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 추상명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회화와 글쓰기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표현, 「all + 추상명사」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영어를 중급 이상으로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다양한 표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늘 똑같은 단어와 표현만 사용하면 글이나 대화가 단조롭고 빈약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단조로움을 피하기 좋은 표현이 바로 「all + 추상명사」 구문입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all + 추상명사 의미

2. all + 추상명사 활용

3.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4. 실생활에서 쓰이는 순서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시다!


 

1. all + 추상명사

all + 추상명사’는 간단히 말하면 "매우 ~한"이란 뜻입니다. 특히 이 표현은 감정, 성격, 상태를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all + 추상명사 표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 all + 추상명사
    = 추상명사 + itself
    = very + 형용사

'all + 추상명사‘ 구문은 다양한 표현에 아주 유용하고 실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문법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잘 익혀서 자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all 추상명사 동의어


2. all + 추상명사 활용

‘all + 추상명사’는 문법적인 설명보다는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겠습니다. 'all + 추상명사‘의 용법을 구별(?)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1) I'm all attention.
  = I'm attention itself.
  = I'm very attentive.
    (나는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있어.)

 

위 예문에서 보듯이 'attention'이라는 추상명사만으로는 문장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all'을 붙이면 형용사 의미를 가져 주격보어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 다른 자주 쓰이는 관용적인 표현을 볼까요?

 

예문

(2) I'm all ears.

    = I'm very eager to listen.

       (나는 경청할 준비가 되어 있어요.)

 

"all ears"는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all ears" 구문을 영영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be eager to"와 같은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말할 때 "all earas"를 훨씬 자주 씁니다. "be eager to"로 바꾸어 말하는 경우는 잘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3.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자주 쓰이는 "all + 추상명사" 구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표현들은 문법이라고 생각하지 말이나 글에서 자주 사용해야 합니다. 영어를 한층 고급스럽고 맛깔스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 all attention (매우 주의 깊은)
  • all beauty (매우 아름다운)
  • all diligence (매우 성실한)
  • all happiness (매우 행복한)
  • all honesty (매우 정직한)
  • all intelligence (매우 지적인)
  • all kindness (매우 친절한)
  • all wisdom (매우 지혜로운)

일반적인 추상명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ll knowledge (매우 박식한)
  • all pain (매우 고통스러운)
  • all success (매우 성공적인)

4.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순서

'all + 추상명사‘ 표현에서 중요한 것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활용입니다. 많이 사용되는 순서로 'all + 추상명사’ 구문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ery attentive > all attention > attention itself

 

  • Very + 형용사 (가장 많이 쓰임)
  • All + 추상명사 (가끔 쓰이며 고급스러운 표현)
  • 추상명사 + itself (드물게 사용됨)

 

 

활용을 살펴보면 'very attentive'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all attention'도 표현에 다양성과 고급스러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따금 사용됩니다. 그런데 'attention itself'는 같은 의미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잘 사용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all 추상명사 문제.pdf
0.28MB
all 추상명사 문제 정답.pdf
0.31MB

 

  

그럼 이상으로 'all + 추상명사‘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all, whole, every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ll, whole, every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의미 정리


all, whole, every는 ‘모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당연하게도 의미와 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용법까지 자세히 설명하려면 지나치게 내용이 많아지므로 의미 차이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세 단어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1. all (형용사) 모든, 전체의

       (대명사) 모든 것

       (부사) 완전히, 온통

2. whole (형용사) 모든, 전체의, 완전한

3. every (형용사) 예외없이 모두



위의 정리를 보시면 알겠지만 세 단어는 의미가 겹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주의하시고 익히시길 바랍니다.



all


1. all (형용사) 모든, 전체의

       (대명사) 모든 것

       (부사) 완전히, 온통


all은 단수나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구성원 전체나 전부’를 나타냅니다.


all + 명사

단수·복수명사와 함께 쓰여서 ‘모든’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He spent all his money.

    (그는 써 버렸다/ 모든 돈을)

(2) All humans are animals.

    (모든 인간들은 동물들이다)


all과 every

all은 every와 비슷한 의미를 갖지만 다릅니다.

(3) All people need friends.

    (모든 사람들은 친구가 필요하다)

(4) Every person needs friends.

    (모든 사람은 친구가 필요하다)

(3),(4)에서 all과 every는 표면적으로는 ‘모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every는 all보다 의미가 더 강해서 ‘예외없이 모든’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every 다음에는 단수 명사가 와서 단수 취급을 합니다.


all과 whole

all은 whole은 단수 명사 앞에서 ‘모든’, ‘완전히’, ‘내내’라는 같은 의미를 같습니다. 이 경우 all과 whole과 함께 사용된 한정사의 위치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5) He spent all his life at home.

    (그는 모든 자신의 인생을 보냈다/ 집에서)

(6) He spent his whole life at home.

    (그는 그의 모든 인생을 보냈다/ 집에서)

(5)·(6)번에서 all과 whole은 의미가 같습니다. 단 소유격 한정사 his의 위치가 다릅니다.

(5)번에서 소유격 his는 all 다음에 왔습니다. 그렇지만 (6)번에서 소유격 한정사 his는 whole 앞에 왔습니다.

이것을 규칙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ll +한정사 + 명사

한정사 + whole + 명사


예문을 두 개만 더 보겠습니다.

(7) He spent all his money.

(8) He spent his whole money.

    해석은 생략하겠습니다.



참고

all과 whole 다음에 복수명사가 올 때는 의미가 다르므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9) All the houses in the area were destroyed by the storm.

    (모든 집들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폭풍에 의해서)

(10) The whole houses in the area were destroyed by the storm.

    (집들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폭풍에 의해서)


(9)번에서는 그 지역에 있는 집들이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손상을’ 입었다는 말입니다. 완전히 파괴되었기 보다는 ‘피해를 입지 않은 집이 없다’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그런데 (10)번은 피해를 입었던 집들이 ‘통째로·완전히’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10)번에서는, 그 지역에서 파괴되지 않은 집들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파괴된 집들은 완전히 초토화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정리하면 (9)번은 ‘모든 집들이 파괴되었다’는데 초점을, (10)번은 ‘집들이 완전히 파괴되었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whole


2. whole (형용사) 모든, 전체의, 완전한

whole은 형용사로서 ‘빠진데가 없는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whole의 의미는 all과 같습니다. (용법은 1번 all 설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든'의 의미 (= all)

(1) The whole world applauds her performances.

   (= All the world applauds her performances)

   (모든 세계가 박수를 쳤다/ 그녀의 연기에)


'완전한‘의 의미 (= complete)

(2) A whole year was needed to built the architecture.

(일년이 온전히 필요했다/ 그 조각을 만드는데)

 


every


3. every (형용사) 예외없이 모두

every는 ‘all, each'와 마찬가지로 전체를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예외없이 몽땅‘의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all, each'보다 의미가 더 강합니다. 그리고 every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단수취급을 합니다.


every + 단수

(1) Every word of his is a lie.

    (모든 그의 말은 거짓이다)

(2) Every boy loves computer games.

    (모든 소년이 컴퓨터 게임을 사랑한다)


every는 언제나 단수 취급을 하므로 (1)번에서 every 다음에 단수명사 ‘word’, 단수 동사 ‘is'가 왔습니다. (2)번도 마찬가지입니다.


every + 복수 명사

어떤 일이나 사건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에는 every 다음에 복수 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3) I call my mom every two days.

    (나는 엄마에게 이틀마다 한 번씩 전화한다)

(4) We see each other every few years.

    (우리는 서로 몇 년마다 한 번씩 만난다)

(3),(4)는 일정한 시시간격을 가지고 반복되는 사건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every 다음에 복수 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어렵죠?

영어를 하면 할수록 어려운 것이 기본단어들입니다. 별 수 없습니다. 확실하게 이해하고 여러번 반복하면서 익혀야 합니다. 그렇지만 좌절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정도를 공부하신다는 것은 영어 실력이 중급 이상은 된다는 말이니까요. (^ ^)



그럼 이상으로 all, whole, ever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원과 의미 (calamity)  (6) 2013.12.02
영어단어의 기원 (lustrum)  (0) 2013.11.30
beat, win, defeat 의미 차이  (0) 2013.11.24
above, over 의미 차이  (5) 2013.11.22
very, too 의미 차이  (0) 2013.11.21

관계대명사 that (001)

 

 

 

 

일반적으로 어떤 관계대명사를 사용할지는 선행사를 보고 결정합니다.

 

 

 선행사 + 관계사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 whose, whom을 씁니다. 선행사가 사람이 아니면 which, whose, which를 씁니다.

 

 

 

 

 

 

 

그런데 관계대명사 that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who, whom, which 대신

(제한적 용법의 경우)

 

 

선행사가 사람일 때와 사람이 아닐 때 모두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있습니다.

 

 

(1) He is the boy who locked the door.

 = He is the boy that locked the door.

    (그는 소년이다/ 문을 잠갔던.)

 

(2) I have a clever dog which can unlock the door.

 = I have a clever dog that can unlock the door.

    (나는 영리한 개가 있다/ 문을 열 수 있는.)

 

 

 

 

 

 

 

그렇지만 다음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 써야 합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1)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사람 + 사람 아닌 것’이 함께 선행사로 나올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쓰면 됩니다.

 

ex) Several police are searching for the man and his car that caused the accident.

    (여러 경찰들이 찾고 있다/ 그 남자와 그의 차를/ 사고를 일으킨.)

 

 

 

 

 

 

(2)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the only, the very,

all, no, any, much, little, every, the same, the last,

something, anything, somebody, anybody

 

 

이런 표현이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씁니다.

 

 

ex) He is the greatest musician that has ever lived.

    (그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이다/ 지금까지 살았던.)

 

 

 

 

 

 

(3) 의문사가 있을 때

 

who, whom, which,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을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관계대명사 who, whom, which, what 등을 또 쓰면 모양이 같아서 혼동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Which is the one which you want?

   (무엇이니/ 네가 원하는 것이?)

   which가 두 번 나와서 혼동할 수 있습니다.

 

Which is the one that you want?

   위의 문장과 뜻은 똑같고, 의문사 which관계대명사 that이 확실히 구별됩니다.

 

 

 

 

 

 

 

 

정리하면,

 

(1) 거의 모든 관계대명사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가 있다.

    ① 선행사가 사람 + 사물일 때

    ② 특정한 선행사가 올 때

    ③ 의문사가 있을 때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