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y, be married to, get married to, divorc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marry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문장을 봅시다.


ex) I married with my love. (x)

    (나는 내 사랑과 결혼 했다)


이 문장이 틀렸다는 것을 알았을 때의 충격이란...

결혼은 누군가와 함께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with'를 쓰는 것이 너무나 당연해 보입니다. 그런데도 결혼은 전치사 없이 ’혼자‘하는 것이 맞습니다. 어쩌면 삶의 지혜가 담겨 있는 것도 같습니다. 기혼자들은 아시겠지만 결혼은 ’혼자‘하는 것이 맞거든요. (^ ^)


이러한 이유로 이번 시간에는 ‘marry’와 그 짝인 ‘divorce'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표현들입니다.

1. marry

2. be married to

3. get married / get married to

4. divorce



1. marry

marry

(1) 자동사 : 결혼하다

(2) 타동사 : ~와 결혼하다


(1) marry (자동사)

    결혼하다

marry는 자동사로 쓰여서 ‘결혼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We married young.

    (우리는 젊어서 결혼했다)

② People tend to marry late these days.

    (사람들은 늦게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요즘에)


(2) marry (타동사)

    ~와 결혼하다

marry가 타동사로 쓰일 때는 전치사없이 목적어와 바로 결혼합니다.

① I married my love.

    (나는 내 사랑과 결혼했다)

② She is going to marry him this coming June.

    (그녀는 그와 결혼한 예정이다/ 다가오는 6월에)

 

보통 자동사들은 전치사와 함께 쓰여서 다음에 명사(목적어)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음 문장을 봅시다.


ex) I am living with my family)

    (나는 내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다)


그렇지만 marry는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입니다. 타동사가 있는데 굳이 전치사를 쓸 필요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능동일 때, 타동사 marry 다음에는 전치사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2. be married to ~ : 결혼했다


be married to ~

  (결혼해 있는 상태)


be married to는 ‘누군가와 결혼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① I am married to my wife for 10 years.

   (나는 내 아내와 결혼 10년 째이다)

② His daughter is married to an American.

    (그의 딸은 결혼해 있다/ 미국인과)



3. get married / get married to : 결혼하다


get married / get married to : 결혼하다

(1) get married (사람 못 씀)

(2) get married to + 사람

'get married'와 get married to'는 ‘~와 결혼하다’로 의미가 같습니다. 차이는 'get married' 다음에는 사람이 올 수 없고, ‘get married to' 다음에는 사람이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get married

    'get married' 다음에는 사람이 올 수 없습니다.

① John and Mary got married last week.

    (존과 매리는 결혼했다/ 지난 주에)

② We are getting married this month.

    (우리는 결혼할 것이다/ 이번 달에)


(2) get married to + 사람

    'get married to' 다음에는 사람이 옵니다.

① She got married to an artist.

    (그녀는 예술가와 결혼했다)

② I finally got married to the love of my life.

    (나는 마침내 결혼했다/ 내 인생의 사랑과)


참고

be married to / get married (to)

'be married to'는 ‘결혼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get married (to)'는 ’결혼하는 동작‘를 나타냅니다.

 


4. divorce


아, 결혼의 영원한 동반자(?) 이혼이 있었군요. 결혼만도 힘겨웠는데 이혼까지...

그렇지만 현실에서와는 달리 ‘단어’ 이혼은 쉽습니다. 결혼과 똑 같은 용법을 갖기 때문입니다. 즉,

(1) 자동사로 쓰인다.

(2) 타동사일 때는 전치사를 쓰지 않는다.

(3) get divorced로 쓰인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자동사 divorce

ex) The star couple divorced last year.

    (그 스타커플들은 작년에 이혼했다)


(2) 타동사 divorce

ex) He is divorcing his wife.

    (그는 아내와 이혼 수속 중이다)


(3) get divorced

ex) John and Mary got divorced recently.

    (존과 매리는 이혼했다/ 최근에)



힘드셨죠?


원래 결혼이란 것이 만만치 않습니다. 단어만 보는 것으로도 겁이 난다고요? 그럼 소크라테스의 명언으로 글을 마무리 합니다.



제자가 소크라테스에게

스승님, 결혼을 하는 것이 나을까요, 하지 않는 것이 나을까요?


소크라테스

하거라.

잘 되면 그 이상 좋은 것이 없다.

잘 못되도 최소한 나 같은 철학자는 된다.


(소크라테스의 아내는 악처로 알려진 ‘크산티페‘였습니다)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award, reward, prize  (0) 2014.01.22
job, occupation, profession, trade, career, post(position)  (0) 2014.01.18
imaginary, imaginative  (0) 2014.01.17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




이번에는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러한 동사들은 우리말과 영어의 뉘앙스 때문에 혼동됩니다. 상당히 많은 단어들이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들만 골라서 설명하겠습니다.



나는 타동사!


   이 단어들은 반드시 예문을 통해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에문들은 편의상 과거형으로 해석했습니다. 

approach


1. approach   (~로 접근하다) (to 안됨)

웬지 ‘~로 접근하다’이므로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 'to'를 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approach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를 쓸 수 없습니다. 어색하지만 다음과 같이 써야 합니다.


ex) I approached a beautiful lady in red.

    (나는 한 아름다운 빨간 옷 입은 여자에게 접근했다)




become


2. become   (~에 어울리다) (전치사 안됨)

become은 ‘~이 되다’입니다. 당연히 자동사입니다. 그렇지만 'become'은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become이 타동사가 되면 ‘~에 어울리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 red dress becomes her perfectly.

     (빨간 옷은 그녀에게 완벽하게 어울렸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타동사로 쓰이는 become은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iscuss


3. discuss   (토론하다) (about 안됨)

토론은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에 대하여’라는 전치사 ‘about’를 쓰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discuss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 없이 써야합니다. (뭐, 보통 토론하면 혼자 떠드는 사람이 많아서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ex) I suddenly discussed our future with the red girl.

(나는 갑자기 빨간 옷 그녀와 미래를 토론했다.)




marry


4. marry   (~와 결혼하다) (with 안됨)

아마 가장 헷갈리고 충격을 주는 것이 marry일 것입니다. ‘결혼’은 반드시 누군가와 ‘함께’해야 합니다. 당연히 함께라는 전치사 ‘with'를 써야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결혼하신 분들은 잘 아실 겁니다. 결혼하면 ’혼자‘하는 것이라는 것을요. 아무튼 marry는 타동사라서 ’혼자‘ 결혼해야 합니다.


ex) I wan to marry the beautiful red lady.

    (나는 그 빨간 미녀와 결혼하고 싶었다.)




mention


5. mention   (~에 대하여 언급하다) (about 안됨)

‘언급하다’ 역시 ‘뭔가에 대하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about'를 쓰고 싶어집니다. 그렇지만 mention은 ’타동사‘입니다. 전치사 없이 혼자 써야 합니다.


ex) I mentioned our marriage to the red girl.

    (나는 빨간 옷 여자에게 우리의 결혼을 언급했다.)




reach


6. reach   (~에 도착하다) (to 안됨)

‘~에 도착하다’도 방향을 나타내는 ‘to'와 함께 쓰기 쉽습니다. 그렇지만 reach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와 함께 쓰일 수 없습니다.


ex) Finally I reached the police station by the red girl.

    (마침내 나는 경찰서에 도달했다/ 그 빨간 옷 입은 여자에 의해서.)


(당연합니다. 생전처음 보는 여자에게 결혼하자고 추근댔으니 경찰서 갈 수밖에요...)




이 단어들은 아주 중요합니다. 당연히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그리고 기본 단어들이라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용법을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나름대로 예문을 재미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우리, 주어진 시간 동안 후회 없이 살아봅시다.

어떻게 해도 후회가 남는 것이 인생입니다.


그러기에 후회없이 살아 봅시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