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time that 가정법




이번 시간에는 세 번째 ‘어법성 if 대용어구’ ‘It is (high) time (that) ~’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할 때인데, 왜 안하고 있니? (사실의 반대 가정)


기본적으로 이 말은 가정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단한 상황을 만들어 봤습니다.


밤 11시가 넘었는데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이 잠을 안자고 컴퓨터를 하고 있습니다. 그 꼴을 보다 못한 엄마가 한 소리 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lept."


(지금은 잠들어 있어야 할때다...(그런데 왜 안자고 있니?))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당연히 어떤 일을 하고 있어야 하는데 안하고 있으니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래서 가정법 취급을 하는 것입니다.



It is time 세 가지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쓰임이 있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각 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It is time that 쓰임 (기본형)


'It is (high) time that'은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의미: (바로) ~할 때이다.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동사.


It is (high) time that은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법 과거’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러므로 that 절에 ‘과거동사’를 주로 씁니다. 그리고 보통 high와 that은 자주 생략이 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배 끊었어야지...)

(아직 안 끊었네...)



예문을 봅시다.



(2)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동사원형)


(1)번 예문을 다시 봅시다.

(1)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대 그만 끊었어야지.)

   (‘왜 아직도 피우니’라는 의미)


그런데 1번 문장은 사실상 담배를 ‘끊어야 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와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2) It is (high) time that you should stop smoking.

(담배 끊어야해...)




(3)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생략)


그리고 'should'를 생략하고 동사원형만 쓰기도 합니다.


(3)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 smoking.

(담대 끊으라니깐...)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어렵게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It is (high) time that 과거형’이라는 문법이 파괴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그러니 여러분들에게 편한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It is (high) time that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f 어법성 대용어구 but for(without)




이번 시간부터는 if 대신에 쓰일 수 있는 ‘어법성 대용어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쉽게 설명해야 하는데, 원래 이부분이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ㅠ.ㅠ))


어법성 if 대용어구


‘if 대용어구들’은 핵심정리 강좌 84번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그 때 정리했던 대용어구들은 단순히 ‘숙어’ 역할을 합니다. 즉, 문법이 결부되지 않아서 그냥 의미만 알고 쓰면 되는 것들이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지금부터 설명할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은 고유한 어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별적으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가겠습니다.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but for(without) ~

2. unless ~

3. It is (high) time (that) ~

4. otherwise ~



첫 번째 설명할 ‘어법성 if대용어구’는 but for, without입니다. 미리 알아두실것은 without가정법과는 달리 'but for'가정법은 일상에서 잘 안쓰이는 표현입니다. 그저 공부라고 생각하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but for(without)


'but for, without'은 가정법 과거로도, 가정법 과거완료로도 사용됩니다. 뒤에 오는 주절에 따라 시제가 결정됩니다. 해석은 가정법 과거일 경우에는 '~이 없다면‘, 가정법 과거완료일 경우에는 ’~이 없었다면‘이 됩니다.


그리고 but for, without이 가정법 과거로 쓰일 때는 'if it were not for ~',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될 때는 ‘if it had not been for'가 됩니다. 복잡한 것 같으니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but for(without) 시제 판단

(if it were not for, if it had not been for)


But for without은 다른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시제가 출제됩니다. 그리고 but for(without)에 자체 시제가 없기 때문에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서 출제 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be an idiot.              (가정법 과거)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2)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가정법 과거완료)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1)번에서는 ‘were not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에 시제가 ‘would be'이므로 가정법 과거라서 그렇습니다.

(2)번에서는 ‘had not been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의 시제가 ’would have been으로서 가정법 과거완료이기 때문입니다.




were it not for, had it not been for


그리고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 구문에서 if가 생략된 도치 구문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글에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위 문장을 예로 들어 봅시다.


(1) If it were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 Were it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if 생략 도치)

(2) If it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 Had it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if 생략 도치)




이쯤 알아두시면 but for(without)가정법은 거의 해결됩니다. 

이상으로 but for(without)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herwise 용법 (if 대용어구)  (6) 2013.03.18
It is time 가정법  (19) 2013.03.17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