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ve, bestow, confer, donate, grant, present 의미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주다’를 뜻하는 단어들을 공부하겠습니다.


‘주다’를 뜻하는 영어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give, bestow, confer, donate, grant, present



각 단어별로 의미를 살펴 보겠습니다.



1. give : 주다


보상을 받지 않고, 어떤 대상을 누군가에게 자발적으로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방법여하에 상관없이 무엇인가를 주는 가장 일반적인 말입니다.


(1) Give the dish, please. (누군가에게 건네주다)

    (그 접시 좀 건네주세요)


(2) He gave her a ring. (누군가에게 가지라고 주다)

    (그는 그녀에게 반지를 주었다)


give는 물건이 아닌 것을 줄 때도 사용합니다.


(3) I gave all my heart to her.

    (나는 모든 마음을 주었다/ 그녀에게)


(4) Give me one more chance.

    (한 번 더 기회를 주세요)



2. bestow : 수여하다


존경의 뜻으로 무엇인가를 주는 것입니다. 받는 사람을 높이는 말로, 누구를 위해 ‘헌정하다’라는 뜻입니다.


(1) The knighthood was bestowed upon him.

    (기사 작위가 수여 되었다/ 그에게)

 

(2) The trophy was bestowed upon the winner.

    (트로피가 수여 되었다/ 우승자에게)



3. confer : 수여하다, 부여하다, 하사하다


신분이 높은 사람이 호의나 명예로서 주는 것을 말합니다. bestow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bestow가 받는 사람을 높이는 말이라면, confer는 주는 사람도 같이 높이는 말입니다.


(1) Her Majesty conferred upon him knighthood.

    (여왕께서 그에게 기사 작위를 수여했다)


(2) The Royal Society conferred her a membership.

    (왕립 협회가 그녀에게 회원 자격을 부여했다)

 


4. donate : 기부하다, 기증하다


인도적 또는 종교적 목적으로 주는 것입니다. ‘기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1) I donate to the Red Cross every year.

    (나는 적십자에 매년 기부한다)

 

(2) She donated a computer to the orphanage.

    (그녀는 컴퓨터 한 대를 기부했다/ 고아원에)

 


5. grant : 하사하다, 승인해서 주다


공식적으로 어떤 특권이나 자격을 주는 것입니다. 소원을 들어 주는 일에도 쓰입니다. ‘하사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1) The government granted subsidy to the working students.

    (정부는 보조금을 하사했다/ 고학생들에게)


(2) Women were granted the right to vote.

    (여자들은 부여 받았다/ 투표권을)



6. present : 주다, 제공하다


가치있는 어떤 것을 주로 공식적으로 주는 것입니다. ‘제공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1) The old man presented the college with a library.

    (그 노인은 대학에 도서관을 제공 했다)

 

(2) The law school presented her with the diploma.

    (법대는 그녀에게 자격증을 주었다)

 


이상으로 ‘주다’에 대한 단어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modern, current, present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odern, current, present를 보겠습니다.


modern, current, present는 셋 다 ‘현재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뉘앙스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우선 각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보겠습니다.

1. modern : 현대의, 근대의

2. current : 현재의, 지금의

3. present : 현재의


사전에 있는 정의지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군요. 

조금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modern : 현재의 (현대의)


‘역사상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시기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고대, 중세, 현대라고 할 때 그 현대입니다. ‘상당히 긴 시간’을 나타내는 데 쓰입니다.


(1) Computers are essential in modern life.

    (컴퓨터들은 필수적이다/ 현대 삶에서)

(2) Modern English is different from medieval one.

    (현대 영어는 다르다/ 중세 영어와)

(3) He wears his clothes in a modern look.

    (그가 입는 옷은 현대풍이다)


modern은 '현대적인'이라는 의미를 같습니다. 역사상에서 현재를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당연히 '아주 긴 기간(long period)'을 나타냅니다. 



2. current : 현재의 (최근의)


‘지금 일어나고 있거나 존재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래 가지 못할 것 같다’라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1) He isn't likely to last long with his current girlfriend.

    (그는 오래가지 않을 것 같다/ 현재의 여자 친구와)

(2) She is my current boss.

    (그녀가 나의 현재 상사야)

(3) You need to know the current affairs.

    (당신은 알 필요가 있다/ 현재의 문제들을) 


current 역시 '현재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current'는 'modern'보다는 '훨씬 짧은' 시간을 나타내는데 사용합니다. '현재의'라는 의미보다는 '최근에(recent)'라고 알아 두는 것이 이해에 더 도움이 됩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modern은 ‘현대의’라는 뜻으로 ‘역사상 현재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에 대하여 current는 ‘지금 일어나고 있거나 존재하는 하는 사건’을 나타냅니다.



3. present : 현재의 (지금 당장)


present 역시 ‘현재의’라는 뜻을 가집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at the moment)'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이에 대하여 current는 ’최근의(recent)'라는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No information is available at present.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지금 현재는)

2. Divorce rate has increased in the current trend.

    (이혼율이 높아졌다/ 최근 추세로는)

 

1번에서 present는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present는 ‘at the moment(지금 당장)’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 current은 최근이라는 의미입니다. 2번 current와 동의어는 ‘recent'가 됩니다.


present는 '지금 당장 (at the moment, now)'라는 의미로 '현재의 이 순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지금까지 보아 왔듯이 modern, current, present는 모두, 표면적으로는 ‘현재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간의 지속성(시간의 길이)가 다릅니다. 각 단어를 시간의 길이이에 따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odern > current > present

(현대의)    (최근의)   (현재의)


그럼 이상으로 modern, current, presen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