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산명사와  동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불가산 명사와 동사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불가산명사와 동사 동영상 강의입니다.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셀 수 없는 명사 (불가산 명사)




불가산명사와  동사 포인트


equipment, furniture, information, machinery, luggage 등은 셀 수 없는 명사들이다.

셀 수 없다.

➀ 부정관사를 쓸 수 없다

➁ 복수형 불가

➂ many, few 수식 불가

➃ much, little로 수식

 


Check up


※ 다음 괄호 안에서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1. We packed [equipment / equipments] for our travel.

   우리는 여행을 위해서 짐을 꾸렸다.


2. Her small room is full of [furniture / furnitures].

   그녀의 작은 방은 가구들로 가득 찼다.


3. [Information / Informations] [is / are] power in these days.

   요즘에는 정보가 힘이다.


4. Korea imports raw materials and exports [machinery / machineries].

   한국은 원자재를 수입하고 기계들을 수출한다.


5. The truck is delivering the [luggage / luggages].

   트럭이 화물들을 배달하고 있다.

 

정답

1. equipment    2. furniture    3. Information    4. machinery    5. luggage

 

 

QUIZ


※ 다음 괄호 안의 말을 문맥에 맞게 고쳐 쓰시오.

1. Car making needs various parts of [equipments].

   차를 만들려면 다양한 장비들이 필요하다.


2. My wife wants to buy some new [furnitures].

   내 아내는 새 가구를 사기를 원한다.


3. We can get valuable [informations] on internet.

   우리는 인터넷에서 가치 있는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4. The [machineries] in the factory was old and inefficient.

   공장에 기계들은 낡았고, 비효율적이다.


5. Please put all your [luggages] into the overhead bin.

   너의 모든 짐들을 머리 위 짐칸에 올려놓아라.


정답

1. equipment    2. furniture    3. information    4. machinery    5. luggage

 


이상으로 불가산 명사와 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송성태 영문법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완료와 과거시제  (2) 2025.04.04
so that, such that 구별  (14) 2013.10.02
수동태 전치사  (0) 2013.09.17
관계대명사 what  (13) 2013.09.14
분사 (능동, 수동)  (5) 2013.09.14

about, nearly, almost

  



이번 시간에는 about, nearly, almost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의미 정리


이 세 단어는 우리 말로 옮기면 ‘대략, 거의로 해석이 됩니다.

그렇지만 쓰임에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about      대략(약) (more or less)

 nearly      거의 (less than)

 almost     거의 (부정, 할 뻔했는데 못했다)




1. about (대략, 약)


about는 우리 말에 ‘대략(약)’에 가장 어울리는 말입니다. 어떤 기준을 약간 넘을 수도 있고, 그 기준에 약간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ex) He seems to be about 30 years old.

     (그는 대략 서른살 전후로 보여)

     (그는 서른이 넘을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2. nearly (거의)


nearly는 '거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어떤 기준에 근접하지만 약간 부족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He seems to be nearly 30.

     (그는 거의 서른으로 보여)

     (서른 무렵이지만 서른은 안 되었습니다)




3. almost (거의)


almost 역시 '거의'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정확한 의미는 ‘~할 뻔 했는데 못했다’라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almost passed the exam.

    (그는 거의 시험에 통과할 뻔 했어)

    (통과할 뻔 했는데 못했다는 뜻입니다)


(2) I almost forgot.

    (거의 잊을뻔 했어)

    (잊을 뻔 했는데 안 잊었다는 뜻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단어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sit, seat 



정리


단어

분류

 의미

 시제변화

 sit

 자동사

 (자기가) 앉다

 sit-sat-sat

 seat

 타동사

 (누군가를) 앉히다

 seat-seated-seated



sit vs seat (예문 1-2)


1. My daughter can't sit silently for a moment.

   (내 딸은 조용히 앉아 있지 못한다/ 잠시도)


2. We can't seat our daughter silent for a moment.

   우리는 딸을 조용히 앉아있게 할 수 없다/ 잠시도)


이와 같이 사용됩니다.




sit vs seat (예문 3-4)

3. He (sat / seated) down.

   (그는 앉았다)


4. He (sat / seated) himself.

   (그는 앉았다)


3번에서는 자동사 sat를 써야 합니다. 동사 뒤에 목적어 명사가 없기 때문입니다.

4번에서는 타동사 seated를 써야합니다. 동사 뒤에 목적어 himself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두 단어의 차이 비교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1분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se, raise 차이  (11) 2013.05.19
find, found, founded 의미차이  (4) 2013.05.19
lie, lay 차이  (8) 2013.05.15
미래진행형 (영어시제)  (6) 2013.05.15
fall, fell 차이  (11) 2013.05.14

현재 시제 (present tense)




이번 시간에는 현재 시제(단순 현재시제)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현재시제에서 공부할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현재 시제의 의미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3.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1. 의미


현재 시제는 당연히 현재의 사건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반드시 알아 두셔야 할 것은,


“현재 시제는 지속적인 사건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예문 1


1. I watch TV. (현재)

   (나는 TV를 본다)


1번 문장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1) I (usually) watch TV at free time.

      (나는 ‘대개’ TV를 본다/ 한가한 시간에는)

(1-2) I am watching TV now.

      (나는 지금 TV를 보고 있다)


1번 ‘I watch TV'라는 문장은 위에서 보는 것처럼 (1-1)습관이나  (1-2) 순간 진행중인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없이 현재형을 쓰게되면 지속적인 동작인지, 순간적인 동작인지 헷갈리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단순 현재시제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현재의 사건’을 나타낸다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예문 2-3



2. I don't drink. (나는 술 안 마셔)

3. I teach.        (나는 가르친다)


현재형이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을 의미하므로,

2번은 ‘나는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이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3번은 ‘직업이 가르치는 사람이다’라는 의미입니다.




현재형과 빈도(횟수) 부사


보통 현재형은 다음과 같이 빈도(횟수)부사와 같이 사용됩니다.


4. I never drink

   (나는 절대 술을 마시지 않는다.)

5. I frequently log on my blog.

   (나는 자주 접속한다/ 내 블로그에)

6. I always listen to my wife.

   (나는 항상 내 아내 말을 잘 듣는다)




2.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현재 시제가 변하지 않고 지속되는 사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표현들은 ‘항상 현재형’으로 표현합니다.


1. 현재의 습관적인 동작

2. 불변의 진리

3. 속담, 격언






항상 현재형을 쓰는 경우, 예문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usually prepare breakfast.         (습관적인 동작)

   (내가 보통 아침을 요리한다)

2.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불변의 진리)

   (지구가 태양을 돈다)

3. The steady wins the race.

   (꾸준한 사람이 경주에서 이긴다)   (속담이나 격언)


1번은 

반복적인 동작입니다.

지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2번은 

불변의 진리입니다.

과거에도 지구는 태양을 돌았고 현재에도 돌고, 미래에도 돌 것입니다. 언제나 변하지 않은 사건이기 때문에 항상 현재형을 씁니다.


3번도 마찬가지입니다.

격언이라는 것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변함없이 통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현재형을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을 씁니다. 



시간 조건의 부사절 예문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과제를 다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2.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hiking.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하이킹 갈 것이다)


1번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의 일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는 미래 조동사 will을 썼습니다. 그렇지만 when절이 시간을 나타내고, play라는 동사를 수식하므로 부사절입니다. 시간 부사절이므로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2번은 역시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주절에는 ‘will g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if절이 조건을 나타내고, 동사 go를 수식하므로 부사역할을 합니다. 조건 부사절이므로 미래형 대신에 현재형 'finish'를 썼습니다.




시간, 조건절에 대한 추가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1분 정리 002)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어법 002)



의미차이 없으면 간단하게...


이렇게 규칙을 만들어 놓으니 어렵게 보입니다.


실제로 시간, 조건절에 will을 한 번 써 봅시다.

(1) When I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1-1) When I will finish my work, I will play video games.

(내가 내 일을 끝낼 때), 나는 오락을 할 것이다.


두 문장은 의미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의미 차이가 없는데 굳이 복잡한 표현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규칙은 단지 더 수월하게(?) 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 뿐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현재시제는 변하지 않는, 지속적인 사건이다.

2. 현재의 반복적인 동작, 불변의 진리, 격언등은 항상 현재형을 쓴다.

3.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형이 미래를 대신한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시제 (simple past)  (2) 2013.05.05
현재 진행형  (9) 2013.05.04
4형식 예문 (4형식 동사 예문)  (5) 2013.04.30
4형식을 3형식으로  (8) 2013.04.29
4형식 문장 (4형식 동사)  (15) 2013.04.26

2형식 동사 예문





이번시간에는 2형식 동사들에 대한 예문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2형식 동사 설명 링크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2형식 동사규칙 (2형식 문장 어법) (핵심정리 113)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2형식 동사 정리 (핵심정리 114)




Part 1   BE 동사   (상태유지형 동사들) 예문


be 동사 유형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냅니다.


1. be 동사

   be동사는 예문을 생략합니다.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1)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The old man continued tough all his life.

    (그 노인은 계속 터프했다/ 평생동안)


(2) hold good 유효하다

    This contract still holds good.

    (이 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다.)


(3)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You'd better keep silent when eating.

    (조용히 있어라/ 먹을 때는)


(4)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Fallen leaves lay thick on the ground.

    (낙엽들이 두텁게 쌓여있다/ 땅 위에서)


(5)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he remains calm under any circumstances.

    (그녀는 어떤 상황에서도 차분함을 유지한다.)


(6)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The actress has stayed young for many decades.

    (그 여배우는 젊음을 유지해 왔다/ 몇 십년 동안)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1)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We feel friendly towards the beautiful.

   (우리는 친근함을 느낀다/ 미인들에게)


(2)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The roses smell sweet.

    (이 장미들은 달콤한 향기가 난다)


(3)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He sounds strange over the phone.

    (그의 목소리는 이상하게 들린다/ 전화로)


(4)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This meat tastes salty.

    (이 고기는 짠 맛이 난다)




4. seem 유형   ~처럼 보이다


(1)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Your bones appear normal on X-ray.


(2)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You look beautiful.

    (당신은 아름답게 보인다.)


(3)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The play boy seemed innocent at first.

    (그 바람둥이는 순진해 보였다/ 처음에는)


(4)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His hypothesis proved right after all.

    (그의 가설은 옳다고 판명되었다/ 결국에는)


(5)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The defendant turned out guilty.

    (피고는 판명되었다/ 유죄라고)





Part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become 유형  상태변화 (~하게 되다)


(1) become fat 뚱뚱해 지다

    (예문 생략)


(2) come true 사실이 되다

    My dream has come true.

    (내 꿈이 실현되었다)


(3) fall short 부족하다

    I fell short of words.

    (할 말이 없다.)


(4)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I grew wiser with age.

    (나는 더 현명해졌다/ 나이가 들면서)


(5)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진다.)


(6) go wild 난폭하게 되다

    We went wild at the party.

    (우리는 미쳐 버렸다/ 파티에서)


(7) run dry 마르게 되다

    The well has run dry.

    (우물이 말라 버렸다.)


(8) turn sour 시게 되다

    The milk turned sour.

    (우유가 시게 되었다.)




이상으로 2형식 동사 예문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형식 동사 정리





2형식 동사: BE 유형, BECOME 유형


2형식 동사는 크게 보아 BE(~이다) 유형, BECOME(~이 되다)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형식 동사들은 주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1) He is thin.

     (그는 말랐다.)         (마름 -> 마름)

(2) He became thin.

    (그는 마르게 되었다.) (안 마름 -> 마름)

    속뜻 그는 안 말랐었는데 말라 버렸다.


(1),(2)에 사용된 2형식 동사들은 주어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의미가 약간 다릅니다. (1)번은 주어의 상태에 변화가 없습니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상태가 바뀝니다’. ‘안 말랐었는데 말라버렸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상태유지, 상태변화


이렇게 be동사는 상태를 유지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become은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 동사 -> 상태 유지

become -> 상태 변화




2형식 동사들을 be동사(상태유지), become(상태변화)유형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be 동사 (상태유지형)


be 동사 유형에 속하는 동사들은 대부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에서 다루겠습니다.


(1) be 동사   (~이다)

    (예문 생략)


(2) remain 유형 + 형용사 (~한 상태를 유지하다)


 

동사

 형용사

 의미

 
  continue  tough   계속 터프하다  
  hold  good  유효하다 
  keep  silent  침묵을 유지하다 
  lie   thick

 두텁게 쌓여있다

 
  remain  calm   차분함을 유지하다 
  stay  young  젊음을 유지하다 




(3) 지각동사(감각동사 ) + 형용사


 

동사

 형용사

 의미

 
 

 feel

 friendly 친근하게 느껴지다 
  smell sweet 달콤한 냄새가 나다 
 

 sound

 strange 이상하게 들리다 
 

 taste

 salty 짠맛이 나다 


 

  

(4) seem 유형 + 형용사  (~ 처럼 보이다)


 

동사

 형용사

 의미

 
  appear normal

 정상처럼 보이다

 
  look beautiful 아름답게 보이다 
  seem innocent 순진하게 보이다 
  prove right  옳다고 판명되다 
  turn out guilty 유죄라고 판명되다 





2. become 유형 (상태변화)


become 유형의 동사들은 형용사가 와서 상태가 변함을 나타냅니다. 역시 예문은 짧은 구문 설명만을 들겠습니다.


마찬가지로 2형식 동사별 예문 설명은 (핵심정리 115)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동사

 형용사

 의미

 
  become fat 뚱뚱해 지다 
  come true 사실이 되다 
 

 fall

 short 부족하다 
  grow wiser 더 현명해지다 
  get rich 부유하게 되다 
  go wild   난폭하게 되다 
  run dry 마르게 되다 
  turn sour  시게 되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셀수있다, 셀수없다 (핵심정리 089)  동영상 강의




명사(대명사)를 공부하는데 가장 중요한 개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셀수 있다, 셀수없다.‘

(다른 말로, 가산·불가산이라고도 합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시면 문법 토대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인 복수형들은 차근차근 공부하시면 됩니다. 먼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립시다.

그래서 명사(대명사)를 시작하는 첫 강의 제목을 ‘셀 수있다, 셀수없다’로 정했습니다. 영문법에서 ‘셀수 있다, 셀수없다’는 동전의 양면같은 개념이다보니 하나만 정확히 알면 나머지는 따라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규칙




설명입니다.


셀수 있는 명사 'book'셀 수 없는 명사 ‘water'를 가지고 설명하겠습니다.


(1) 부정관사


a book (o)    a water (x)


책은 셀 수있는 말이므로 ‘하나’를 뜻하는 부정관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 ‘a book'은 ’책 한권‘이 됩니다. water는 셀 수 없는 말이므로 부정관사를 쓸 수 없습니다. ’물 하나‘라는 없습니다.



(2) 복수형


books (o)    waters (x)


책은 셀 수 있는 말이므로 복수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books는 ‘책 여러권’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지만 셀수 없는 말 water는 복수형을 붙일 수 없습니다. ‘물들’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3) few, many


few books   (o)    few waters (x)

many books (o)    many waters (x)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few(몇개 없다)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은 됩니다. 기본적으로 복수형입니다. many야 말할 필요도 없이 복수형이죠. 그러므로 'few, many'는 복수형과 써야 합니다. 단수형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책 몇권(few books), 많은 책들(many books)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few, many'는 복수가 안되는 셀 수 없는 말들과는 쓸 수 업습니다. 그러므로 ‘few waters, many waters'는 원칙적으로 안 됩니다.




(4) little, much


little book  (x)   little water (o)

much book (x)   much water (o)


little, much는 셀수 없는 말에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셀 수 있는 말인 book과는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셀 수 없는 말인 water에는 'little, much'를 쓸 수 있습니다.




설명은 해드렸지만 사실 외우셔야 합니다. 명사(대명사)를 가장 확실하게 공부하시려면 위에 정리한 ‘셀 수 있다, 셀 수없다’ 규칙을 반드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셀수 있다, 셀수 없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There is ~, Here is ~.




'There is A', 'Here is A


세 번째 공부할 것은 'There is A', 'Here is A'에 관한 일치입니다. 이 구문은 ‘A가 있다’라고 해석됩니다. 원래 이 구문은 이런 어순 이었습니다.


이 문장들을 도치시킨 것이 'There is A' 입니다. 그런데 너무 오랜 세월 쓰다 보니 일반화 되어 버려서 ‘There is A'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구문들에서 ‘there'나 ’here'는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there나 here는 부사이기 때문입니다. 부사는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밖에 없습니다.



‘A가 있다’는 구문, 'There is A' 'Here is A' 문장에서 주어는 ‘A'가 됩니다. 



정리해 볼까요?


어렵지 않죠?




이제 예문을 봅시다.



(1)번에서는 문제가 하나니까 단수동사 is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문제들이 여러 개니까 복수동사 are를 썼고요.



'There is(are) A' 구문에서는 주어인 A에 동사를 일치시킨다라고 정리해 둡시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관구문  (7) 2013.02.13
부분표현  (19) 2013.02.13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3) 2013.02.13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0) 2013.02.13
부정사 동명사구의 일치  (2) 2013.02.12

6강 관계사

안녕!

이제 절반왔다.

힘내자!

화이팅!


이상해...

조회수에 비해서 댓글이 없어...

남궁남매 댓글이 가장 성실해...

댓글 안 남긴 녀석들은 주금이다...


댓글.

댓글.

댓글.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강 조동사  (5) 2012.09.10
7강 접속사  (9) 2012.09.06
2강 동사 - 현재, 과거  (0) 2012.09.03
5강 분사와 분사구문  (4) 2012.09.03
4강. 부정사와 동명사  (7) 2012.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