however, like his songs.

5. I don't like him. I like his songs, however.


각 예문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번에서 but은 등위접속사입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두 문장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등위접속사로 사용된 but 앞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 2~5번은 의미가 같습니다.

2번에서 however는 부사이므로 두 문장을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세미콜론(;)을 사용했습니다.


3번에서 however는 문장 첫 머리에 위치해서 두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별개의 문장이므로 However와 같이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야 합니다. 그리고 However 다음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4번에서처럼 however를 문장 중간에 위치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두 개의 쉼표를 사용해서 however를 문장과 분리해 줍니다.


5번에서는 however를 문장 마지막에 놓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however 앞에 쉼표를 써야 합니다.

 

‘but, however’의 의미차이를 엄격하게 구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1~5처럼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두 단어의 의미차이를 억지로 구별하는 것보다는 위 예문에서처럼 문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참고로, 2번과 같이 세미콜론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3~5번과 같이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세미콜론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세미콜론을 쓰는 것보다는 문장으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의미가 분명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but, howev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neither 용법 정리  (4) 2014.01.06
부정대명사 (indefinite pronouns)  (4) 2014.01.03
지시대명사  (1) 2014.01.02
후방조응 (cataphora)  (0) 2013.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