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 형태와 역할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을 공부하겠습니다. 

 

~ing는 동사와 명사의 성격을 갖습니다. 그런데 ~ing 형태로 끝나는 말들의 경우 동사인지 명사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painting을 봅시다. 이 단어가 ‘그림’을 뜻하는 명사인지, ‘그리다’는 동사에 -ing를 붙인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결국은 쓰임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1. 동사 역할 : 목적어를 취하는 ~ing

 

목적어를 취하는 것은 동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목적어인 명사를 취하는 ~ing는 동사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를 가지는 것은 동사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목적어인 명사(구)를 취하는 ~ing는 동사 역할을 합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명사(구)는 각각 앞에 있는 ~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atching과 updating은 동사적 성격을 가집니다.

(1) Watching YouTube videos all night.
     밤새도록 유튜브 영상을 보기

(2) Constantly updating social media.
     끊임없이 소셜미디어를 업데이트 하기

 

2. 동사 역할: 부사의 수식을 받는 ~ing는

 

동사는 부사의 수식을 받습니다. 따라서 ~ing가 부사(구)의 수식을 받으면 동사 역할을 합니다.

 

(1),(2)번에서 ~ing 표현들은 내용상, 바로 뒤에 나오는 부사(구)의 수식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driving, working은 동사적 성격을 갖습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부사(구)는 ~ing를 수식하므로, exercising과 talking은 동사적 성격을 가집니다.

(1) Exercising regularly helps maintain your health.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

(2) Talking openly about mental health is important.
      정신 건강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동명사: 주어 역할을 하는 ~ing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것은 명사입니다. 따라서 주어 자리에 있는 ~ing 형태는 동명사로, 명사적 성격을 지닙니다.

(1), (2)번에서 밑줄 친 ~ing 구문은 동사 앞 주어 자리에 있으므로 명사 역할을 합니다.


(1) Creating engaging content is challenging.   (동사 is의 주어)
      흥미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어렵다.

(2) Learning coding skills can open up new opportunities.   (조동사 can의 주어)
     코딩 기술을 배우는 것은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

 

4. 동명사: 목적어 역할

 

명사만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는 타동사의 목적어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나누어지는데, 둘 다 명사입니다.

 

(1)에서 cooking은 타동사 enjoy의 목적어입니다. (2)의 improving은 전치사 on의 목적어입니다. 따라서 cooking과 improving은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입니다.

(1) She enjoys cooking vegan meals.     (동사 enjoy의 목적어)
     그녀는 비건 식사를 요리하는 것을 즐긴다.

(2) We focused on improving productivity.    (전치사 on의 목적어)
     우리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했다.

 

 

이상으로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음 시간에는 좀 더 심화된 활용법을 다뤄 보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동명사 직전정리"입니다. 동명사에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세요.

 

 

 

필요하신 분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완료 -의미-  (0) 2025.04.04
현재분사, 과거분사  (0) 2025.04.02
동사의 시제 (12시제)  (0) 2025.04.02
관계대명사 정리  (0) 2025.04.02
현재완료 용법 (1부)  (9) 2025.04.02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접속사 b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ut은 주로 반대, 대조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전치사로도 쓰입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므로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1. but: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

등위접속사 but은 앞에서 언급한 내용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but의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쓰이는 용법입니다.

 

ex) He is young, but he is wise. 

      그는 젊지만, 현명하다.

 

ex) I tried to understand him, but I can't. 

       나는 그를 이해하려고 했지만, 할 수 없었다.

 

 

 2. but: '제외하고(except)'의 의미로 사용

but은 전치사로도 쓰이며, 이 경우 '~을 제외하고'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all-, every-, any-로 시작하는 단어와 함께 쓰입니다. 

 

예시 

ex) I like every subject but math. 

       나는 수학을 제외하고 모든 과목을 좋아한다. 

       (= I like every subject except math.) 

 

ex) You can have all but her. 

       너는 그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가질 수 있다. 

       (= You can have everything except her.)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신사만 빼고 무엇이든 될 수 있다. 

       (= He can be anything except a gentleman.) 

 

여기서의 butexcept(제외하고)와 같은 의미로 쓰이며,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가 뒤에 옵니다. 

 

⚠️ 주의사항 

'anything but''결코 ~이 아닌(never)'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결코 신사가 될 수 없다.) 

 

 

 3. but: 'only(오직)'의 의미로 사용

부정어와 함께 쓰인 but'오직(only)'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 but 앞에는 부정어가 위치하며, '부정어 + but = only'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부정어 

Nobody -,  no one - , none -, nothing -, nowhere - 

 

예시 

ex) I want nothing but love from you. 

       나는 너에게서 사랑만을 원한다. 

       (= I want only love from you.) 

 

ex) He has lived nowhere but Seoul. 

       그는 오직 서울에서만 살아왔다. 

       (= He has lived only in Seoul.) 

 

이 경우, but 앞의 부정어와 함께 only(오직)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상으로 등위접속사 및 전치사로서의 b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접속사 직전 정리"입니다. 접속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교보문고에서 바로 확인하고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생각은 말이나 글의 문장으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문장은 말하는 방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조건문, 명령문, 감탄문으로 나뉩니다. 문장의 종류란 결국 말하는 방식입니다.

 

1. 평서문

평서문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고 주장한다

사실을 그대로 말하는 문장을 평서문이라고 합니다. 평서문이란 ‘사실을 평범하게 서술한다’라는 의미입니다.

 

ex) The e-bay SELLS everything.

      e-bay는 모든 것을 판다.

→  SELLS는 e-bay가 무엇인지 서술하고

 

ex) Han Earl READS a comic-book.

      한얼이가 만화책을 읽는다.

→  READS는 Han-Earl을 서술합니다.

 

 

2. 의문문

의문문은 질문하는 문장이다

상대방에게서 답을 얻기 위해 묻는 문장을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ex) Are you a student?

     너는 학생이니?

→  학생인지 묻고

 

ex) What is your dream?

     무엇이 되고 싶니?

→  무엇을 원하는지 묻습니다.

 

 

3. 조건문

조건문은 어떤 일에 필요한 조건을 나타낸다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합니다.

 

ex) I will be angry IF he SELLS my bicycle.

      그가 내 자전거를 판다면 나는 화낼 것이다.

→  화를 내는 데 필요한 조건 ‘그가 상자를 팔면’

 

ex) IF he PLAYS fairly, I will like him.

      그가 정당하게 경기한다면, 나는 그를 좋아할 것이다.

→  그를 좋아할 조건은 ‘그가 공정히 경기하면’

 

 

4. 명령문

명령문은 시키는 문장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을 명령문이라고 합니다. 명령문은 명령하는 대상이 정해져 있으므로 주로 주어 없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ex) GO out of the room.

      방 밖으로 나가라.

 

ex) PLAY with me, Jin-ha.

      나랑 놀자, 진하야.

 

5. 감탄문

감탄문은 느낌이나 감정을 나타낸다

말하는 사람의 강한 느낌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문장을 감탄문이라고 합니다.

 

ex) AH, Life is wonderful!

      아, 삶은 놀랍다!

 

ex) HOW wonderful life is!

      얼마나 놀라운 삶인가!

 

ex) WHAT a wonderful life!

      놀라운 삶!

 

 
문장의 5형식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문장의 5형식'을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문장의 5형식'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8.26

영어문법 공부 제대로 합시다!


안녕하세요, TAKE 2 송샘입니다.
오늘은 방학맞이 문법 공부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동영상만 보셔도 되고, 글을 함께 읽으셔도 됩니다.


열공!



수준별 집중학습


여름 방학 4주는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특히 문법과 같이 체계적인 분야를 학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주의할 것은 여름 방학동안에 모든 문법을 끝내겠다는 생각을 버리는 것입니다. 문법은 아주 방대합니다. 하면 할수록 어려운 것이 영문법입니다. 그러므로 '완전 마스터‘라는 달성하기 힘든 목표를 정해 놓으면 좌절하고 맙니다.


대신에 자신이 약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조동사 파트가 약하면 조동사 부분만을, 가정법이 약하면 가정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학습자의 수준별로 영어 문법을 공부하는 가이드입니다.




1. 문법에 대한 기본 개념이 없는 학습자

 - 욕심을 버리세요.


일단 기본 개념을 익혀야 합니다. 문법에서 기본 개념이라 함은 ‘문법 용어’입니다. 1주 정도면 중요한 문법용어 100개를 확실하게 익힐 수 있습니다. 개념 학습과 동시에 각 영역별로 학습을 시작해야 합니다. 문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의 5형식입니다. 자동사 타동사의 구별부터 시작해서 문장의 5형식을 철저하게 익혀야 합니다.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실제로 문장을 분석해 보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예문들을 영작할 수 있는 정도로 공부하면 됩니다.


영어 문법에 대한 용어 정리와 문장의 5형식만 철저하게 끝내도 문법에 대한 눈이 뜨입니다. 실제로 다른 파트에 대한 학습이 없어도 어느 정도 영어 문장 구조가 보이게 됩니다. 그만큼 동사로 표현되는 문장의 5형식은 중요합니다. 물론 쉬운 과정은 아닙니다. 실력있는 선생님과 훌륭한 교재, 그리고 학습자의 노력이 함께해야 얻을 수 있는 결과입니다.


문법이 약하다고 느끼시면 기본 개념 100개를 정리하세요. 동시에 동사를 중심으로 한 문장의 5형식을 철저하게 익혀세요.





2. 문법에 대한 개념은 있는 학습자 

- 욕심을 내세요.


보통 영어 문법에서 중급 정도의 실력을 가진 학습자입니다. 이 단계의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치명적인 오류는 ‘쉬운 교재를’ ‘처음부터’ 반복하는 것입니다. 문법 교재를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것입니다. 중급 학습자에게 이러한 방법은 황금같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입니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학습 동기와 의욕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고등학생이 중학교 수업을 듣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짧은 여름방학이기에 시간을 아껴서 공부해야 합니다.


중급학습자의 경우에는 ‘선택적 학습’이 필요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짧은 복습’과 ‘심화학습’을 해야 합니다. 기본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4개 챕터정도를 확실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보통 이 단계의 학습자는 기본 개념은 들어서 알고 있습니다. 문제를 풀어도 답을 맞출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자신이 맞춘 문제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즉,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문법용어를 써서 표현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문법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정법이 무엇인지 대충 알고는 있지만, 가정법 과거의 형식을 말하라면 머뭇 거립니다. 조동사가 뭔지도 알고는 있지만 would의 용법을 설명하라면 힘들어 합니다. 이런 상태에서 기초를 반복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자신이 약한 영어 문법영역 네 개를 골라서 공부해야 합니다. 조동사, 가정법, 수동태, 시제, 관계대명사 등 구체적인 챕터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부분을 소위 말해서 ‘파야’합니다. 기본이 있는 상태라서 4주면 충분히 만족할 만한 시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실 여름방학 집중학습이 가장 어울리는 대상이 바로 이 단계의 학습자입니다.




3. 문법을 잘하는 학습자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소위 영어의 상급학습자입니다. 수능 영어영역에서는 항상 1등급을 맞습니다. 이 단계의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실수는 ‘완벽에 대한 집착’입니다. 영어 선생님만큼 ‘완벽’하게 문법을 설명하고 싶은 욕구입니다. 물론 바람직한 욕망이지만 시간낭비입니다. 이 단계의 학습자는 마라톤으로 치면 거의 35km 구간을 선두그룹에서 질주해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6km에서 오버페이스를 하는 꼴입니다. 결국 페이스가 흐트러져 레이스 자체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자신을 믿고, 페이스를 유지해야 합니다. 기출 문제를 반복해서 풀면서 감을 유지하면 됩니다. 감을 유지하는 것, 상급 학습자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무더운 여름 감을 잃어버리면 회복하기 힘듭니다. 욕심을 버립시다. 이미 잘하고 있는 영어문법을 더 잘하려고 하다가 ‘교각살우’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각 단계별 학습자가 여름 방학 4주 동안에 영어 문법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개괄적으로 보았습니다. 모쪼록 여러분의 뜨거운 땀 방울이 찬란한 보석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비법 (내신대비)  (4) 2013.09.03
영어영역 독해 (수능)  (4) 2013.07.12
여름방학 영어공부  (2) 2013.06.30
영어공부, 속지 마세요!  (7) 2013.06.21
영어를 두 배로 빨리 읽어 봅시다.  (12) 2013.06.20

cause, reason 차이




의미 정리


다음은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cause   원인

reason  이유


그렇지만 여전히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상황 1)


아내가 화가 나 있습니다. (결과)

남편이 아내에게 묻습니다.


남편: What's the reason for your anger?

       (화난 이유가 뭐야?)


아내: It's because your son spoiled the exam! (화난 원인)

      (왜냐하면 당신 아들이 시험을 망쳤거든!)


'시험을 망친 것'이 원인(cause)이고, '화(anger)'가 결과입니다. 그리고 화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의미차이


cause(원인)란 어떤 결과를 초래한 직접적인 사건입니다. reason(이유)이란 그 원인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상황 2


1. What is your reason for being late?

   (늦은 이유가 뭐니?)

   (늦은 원인을 설명해 봐라)


2. The traffic is the cause.

   (교통이 원인이었어요.)


'traffic(교통)'이 원인 되어 '늦은(late)'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자신이 늦은 것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이유(reason)입니다. 


cause는 사건의 원인, reason은 그 원인을 설명해 주는 것



Thanks for watching.




인칭 (PERSON)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인칭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tell you he is away.

(2) You must tell her to come to me.


- 첫 번째 문장에서, 'I'는 ‘말하는 사람’입니다. 말하는 사람은 ‘1 인칭’입니다.

- 두 번째 문장에서 ‘You'는 ’말을 듣는‘ 사람입니다. 말을 듣는 사람은 2 인칭입니다.

- ‘he’와 ‘her’는 ‘화제에 오른 사람’으로 ‘제3자’입니다. 'he'와 ‘her'는 3인칭입니다.





대명사의 인칭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 1인칭, 2인칭, 3인칭 -


1인칭은 말하는 사람입니다.

2인칭은 듣는 사람입니다.

3인칭은 ‘화제에 오른 제 3자’입니다.




SEE YOU!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대명사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형용대명사 -


이번 시간에는 인칭대명사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예문


먼저 예문을 봅시다.

(1) I saw Jim ; HE was in the garden, but HE did not see me.

(2) Mary is gone ; SHE went an hour ago.




설명 1


-첫 번째 문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1) I saw Jim; Jim was in the garden, but Jim did not see me. 


이렇게 한 문 같은 단어 Jim을 계속 반복하면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Jim대신에 ‘He'를 썼습니다. ’He'라는 단어는 Jim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람을 대신하므로 ‘인칭대명사’라고 불립니다.




설명 2


마찬가지로,

- 두 번째 문장에서는 Mary 대신에 ‘She'를 사용했습니다. 



     (2) Mary is gone ; Mary went an hour ago. 


     위 문장 역시 Mary의 반복된 사용으로 어색합니다. 

Mary is gone ; SHE went an hour ago.‘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여기에서 'she'는 Mary를 대신하는 인칭대명사입니다.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를 대신하여 쓰입니다.


ex) The boy is not here; HE has gone away. 



잘 보셨길 바랍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 대명사  (9) 2013.04.23
인칭 (person)  (4) 2013.04.15
명사의 격(case) 주격, 소유격, 목적격  (3) 2013.04.10
중성명사, 통성명사 (neuter, common)  (6) 2013.04.08
like, as (~처럼)  (6) 2013.04.03

문법(Grammar)이란?


1. 문법의 정의





2. 설명


우리는 말할 때, 단어를 사용합니다.



 

3. 품사란?


단어들은 종류가 다릅니다.




4. 9품사


영어에는 9개의 품사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문법에 대한 간략한 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preposition)  (4) 2013.03.10
대명사 (pronoun)  (0) 2013.03.02
형용사 (adjective)  (4) 2013.02.26
관사  (12) 2013.02.19
명사란?  (4) 2013.02.18

문법을 "이해" 합시다.



■ 다음에서 올바른 문장은 무엇입니까? 

1. She looks beautiful.

2. She looks beautifully.

 

대부분 1번을 고를 것입니다. 하지만 왜 그런가라고 물어보면 'look 다음에는 형용사가 와야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합니다. 틀린 답은 아니지만 이건 규칙을 외우는 것이지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말에서 문법에 어긋난 문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영어도 마찬가지죠. 문법에 어긋난 문장은 잘 쓰이지 않거나 말이 안 됩니다.

 

우선 기본적인 문법지식을 확인해봅시다.

형용사: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한다.
부사: 동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를 수식한다
.                     

 

 

이제 위의 문장들을 분석해 봅시다.

1번에서 'beautiful'은 형용사이므로 대명사 she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그녀'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1. She looks beautiful. => 그녀는 아름답게 보인다.
                                      (그녀가 아름답다.)

 

2번에서 'beautifully'는 부사이므로 동사 'looks'를 수식하여 '아름답게 바라보다', 또는 '바라보는 것이 아름답다'라는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2. She looks beautifully. => 그녀는 아름답게 바라본다.
                                        (그녀가 바라보는 것이 아름답다.)

 

사랑에 눈이 먼 상태라면 '그녀가 바라보는 것이 아름다울' 수도 있겠죠. 하지만 일상적으로 쓰이는 말은 아닙니다. 보통은 '그녀는 아름답게 보인다'라고 말하죠.

 

그러므로,

'She looks beautiful.'이라고 씁니다.

 
이렇게 문법적으로 어긋나면 "말"이 안 됩니다. 아시겠죠? 문법을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를 합시다. 문법은 우리가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정말입니다. 
 

계속...












 

+ Recent posts