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일치 동영상 강의

내용정리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수일치

수의 일치 핵심 정리및 문제 풀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subject-verb agreement)"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수식어구와 절이 포함된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간단히 개념을 정리 한 후 실전 문제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주어와 동사의 일치 핵심정리

2. 수식어구와 수의 일치

3. 연습 문제

4.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수의 일치 핵심정리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주어가 단수일 경우 동사도 단수형을, 주어가 복수일 경우 동사도 복수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주 주어면 단수 동사, 복수 주어면 복수 동사라는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더욱 정확하게 이해해 봅시다.

 

  • 단수 주어 예문
    ex) My sister loves chocolate cake.
    →  My sister가 단수이므로 동사에 '-s'를 붙였습니다.
  • 복수 주어 예문:
    ex) The students are playing soccer.
    →  The students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are"를 썼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도 틀리지 않을 쉬운 문장들입니다. 그런데 수능, 토익과 같은 고급 영어 시험에서 "수의 일치"문제가 단골로 출제될까요? 주어와 동사 사이에 "수식어구와 절"이 끼어들어 문장이 복잡해 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수의 일치 문제는 수식어구와 절을 파악하는 문제나 다름없습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2. 수식어구와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주어를 꾸며주는 구나 절이 있더라도, 동사는 주어의 수에 맞춰야 합니다.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수식어구들이 있습니다.

 

  • 구(Phrase): 전치사구, to 부정사구, 동명사구, 분사구 등
  • 절(Clause): 관계사절, 동격절 등

다음은 수식어구와 절이 포함된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일치시켜 봅시다.

 

2-1. The box of chocolates was expensive.

       (초콜릿 상자는 비싸다.)

→  핵심 주어인 "box"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was"를 사용합니다. 수식어구인 "of chocolates"은 수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2. The books that are on the shelf belong to Sara.

       (선반 위에 있는 책들은 사라의 것이다.)

→  핵심 주어인 "the books"로 복수이므로 복수 동사 "belong"을 사용합니다. 관계사절인 "that are on the shelf"는 수식어절이므로 수의 일치에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수식어구의 수일치


3. 연습 문제

다음 문제들을 풀어 보면서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를 확실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문장에서 괄호 안의 동사를 문맥에 맞게 알맞은 형태로 고쳐 쓰세요.

  1. One out of every two marriages in Korea [ ] in divorce. [end]
  2. The typical retirement age [ ] 62. [be]
  3. The unemployment rate [ ] moved up. [have]
  4. An equation says two things [ ] equal. [be]
  5. Her bag [ ] empty. [be]
  6. The pollution from cars [ ] harmful. [be]
  7. One out of every two families [ ] a dog. [have]
  8. Good things come to those who [ ] eager to have. [be]
  9. One out of every three college graduates [ ] got a job. [have not]
  10. Most people who have survived accidents [ ] great strength. [have]
  11. The same attackers that breached Google [ ] hit the Pentagon. [have]
  12. One pleasurable thing to do [ ] to eat. [be]
  13. The fact that a believer is happier than a skeptic [ ] not true. [be]
  14. They say that health [ ] wealth. [be]
  15. The box of money [ ] full. [be]
  16. Poor conditions [ ] about poverty. [bring]
  17. An equation says two things [ ] equal. [be]

정답과 해설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 연습문제와 그에 대한 정답, 해설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공부하세요.

주어 동사의 일치 연습문제.pdf
0.13MB
주어 동사의 일치 연습문제 풀이.pdf
0.22MB

 

 

이상으로 수의 일치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봅시다!

 

"이 글은 2025년 4월 19일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by Song SSam."

 

 

일치, agreement

 

 

    이번 시간에는 일치(agreement)를 살펴 보겠습니다. 

 

 

 

 

PART 1. 개념정리.

 

언어에서 일치(agreement)란 단어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말합니다. 영문법에서 일치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가 있습니다.

1. 인칭의 일치

2. 수의 일치

3. 성의 일치

4. 격의 일치

각 항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1. 인칭의 일치

 

영어의 인칭에는 1,2,3인칭 명사들이 있습니다. 인칭명사들이 주어 자리에 올 경우, 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변합니다.

 

(1) I am a boy. (1인칭 주어)

(2) You are a boy. (2인칭 주어)

(3) He is a boy. (3인칭 주어)

 

위 예문에서 보듯이, be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바뀌게 됩니다. 특히 3인칭 단수 주어 뒤에 일반동사가 올 경우, 현재형 동사에 '-s' 또는 '-es'가 붙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1) He walks home every day. (3인칭 단수 주어 → walks)
(2) They walk home every day. (3인칭 복수 주어 → walk)

 

2. 수의 일치

 

단수는 단수를, 복수는 복수를 나타내는 형태로 받는 것입니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단수와 복수를 엄격하게 구분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s)와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s)의 구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1) One boy → boy (단수 형태)
(2) Two boys → boys (복수 형태)

복수 형태를 갖지만 단수 취급을 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1) News is interesting.
→ (news는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 취급합니다.)
(2) Mathematics is difficult.
→ (mathematics등 학문 이름은 단수 취급합니다.)

 

3. 성의 일치

 

영어에는 성(gender)을 나타내는 말이 존재합니다. 특히 소유격 대명사를 쓸 때 주의해야 합니다. 당연히 남성명사는 남성으로, 여성명사는 여성으로 일치 시켜야합니다.

 

(1) The boy has his dog. (남성 명사 → his)

(2) The girl has her dog. (여성 명사 → her)

최근 경향 & 추가 팁
오늘날 영어권 국가에서는 성중립적 표현(gender-neutral language)을 선호합니다. 성별이 불분명하거나, 굳이 성별을 드러낼 필요가 없는 경우 복수형인 'they/their'를 단수 형태로 사용합니다. 실제 시험이나 실생활 영어에서도 빈번히 사용됩니다.

ex) Everyone has their own opinion.
→ (Everyone은 단수이지만, 성별 구별 없이 their를 자주 사용합니다.)

 

 

4. 격의 일치

명사와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형태가 바뀌어야 합니다. 주어 자리에 쓰일 때는 주격을, 목적어 자리에서는 목적격, 소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소유격 형태를 씁니다.

 

(1) I like you. (주격 I)

(2) You like me. (목적격 me)

(2) My darling. (소유격 my)

 

네 가지 일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어 동사의 일치입니다. 수식어 때문에 주어와 동사 떨어져 있는 경우, 주어·동사 사이에 일치가 잘못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x) The fact (that we ultimately die) doesn't weaken the pleasure of being present alive.

    (우리가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은, 현재 살아있다는 기쁨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the fact'가 주어이기 때문에 단수동사 ‘doesn't'를 썼습니다. ( )안에 있는 수식어절은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이상으로 일치에 대한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일치 직전정리"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필수적인 일치 문법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4. 주격관계대명사절의 일치




네 번째는 주격 관계대명사 절에서의 일치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절에서 동사는 선행사에 일치시킵니다. 상당히 추상적인 규칙이라서 조금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주젹관계대명사란?


우선 주격 관계대명사란 무엇일까요? 관계대명사 다음에 주어가 없이 동사를 바로 쓰는 것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2)번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o' 다음에는 주어가 될 만한 명사가 없습니다. 동사가 바로 따라 옵니다. 이렇게 관계대명사 다음에 주어가 없는 것을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주격관계대명사절에서 일치


그렇다면, 주격관계대명사 절에서 동사는 어디에 일치시킬까요? 관계대명사가 설명하는 선행사에 일치시킵니다. 선행사라고 하니까 잘 안 들어 올 겁니다. 약간 구체적으로 선행명사라고 표현합시다. 대부분의 선행사는 보통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는 선행명사에 일치시킨다’라고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예문을 다시 봅시다.


(1)번에서는 선행명사가 ‘the man'입니다. 그래서 단수 동사 keeps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선행명사가 'the people'입니다. 그래서 동사는 복수형인 'deserve'가 왔습니다.




잘 아시겠죠?


‘주격관계대명사 절에서 동사는 선행명사에 일치시킨다’라고 정리합시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관구문  (7) 2013.02.13
부분표현  (19) 2013.02.13
A of B 구문에서의 일치  (3) 2013.02.13
There is, here is  (4) 2013.02.13
부정사 동명사구의 일치  (2) 2013.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