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비교급 than any one else

2. 비교급 than any other + 단수명사

3. 비교급 than all the other + 복수명사

4. 부정어 비교급 (than) ~


최상급을 반드시 ‘(e)st, most' 로만 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교급을 이용해서도 최상급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비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하는 것은 사실 ’논리‘입니다. 해석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이니 규칙으로 외울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그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문 ‘I love you.'를 이용해 최상급을 표현해 보겠습니다.



1. 비교급 than any one else  

(어떤 다른 사람보다 더 ~한)

 

예문을 봅시다.


(1) I love you more than any one else.

    (나는 당신을 더 사랑한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

어떤 사람보다 더 사랑하니 ‘가장 사랑하는 것’입니다.

 

최상급으로 바꾸어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1-1) I love you most.

      (나는 당신을 가장 사랑한다)

 


2. 비교급 than any other + 단수명사

(어떤 다른 사람보다 더 ~한)


예문입니다.

(1)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rson.

    (나는 너를 더 사랑한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도 더 사랑하니 당연히 ‘가장 많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의미상 최상급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any other’ 다음에는 (1)번과 같이, 주로 ‘단수’가 온다는 것입니다.


(1-1)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ople. (x)(?)

(1-1)번과 같이, 'any other' 다음에는 복수를 잘 쓰지 않습니다. [‘any(어떤 ~라도)’가 가진 ‘개별적 의미’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3. 비교급 than all the other + 복수명사

(어떤 다른 사람들보다 더 ~한)


예문입니다.


(1)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ople.

    (나는 너를 더 사랑한다/ 모든 다른 사람들보다)

모든 다른 사람들보다 더 사랑하니 당연히 ‘가장 사랑하는 것’입니다. 최상급 표현입니다.


'all the other' 다음에는 복수를 써야 합니다. ‘all(모든)’이 복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2번에 나왔던 ‘any other'와 잘 구별하기 바랍니다]


당연히 'all the other' 다음에 ‘단수’를 쓰면 안 됩니다.

(1-1)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rson. (x)



4. 부정어 비교급 than ~

(어떤 것도 더 ~하지 않다)


(1) 부정어 비교급 than

부정어와 비교급(than)을 이용하여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No other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어떤 다른 사람들도 너를 더 사랑하지 않는다/ 나보다)

역시 내용상 최상급을 표현합니다.


(1)번은 few를 사용하여 ‘거의 같은’ 뜻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1. Few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너를 더 사랑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나보다)

①-1번은 최상급은 아니지만 ‘거의 최상급’입니다. few는 부정으로서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2) 부정어 비교급

    than없이 ‘부정어와 비교급’ 만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① I love you never more.

    (직역 : 나는 당신을 더 이상 많이는 사랑할 수 없다)

    (의미 1 : 더 이상 사랑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랑한다)

    (의미 2 : 최고로 사랑한다)


② I can't agree more.

    (직역 : 나는 더 이상 많이 동의할 수 없다)

    (의역 1 : 더 이상 동의할 수 없을만큼 동의했다)

    (의역 2 : 완전히(최고로) 동의한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비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하는 것은 ‘문법’이라기 보다는 논리입니다. 굳이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위에서 공부했던 예문들을 정리하겠습니다.


ex) I love you more than any one else.

    =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rson.

    =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ople.

    = No other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ex) I love you never more.

ex) I can't agree more.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as 원급 as any other 단수명사

2. as 원급 as ever

3. as 원급 as S can ~

4. 부정어 as(so) 원급 as ~


영어에서 최상급은 '(e)st'나 ‘most'를 써서 합니다. 그렇지만 원급을 써서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때는, 주로 ’as 원급 as'를 사용합니다.


‘as A as B’ 구문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주 A한다, B만큼(처럼)‘



그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as 원급 as any other 단수명사


'as 원급 as'를 any other' 구문과 함께 쓴 것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any other day.

     (직역 : 오늘은 아주 좋다/ 어떤 다른 날만큼이나)

     (의미1 : 오늘은 아주 좋다)

     (의미2 : 오늘은 가장 좋다?)


많은 책들은 위 예문을 최상급(의미 2) 취급합니다. 그런데 'as ~ as'구문의 해석을 볼 때, 최상급 보다는 강조(의미 1)가 더 맞다고 봅니다. 참고하길 바랍니다.



2. as 원급 as ever


'as 원급 as'를 ‘ever'와 함께 쓴 것입니다. 여기서 'as ever'는 ’여태처럼(지금까지처럼)‘이라는 뜻입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ever.

     (직역 : 오늘은 아주 좋다/ 여태까지처럼)

     (의미1 : 오늘은 아주 좋다)

     (의미2 : 오늘은 역대급으로 좋다?)


‘의미2’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상급이라고들 합니다. 그렇지만 역시 '의미 1‘이 더 낫습니다.



3. as 원급 as S can ~

(= as 원급 as possible)


'as 원급 as'를 ‘S can' 절과 함께 쓴 것입니다. 의미상 분명한 최상급입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it can be.

   = (Today is as good as it is possible.)

      (오늘은 아주 좋다/ 가능한 만큼)

      (의미 : 오늘이 가장 좋다)


‘가능한 한 좋은 것’이므로 ‘가장 좋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므로 명백한 최상급이 됩니다.



4. 부정어 as(so) 원급 as ~


부정어(no, not 등)를 ‘as(so) ~ as' 구문과 함께 쓴 것입니다. 역시 의미상으로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ex) No other day is as good as today.

  = No other day is so good as today.

     (어떤 날도 그렇게 좋지는 않다/ 오늘만큼)

      (의미: 오늘이 최고다)


해석에서 보듯이 ‘부정어 + (as 원급 as)' 구문은 최상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as 원급 as'이 무조건 최상급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 의미는 문맥을 통해서 결정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as 원급 as'를 이용한 최상급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as A as 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핵심정리 2부] - as 원급 as 용법정리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최상급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최상급을 공부하겠습니다.



최상급이란?


최상급은 가장 높은 정도나 등급을 나타냅니다. 다음 문장들은 내용상 최상급 표현들입니다.

 

(1) Couldn’t be better.

   (해석: 더 좋을 수는 없다)

   (속뜻: 최고로 좋다)


(2) Nothing is so precious as time.

   (해석: 어떤 것도 시간만큼 귀중하지는 않다)

   (속뜻: 시간이 가장 귀중하다)


(1)번과 (2)번은 형식상으로는 비교급(better)과 원급(precious)를 썼지만 내용상으로 최상급입니다.


그렇지만 보통 최상급이라고 하면, 형용사나 부사에 ‘-est’‘most’를 붙인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형식상의 최상급에서는 다음 사항들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최상급과 정관사


형용사나 부사의 최상급에는 원칙적으로 정관사 ‘the’를 붙입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관사를 생략합니다.

 

(1) 부사의 최상급

부사의 최상급에도 정관사(the)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대에서는 ‘the’를 붙이지 않고 쓰기도 합니다.


ex) Tyson Gay ran (the) fastest at the 200m race.

    (타이슨 게이가 가장 빨리 달렸다/ 200m 레이스에서)


아직 ‘ran the fastest’가 더 많이 쓰이고 있지만 ‘ran fastest’도 상당히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부사의 최상급에서는 the를 생략할 수도 있다고 알아두면 됩니다.


(2) 동일인의 최상급

형용사의 최상급에는 다음과 같이 ‘the’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른 대상을 포함한 최상급

1. She is the most beautiful in her class.

(그녀는 가장 아름답다/ 그녀의 반에서)


1번은, ‘그녀가, 자신을 포함한 반 친구들 전체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다른 대상을 포함하고 있는 최상급 앞에는 정관사 the를 씁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최상급은 여기에 속합니다.

 

그러나 동일대상의 최상급을 나타낼 때는 ‘the’를 생략합니다.


동일대상의 최상급

2. She is most beautiful when she laughs.

   (그녀는 가장 아름답다/ 웃을 때)


2번의 최상급은 다른 대상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녀의 여러 가지 모습 중에서 웃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진정한 최상급이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the를 생략합니다.


예를 좀 더 보겠습니다.

3. The Congo River is the longest of all rivers.

   (콩고 강이 가장 깊다/ 모든 강들 중에서)

다른 강들을 포함한 최상급이므로 ‘the’를 썼습니다.


4. This river is deepest at this point.

   (이 강은 가장 깊다/ 이 부분에서)

다른 강을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정관사 the를 생략했습니다.

 


2. 최상급의 수식


최상급은 ‘by far, ever, the very’ 등의 말로 수식할 수 있습니다.


(1) He is by far the most dangerous man in the world.

   (그는 단연코가장 위험한 남자이다/ 세계에서)


(2) Socrates was the wisest man lived ever.

   (소크라테스가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었다/ ‘지금까지살았던)


(3) My father was the very best man that I knew.

   (내 아버지는 그야말로최고의 남자였다/ 내가 알았던)



이상으로 최상급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 do I, So am I.  (4) 2014.03.07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